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한 조선족 자영업자의 한국 정착과 창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선주(Sun Joo Ju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1 No.4

        본 연구는 서울의 남서부지역을 벗어나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경기도 부천시 중동역, 부천역 주위의 조선족 자영업자들의 한국 정착 과정과 창업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의 조선족 연구와는 달리 조선족 자영업자들의 정착과 창업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라는 점에서 좀 더 미시적으로 그들의 경험 공통분모를 찾아내는 연구이다. 이주노동자의 한 부류로 분류되던 조선족들은 2004년 재외 동포법의 개정으로 높아진 법적 지위와 축적된 자본으로 한국 사회에서 정주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런 조선족 사회의 변화는 조선족 자영업자, 사업가 등을 양산하고 있다. 부천시 조선족 밀집지역에서 장사를 하고 있는 30~60대의 조선족 6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천시에서 정착을 하고 창업을 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한국에서의 더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무리를 해서 자신의 가게를 시작했다. 특별히 부천시를 골라서 창업의 한 것이 아닌, 자신이 한국에서 맨 처음 정착한 곳이거나 연고가 있었던 곳이 부천시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부천시에서 창업을 하였다. 이는 부천시가 참여자들에게 익숙한 지역인 곳이기도 하지만 이미 많은 조선족 상인들의 인프라가 자리를 잡아 장사를 하기에 전혀 불편함이 없고, 이런 인프라가 더 많은 부천시의 조선족들을 창업으로 이끌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settlement process and start-up process of Joseonjok self-employed people in Bucheon City, Gyeonggi-do, which are newly formed outside the southwestern part of Seoul. Joseonjok, classified as a class of migrant workers, tend to settle in Korean society with increased legal status and accumulated capital due to the revision of the Overseas Koreans Act in 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6 Joseonjok people in their 30s and 60s who are doing business at Joseonjok Enclave in Bucheon City are as follows. Participants in this study started their own store in a hurry to settle down in Korea more stable. In particular, they did not choose Bucheon City to start a business, but Bucheon City was the place where they first settled or had related to in Korea they naturally started their business there. Although this is an area familiar to the participants, the infrastructure of many Korean-Chinese merchants has already settled down and there seems to be no inconvenience in doing business, and this infrastructure is a factor that leads more Korean-Chinese in Bucheon City to start a business.

      • KCI등재

        부천시 도시브랜드 상징체계 정립을 위한 전략방안 고찰

        윤혜진,오유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1

        As the spatial movement between people and capital is freed up with globalization, the city brand symbol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a city image as well as national growth. Bucheon City developed C.I that applied the city brand concept for the first time as a local government in the 1990s, and the B.I developed in 2008 is an asset of Bucheon City, which won the Korea Brand Award. However, due to urban evolution, mixing with other symbols, and image transformation without standards, citizens are increasingly confused about the symbol system, and even their identity is being los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re-establish the city brand symbol system in order to make Bucheon a global city and to create a consistent city image. To this end, the literature on the symbols of Bucheon was reviewed, and a comprehensive review and diagnosis of the symbol system of Bucheon were conducted through citizen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brand experts. As a result, C.I was measured to be low in aesthetics, B.I was measured to be appropriate and meaningful, and for character, identity, representativeness, meaning, and preference were all measured 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three strategies were presented to establish the symbol system: partial improvement-image reinforcement, gradual improvement-image change, and innovative change-image creation. Bucheon City needs to establish a unified management system along with the enhancement and development of its city brand, and it will need to establish a platform to communicate with citizens. 세계화를 필두로 사람과 자본 간의 공간적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도시브랜드 상징은 도시이미지 창출은 물론 국가성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부천시는 1990년대 지자체 최초로 도시브랜드 개념을 적용한 C.I를 개발하였고, 2008년 개발한 B.I는 대한민국 브랜드 대상을 수상한 부천시의 자산이다. 하지만 도시의 진화와 다른 상징과의 혼재, 기준 없는 이미지 변형으로 인해 상징체계에 대한 시민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으며, 정체성까지 상실되고 있는 현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천시가 세계적인 도시로서 면모를 갖추고 일관된 도시이미지 창출을 위하여 도시브랜드 상징체계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천시 상징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시민설문조사 및 브랜드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부천시 상징체계에 대한 총체적인 검토와 진단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C.I는 심미성이 낮게 측정되었으며 B.I는 적합성과 의미성, 캐릭터는 정체성, 대표성, 의미성, 선호도 모두 낮게 측정되었다. 설문조사와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상징체계 정립을 위해 부분적 개선-이미지 강화, 점진적 개선-이미지 변화, 혁신적 변화-이미지 창출의 전략 3단계를 제시하였다. 부천시는 도시브랜드 제고와 개발과 더불어 일원화된 관리체계 수립이 필요하며, 플랫폼을 구축하여 시민과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외부전문가 감사참여 제도」 운영의 성과와 개선 방향 - 부천시 사례분석 -

        박창래,여은정,신동표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6 No.4

        [Purpose] Since double-entry bookeeping system is introduced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ccounting, there has been active discussions regarding the evaluations and/or problems of government accounting systems. The Buchon city, the first local government which applied <the audit participation system by external experts> in 2011, has achieved fruitful results from the expanded system in 2015. This study examin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ystem using the case of Buchon city. [Methodolog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n interview of Buchon city audit divisions, participation in auditing, and literature review. [Findings] The Buchon city’s audit system participated by 224 external experts as of January of 2015, achieved followings:First, there has been significant paradigm shift so that audit personnels, audit qualities and audit divisions have improved significantly. Second, there was an additional financial outcome of 14.2 billion won by external experts’ participation in auditing. Third, improvements of unreasonable systems enabled to diminish citizen’s inconveniences. Fourth, financial outcome has been increased as many as 71 times compared to input costs, 9.8 time after using external experts.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e improvements on external audit systems so that local governments’ accounting quality can be increased.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making decisions whether they should adopt the system or not. [연구목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복식부기, 발생주의 도입 이후 국가 회계제도에 대한 평가 및 문제점, 개선방안 모색 등이 큰 화두가 되고 있다. 이에 부천시가 2011년부터 가장 먼저 「외부전문가 감사참여 제도」를 시행하여 2015년에 더욱확대 운영, 자체감사 패러다임에도 변화를 도모하는 등 그 성과를 실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천시 사례분석을 통해 그 현황과 구체적인 성과 및 제도의 개선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현장참여 및 인터뷰와 자료수집을 통해 부천시 「외부전문가 감사참여 제도」를 분석하며 이를 통해 현 제도의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찾는다. [연구결과] 2015년 1월 기준 224명의 외부전문가가 참여하여 인력풀을 형성하고있는 부천시의 「외부전문가 감사참여 제도」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성과를 나타냈다. 첫째, 자체감사의 패러다임이 바뀌어 감사인력 및 감사분야, 감사성과가 발전적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외부전문가의 감사참여로 재정개선과제를 발굴하여142억원의 재정실적을 추가적으로 이루었다. 셋째, 불합리한 제도 개선을 통해 시민불편을 해소하였다. 넷째, 외부전문가 운영을 통해 투입비용대비 71배, 운영 전대비 9.8배의 재정성과 향상 효과를 거두었다. 이 제도의 향후 개선과제로는 다양한 체계의 보상설계, 외부전문가의 민간감사기법 및 노하우 데이터베이스(D/B)화, 감사현장 투입 전 사전교육 등이 있다. [연구의 시사점] 부천시 「외부전문가 감사참여 제도」의 성과와 개선점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회계제도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외부감사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안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직접적으로는 이 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들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우리나라의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나아가 비영리단체 회계제도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외부감사시스템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여 회계제도의 정착과 발전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부천 만화도서관 클러스터 조성 연구

        이승진,박성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8

        부천시는 15개소의 공공도서관, 110여개의 작은도서관을 운영중에 있으며, 도서관 각각의 활용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노력중이다. 공공도서관으로서의 만화도서관은 부천시의 130여곳의 도서관과 활발한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작용으로 같이 상생할 수 있는 적극적 긴밀함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이러한 네트워킹은 나아가 만화도시의 ‘만화도서관 클러스터’를 조성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발판으로 작용 될 것이다. 부천시는 만화도시로서 만화도서관 클러스터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지만, 만화 도서관 클러스터로서의 시도는 초기 클러스터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부천시 130여개의 보다 많은 도서관이 만화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하여 성장기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기 위해서는 첫 번째, 상호대차 및 원문제공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앵커로서의 만화도서관 홈페이지의 개편이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두 번째, 도서관마다 ‘웹툰’자료를 열람할 수 있는 디지털 자료 열람실을 개조, 개편하여야 한다. 세 번째로는, 부천시 만화 소외계층을 위한 차별적 전략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네 번째로는, 만화도서관 주제전문사서(만화전문사서) 및 만화관련 자원봉사 배치를 이루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만화 문화 프로그램을 단발성이 아닌,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의미있게 구성하여야 한다. There are 15 public libraries and 110 small libraries in Bucheon. We are trying to promote more activities and development for libraries. It is a just time for the comic book library, a public library to interact with 130 libraries in Bucheon vigorously. It is expected that we can pave the way to develop libraries together through the interaction of libraries in Bucheon. Furthermore, It will be regarded as an important stepping stone in order to create and develop 'City of Comic Libraries' in the cartoon city. Bucheon, the cartoon city can meet all the conditions of the cartoon library cluster. The Bucheon city library seems to be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cluster. The following strategies are needed for Bucheon City's comic library to develop and form a growing period cluster. First, methods shall be prepared for providing cross-contrast and original problem services. Also, in order to strengthen this, the homepage of the comic book library as an anchor will have to be reorganized first. Second, each library should renovate and reorganize its digital data reading room, where users can access 'webto' materials. Third, the government should seek a discriminatory strategy for the underprivileged in the city of Bucheon. Fourth, the layout of the comic book theme book (comic book) and comic-related volunteer work should be done. Finally, cartoon cultural programs should be composed in a meaningful way.

      • KCI등재후보

        경기도 부천시ㆍ시흥시 격변과 마을문화의 기능

        김헌선(Kim, Heon-seon),지연화(Ji, Yeon-hwa)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6 民俗硏究 Vol.0 No.32

        이 논문은 경기도의 신도시 가운데 하나인 부천시와 시흥시의 변화하는 모습과 마을문화의 기능에 대하여 논한 것이다. 노인들은 주로 경로당과 같은 곳에 모여서 자신들의 소일거리로 여러 가지 놀이를 한다. 구전되는 문화적 전통 가운데 하나인 이야기와 민요는 일부 한정된 사람들에 의해서 문화적 요청이 있으면 하게 되는 것이 일상화되었다. 격심한 도시의 성립에 의해서 구전문화의 전통이 망실되고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도시화는 거역할 수 없는 대세이다. 여러 가지 문제가 산적되어 있는 점을 존중하고 이야기와 민요가 한 시대의 결정이고 한계임을 자각해야 마땅하다. 도시에서 마을의 부정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이미 거부할 수 없는 위력을 지니고 있다. 사람들이 더 이상 이야기와 민요를 창조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모여 사는 희망에 대해서 논할 차례가 되었다. This paper is discussed with respect to changes in the appearance and culture of the town, one of the new city of Bucheon and Siheung. Older people should play to their various places, mainly as a pastime together per path. Which is one of the cultural traditions that have been handed down stories and folk cultural song is that if the request by some qualified people. Oral traditions established by the culture of the city has been a severed. The handed down stories and folksongs are being lost and destroyed the prototype, the appearance of serious range and variation of that damage. But that the oral folk stories and multiple mutations are found, it dont look up comparatived and destroyed by urbanization does not seem so serious aspect. Like generations of folk stories and privilege to keep things through a series of traditional stories and folk songs it is still maintaining vitality. Nevertheless, the trend is urbanization unable to disobey though. Respect the fact that several issues deserve to be unaware that the bandit stories and folk songs that decision and the limits of an era. Despite the negative role of the town in the city and already it has the power that can not be denied. This was the time people talk about the story and hope more people do not need to create a folk live together.

      • KCI등재후보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Jeon, Myong Sun 한국효학회 2021 효학연구 Vol.- No.33

        배경: 아동(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는 학생을 넘어서 포괄적인 개념으로 대상의 인권 보장을 아우르자는 취지에서 나온 바 지역 사회에서 아동(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가 얼마만큼 법 취지에 맞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점검을 통해 아동(어린이)·청소년 인권조 례가 정착되고 다른 지자체에도 확산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가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론/접근 :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서울특별시 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 부천시 아동·청소년 인권조례, 동해시 아동·청소년 인 권보장에 관한 조례를 바탕으로 수용성, 이행성을 분석하였다. 수용성 분석은 의회 회의록을 검토하였고, 이행성은 실태조사 및 계 획수립 보고서를 분석하여 파악하였으며, 수용성과 이행성의 상호조합의 크기로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결과/결론 :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특별시 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의 수용성은 75.8%로 보통 수준(70~80미만)을 보였 고, 부천시 아동·청소년 인권조례의 수용성은 84.6%로 높음(80~90미만) 수준을 보였으며, 동해시 아동·청소년 인권보장에 관한 조 례의 수용성은 매우 높음(90~100) 수준을 보였다. 둘째, 서울특별시 어린·청소년 인권조례의 이행성은 62.0%로 낮은 수준(60~70미 만)의 이행성을 보였고, 부천시 아동·청소년 인권조례 이행성은 80.0%로 높음(80~90미만) 수준을 보였다. 셋째, 아동(어린이)·청소 년 인권조례의 실효성에 있어서 서울특별시는 48.7%로 낮은 수준(36~49미만), 부천시는 68.7%로 높음 수준(64~81미만)의 실효성을 보였다. 시사점 : 아동(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설득, 참여활성화,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 마련, 제재 성 고려, 아동(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의 개정 등이 필요함으로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는 현재 제정·시행되고 있는 아동(어린 이)·청소년 인권조례의 수용성과 이행성을 분석하여 실효성을 알아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The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was created with the purpose of encompassing the human rights guarantee of the target as a comprehensive concept beyond students. There is a need to create conditions for this to be established and spread to other local government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are effectively implemented. To this end, acceptance and implementa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the Bucheon City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and the Donghae City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Protection Ordinance. Methodology/Approach: For the acceptance analysis, the minutes of the Congress were reviewed, and the performance wa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fact-finding and planning report,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by the size of the mutual combination of acceptance and implementation. Findings/Conclu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ceptance of the Seoul Metropolitan Children's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was 75.8%, showing a moderate level (less than 70-80), and the acceptance of the Bucheon City Children's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was high (less than 80-90), with 84.6%. The acceptance of the Ordinance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in Donghae City was very high (90-100).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was 62.0%, showing a low level (less than 60~70), and the Bucheon City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was high at 80.0% (less than 80~90). Third, the effectiveness of the human rights ordinances for children and youth was as 48.7% in Seoul (less than 36-49), and 68.7% in Bucheon City (less than 64-81). Implications: It was concluded that persuasion, promoting participation, establishing diverse facilities and programs, consideration of sanctions, and revision of the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were necessary as measur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 부천 지명의 변천에 대하여 — 원미구 행정명을 중심으로 —

        박덕유 한국지명학회 2008 지명학 Vol.14 No.-

        일제강점기인 1914년 부평군의 전 지역과 인천부 일부, 남양군 일부, 강화도의 도서 일부를 통합하여 15개면에 이르는 부천군(富川郡)이 탄생했다. 이는 부평의 부(富)와 인천의 천(川)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현재 부천 지역에 소속된 지역은 계남면과 오정면으로 이후 계남면은 1931년 소사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41년 소사면이 소사읍이 되었다가 인구의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1973년 부천시로 승격되었다. 1993년 중동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인구증가로 인해 遠美區, 梧亭區, 素砂區로 나누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원미구는 경기도 부천시 중부지역에 있는 區로, 북쪽으로는 오정구, 동쪽으로는 서울 구로구, 남쪽으로는 소사구, 서쪽으로는 인천 부평구에 접한다. 특히, 부천의 신도시인 중동과 상동 지역을 포함하고 있어 부천의 중심구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부천시 원미구를 중심으로 행정동 변천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1914년 부천군이 신설되었으므로 이 시대를 전후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천 과정과 그 유래에 대해 다양한 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방정부의 문화정책집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부천시 공무원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채경진 ( Kyung Jin Cha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地方行政硏究 Vol.26 No.4

        본 논문은 지방정부의 문화정책집행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이들 요인과 성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민선 1기부터 꾸준히 문화정책을 시행 중인 경기도 부천시의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문화정책집행 영향요인의 수준을 측정하고, 성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실증조사를 통해 규명하였다. 우선, 문화정책집행의 영향요인을 네트워크, 문화인프라, 문화행정역량, 관심 및 지지, 지역의 문화경쟁력으로 설정하고, 종속변수인 성과에 대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문화행정역량(β=.385)과 관심 및 지지(β=.372)가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cultural policies in local government. The study establishes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a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implementation and the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 According to the conceptual framework, the study measures network, cultural infrastructure, local competitiveness, interest and support, and cultural administrative capacity of public servants in Bucheon city hav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cultural policies. The analysis is assessed through survey measurements of the level of cognition of public servants. Analytic results showed that ``cultural administration capacity of public servants``, ``interest and suppor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erformance.

      • KCI등재

        도시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화도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박광국,채경진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0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0 No.1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가 역점을 두고 현재 추진하고 있는 문화도시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을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도시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화도시 구축방안을 모색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경험적 연구를 위해 민선1기 시장부터 현재의 시장까지 꾸준하게 문화도시를 지향해 온 부천시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할 분석틀에 포함될 변수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독립변수인 중장기 발전계획, 지원방식, 운영방식, 문화 인프라 등이 종속변수인 고용효과, 재정적 기여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동시에 부천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인식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이유는 이들 분석에서 나타난 주요변수들에 대한 인식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향후 부천시문화정책을 입안하는데 귀중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해 줄 수 있다는 판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고용 창출 부문에서는 중앙/광역정부 및 기업의 지원, 거버넌스 구축이 통계적 유의수준 .05에서, 추진 주체의 적정성이 통계적 유의수준 .1에서 각각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재정적 기여도 부분에서는 중앙/광역정부 및 기업의 지원, 거버넌스 구축만이 통계적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틀에 포함된 모든 변수를 중심으로 조사된 인식도 분석에서는 중장기 발전계획, 지원방식, 운영방식, 문화 인프라는 보통수준(평균 3점)을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효과와 재정적 기여도는 평균수준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논문은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효과적 문화도시 구축을 위한 방안을 운영적 측면, 재정적 측면, 추진주체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