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베이커리의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 구매의도와의 관계 연구

        김상미,임현철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and loyalty on purchase intention of functional image, symbolic image and empirical image of bakery brand image. Study. In addition, the model and the research hypothesi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e above variables, and the research hypothesis prov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were surveyed for 30 days from December 1st to 30th, 2018.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200 people living in Daegu and Gyeongbuk, using bakery. First, empirical image (β = .241) has the highest effect on bakery brand image, and symbolic image (β = .168)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ppear. However, functional images (β = .052) did not appear to have any effect. Second, the effect of bakery brand image on brand loyalty has the highest effect on functional image (β = .630), followed by empirical image (β = .118) on brand loyalty. However, the symbolic image (β = .050) did not appear to have any effect. Third, brand loyalty (β = .655)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n the effect of bakery brand loyalty on purchase intention. 본 연구는 핵심변수인 베이커리 브랜드 이미지의 기능적 이미지, 상징적 이미지, 경험적 이미지에 대한 브랜드 충성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문헌연구와 실증분석연구를 병행하였다. 또한 위의 변수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실증분석을 통하여 제시한 연구가설을 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2018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약 30일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대구·경북에 거주하면서 베이커리를 이용한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커리 브랜드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경험적 이미지(β=.241)이 가장 높은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어서 상징적 이미지(β=.168)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능적 이미지(β=.052)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커리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기능적 이미지(β=.630)로 가장 높은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어서 경험적 이미지(β=.118)이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징적 이미지(β=.050)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커리 브랜드 충성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브랜드 충성도(β=.655)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의인화된 브랜드 이미지가 모호성, 자아이미지 일치성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녕녕(Zhang, Ningning),나아람(Luo, Yalan),전기흥(Jeon, Ki-Heung)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4

        최근 의인화된 커뮤니케이션의 발달로 의인화된 마케팅 전략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의인화된 브랜드 이미지와 모호성, 자아 이미지 일관성, 지각력 및 브랜드 태도에 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종합하고 체계화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의인화된 브랜드 이미지(따뜻함, 친밀성, 능력, 유용성)는 모호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둘째, 의인화된 브랜드의 이미지(따뜻함, 능력, 유용성)는 자아 이미지 일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친밀성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의인화된 브랜드의 이미지(따뜻함, 친밀성, 능력, 유용성)는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져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넷째, 모호성은 자아 이미지 일치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인화된 브랜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명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아이미지와의 일치성을 낮게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다섯째, 모호성은 부정적인 브랜드 태도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아 가설 5는 기각되었다. 여섯째, 자아 이미지 일치성은 브랜드 태도에 정(+)에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6은 채택되었다. 일곱째, 모호성은 의인화된 브랜드 이미지가 자아 이미지 일치성에, 그리고 자아이미지 일치성은 의인화된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 8과 가설 9는 지지되었다. 하지만 모호성은 의인화된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7은 기각되었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anthropomorphic communication, anthropomorphic marketing strategies become more important.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existing research on anthropomorphic brand image and ambiguity, self-image consistency, Perceptual, and brand attitude, and synthesizes and systematizes them.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nthropomorphic brand images (warmth, intimacy, competence, and usefulness) have a negative (-) effect on ambiguity. H 1 was significant. Second, the anthropomorphic brand image (warmth, intimacy, competence, and utility) confirms the impact of self-image consistency on affect (+). But intimacy among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anthropomorphic brands did not have an effect on self-image. Anthropomorphic brand images have a positive (+) effect on self-image congruence. H 2 was partially adopted. Third, anthropomorphic brand images (warmth, intimacy, competence, and utility) confirm a positive (+) effect on brand attitudes. H 3 was significant. Fourth, a negative (-) effect of ambiguity on self-image congruence was identified. H 4 was significant. However, ambiguity di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brand attitudes. H 5 was rejected. Fifth, self-image consistency has an impact on brand attitude. Sixth, although fuzziness has no media effect between anthropomorphic brand image and brand attitude, it has no media effect between anthropomorphic brand image and self-image consistency. In addition, the consistency of self-image is the influence of anthropomorphic brand image and brand attitude.

      • KCI등재

        브랜드자산에 대한 국가이미지 및 기업이미지의 영향에 연구 - 중국시장에 진출한 글로벌 브랜드 및 중국 브랜드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김문태 대한경영정보학회 2011 경영과 정보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중국 자국 브랜드를 포함하여 중국에 진출한 브랜드의 국가이미지 및 기업이미지를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 그리고 나아가 브랜드이미지 및 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제시하여 그 역할을 검증하였는데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국가이미지는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광고 등의 다른 촉진요인과 더불어 영향요인으로 충분히 작용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국가마케팅 차원에서 정부는 앞으로 중국국민들에게 상당부분의 좋은 국가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한 홍보나 광고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추구해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기업이미지 중에서 특히 기업의 제조능력을 중심으로 해당 브랜드에 대한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이미지에의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결국, 기업이미지는 소비자들의 브랜드에 대한 지각된품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중국에서 한국기업들의 기업이미지 중심전략은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자산 형성에 있어서 국가이미지, 기업이미지 등의 변수가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을 높이고 브랜드이미지를 향상시켜 브랜드의 충성도를 고양할 수 있게 되고 결국 브랜드자산이 높아지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roles of national image and corporate image on perceived quality, brand image, brand loyalty and brand equity of Chinese brands and global brands that are doing marketing in China. Sever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following like these. First, national image is one of major influence factors that affect enough on perceived quality likewise factors like advertising, price, and distribution. It is important marketing tool to promote national image on the national perspective and need to do those kinds of marketing activities. Second, this study shows the result that corporate image that is measured by the items focused on abilities of corporations is also influence factors that affect on perceived quality. In this perspective, the corporate image focused marketing activities of Korean firms may be the one of effective tools. Consequently, this study explains the mechanism that national image and corporate image variables enhance perceived quality, and perceived quality enhances brand image, brand loyalty and brand equity.

      • KCI등재

        Effects of Brand Image on Customer Perceived Value and Brand Loyalty : Analysis on Chinese Sports Shoes Industry

        Park, Kyung Bae,Kim, So Hyung,Shim, Sang Oh,Rong, Xueli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2

        현대의 경제활동에서 브랜드 경제와 브랜드 자산은 기업의 가장 가치있는 자산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브랜드 자산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고 있다. 최근의 몇몇 연구들은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 만족과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있다. 하지만 그 대상이 호텔과 쇼핑몰, 그리고 기타 서비스 영역에 제한되어 있는 측면이 존재하며, 제조업 분야에서의 연구는 다소 제한적이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중국의 운동화 산업에서 브랜드 이미지가 어떻게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먼저 브랜드 이미지는 각각 회사, 사용자, 제품의 이미지로 구분하고, 브랜드 충성도와 더불어 고객의 인지 가치를 조절변수로 추가하여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 사이에서 어떠한 조절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한다. 본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중국의 운동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SPSS/AMOS 21.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등의 통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회사, 제품, 그리고 사용자의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는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아울러 기능, 감성, 사회적 가치로 구성되어 있는 고객의 인지 가치는 브랜드 충성도에 있어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내 운동화 업체는 고객 접점의 이미지 향상, 제품 디자인 고도화 및 품질의 표준화, 적극적 고객 지원 등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기업들은 직원들의 고객 접점으로서의 책임감을 강화하고 그들의 대고객 접점서비스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제품의 디자인을 구성할 때는 기존에 확립된 이미지를 강화하고 좀 더 개선, 발전하는 방향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좋은 브랜드 이미지 창출을 위한 홍보에 지속적으로 노력하여야 하며, 소매점의 서비스를 제고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방안 등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Nowadays a brand economy is a mainstream of modern economy and a brand equity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intangible asset of companies. Therefore, a brand image as a core of the brand equity is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marketing. In recent years, some researches for the impact of brand image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have been explored. Until now the industry research has been involved in only hotels, shopping malls and other areas of service brand industry. This paper mainly studies the effects of brand image on customer perceived value and brand loyalty among Chinese customers. It also explores whether or not there are meditating effects of customer perceived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Theoretical research and questionnaires are applied, and by using SPSS/AMOS 21.0 a statistical analysis is done and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ing. First, the three dimensions of the sports shoes brand image, namely a corporate image, product image, user image,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perceived value and brand loyalty. Second, customer perceived value shows a medit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Finally, customer perceived valu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loyalty. According to empirical study results, this paper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sport shoes companies when they construct their brand image: i) Improving employees’ corporate responsibility; ii) Optimizing shoes design to establish good product image; iii) Searching for some suitable product spokesperson to create good user image; iv)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retail stores to gain more customer satisfaction.

      • 불확실성 인식가능한 베이지안 순환신경망 사용 소프트 센서 개발

        이민정,김성범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소프트 센서는 산업 공정의 주요 변수를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정 진행 중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잡음이 있는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 소프트 센서가 추정한 값을 신뢰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프트 센서의 추정값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불확실성 정보를 추정값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면 모델 추정값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베이지안 순환신경망을 사용하여 불확실성을 인식할 수 있는 소프트 센서를 제안한다. 제안 모델의 우수성 및 적용성은 운전자의 운전 패턴이나 도로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실제 자동차 산업 데이터를 사용하여 입증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소프트 센서가 예측 성능을 유지하면서 불확실성을 사용한 구간 예측까지 가능함을 보였다. 또한 측정된 불확실성을 이용하여 소프트 센서 성능 향상을 위한 추가 고품질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 만족, 재구매 의도간의 관계 연구

        박소현(Sohyun Park),박준언(Joonun Park)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5

        소비자의 다양한 소비패턴 변화에 기업들은 브랜드 이미지를 인식시키거나 마케팅에 활용하여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에 자리 잡고자 한다. 따라서 기업은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고, 고객 만족과 재구매 의도를 이끌어냄으로써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미용 훈련기관의 브랜드 이미지와 훈련생의 만족, 연계 훈련 또는 재훈련과 같은 재구매 의사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미용훈련기관의 경쟁우위 선점과 영업 활성화를 통하여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지역의 이·미용훈련기관에 훈련 중인 약 280명의 표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각 변수들의 측정 항목에 대한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여 신뢰도( Cronbach' a)를 검증하였다.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 만족, 재구매 의도 간 관계에 있어서는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브랜드 이미지를 기능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로 나누어 가설을 설정, 이를 통한 훈련기관 브랜드 이미지와 훈련생들의 만족간의 관계, 이에 따른 재구매 의도와의 관계를 다루었다. 그 결과 브랜드의 기능적, 상징적 이미지는 고객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을 받은 고객 만족은 소비자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 만족의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헤어 미용, 이용, 메이크업, 피부 미용, 네일 미용의 모든 미용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지만 기존 소규모 이·미용산업이 대중화 전문화에 따른 이·미용 산업의 대형화의 환경 변화에서 브랜드 이미지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였다. 나아가 브랜드 이미지에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며, 이는 훈련기관들이 경쟁을 이기고 기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바탕이 되어 줄 것이다. To cope with various changes in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companies are trying to enhance their brand awareness or use marketing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Therefore, companies need to make efforts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by forming a brand image and driv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s.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 image of a beauty training institution and the repurchase intentions, such as trainees' satisfaction, linked training, or retraining, and to present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necessary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through building competitive advantage and brand activa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about 280 people training at beauty training institu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Using SPSS WIN 12.0,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 a) were performed for each measurement item of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s. The hypothesis was established by dividing the brand image into functional image and symbolic im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 image of the training institution along with the satisfaction of the trainees and the intention of repurchase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al and symbolic image of the brand had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affected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onsumer repurchase intentions. The mediated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was partially adopted.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did not consider all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fields such as hair beauty, makeup, skincare, and nail beauty, the importance of brand image was emphasized once again in the environmental change of the beauty industry due to the popular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existing small beauty industry. Furthermore, the brand image will draw more attention, providing the basis for training institutions to be competitive and seek ways to develop the company.

      • KCI등재

        막걸리 브랜드이미지 강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 전략

        구환영,김민기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1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소비 생활 패턴의 변화로 막걸리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는 고급화, 전문화, 다양화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사회 전반에 걸친 경기 악화와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틈새시장에 불과했던 막걸리 시장이 급성장하였으며, 이로 인한 주류업종간의 경쟁이 심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해 국내 막걸리 소비량은 17만6398㎘로 전년대비 2.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 전국 막걸리 생산업체는 약 250여개로 서울탁주를 선두로 이동주조와 국순당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막걸리는 최근 기술개발로 유통기한이 길어지고 웰빙 바람이 불면서 주요 백화점에 입성해 효자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다양한 막걸리를 판매하고 있는 백화점에 따르면 올해 들어 막걸리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일본인 관광객뿐 만 아니라 20∼30대 젊은 층까지 고객층이 확대돼 지난달에는 전월대비 21%나 매출이 늘었다. 이에 농림수산부는 2009년 9월 ‘막걸리 트랜스포머’ 전을 열어 사회적으로 지역별 막걸리를 알리고자 하였다. 12개의 지역별 막걸리에 대한 브랜드로고타입, 컬러, 일러스트레이션 및 사진, 용기형태, 레이아웃 등으로 판매 중인 막걸리브랜드에 대한 디자인을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들은 지역별 막걸리에 대한 관심은 보통이었으나, 대부분이 맛과 유통기간 다음으로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 보다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의견을 보면 친환경적인 브랜드이미지에는 ‘참살이 탁주’가 선택되었으며, 전통적인 이미지, 고급스러운 이미지, 몸에 좋을 것 같은 이미지, 독특한 이미지, 신뢰가 가는 이미지, 디자인이 우수한 이미지로 ‘국순당 이화주’로 나타났다. 패키지디자인 선호도는 기업 막걸리 브랜드인 국순당에서 만들어 지는 이화주와 생 막걸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성보다 남성들에 대한 막걸리디자인 선호도가 높았다. 이러한 통계를 바탕으로 막걸리브랜드의 이미지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각 지역 업체들도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브랜드 이미지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소비자의 기억 속에 차별화 된 자사의 이미지를 브랜드로고타입, 컬러, 용기 형태 등 전략적인 패키지디자인의 활용으로 기존의 이미지를 탈피한 호감 가는 브랜드이미지로 각인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자사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브랜드 충성도를 확보할 수 있을 때 심화되는 경쟁시장 속에서 기업과의 차별화, 강력한 브랜드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with income leveling instrument improvement and change of consuming and life pattern in about the raw rice wine brand the craving of the consumer upgrades, is changing with profession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Also about healthily of the condition deterioration which extend in the social whole and the consumers the interest the ground stands only raw rice wine brand market grows rapidly highly in niche market, reasoning it is the actual condition where the competition of the main stream enterprise between which is caused by is deepened. Ministry of Agriculture 2009 held a September `raw rice wine [thu] lance former' exhibition hereupon and it informed character it did the area by raw rice wine socially. In about 12 area by raw rice wines brand logo type, color and one [le] [su] Tray [syen] and the photograph and courage form, with layout etc. design it analyzed in about each actual instance raw rice wine brand. The data which is collected used SPSS 12.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s and in compliance with the cut scale law (as much as 5 single scale) it investigated and it analyzed in about the adjective image of frequency analysis, question item by range analysis and the raw rice wine brand. The analytical resultant consumers interest was full depth tooth in about the area by raw rice wine, the most afterwords taste and circulation duration gave a motive in about design. When the union it tried a consumer opinion in about the raw rice wine brand image and to the brand image which is environmental hits `murders the image and the high class where the [thak] week' is traditional be in the image and body the same image the good thing, the image which is unique, the trust goes with the image where the images and `designs are excellent appeared in `soup proper catabolism weeks'. The package design preference was the enterprise raw rice wine brand and country it appeared at the score where the catabolism week which it comes to make from proper and the lifestyle raw rice wine are highest. Also the raw rice wine design preference was higher the woman than in about the males. Other [keys] layer of main stream market being a woman, when considering, the preference of the males compared to received the thing is not the good actual conding, tplentifullctuMust construct the brand image system where like also the soup proper each area enterprises are integrated and systematictuBruct the brand and the mage swhich are discriminated the image of the company in memory inside of the consumer,rprises are i systethe fave swhich exuviates the image of ex,rprng with applicang, tof the package design which is strategic it goes it stamps. it is a cold night with the brand image, to make This it will lead and when it will be able to secure in about in-house product the brand loyalty degree of the consumers, discrimination of the enterprise and, it will be able to form the brand image which is powerful from the competitive market inside which is deepened.

      • KCI등재

        브랜드-자아 일치성과 브랜드 애착의 관계는 브랜드 개성과 제품 유형에 따라 변화하는가?

        조성도(Cho, Seong Do),김민호(Kim, Min Ho)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5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현실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이상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가상 브랜드를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품유형과 브랜드 개성 유형이 어떻게 조절 변수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Malar et al.(2011)는 친숙한 브랜드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는데 브랜드-현실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만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이상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브랜드 애착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현실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 이상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유형은 실용적 제품, 쾌락적 제품으로 구분하여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용적 제품에 대한 브랜드 애착의 경우에는 브랜드-현실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의 영향력이 더 컸고 쾌락적 제품에 대한 브랜드 애착에 대해서는 브랜드-이상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의 영향력이 더 컸다. 브랜드 개성은 성실 브랜드, 흥미 브랜드로 구분하여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성실 브랜드의 브랜드 애착에 대해서는 브랜드-현실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의 영향력이 더 컸고 흥미 브랜드의 브랜드 애착에 대해서는 브랜드-이상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의 영향력 더 컸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현실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브랜드-이상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 연구와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유를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 문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Based upon self-expansion and self-verification theori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erceived actual self-congruence and ideal self-congruence on emotional brand attachment through fictitious brand experiments. Malar et al.(2011) reports that only perceived actual self-congruence significantly affects brand attachment. Additionally, the moderating roles of product types and brand personality dimensions between brand-self congruence and brand attachment are investigated. Prior research highlights the significant roles of hedonic and utilitarian products as moderating variables in consumer responses toward brand-related stimuli. Theoretically utilitarian products are related to rational factors such as qualities and functions whereas hedonic products are associated with emotional consumption. Based on Aaker et al.(2004), this study considers two brand personality dimensions such as sincerity and excitement. The results of hypotheses testing show that both actual self-congruence and ideal self-congruence significantly influence emotional brand attachment. Furthermore product types and brand personalities play significant moder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self congruence and brand attachment.

      • KCI등재

        전시컨벤션센터의 브랜드인지와 브랜드이미지가 전시컨벤션센터의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 킨텍스 종사자와 이용경험자를 중심으로

        김용우,김봉석,이숙영 한국무역전시학회 2014 무역전시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전시컨벤션센터의 브랜드 인지와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자 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둘째, 전시컨벤션센터 종사자와 전시컨벤션센터를 기반으로 행사를 개최하는 행사관계자 및 행사참여자가 가지고 있는 브랜드 인지와 브 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그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측정하고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여 위하여 전시컨벤션센터의 브랜드 인지와 브랜 드 이미지 및 브랜드 자산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과 가설검 증을 위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에 있어서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브랜드 인지와 브랜드 이미지가 브 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브랜드 인지와 브랜드 이미지가 다 같이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컨벤션센터의 이용자 특성에 따라 전시컨벤 션센터의 브랜드 인지와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첫째로, 이해관계자에 따라서는 행사관계자가 행사참여자와 센터 종사자보다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강도가 크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 었으며 둘째로, 연령대별 비교에 있어서는 20대가 가장 크고 이후로 40대, 30대, 50대 순으로 브랜드 이미지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셋째로, 방문목적에 있어서는 지역주민이 참가기업보다는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강도가 컸다. 넷째로 방문횟수 의 분석에 있어서는 2회~5회 정도 방문한 경험이 있는 방문객의 브랜드 이미지가 가장 크고, 이후로 1회, 6회 이상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brand management to satisfy customers and to build positive and differentiated brand image. To do thi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52 organizers, 98 exhibitors and visitors, 50 KINTEX employees. As a result, the impact of brand awareness and image of an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on brand equity of the venue have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Also, when it comes to the purpose of participants' visit and the number of visits have come up with the same result. In practice, there wer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f the event organizers have favorable or positive feelings about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they are likely to use it again. Therefore,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has to manage brand strategies, considering event organizers. Second, the event organizers determine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from the staff who provide services. Therefore,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is providing high quality services to event organizers. For this purpose, staff training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the strength of the brand image of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was the largest among the people in their 20s. This age range for the venue is important in that they are active and have long-term potential of venues' customers. so,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should develop customized promotional and marketing tools for them. Fourth, the participating companies have clear purpose of visits. Therefore,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is to enhance the brand image for this group as well. In particular, the venue should create promo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together with event organizers. Fifth, generally, visitors who have visited the venue fewer than 6 times have shown favorable opinions on the venue's brand image. However, those who have visited the venue more than 6 times had tendencies to give less favorable opinions on the venue's brand image.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consistently good brand image of the venue. As a summary, in our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the differentiated and consistent delivery of sound services of the venue is very important for building good brand images. For further strengthening good images of the venue, it would be ideal if we strategically endeavor to support the venue's surrounding communities including its local community to build a socially-responsible brand image.

      • KCI등재

        도시이미지 유형에 따른 도시브랜드 정체성 형성의 영향요인

        권재경,최원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4

        최근 들어 도시의 성장환경 변화와 미디어의 발달로 도시들은 국내․외적으로 치열한 경쟁구도에 있다. 따라서 시민의 공감과 공유를 통한 도시이미지와 도시브랜드 정체성은 도시의 생존과 발전과정에 반드시 필요하고, 도시는 하나의 브랜드로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는 시각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삶의 질로서 도시이미지의 수준을 설명하기도 하며 때론 개방화, 현대화, 정체성, 안정성이라는 추상적 사안으로 도시이미지를 유형화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도시이미지 유형인 실체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 유형에 따라 도시브랜드 정체성의 구성요인인 태도, 인지도, 선호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하여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분석이 비교적 용이하고 응용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는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절차를 통해 그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도시이미지의 실체적 이미지 구성요인(도시시설, 자연환경, 도시공간, 도시환경)과 도시이미지의 상징적 이미지 구성요인(역사성, 도시생활기반, 도시기능, 외적이미지)은 도시브랜드 정체성의 구성요인(태도, 인지도, 선호도, 충성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도시 정책 수립자와 도시브랜딩 플래너에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시민이 도시이미지와 도시브랜드 정체성을 통하여 기쁨, 즐거움, 행복감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되면, 도시이미지의 실체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에 따라 도시브랜드 정체성 형성의 영향이 증가하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 할 수 있다. 둘째, 도시브랜드 정체성에 긍정적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도시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마케팅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고, 도시브랜드 정체성에 대한 의미를 보다 다차원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도시이미지의 실체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에 따른 도시브랜드의 정체성에 대한 효과적인 실천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다시 말해, 도시이미지의 다양한 유형과 도시브랜드 정체성에 기초한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도시브랜딩을 실시하고,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전략에 활용하여야한다는 의미이기도하다. 결국,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도시환경에서는 도시브랜드의 차별적인 경쟁우위의 확보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여 적극적이고 전략적 관리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re are cities in competition composition that is heavy into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by growth environment change of city and development of media. Therefore, city image and city brand identity through sympathy and public ownership of citizen need in survival and development process of city. and, city by a brand continuous, is examined systematically and actively. This study is empirical study on effective factor of city brand identity formation by city image type. Therefore, substantial image factor and symbolic image factor of city image analyz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about factor that influence to attitude, awareness, preference, loyalty of city brand. also, searched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cision and analysis method to inquire effect factor of city image and city brand identity. If summarize result that appear in this research, was expose that (city facilities, natural environment, city space, city environment) that is city image's substantial image main point and symbolic image factor (it is history attribute, city life base, city function, image) of city image causes all effects to city brand identity factor (attitude, cognition, preference, loyalty). Finally, security of discriminating competition of city brand may have to recognize deeply that first of all is important, and look for strategic administration plan in city environment that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