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콜라보레이션을 적용한 패키지디자인의 브랜드 개성에 관한 연구 - 프리미엄 생수 브랜드 에비앙을 중심으로 -

        박혜영,최인영,김민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오늘날 개인을 중심으로 하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감성적인 가치가 더해진 상품의 소비 경향을 높아지게 하였다. 이런 경향은 타 브랜드와 차별성으로 충족되고 프리미엄 시장에서 고급스러움과 특별함 등의 감성을 고려한 콜라보레이션은 브랜드 이미지 상승과 브랜드 인지도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콜라보레이션을 적용한 패키지디자인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중요 요소인 브랜드 개성과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 최초 물을 상품화한 프리미엄 생수 브랜드 에비앙의 사례 분석과 소비자 조사를 통해 실행되었다. 조사결과 프리미엄 생수 구입 시에는 가격, 브랜드, 패키지디자인과 같은 외적인 요소들을 통해 상품을 선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희소성과 특별함이라는 요소를 패키지에 부여함으로써 차별적인 브랜드 개성을 구축할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는 상품을 구입하는 것을 넘어 소장가치를 높일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에비앙의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여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나만이 가질 수 있는 특별한 제품의 구입을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켰다. 소비자는 제품 구매 시 패키지디자인을 통한 경험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데 잘 구축된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를 이끌어 내게 된다. 그렇기에 콜라보레이션을 적용한 패키지디자인은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시킬 수 있고 이는 소비자 자신만을 위한 디자인 상품이라는 특별성으로 인식되어 브랜드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Today, changes in individuals’ lifestyle have increased the tendency to consume products added with emotional value. As this tendency is satisfied by differentiation from other brands, the collaboration considering emotion like exclusivity and specialness in the premium market is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of brand image and brand awareness.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package design applying collaboration on important elements of brand identity such as brand personality and consumer attitude through the consumer research and case analysis on Evian, a premium water brand which is the first-commercialized water in the world.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hen purchasing premium water, products were selected through external elements such as price, brand, and package design. By adding elements as scarcity and specialness to the package, a differentiated brand personality could be established. Also, exceeding the purchase of products, the value of possession could be improved. Like this, Evian’s collaboration design improved the brand awareness and also met consumers’ desires for special products by forming the brand identity. When consumers purchase products, the brand image could be obtained through the package design, so that the well-established brand image can induce consumers’ brand loyalty.

      • KCI등재

        아트 디자이너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지각에 미치는 영향: 아트 친숙성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박지영,김태우,이호배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5

        According to Aaker(1991), there are five components of brand equity: brand loyalty, perceived quality, brand association, brand awareness and other proprietary brand assets. This research focuses on brand awareness,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which are so we called consumer’s brand perception. In this research, the collaborative effect of art design and brand on brand equity is presented. It also deals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art familiarity. There are 2 hypotheses. First, compared with non-collaborative products, collaborative products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equity. Second, the art familiarity can moderate the effect of brand equity by collaborative products. As the empirical testing results of hypothesis 1,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are improved through art collaboration. However, brand awareness is decreased after art collaboration. It means collaboration can affect badly on well known brand. In empirical results of hypothesis 2, familiarity can moderate perceived quality, but art familiarity does not have any effect on brand royalty, brand association, and brand awareness.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most of brand equity components are improved through art collaboration, even though brand awareness is decreased. So, art collaboration is effective to improve brand equity. 아트 콜라보레이션은 심미적인 정서를 유발하고, 메시지 기억을 강화하며, 지적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아트의 부가가치를 활용하여 브랜드의 이미지를 높이고자 하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바탕으로 한 기업의 브랜드 관리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아트디자인과 브랜드 제품의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아트 친숙성의 브랜드 지각에 대한 조절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개의 가설을 설정해서 검증을 하였다. 첫째, 콜라보레이션 브랜드가 비 콜라보레이션 브랜드보다 브랜드 지각(인지도, 지각된 품질, 연상이미지)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증 결과, 콜라보레이션 제품이 비 콜라보레이션 제품보다 지각된 품질과 연상이미지에는 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브랜드 인지도의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이미 잘 알려진 브랜드의 경우에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자산의 인지도의 측면에 있어서는 저해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소비자의 아트에 대한 친숙성이 콜라보레이션 여부가 브랜드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 검증 결과, 아트 친숙도는 지각된 품질을 조절하였으나, 애호도, 인지도, 연상이미지를 조절하지는 못하였다. 아트 디자이너와 콜라보레이션하게 되면 아트친숙성이 높은 경우에 지각된 품질을 더 좋게 지각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이론적 의미로는 기존의 연구들이 콜라보레이션의 사례를 중심으로 다루고, 브랜드 자산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지만, 본 연구는 실증적인 경험적 연구를 하였다는 점을 들수 있다. 실무적 의미로는 브랜드 인지도가 높을 경우에는 아트 디자이너아의 콜라보레이션이 큰 효과가 없고 아트친숙성이 높은 경우에는 아트디자이너와의 콜라보레이션이 지각된 품질을 높게 인식한다는 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국 식품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디자인 동향과 발전 방안 연구

        종소함 ( Zhong Xiaohan ),이혜원 ( Lee Hyew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4 No.-

        본 연구는 중국 시장에 콜라보레이션 열풍이 일어나는 배경에서 중국 식품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의 현황, 특징 그리고 동향을 파악해 중국 식품브랜드에 효과적인 콜라보레이션 디자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 식품 시장에서 소비층이 넓고 콜라보레이션 사례의 빈도수가 높은 6가지 식품 카테고리 중 상위 21개 브랜드의 2019년 1월부터 2022년 8월까지 판매된 463개 식품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중국 식품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의 유형, 형태적 및 시각적 표현 형식, 또 중국 식품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의 동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 식품브랜드에 나타난 8가지 콜라보레이션 디자인 유형 중 브랜드와 브랜드, 브랜드와 캐릭터의 콜라보레이션 유형이 많이 나타났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식품군별로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의 유형, 형태적 및 시각적 표현 형식 측면에서 각각의 특징을 갖는다는 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중국 식품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은 범위 확대화, 문화 다양화, 수요 다각화, 콘텐츠 감성화의 트렌드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중국 식품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에 대한 발전 방안은 적합성의 고려, 독창성의 구축, 포용성의 구현, 흥미의 조성, 상호작용성의 발휘 및 트렌드의 반영 이 6가지 측면에서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식품브랜드에 중국 식품 시장의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에 대해 효과적인 지도 자료를 제공하는 동시에 향후 중국 콜라보레이션 디자인 분야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collaboration design development plans for Chinese food brand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tatus quo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rends of Chinese food brand collaboration design in the booming market. And,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463 collaboration food products sold by the top 21 brands in the six food categories with large consumer groups and high collaboration frequency of the Chinese food market from January 2019 to August 2022 as the research object. The types, the structural and visual expressions of Chinese food brand collaboration design, and the trends of Chinese food brand collaboration design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show that among the 8 types of Chinese food brand collaboration design, the most common types are brand-brand collaboration and brand-character collaboration. And each food category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ype, structural and visual expression of collaboration design. In the meantime, Chinese food brand collaboration design shows the trend of scope expansion, cultural diversification, demand diversification and emotional content enrichm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plans of Chinese food brand collaboration design are proposed from six aspects: the consideration of suitability, the construction of uniqueness, the embodiment of inclusiveness, the creation of interest, the conduct of interaction, and the reflection of trend. Through these conclusions, we hope to provide the instructional materials of collaboration design for brands in the Chinese food market, as well a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Chinese collaboration design.

      • KCI등재

        럭셔리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쇼윈도우에 나타난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디자인 특성연구

        강아름 ( Aruem K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4차산업이 대두되고 있는 현재의 글로벌 시대에 감성적 요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현대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변화되면서 자신만의 개인화, 가치화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기업들은 소비자를 위해 기업의 이익은 물론,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를 상승시키기 위한 활동을 하게 되었는데, 공간적인 부분에서는 플래그쉽 스토어를 나타나게 하였다. 플래그쉽 스토어와 고객을 이어주는 쇼윈도우의 중요성이 그만큼 커지면서 브랜드는 동종 업계에서 차별화를 위한 쇼윈도우를 선보이기 시작했다. 대중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고급화하고 전달할 수 있는 아트마케팅의 방법 중 하나인 아트 콜라보레이션 쇼윈도우가 럭셔리 브랜드에서 수차례 등장하게 되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럭셔리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쇼윈도우에 나타난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여 변화되는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럭셔리 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쇼윈도우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플래그쉽 스토어의 개념을 파악하고 플래그쉽 스토어의 쇼윈도우, 플래그쉽 스토어 아트 콜라보레이션에 대해 분석한다. 다음으로 아트콜라보레이션에 대한 선행연구와 아트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바탕으로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특성 연구를 홍보성, 예술성, 상호작용성으로 나눈다. 분석의 대상으로 세계적인 리서치 그룹이 선정한 2017 가장 가치있는 럭셔리 브랜드 10에서 아트 콜라보레이션 쇼윈도우를 진행했던 루이비통, 에르메스, 프라다의 플래그쉽 스토어 아트 콜라보레이션 쇼윈도우를 앞서 분석하여 나눈 세 가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특성에 대입하여 디자인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분석 결과 럭셔리 브랜드 아트 콜라보레이션 쇼윈도우에서는 기업 중심보다는 아티스트 중심의 특징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브랜드의 아이덴티티와 상품의 홍보보다는 예술가의 홍보의 목적이 나타났고 예술가의 작업특성에 의한 디자인 특징이 강조되었다. 상호작용적 부분에서는 브랜드와의 연관성은 밀접하게 나타났지만 공공성과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적 부분이 미흡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사례 분석의 결과로 럭셔리 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쇼윈도우에서는 아티스트의 특징이 부각시키고 아티스트와 해당 예술 장르의 홍보가 이루어지도록 디자인 연출되었다. 아티스트는 본인의 작품 특징을 이용하여 브랜드의 테마와 컨셉을 나타내어 브랜드와의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로 변화하는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추어 예술적, 감성적인 부분을 충족시키고 체험적이고, 기업과 예술은 물론 공공과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아트 콜라보레이션 쇼윈도우가 다양하게 발전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Emotional factor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is global era with the emer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s the lifestyle of modern people changes, it is important that their personalization and valuation be prioritized. To raise the image in its spatial aspect, the flagship store appeared. As the importance of the display window connecting the flagship store and the customer grew, the brand started to use the display window for differentiation in the same industry. Art Collaboration Show windows, one of the art marketing methods for enhancing and conveying corporate image to the public, have appeared several times in luxury brands. In this study, I will evaluat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art collaboration shown in the display windows of luxury brand flagship stores. I will examine the direction of art collaboration in the display windows of luxury brands according to the changing lifestyles of consumers. (Method) As a first step in this study’s research method, the concept of the flagship store is analyz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display window of the flagship store and art collaboration within the flagship store are analyzed. Next, based on preceding research on art collabo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art collaboration are divided into publicity, artistry and interactivity. By way of analysis, we have studied the three art collaboration characteristics the flagship store display windows of Louis Vuitton, Hermes, and Prada, which were selected by the world's top research groups in the 2017 as most valuable luxury brands.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rtist-centered features appeared in the luxury brand art collaboration display window rather than the enterprise center. The purpose of display window favored the publicity aims of the artist rather than the brand's identity and the promotion of the product, and the design featur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s work were emphasized. In the collaborative aspect, the association of the window with the brand was closely related, but the interaction between artist publicity and the consumer was insufficient.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case study, in the art collaboration display window of luxury bran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 were highlighted in the display window design so that the artist and the art genre could be promoted. The artist modeled the theme and the concept of the brand through the individual features of the artist. I hope that the art collaboration display window will be developed in various ways to meet the artistic and emotional demands of the changing modern lifestyle and to interact with the public.

      • KCI등재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디자인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와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식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임소희 ( Lim So-hee ),구자준 ( Koo Ja-j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6 No.-

        최근 식품업계는 품질이 평준화되면서 브랜드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 상황 속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콜라보레이션 캐릭터의 활용이다. 기업이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를 활용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소비자의 구매 유도이지만, 실제적으로는 그 캐릭터를 자사 브랜드의 제품 또는 서비스와 함께 노출시킴으로써 우선 브랜드의 인지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콜라보레이션 캐릭터가 어떤 디자인적 특성을 지니는가 하는 것은 브랜드 인지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한편 브랜드 인지도는 해당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 결국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디자인 특성-브랜드 인지도-구매 의도 간의 연관관계에 대한 가설적 추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식품 브랜드에서 활용되는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디자인 특성(친밀감, 독창성)과 구매 의도 간 관계에서 브랜드 인지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3단계로 진행되었는데, 먼저 문헌고찰을 통하여 주요 요인들의 개념과 특성들을 확인하였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실시한 후 최종적으로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디자인 특성의 2가지 요인(친밀감, 독창성)들 모두 브랜드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독창성은 브랜드 인지도를 중간 매개로 거쳐야만 구매 의도로 연결되어 브랜드 인지도가 독창성과 구매 의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밀감은 직접적으로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브랜드 인지도를 중간 매개로 영향을 주기도 하여 브랜드 인지도가 친밀감과 구매의도를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식품 브랜드들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친밀감과 독창성을 지닌 캐릭터와의 콜라보레이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활용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극대화해야 할 것이다. As the quality differences among products in the food industry level out, the competition between brands is becoming fiercer than ever. In such a market situation, various strategies are being examined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 edges over competitors. One of the representative approaches of such is the sue of collaboration characters. The ultimate purpose for a company to usecollaboration characters is to entice the customers to buy their products. However, in practice, it is designed to enhance the brand awareness by exposing the characters along with the products or services of their brands. Therefore, it is a critical factor on which the brand awareness hinges on is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on characters. In the meantime, brand awareness is being recognized as a factor that stimulates the purchase intent of the customers for the applicable brand. In the end, it is possible to make a hypothetical estimation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character design-brand awareness-purchase intent. For this, the author of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wareness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collaboration character design characteristics used in food brands (friendliness, uniqueness) and purchase intent. The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ey factors. Then, with a case study,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factors was carried out. Lastly, a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gathered through a survey to validate the hypothes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wo factors of collaboration character designs, that is, friendliness and uniqueness, all resulted in purchase intend only when they were mediated through brand awareness, indicating that brand awareness fully mediated uniqueness and purchase intent. Also, friendliness affected the intent of purchase directly and positively. But, the influence was also exerted through the mediation by brand awareness, confirming that brand awareness partially mediated friendliness and purchase intent. Therefore, if the food brands are to stimulate purchase intent of the consumers in an effective manner, it would be desirable to engage in and use collaboration with characters actively to maximize brand awareness.

      • KCI등재후보

        아트와 브랜드 디자인, 광고의 콜라보레이션 실행 양태

        이현우(Lee, Hyun-Wo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0 No.1

        기업과 브랜드의 가치 혁신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 전략이 광범위하게 실행되고 있다. 콜라보레이션은 서로 다른 두 원소가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기적으로 결합해서 가치의 시너지를 창출하는 마케팅 전략이다.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기업과 브랜드는 위험을 감소할 수 있고 비즈니스 파트너와 함께 자원 확보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아트 콜라보레이션은 심미적 정서유발, 정보전달, 메시지 기억의 강화, 즐거움의 욕구충족, 지적 호기심과 흥미의 유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콜라보레이션의 사례는 다양한 매체상에서 발견된다. 또한 매체유형과 결합유형에 따라 그 실행전략을 정리할 수 있다. 콜라보레이션의 유형으로는 브랜드와 예술작품 또는 디자이너, 아티스트 등이 협업하는 아트 콜라보레이션, 브랜드와 장소 또는 전시행사와의 콜라보레이션, 기업 또는 브랜드가 예술문화에 대한 지원을 통해 문화기업으로 기업이미지를 끌어올리는 콜라보레이션, 유명 브랜드간의 콜라보레이션, 광고와 예술작품과의 콜라보레이션, 바이럴마케팅을 활용한 콜라보레이션 등이 있으며, 제품 개발, 생산, 마케팅, 배급에 이르는 모든 단계에서 종합적으로 협업을 펼치고 있다. 콜라보레이션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프로그램과 기업의 비즈니스 영역에 긴밀하게 연관되는 독자적인 철학이 있어야 한다. 또한 강한 브랜드들이 초기단계부터 신뢰관계를 형성하면서 미디어 크리에이티브를 구사하여 긴밀하고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지속해 나가야 한다. The collaboration strategies are widely executed for value innovation of corporations and brands. Collaboration is one of the marketing strategies which can create value synergy through interaction and combination between each other elements. A lot of corporation and brand can minimize danger, secure resources with business partners using collaboration. Especially, art collaboration is proved to be effective on arousing esthetical emotion and interest, information delivery, enforcement of message memory, pleasure, intellectual curiosity, etc. The cases of collaboration are found in many media. The execution strategies of collaboration can be arranged by media types and association types. Art collaboration(brand+artwork, designer, artist), place collaboration(brand+place, exhibition event), culture patronage collaboration, inter-brands collaboration, advertisement collaboration, viral marketing collaboration were explained. It was also found that those collaboration projects are executed comprehensively at every stage such as product development, production, marketing, distribution. Collaboration activities must be executed with long term program and original philosophy keeping relevance with business category of corporations. Also, Strong Brands must be partners with trustful relationship since starting stage using media creative.

      • KCI등재

        브랜드 이미지 인지부조화에 의한 패키지디자인 콜라보레이션의 부정적 효과 연구 - 식품과 비식품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

        김정훈,강수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4

        레트로 디자인 트렌드와 펀슈머 마케팅의 인기로 이종 산 업군의 디자인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성공한 브랜드 사례들이 탄생되고 있다. 그러나 콜라보레이션 트렌드가 지속 및 과열 되면서 브랜드간의 무분별한 디자인 콜라보레이션으로 출시 된 제품들이 기존에 인식되어 있는 제품 속성과 브랜드 이미 지 간의 인지부조화를 유발하여 소비자에게 위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을 바탕으로 ‘이종 산업 간의 디자인 콜라보레이션이 인지부 조화에 의해 브랜드 이미지 및 제품 구매결과에 부정적 영향 을 줄 수 있다‘는 가설을 증명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범 위와 방법은 언론 및SNS에서논란이 된식품과비식품브랜 드의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제품 5종의 사례를 도출한 후, 브랜드 호감도, 브랜드 이미지, 구매 의도의 반응을 표본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브랜드 간의 무분별 한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은 제품 속성을 왜곡시켜 소비자의 인지부조화를 유발하게 되어 제품 구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기존 브랜드의 우호적 이미지 를 해치거나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검증 할 수 있었다. 이 러한 연구 결과를 유념하여 보다 소비자 친화적인 디자인 콜 라보레이션을 통해 기업과 브랜드 이미지를 성장시킬 수 있 는 성공적 디자인 전략을 세울 수 있기를 바란다. With the popularity of retro design trends and funsumer marketing, successful brand cases are being born throug h design collaboration of heterogeneous industries. Howe ver, as the collaboration trend overheats, it has been poin ted out that products released through indiscriminate desi gn collaboration between brands can cause cognitive diss onance between previously recognized product attributes and brand images, causing harm to consumer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design collaboration between heterog eneous industries can negatively affect product purchase results due to cognitive dissonance. The scope and metho d of the study drew five cases of design collaboration pro ducts of food and non-food brands that were controversi al in the media, and then analyzed the response of brand favorability,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a sample survey.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indiscriminate collaboration design between brands distor ts product attributes and causes consumer cognitive diss onance, which negatively affects product purchase, result ing in damaging or weakening the existing brand image. In mind of these findings, we hope that we can establish a successful design strategy to grow the corporate and b rand image through consumer-friendly design collaborati on.

      • KCI등재

        금융카드의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디자인 특성과 사용 의도 간의 관계 - 브랜드 선호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곽예예,구자준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4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서 많은 브랜드에서 활용되고 있 는 콜라보레이션이 최근 국내 금융 기업에서도 열풍을 일으 키고 있다. 본 연구는 금융카드에 대한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디자인의 특성이 브랜드 선호도와 사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를 콜라보레이션 캐릭터에 관심을 많이 갖는 한 국 내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의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했다. 다음으 로 한국 내 경쟁이 치열했던 3개의 콜레보레이션 캐릭터 금 융카드에 대한 사례분석을 진행했으며, 다양한 문헌들을 바 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후, 가설검증을 위해 250명 의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 다. 콜라보레이션 캐릭터 금융카드의 독창성, 친근성, 신뢰성, 역동성 4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브랜드 선호도, 종속변수 사 용 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SPSS 통계프로그램 을 이용하고 분석했다. 그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콜라보레 이션 캐릭터디자인 특성 중, 독창성, 친근성, 신뢰성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브랜드 선호도를 부분매개하는 효과 가 있었고,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디자인의 역동성의 경우에는 브랜드 선호도를 완전매개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 과는 친근하고 깊은 인상과 생동감을 부여하는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를 마케팅에 독창적인 방법으로 활용하면 고객들의 거 부감은 줄이고 신뢰감은 높여 브랜드 선호도를 상승시키는 것은 물론 사용 행동까지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결과들은 기업들이 콜라보레이션 캐릭 터를 활용해 성공적인 마케팅을 수행하는 데 있어 참조할 효 과적인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While many brands have already used ‘Collaboration’ as a useful marketing tool, the popularity of this method is particularly on the rise recently, with domestic financial companies attempting to utilize this method to promote t heir bran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I have gone through a lot of prior studies. Second, I have conducted a case analysis on three different collaboration character cards that were popular in Korea. Third, I have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The results suggested t 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on charact er design, the influence of uniqueness, familiarity, and rel iability on the usage intention had a partial mediation effe ct by brand preference. The impact of collaboration chara cter design dynamics on usage intention had a full media tion effect by brand prefere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 ch tell us that by utilizing the unique marketing methods of creating a collaboration character with a high level of familiarity and liveliness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 e brand, reduce brand repulsion, increase brand preferenc e, and ultimately induce customers to use the brand even more.

      • KCI등재

        국내 쿠션화장품 브랜드에 나타난 콜라보레이션 사례 연구

        이현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1

        국내 쿠션화장품은 아모레퍼시픽의 아이오페 브랜드에서 최초로 출시한 이후 현재는 대부분의 화장품 브랜드에서 출시되고 있는 인기 상품이다. 초창기 쿠션화장품 디자인은 초기 아이오페의 디자인을 따르는 경향이 강해 대부분의 쿠션화장품이 비슷한 디자인의 성향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대다수의 화장품 브랜드에서 쿠션화장품의 출시가 크게 늘어나게 되면서 그 기능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없게 되자 소비자들은 좀 더 새롭고 개성 있는 쿠션화장품을 찾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른 해결책으로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마케팅이 쿠션화장품의 영역에도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에게 인지도와 호감도가 높은 친근한 캐릭터나 해외를 비롯한 국내의 유명 작가의 작품을 활용하여 디자인된 쿠션화장품은 소비자에게 신선하고 새로운 느낌과 동시에 구매욕을 자극했다. 사례분석 결과, 쿠션화장품 자신의 브랜드의 이미지와 유사한 다른 분야의 브랜드 혹은 작품의 성향이 브랜드 이미지와 잘 맞는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은 유명작가의 예술작품을 소유한다는 가치와 일정한 시기에만 판매가 이루어지는 제품의 희소성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구매를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또한 SNS메신저 캐릭터를 활용하여 디자인된 쿠션화장품과 어린 시절에 즐겨 보았던 애니메이션이나 동화 속 캐릭터를 꺼내어 키덜트 족의 감성을 자극하는 콜라보레이션 상품은 캐릭터의 친근함으로 인해 젊은 층의 인기를 끌며 많은 판매가 이루어졌다.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쿠션화장품은 소비자에게 새로운 자극을 주며 각각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장점을 보여주었다. 앞으로도 소비자의 기호를 고려한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연구와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Cushion cosmetic product has become very popular so it is launched in almost all cosmetic brands since its introduction in IOPE brand of Amore Pacific. Early cushion cosmetic product design tended to follow the design of IOPE so most of the containers of cushion cosmetic products had the similar color and design. However, marketing perform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famous character or art has been introduced recently for cushion cosmetic product so it is providing fresh and brand new feeling to customers. Furthermore, limited collaboration edition of cushion cosmetic products are getting popular among young users as user class is getting younger comparing to early stage. It was found that cushion cosmetic product brands tend to strengthen their brand image by performing collaboration with brand or artist that has the similar image with them.In various cases, emotions of users were stimulated by showing characters from animation or fairy tale they used to see when they were young. Also SNS character is very popular among users. Research should be expanded for the future about collaboration of considering the tendency of consumers.

      • KCI등재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에서 브랜드 구성요소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편의점 수제맥주를 중심으로 -

        이 서 진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1

        Background Due to COVID-19, the drinking culture is changed. Having home parties and drinking alone has increased. In this consumption trend, the convenience store industry launched unique collaboration craft beer products to attract the attention of MZ generation consumers who enjoy the experience of different products. Various new craft beer brands are being launched one after another this year, but the appearance of successful products such as Gompyo Wheat Beer is decreasing amid the overflow of collaboration products, and products that are discontinued shortly after launch are increasing. As consumers grew tired of them, sales fluctuated by product. Therefore, the need for research on brand elements to be considered has emerged in order for convenience store craft beer brands to grow into brands that can captivate consumers and receive continuous attention through collaboration in the future. Methods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unsumer, brand collaboration, and brand elements are examin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elements of brand name, symbol and logo, character, slogan, and package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rough the survey, the preference for the brand elements was investigat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brand image were analyzed.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iking for the brand elements leads to the liking for the collaboration and is connected to the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it was found that a strategy to determine the brand elements by carefully selecting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awareness of the collaborating brand was necessary. Conclusion When making collaborations between different bran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c brand elements that can identify consumers’ tastes and values ​​and expand the synergy between brands, and increase friendliness to consumers through the rarity of design and create fun and storytelling to continue. It can grow into a sustainable brand. 연구배경 코로나19로 외식과 회식 문화가 현저히 줄어들면서 가정에서 홈파티를 하는 홈술 문화와 혼술 문화가 증가하였다. 편의점업계는 이러한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색다른 상품에 대한 경험을 즐기는 MZ세대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이색 콜라보레이션 수제맥주 제품들을 출시하였다. 올해에도 다양한 수제맥주 신제품 출시가 잇따르고 있으나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범람 속에 곰표밀맥주와 같은 성공작의 등장은 줄어들고 있으며 출시 후 얼마 되지 않아 단종되는 제품 또한 늘어나고 있다. 콜라보레이션 수제맥주에 대한 소비자들의 피로감이 커지면서 제품별로 판매 부침이 심화되었다. 따라서 향후 편의점 수제맥주 브랜드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지속적인 관심을 받을 수 있는 브랜드로 성장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브랜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로 펀슈머의 개념과 특징,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편의점 3사의 이색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수제맥주 브랜드의 주요 사례를 브랜드를 구성하는 요소인 브랜드네임, 심벌과 로고, 캐릭터, 슬로건, 패키지로 조사·분석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브랜드 구성요소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를 조사하여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을 통해 브랜드 구성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전반적인 콜라보레이션 선호도로 이어지며 구매 의사 여부로까지 연결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협업하는 브랜드의 인지도와 연관된 특징을 잘 선별하여 브랜드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종 브랜드 간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할 때 소비자 취향과 가치를 파악하고 브랜드 간의 시너지 효과를 확대할 수 있는 전략적인 브랜드 구성요소의 전개가 필요하며 디자인의 희소성으로 소비자에게 친근감을 높이고 재미와 함께 스토리텔링을 만들어주어야 지속 가능한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