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재 재난안전분야 협업요인간 인과관계 분석 :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채경진,조일형 문화재방재학회 2018 문화재방재학회 논문집 Vol.3 No.2

        본 연구는 재난안전관리에 있어서 협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문화재 재난안 전분야의 협업요인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와는 다르게 협업과정 요인간에 도 인과관계가 존재하며 협업이 갖는 복잡성에 주목하여 이를 구조모형화하였다. 이를 위해 협업과정 요인인 행정(administration), 자율성(autonomy), 상호관계(mutuality), 공동 의사결정(joint decision making), 신뢰(trust)간 인과모형을 설정하고, 채경진‧류영아(2017)에서 조사된 원자료(raw data)를 본 연 구목적에 맞게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종속변수인 협업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 총 효 과(직접+간접효과)는 행정이 0.952로 가장 큰 효과를 보였고, 신뢰가 0.722, 상호관계가 0.680, 자율성이 0.387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동 의사결정은 -0.310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in disaster safety management, and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collaboration factors in Disaster Safety of Cultural Heritag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is purpose. a causal model of the collaboration process factors, i.e. administration, autonomy, mutuality, and joint decision making, were established and raw data from Chae & Ryu(2017)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total effect (direct + indirect effects) amo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greatest effect of 0.952 in administration, followed by 0.722 in trust, 0.680 in correlation and 0.387 in autonomy. On the other hand, joint decision making was confirmed to have a negative impact of -0.310.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국악교육의 현주소에 대한 일고찰 - 초등학생의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채경진,양혜원 한국예술경영학회 2013 예술경영연구 Vol.0 No.27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 national education represents a growing research in Korea. However, to date ver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research from the point of vie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rthe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analysis is assessed through survey measurements of the level of 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557) in Korea. Analytic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had a low interest in the traditional music. So, we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with some implications of analytic results.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국악교육은 외형적 측면뿐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어왔다. 이와 함께 한국의 전통문화를 통한 정체성 확립이나 미래의 국악인 양성 측면에서 초등 국악교육에 대한 연구 또한 많은 성장을 이루었으나, 대체로 국악교육 실태에 대한 규범적 논의 혹은 교과과정 자체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었고 정작 국악교육의 대상인 초등학생 관점의 연구는 일천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고 국악 분야에서 초등 국악교육의 실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미래 세대에 우리 전통문화의 가치를 제고시키고 국악 향유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악교육의 대상인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국악교육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What Influences Inter-local Government Cooperation in Korea?

        채경진,마크윌딩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지방정부연구 Vol.16 No.2

        Cooperation is increasingly seen as a way for local governments to meet the administrative demands of citizens, to achieve economy of scale, and to improve relations with neighboring governments. This study focuses on factors which affect inter-local government cooperation (ILGC), in order to identify strategies for effective cooper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results of a survey of public servants employed by the five local governments which run the ‘Eastern Region Resource Recovery Facility’, recognized by central government as displaying best practice in ILGC. While previous research on Korean ILGC has focused on a single item of ILGC, the present study uses level of collaboration, level of interdependency, and level of mutual understanding as items of ILGC. Six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of ILGC are established; policy factors, political factors, economic factors, capability of local governments, participation, and trust. This model is test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verified using interrelations analysis of the factor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 economic factors to have the biggest impact (β=.421), followed by trust (β=.273), while capability of local government (β=.097), and policy factors (β=.080), als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ays for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o support ILGC are identified.

      • KCI등재

        문화다양성 정책의 평가모형 개발과 쟁점 : 문화체육관광부의 무지개다리 시범사업을 대상으로

        채경진,이상민,임학순 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지방정부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시행 중인 '무지개다리(Rainbow Bridge) 사업'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측정을 통해 쟁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검토된 기존의 평가모형들을 기초로 하여 평가모형의 초안을 설계하고 사업지원기관인 문화체육관광부와 6개의 사업주관단체와의 워크숍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최종적인 평가모형을 구성하였다. 특히 평가의 체계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가모형의 평가부문, 평가영역, 평가지표에 대해 계층화분석과정(AHP) 기법을 적용하여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또한 평가모형을 측정하고 시범사업으로서의 의미 및 쟁점에 대한 논의와 함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ew evaluation model of the 'Rainbow Bridge project'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achieve the purpose, we designed final evaluation model through modification of the draft with workshop & experts advice. In order to set the weights of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a survey by experts in cultural diversity policy. Also, this study is empirical approach based on Saaty's Analytic Hierarchy Process. Finally, 6 local agency involved this project was evaluated by evaluation team based on evaluation model of this project and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and future studies.

      • KCI등재

        문화도시 사업의 사회적 효과 분석 -춘천 문화도시 사업 ‘도시가 살롱’을 대상으로-

        채경진,강승진,임학순 한국예술경영학회 2024 예술경영연구 Vol.- No.69

        한국의 문화도시 조성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에 의해 2019년부터 추진되고 있다. 이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지 4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성과나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대상인 춘천시는 2019년 문화도시 예비도시에 선정된 후, 2020년 문화도시로 지정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도시 사업의 사회적 효과를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그 중에서도 춘천 문화도시 사업인 ‘도시가 살롱’에 한정해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효과를 측정했다. 이를 위해 개인 차원(문화향유, 행복감, 정주요인, 교류인식, 유대감), 지역 차원(사회자본), 사업 차원(사업 효과 인식)으로 요인을 설정하고, 사업의 누적된 경험(사업에 노출된 빈도나 기간)을 기준으로 효과를 추정했다. 설문조사는 이 사업에 참여한 공간주인, 전문인력, 주민 26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분석방법은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사용했다. 분석결과, 대체로 도시가 살롱에 많거나 길게 노출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대체로 평균값이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도시가 살롱이 지역관점에서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문화도시 사업의 목표인 ‘지역주민 문화향유 확대’나 ‘지역문화기반 조성 및 역량 강화’와도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도시가 살롱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중기 계획 마련, 커뮤니티 프로그램 개발 및 지속, 사회자본 구축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Korea's cultural city project has been promoted since 2019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lthough this project has been in progress for four years, there is little empirical analysis of performance or effectiveness. Chuncheon City was selected as a preliminary cultural city in 2019 and then designated as a cultural city in 20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social effects of the Chuncheon Cultural City project “Dosiga Salon”. This study established factors at the individual level(cultural enjoyment, happiness, domiciliation factors, awareness of exchange, connectedness), regional level(social capital), and project level(recognition of program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effect was estimated based on the accumulated experience of the program(frequency or period of program particip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60 space owners, professionals, and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and social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frequently or for a long time generally ha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the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ultural city project is leading to positive changes in local residents.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goals of the cultural city project: ‘expanding the enjoyment of culture by local residents’ and ‘creating a local cultural foundation and strengthening cap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the need to establish a mid-term plan for this project, develop community programs, and build social capital.

      • KCI등재

        문화유산 인식, 지역애착도, 지역공동체 간의 구조적 관계

        채경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2 문화정책논총 Vol.36 No.3

        최근 들어 문화유산 역할이나 가치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문화유산에 대한 주민의 인식이나 이것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주민의 시각에서 문화유산의 관리 인식이나 이에 대한 태도가 지역의 애착도나 공동체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했다. 이를 위해 ‘문화유산 인식 요인(문화유산 관리, 문화유산 태도)’, ‘지역애착도’, ‘지역공동체’간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문화유산 관리’는 ‘지역애착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이를 매개해 ‘지역공동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유산 태도’ 역시 ‘지역애착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이를 매개해 ‘지역공동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유산 지역주민의 인식, 지역애착도의 매개역할 등 주요 쟁점에 대해 논의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정책 및 역할의 중요성, 지역 특성을 고려한 각종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 문화유산 경관 및 관람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적 노력을 제안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