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들의 비대면 수업 평가 방식 공정성에 대한 인식 연구 : I 대학의 비대면 수업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이경자(Lee, Kyeongja),유정민(Yoo, Jungmi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I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수업 평가 방식 공정성에 대한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을 높이고 나아가 비대면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비대면 수업의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에 대해 대면 수업과의 차별적 인식을 조사하고,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이 차별화되어야 하며, 실제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식에는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들은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평가 공정성에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평가결과는 대면 수업과 차이가 없거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등 비대면 수업 평가의 공정성에 대해 이중적인 인식 기준을 보였다. 또한, 비대면 수업의 평가방법이 평가 공정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며, 연구대상 학생들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 경험에 따른 교육 경험이 평가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비대면 수업에 있어 수업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주는 교수자의 현존감과 상호작용 부재의 문제점 등을 적절하게 극복할 수 있는 대면-비대면 융합형 수업 설계를 제안하며, 비대면 평가의 단점을 극복하는 개별화된 평가방식의 개발 및 비대면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화된 교육 형태의 개발과 개별화된 교육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의 개발 및 온라인 학습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의 필요성 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face classes,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ensure their quality. It i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regarding th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 face classes, focusing on the case of I University students. We investigated th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evaluation standards, evaluation methods and evaluation results for non-face-to-face classes in order to discover what important factors have an influence on these evaluation criteria.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students believe that evaluation systems for non-face-to-face classe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face-to-face classes. They consider the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s of non-face-to-face classes to be differentiated from face-to-face classes. However, they do not differentiate between the two when it comes to actual evaluation results, and they were even more highly satisfied with the evaluation results under non-face-to-face systems, showing a degree of duplicity in their assessment. Further, they consider evaluation methods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fairness in the evaluation system for non-face-to-face classes. These results are also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different class experiences. From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a blended learning system should be adopted for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non-face-to-face classes, such as a shortage of actual contact and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e also suggest that universities develop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s applying various online education techniqu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at must now cope with the problems and challenges of providing non-face-to-face classes.

      • KCI등재

        비대면수업의 학습효과와 강의만족도에 따른 연구

        김서연 대한산업경영학회 2021 산업융합연구 Vol.19 No.6

        교수자와 대학생의 학습효과 및 비대면 강의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20년 10월 5일부터 10월 23일까지 J지역과 K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348부 시행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n 22.o 을 이용하였다. 비대면수업 기대효익 중 시간적 기대효익은 3.69점, 학습효과 기대효익은 3.46점으로 나타났고, 기 술적 친숙도는 3.47점으로 나타났다. 비대면수업 강의만족도는 3.58점으로 나타났다. 비대면수업 강의만족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효과 기대효익, 대학 만족도, 기술적 친숙도, 시간적 기대효익, 다음 학기 희망하는 비대면 수업 과목 수이었다. 학습효과 기대효익이 높을수록, 대학 만족도가 높을수록, 기술적 친숙도가 높을수록, 시간적 기대효익이 높을수록, 다음 학기 희망하는 비대면수업 과목 수가 많을수록 비대면수업 강의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대면수업의 교수자와 대학생의 학습효과 및 강의만족도에 있어서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lectures. The subjects were 348 university student who attended from October 5 to October 23, 2020. The statistics program was SPSS win 22.o. Among the expected benefits of non-face-to-face classes, the temporal benefit was 3.69 points, the expected benefit of the learning effect was 3.46 points, and the technical familiarity was 3.47 points.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classes was found to be 3.58 points.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lectures in non-face-to-face classes were expected benefits of learning effect, university satisfaction, technical familiarity, expected benefits over time, and the number of non-face-to-face classes desired for the next semester. Learning effect The higher the expected benefit, the higher the university satisfaction, the higher the technical familiarity, the higher the expected temporal benefit, the higher the number of non-face-to-face classes desired for the next semester,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non-face-to-face class lecture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of the instructor was important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 non-face-to-face clas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lecture.

      • KCI등재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생 수업 참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소민,김경리 한국교육방법학회 2021 교육방법연구 Vol.33 No.2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n non-face-to-face class in a university.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ponse data of students in A universit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tudent participa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factors that affect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three factors(instructor preparation, school preparation, and class management) influenced satisfaction. Second, when the effect of school preparation on class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 participation were analyzed, student particip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preparation and satisfaction. Third, when the effect of instructor preparation on class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 participation were analyzed, student particip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preparation and satisfaction. Fourth, when the effect of class management on class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 participation were analyzed, student particip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management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support of the school, the preparation of the instructor,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we hope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make more satisfying non-face-to-face class. 본 연구는 수도권 A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 영향 요인중 대학 차원의 준비, 교수자 차원의 수업 준비, 수업 운영 방식에 관한 인식이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경로에서 학생의 수업 참여도가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교수자 차원의 수업 준비, 대학 차원의 준비, 수업 운영 방식에 대한 인식 순으로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비대면 수업을 위한 대학 차원의 준비가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 수업 참여도의 매개효과를 검토한 결과, 학생 수업 참여도가 대학 차원의 준비와 비대면 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셋째,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수자 차원의 수업 준비가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 수업 참여도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수자 차원의 수업 준비와 비대면 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넷째, 비대면 수업 운영 방식(성적평가 방법, 출석처리 방법, 강의 공개시간에 대한 적절성)에 대한 인식이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 수업 참여도가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수업이 보다 만족스러운 수업 형태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예비 교원의 비대면 수업 역량 강화에 대한 소고

        신원정(Won Jeong Shin),김종연(Jong Yeon Kim)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1 한국교육논총 Vol.42 No.3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학생들의 학교 등교가 정지되거나 제한되면서 학교의 교실수업은 비상 비대면 수업으로 급격히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교원들의 비대면 수업 역량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으며, 특히 예비교원과 교원들에게 원격교육의 기능과 기법을 교육할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수업 역량 강화와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살펴보고, 비대면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수업의 준비와 진행 과정을 비대면 교육 내용의 선정, 비대면 교육 자료의 제작, 비대면 수업용 미디어 형성, 비대면 전달의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술과 장비 등을 소개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술적 측면, 수업 내용과 기술의 결합 측면, 기타 고려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해당 모형을 적용하여 예비 교원들의 비대면 교육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수업 콘텐츠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수업 콘텐츠에서의 저작권 문제, 수업 질 격차 해소,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예비 교원 양성 시스템 구축 등과 같이 예비 교원 양성의 관점에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COVID-19 pandemic has led to dramatic changes in school education. Classes were suspended or students were restricted from attending school, and classroom instruction shifted toward distance learning. Accordingly, teachers’ teaching abilities related to non-face-to-face education have become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ducation on various non-contact methods for prospective and present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d the preparation and progress of non-face-to-face classes. It has five stage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produ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making of educational materials, media production for non-face-to-face classes, and non-face-to-face delivery. This study introduces the necessary technologies and equipment required for each stage. In addition, we provide a case class that can strengthen the capacity of non-face-to-face teaching of pre-teachers. In addition, we discuss topics such as bridging gaps in class quality, copyright issues, and preparing teacher training systems for non-face-to-fa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유아상담 및 미술치료수업의 대면과 비대면 및 대면 + 비대면 혼합수업의 만족도 조사를 통한 수업 설계방향 연구

        박선미 한국아동부모학회 2022 아동부모학회지 Vol.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상담 및 미술치료 교과목을 3가지 방식인 2019년 대면수업과 2020 년 비대면 수업 및 2022년 대면+비대면 혼합수업으로 진행된 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강의평가 결과에 따른 개선방법 도출해 다음 학기 수업설계는 물론 앞으로 확대될 온라인 환경에서 수업의 질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본 수업을 수강한 S대학교 학생 69명 중 5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 구도구로는 S대학교에서 실시한 만족도조사 중 참여도가 높은 2차 강의평가를 사용 하였다. 연구방법 및 연구분석은 연도별 수업방식, 운영방식, 평가방법, 강의만족도 및 연도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관식 문항을 분석하고 3개년도 수업내용 등 교과목 설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19년 대면수업에 비해 2020년 비대면 수업의 경우 평가의 공정성 부분을 비롯해 전제 항목에서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2022년 대면+비대면으로 진행된 수업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비대면 수업에서 학생들이 실기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면+비대면 혼합의 경우 한주씩 교차로 진행하거나 플립드러닝 등의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여 학생의 개별화 맞춤형 학습과 자기주도적인 능동학습이 가능한 형식으로 진행 해야 한다. 셋째, 실기과목의 경우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수업 설계시 비대면 주차의 경우 실시간 온라인 수업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연구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차후에 주차별 수업 구성에 따라 대면+비대면 혼합수 업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방식 및 플립드러닝, 1인 미디어 방식 등 다양한 비대면 수 업방식 및 플랫폼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counseling and art therapy subjects in three ways: face-to-face class in 2019, non-face-to-face class in 2020, and face-to-face + non-face-to-face mixed class in 2022, and deriving improve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lecture evaluation results. The object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in the online environment that will be expanded in the future as well as class design for the next semester.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 students out of 69 students of S university who took this class, and the second lecture evaluation with high participation rate among the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at S university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he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analysis analyzed the class method by year, the operation method, the evaluation method, the lecture satisfaction level,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years. Essay questions were analyzed and subject design, such as the contents of classes for the three years, was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First, compared to the face-to-face class in 2019, the non-face-to-face class in 2020 ha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in all items, including the fairness of evaluation. have. Second, in the non-face-to-face class, student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practical skills. To make up for this, in the case of face-to-face + non-face-to-face mixing, alternately conducted weekly or u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flipped learning to provide students with personalized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t should be conducted in a format that enables active learning. Third, in the case of practical subjects, real-time online class methods should be actively introduced in the case of non-face-to-face parking when designing classes to increase learners'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non-face-to-face class methods and platforms such as face-to-face + non-face-to-face mixed classes, real-time online classes, flipped learning, and one-person media methods are needed depending on the class composition for each week.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체육수업에 관한 연구 동향

        장용규,김동식 한국초등체육학회 202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 이후 국내에서 발표된 ‘비대면 체육 수업’과 관련된 연구 내용 분석을 통해, 비 대면 체육수업과 관련된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추후 전개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체육수업 연구 방향을 제언하는 데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 이후 발행된 학술지에 발표된 ‘비대면 체육 수업’을 주제로 한 연 구물을 수집하였으며, 수집 된 총 24편의 연구들이 다루고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 분석을 통한 범주화를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체육 수업 연구 주제는 크게 비대면 체육 수업 운영의 실태, 수업의 어려움, 수업 전략으 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 비대면 체육수업은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비중이 많았고, 콘텐츠는 주로 유튜브 콘텐 츠나 교사들이 자체 제작한 영상을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비대면 체육수업의 어려움은 교육과정 운영 불확실성, 테크놀로지지식 습득 등으로 요약되며, 특히 비대면 상황과 체육의 본질의 상충되는 측면에서 보다 근원적인 어려 움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비대면 체육수업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은 학습공동체를 조직 하거나, 수업내용에 따라 수업 운영 방식을 다변화하고 있었으며, 플립러닝이나 블렌디드 러닝 같은 온·오프라인을 연계할 수 있는 수업 전략을 활용하고, 학생들의 소통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 으로 추후 포스트 코로나 이후 체육수업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rough analysis of research contents related to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published in Korea after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study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post COVID-19 era to be developed lat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materials on the subject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after 2020 were collected, and categorization through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topics covered by a total of 23 collected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earch subjects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uld be divided into the actual status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difficulties of classes, and class strategies. First,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a large proportion of content utilization-oriented classes, and content mainly used YouTube content or videos produced by teachers themselves. Second, the difficulties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can be summarized as uncertainty in curriculum operation and acquisition of technological knowledge, and in particular, more fundamental difficulties exist in terms of conflicts between the non-face-to-face situation and the essence of physical education. Thir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eachers were organizing a learning community or diversifying class operation methods according to class content. They werev also using an online platform for student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study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fter the post COVID-19 era were suggested.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체육수업에 관한 연구 동향

        장용규(Chang, Yong-Kyu),김동식(Kim, Dong-Sik) 한국초등체육학회 2021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 이후 국내에서 발표된 ‘비대면 체육 수업’과 관련된 연구 내용 분석을 통해, 비대면 체육수업과 관련된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추후 전개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체육수업 연구 방향을 제언하는데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 이후 발행된 학술지에 발표된 ‘비대면 체육 수업’을 주제로 한 연구물을 수집하였으며, 수집 된 총 24편의 연구들이 다루고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 분석을 통한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체육 수업 연구 주제는 크게 비대면 체육 수업 운영의 실태, 수업의 어려움, 수업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 비대면 체육수업은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비중이 많았고, 콘텐츠는 주로 유튜브 콘텐츠나 교사들이 자체 제작한 영상을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비대면 체육수업의 어려움은 교육과정 운영 불확실성, 테크놀로지지식 습득 등으로 요약되며, 특히 비대면 상황과 체육의 본질의 상충되는 측면에서 보다 근원적인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비대면 체육수업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은 학습공동체를 조직하거나, 수업내용에 따라 수업 운영 방식을 다변화하고 있었으며, 플립러닝이나 블렌디드 러닝 같은 온·오프라인을연계할 수 있는 수업 전략을 활용하고, 학생들의 소통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포스트 코로나 이후 체육수업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rough analysis of research contents related to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published in Korea after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study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post COVID-19 era to be developed lat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materials on the subject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after 2020 were collected, and categorization through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topics covered by a total of 23 collected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earch subjects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uld be divided into the actual status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difficulties of classes, and class strategies. First,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a large proportion of content utilization-oriented classes, and content mainly used YouTube content or videos produced by teachers themselves. Second, the difficulties of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can be summarized as uncertainty in curriculum operation and acquisition of technological knowledge, and in particular, more fundamental difficulties exist in terms of conflicts between the non-face-to-face situation and the essence of physical education. Thir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eachers were organizing a learning community or diversifying class operation methods according to class content. They werev also using an online platform for student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study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fter the post COVID-19 era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면/비대면 수업을 이용한 영어작문 교육의 효과

        박미숙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1

        본 연구는 코로나전염병의 세계적 확산으로 인해 실행했던 비대면수업과 현재의 대면수업을 통해 영어작문 지도가 학생들에게 얼마나 효과적으로 시행되었는지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영어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작문 전공수업에서 실제로 실시한 대면/비대면 수업의 효과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작문능력 향상과 효과적인 첨삭지도가 대면과 비대면 수업형태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분석하였다. 두 수업형태에서 학습자가 느끼는 학습효과와 교수자가 분석한 교육적 효과를 고려할 때 통제작문, 유도작문을 주로 다루었던 비대면수업에서는 학습자 개인별로 즉각적인 수정지도가 잘 이루어졌으며 자유작문과 그룹워크 활동은 대면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대면/비대면 수업을 적절히 활용하는 교수자의 지도전략이 영어글쓰기 지도의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앞으로 비대면수업 형태를 통해서도 작문지도는 어느정도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데 기여한다.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중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와 수업몰입의 관계

        고광혁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중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비대면 수업만족도와 수업몰입을 살펴보고, 비대면 수업만족도가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중학교 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SPSS 25.0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은비대면 수업만족도가 높지 않았으며, 성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비대면 수업만족도가 높았고, 학년과 학업성적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들은 비대면수업몰입이 높지 않았으며, 성별과 학업성적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비대면 수업몰입이 높았고,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비대면 수업몰입이 높았다. 셋째, 중학생은 비대면 수업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업몰입이 높았다. 마지막으로비대면 수업만족도 중 학습결과와 학습방식이 수업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청소년들의 비대면 수업만족도는 수업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비대면 수업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업몰입이 높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and class immersion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upon class flow.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d 320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 where is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ased on SPSS 25.0 program. First, middle schoolers were not high in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By gender, boy students were higher in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than girl students. A difference was not seen by school year and by school record.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not high in non-face-to-face class immersion. A difference was shown by gender and by school record. In other words, boy students were higher in non-face-to-face class flow than girl students. The higher school record in students led to the higher non-face-to-face class immersion. Third, middle school students’ higher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led to the higher school flow. Finally, the learning outcome and the learning method out of the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upon class commitment. In light of these findings, it can be known that adolescents’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has an impact on class immersion and that the higher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leads to the higher class flow.

      • KCI등재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학업 성취도 비교-B 대학 <추리와 논증> 수업을 중심으로

        하영미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4

        Since the onset of the COVID-19 pandemic, education has been severely impacted, and this impact will have repercussions that go beyond our survival as a society. In the early stages of the COVID-19 pandemic, most schools and colleges in Korea changed their teaching methods from live classes to “untact”, online classes. Even though there was a degree of distrust regard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learning efficacy of online learning, The COVID-19 pandemic did not give us a choice. However, at this point in the third year of the COVID-19 pandemic, most professors and students have adapted to online learning and are still looking for various ways to increase learning effectiveness. Moreover, even after the COVID-19 pandemic is over, online learning is highly likely to become a substitute for traditional classroom learning, or at the very least, it will run concurrently with traditional classes. Either way, in order for online learning to continue, the actual learning effect of these sorts of classes must be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Inference and Argumentation” class, contrary to concerns, research from 2021 showed that online learning can have as much of a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as classroom learning. However, this judgment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of the learners and the qualitative feelings of the professor. But in order to clearly show that untact learning can have as much of an effect as classroom learning,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learning results of classroom learning with those of untact learning. That is the focus of this study.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data, the same conditions were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except for the difference in class operation according to untact learning and classroom learn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will come to see whether untact learning has the same learning effect for students as classroom learning. 코로나 팬데믹 초기 국내 대다수 학교는 전면적으로 비대면 수업으로 수업 방식을 변경했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교육적 효과 및 학습 효능감에 대한 불신은 있었지만 2020년 코로나 상황에서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이 3년째 이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는 대다수 교수자들과 학생들이 비대면 수업에 적응하고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코로나 상황이 끝난 후에도 비대면 수업은 전통적 대면 수업의 대체제가 되거나 병행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 어떤 식으로든 비대면 수업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비대면 수업의 학습 효과가 확인될 필요가 있다. <추리와 논증> 강좌의 비대면 수업 운영 결과, 우려와 달리 비대면 수업에서도 대면 수업 못지않은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2021년에 있었다. 하지만 이런 판단은 학습자들의 설문 및 교수자의 정성적 판단에 근거한 것이었다. 비대면 수업이 대면 수업 못지않게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분명히 드러나기 위해서는 대면 수업 학습 결과와 비대면 수업 학습 결과의 실질적인 비교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따른 것으로 학업 성취도를 비교해 보기 위해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점수를 비교하고, 학생들의 설문을 통해 학습 효능감을 살펴본다.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업 방식에 따른 수업 운영의 차이 외에 가급적 동일한 조건을 유지하였 으므로 해당 연구를 통해 비대면 수업이 대면 수업과 비교해 어느 정도 학습 효과가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