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라크 부족주의 연구 - 사담 시대 정치 엘리트와 신부족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이라크 부족주의 연구

        정상률(Jung Sang-Ryul) 한국중동학회 2006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27 No.1

        Tribes and tribalism of Middle East are becoming new research area and issue area because of role enlargement of major tribes in the Middle Eastern States. Tribe and tribalism in the Middle East has been an historical entity and core of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action norm for a long time. But the role of tribe and tribalism was being declining in the process of nation-state building. As soon as it came to power in July 1968, the Bath Party announced in its Communique No.1 its rejection of "tribalism." ""We are against religious sectarianism, racism, and tribalism."" In later years, too, in official party ideology tribal shaikhs and tribalism have been regarded as the epitome of backwardness and social reaction. This policy to the tribalism has been continued in Saddam era since 1987. But anti-tribalism policy was changed in the late 1980s or in the early 1990s. The reason was that because Saddam"s regime faced in crisis of legitimacy not only in Arab society but also from outside world. Especially there was shii Intifada, anti-Saddam regime movement in the south Iraq in 1991. Saddam"s tribalism policy was centered on his tribe, the Albu Nasir tribe and some major tribes, the Dulaym tribal confederation, the Shammar tribal confederation, the al-Juburi tribal confederation, the Ubaydis tribal confederation, the Azza tribal confederation, the Takrit tribal confederation. Albu Nasir tribe is composed of core of power and other major tribes the first one of several circles of power. What is the meaning of study of tribalism? First, we have to consider tribe as the political actor in the Middle East, especially in Iraq because tribe is the entity in political process of Iraq. Second, We can ask following; what"s the status of tribe in state-society relations in Iraq? Is the tribe a part of state or a part of society in historical changing era? In Saddam era after 1990, there is the trend of statization of tribe or tribalization of state in Iraq. Third, there is dispute about "the character of state" of Iraq. Is the state of Iraq tribal state, or capitalist state(or state in capitalist society), or bureaucratic authoritative state, or Islamic state, rentier state? These dispute is very important issue in social science, especially political science. Fourth, we have to consider about the trend of political, social, economic change after 2003 Iraq war as social scientist. The study of every social scientist of Middle East, therefore, will be centered on the tribe or tribalism.

      • KCI등재

        세수부족과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이성구(Lee Sung-koo),권오진(Kwon Oh-ji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69

        본 연구는 경영자가 세수부족 징수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수부족 영향연도에 이익조정을 감소시키는지 살펴본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 연속으로 세수부족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연속적인 세수부족 현상은 중요한 사례연구의 대상이 되며, 나아가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적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수부족이 발생하면 과세당국은 부족한 세수를 확충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세원관리를 수행할 것이고, 이는 세무 조사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과세당국의 공격적인 세원관리는 이익조정에 대한 경영자들의 위험 부담을 가중시키기 때문에, 세금추징과 같은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 경영자는 이익조정을 자제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족한 세수를 확보하기 위한 과세당국의 공격적인 행태가 경영자의 이익조정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가설과 일치하게 세수부족과 이익조정 간에는 음(-)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경영자가 다른 연도에 비하여 세수부족 영향연도에 이익조정을 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세수부족 영향연도에 과세당국의 공격적 세원관리는 경영자로 하여금 기업이 세무조사를 받을 수 있다는 경각심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경영자가 이익조정 행위를 감소시킨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수영향연도 중에서도 세수징수율이 가장 낮은 연도가 다른 연도에 비하여 이익조정이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수부족액이 커질수록 과세당국이 공격적인 세원관리를 더욱 강화함에 따라, 경영자의 경각심이 증가하여 이익을 조정할 유인이 더 크게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는 세수부족이 경영자의 재무보고 의사결정에 있어 주요한 환경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준다. 지금까지 세수부족과 이익조정 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아직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바가 없어,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이해관계자, 과세당국, 규제기관 등이 과세환경의 변화에 따른 경영자의 재무보고정책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ack of tax revenue and earnings management. Recently, the shortfall in tax revenue happened for three straight years in Korea. In general, the shortfall in tax revenue leads to the aggressive management of tax revenue from tax authority in order to supplement taxation. It may also increase the likelihood of the tax investigation around firms. For this reason, managers’ incentives which manage earnings will be reduced to avoid additional tax penal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can be affected by the lack of tax revenue. To analyze this expectation, this study uses 5,698 firm-year observations listed on KOSPI form 2004 to 2014 period, and collects the data which is the collection of national taxes from Statistics Korea. As the empirical finding, we find that the lack of tax revenu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arnings management, which is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It means that earnings management decreased in the year of a shortfall in tax revenue compared to other years. Because manager perceives that the lack of tax revenue leads to the aggressive tax collection from tax authority and increases the likelihood of firm’s tax investigation, they want to avoid the tax penalty from earnings management. Furthermore, the empirical result of this paper shows that the aggressive management of tax revenue due to the shortfall in tax revenue can affect the firm’s accounting policy. Our result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 So far, there were no research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ck of tax revenue and earnings management. Therefore, our finding will give broaden perspective to stakeholders, tax authority, and regulator in understanding manager’s financial reporting behavior as a change in the taxation environment.

      • KCI등재

        산업기술인력 부족의 영향 및 원인에 대한 연구 : 우리나라 규모별 제조기업에 대한 실증 연구

        김원규,김진웅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5 산업혁신연구 Vol.31 No.3

        본 논문에서는 기업규모별로 구축한 18개 제조업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동태적 패널모형으로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 대해 연구하였다. 하나는 과연 산업기술인력의 부족률이 산업의 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기업규모별로 그러한 영향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산업기술인력 부족률의 주요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인데, 이 또한 기업규모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에서는 인력수급 미스매치(mismatch)의 원인 중 보상의 미스매치(compensation mismatch)와 숙련의 미스매치(skill mismatch) 등을 살펴보았다. 대상 기업군 전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산업기술인력 부족률 증가는 1년 후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에 유의수준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현재의 실질 임금의 상승은 현재 및 1년 후의 산업기술인력 부족률을 감소시키지만, 2년 후에는 그러한 감소효과가 다소 상쇄된다. 셋째, 현재의 석박사인력 비중은 1차년도와 2차년도의 산업기술인력 부족률에 유의적으로 부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재의 산업기술인력 비중은 1년 후의 산업기술인력 부족률에 유의적으로 부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업규모별로 분석결과들이 다소 상이하므로 기업규모별로 차별화된 노력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paper studies the following two research issues from dynamic panel model using panel data of 18 manufacturing industries by firm size group. The former issu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echnical workforce scarcity on the productivity in each firm size group. The latter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 of the scarcity by firm size group. In particular, the compensation mismatch as well as the skill mismatch are considered in the latter issue. The empirical results based on all sample regardless of firm size are as follows. At first, the increase in the scarcity rate of technical workforce affects the labor productivity, negatively. Secondly, the increase in real wage has a short-run effect on the scarcity rate of technical workforce. Thirdly, the ratio of higher educated workforce is having adverse effect on the scarcity rate of technical workforce. Fourthly, the ratio of the technical workforce effects on the scarcity rate of technical workforce, negatively. However, compared with above, the empirical results by firm size groups are quite extensive, each other.

      • KCI등재

        고조선 국가의 형성

        신용하 ( Yong-ha Shin ) 한국사회사학회 2008 사회와 역사 Vol.0 No.80

        한국의 최초의 고대국가는 古朝鮮이다. 종래 고조선은 예맥부족이 세웠다는 1부족설과 예와 맥이 세웠다는 2부족설이 제시되었었다. 필자는 3부족 개국설을 제시 하였다. 고조선은 B.C. 30세기~B.C. 24세기에, 한(Han)부족, 맥(Maek)부족, 그리고 예(Ye)부족 등 3부족(tribes)이 연맹하여 건국한 고대국가였으며, 동아시아 최초의 고대국가였다. 고조선 건국의 주요 부족인 한부족은 원래 한강 유역에서 기원하여 한반도 남북으로 이동했는데, 태양을 숭배하고, 동아시아에서 가장 일찍 벼농사를 시작하여 농경단계에 들어간 부족이었고, 부족장은 남성부족장이었다. 맥부족은 원래 대릉하(大凌河)유역에서 기원하여, 女神을 숭배하는 곰토템부족이었다. 玉장식 문화를 크게 발전시킨 부족이었고, 부족장은 여성부족장이었다. 신석기 말기 요서지방 紅山문화유적은 맥족이 만든 유적 유물이었다. 맥부족의 홍산문화는 고조선 개국에 흡수되었다. 예부족은 원래 예강(지금의 눈강)유역에서 기원하여, 범을 신으로 숭배하는 범토템부족이었다. 처음에는 목축을 주로 하여 강을 따라 동남으로 이동하였다. 위의 3부족의 주류는 더 나은 정착지를 찾아 천천히 이동하는 중에 대동강 상류 부근에서 접촉하게 되었다. 3부족은 가장 먼저 농경단계에 들어간 한부족을 중심으로 B.C. 30세기~B.C. 24세기에 부족연맹을 형성하였다. 이때 부족연맹의 방식은 한부족에서 왕을 내고, 맥부족에서 왕비를 내는 혼인동맹에 의거하였다. 한부족에서 왕을 내었기 때문에 고조선의 통치를 받은 모든 부족들은 왕을 "han" 또는 "gahan"으로 불렀다. 고조선에서는 지방장관을 "ga"로 불렀기 때문에 "ga-han"이 "ga-han"이 된 것이었다. 한부족 군장과 맥부족 군장부인 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나서 장성하자, 이를 "단군"이라는 이름의 제왕으로 추대하고 "조선" 이름의 국가를 건국하였다. 예부족은 고조선 국가에 연맹하되 어느 정도 자율성을 갖고 예부족 군장이 통치하는 고조선의 후국으로 연맹에 참가하였다. 단국은 고조선을 건국함과 동시에 수도를 "아사달"(Asadar)로 정했는데, 첫 "아사달"은 대동강 중류 "강동군"으로 비정된다. 고조선의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후에 수도를 만주 요하 부근으로 옮겼다. 고조선은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수도 이외에도 몇 개의 부 수도를 두었다. Go-Joseon is the first ancient state of Korea. This ancient state of Go-Joseon was established between 30 BCE and 24 BCE when three tribes, Han, Ye and Maek formed a confederated alliance. It represents the first ancient state in Northeast Asia. The tribe, crucial to the formation of Go-Joseon, was Han which originated in the Han river valley, but later migrated to the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Han tribe worshipped the Sun, and it is remarkable that it was the first tribe in East Asia to engage in the cultivation of rice and to lead the society to an agricultural stage. Its chieftain was male. Maek tribe which originated in the estuary of Daeneung river, worshipped female deity and regarded bear as its totem. This tribe made immens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jade decoration and ornaments, and its chieftain was female. The sites associated with Hongsan(Hungshan) Cultrue are the legacy and heritage bequeathed by the Maek tribe. Ye tribe which originated in the Ye river (currently Nun river) valley, worshipped tiger. This tribe with tiger-totem, led primarily a pastoral life, and later migrated along river bank to Southeast. The mainstream of the above-noted three tribes ushered into a long and arduous process of migration in search of a better habitat and in the course of time reached the upper estuary of Daedong river where they settled down and intermingled with one another. These tribes formed a tribal confederation, based on matrimonial alliance, sometime between 30 BCE and 24 BCE. Han tribe, the first to reach an agricultural stage, served as the mainstay or dominant power of this tribal confederation, and this explains why kings were chosen from Han tribe. Maek tribe provided queens. Since kingship was monopolized by the Han tribe, all the tribes under the rule of Go-Joseon called the king "han" or "gahan". Since provincial ministers were called "ga""ga-han" became "Gahan". When a child was born out of the union between the chieftain (king), belonging to Han tribe and Lady Chieftain (queen) belonging to the Maek tribe, he was conferred with the royal title of Dangun and thus the state of Go-Joseon was formed. Ye tribe joined the confederated state of Go-Joseon, but it maintained certain degree of autonomy. When Dangun assumed kingship of Go-Joseon, he established "Asadar" as the capital. The first capital (asadar) is assumed to have been set up in Gangdong-gun, siteated in the mid-estuary of Daedong river. As the territory of Go-Joseon expanded, the capital shifted to the vicinity of Yoha (Chinese: Liaohe) in Manchuria and it established several minor capitals, in addition to the main capital.

      • 맞벌이주부의 시간부족(time famine)인식

        손문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4 여성연구 Vol.67 No.-

        기존의 생활시간연구자들이 맞벌이주부의 이중부담과 시간갈등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시간이 가장 부족한 집단으로 인식되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맞벌이 주부들의 시간이 부족하다는 인식에 영향을 주는 상황들에 대해 알아보고, 다른 상황조건들을 통제하였을 때 맞벌이주부와 비교집단들 간에 시간부족인식의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부인홀벌이가구의 여성 집단의 시간부족인식의 정도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 특히 맞벌이 가구의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 시간부족인식이 다른 가구형태 보다 높았는데 남성들은 시간이 부족하다고 항상 또는 가끔 느끼는 경우가 약 80%, 여성들의 경우에는 약 87%를 보였고 맞벌이여성의 경우 항상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40%를 넘고 있었다. 맞벌이 주부들은 ‘일 때문에’ 시시간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경우도 36%정도 있었다. 그러나 남성들의 경우에는 ‘일 때문에’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고 다음은 ‘교제 및 사회활동 때문에’ 시간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었다. 둘째, 시간부족인정(+)의 상관관계를 가지지만 유급노동시간이 더욱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가시간은 시간부족인식과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시간부족160 여성연구인식에 영향을 주는 상황변수들을 살펴보면, 30, 40대를 중심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관리직을 중심으로, 만6세미만의 미취학아동이 있을 경우, 직계가족에서, 주당 36시간이상 일하는 사람들의 시간부족인식이 높았다. 특히 여성이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전문직에서 전일제 임금근로자로 종사하는 경우 96%가 시간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고 전일제로 경제활동을 하면서 미취학아동이 있을 경우에도 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비율이 92%를 넘고 있었다. 맞벌이부부의 결합형태에서는 남편과 부인이 모두 임금근로자인 경우와 남편이 전일제로 일하는 경우의 시간부족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통제하는 로짓(logit)분석을 통하여 살펴보면 여성은 남성보다 2.5배 시간부족인식이 높으며, 유급노동이 없는 사람들보다 시간제유급노동자는 2.7배, 전일제 유급노동자는 6.6배 시간부족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아프리카 부족 텍스타일 고찰

        최정연(Choi, Jung Ye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현대 텍스타일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에스닉 텍스타일 중 독창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는 아프리카를 선택하여, 그들 부족별 텍스타일을 살펴봄으로서 아프리카 부족 직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국내 서적을 통한 부족 문화의 고찰과, 해외 서적과 해외 뮤지움 사이트를 통하여 아프리카 부족 텍스타일을 고찰하였고, 국내외 트렌드 잡지와 사이트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부족 텍스타일의 적용사례와 현대 텍스타일의 경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으로는 아프리카 부족 문화에 대한 이해와 직조, 염색, 자수, 오브제 직물을 통한 아프리카 전통 텍스타일에 대한 고찰과 현대 텍스타일에 적용된 아프리카 부족 텍스타일의 사례가 포함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직조직물의 경우, 서아프리카 부족의 텍스타일은 좁은 직조 직물을 다시 바느질을 통하여 재구성하는 특징이 있었고, 북아프리카 부족의 텍스타일은 자연적인 울 섬유를 활용한 기하학적인 패턴이 고찰 되었다. 염색직물은 아딘크라, 머드 염색, 라피아 섬유에 방염한 직물, 인디고를 활용한 방염직물과 바크 클로스를 활용한 염색직물이 고찰 되었다. 자수직물의 경우, 하우사 부족의 자수와 판테 부족의 깃발 아플리케, 쿠바부족의 아플리케와 컷 파일 직물이 고찰되었고 오브제 직물로서는 풀라니, 요루바, 줄루 부족의 오브제를 활용하여 신분을 나타내는 아이템에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 텍스타일에 적용된 아프리카 부족 직물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핸드 크라프트에 대한 가치 인정과 문화적 혼용으로 새로운 감성, 그리고 자연 미학의 회기와 같은 현대 텍스타일 트렌드 범주에 적용되었다. 본 연구는 전통 텍스타일에 연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아프리카 부족 텍스타일이 현대 텍스타일에 적용된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아프리카 부족 텍스타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현대 텍스타일의 경향을 살피기 위한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되어졌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textiles of overall Africa, by selecting Africa containing its original culture out of ethnic textiles having influence on the modern textile design, studying the textile of each tribe. Regarding the study method, the African tribal culture was understood through domestic boo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textiles were examined by foreign books and museum sites. Based on domestic/foreign trend sites and books, the cases of applying African tribal textiles and the trend of textiles were examined. The scope and the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s the understanding of African tribal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African textiles through weaving, dyeing, embroidery, and object textiles, and cases of African traditional textiles applied to the modern textil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weaving textile, the textile of West African tribe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recomposing narrow weaving textile with re-sewing job. The textile of North African tribes showed various geometric patterns using wool fabric. In regard of dyeing textile, adinkra, dyeing technique with mud, dyed raffia fabric, indigo dyeing and dyeing textile using bark cloth are developed. In case of the embroidered textile, the embroidery of hausa tribe, the fante tribe"s flag applique and the applique/cut file textile of kuba tribe were seen. Regarding the objet textile, the fulani, yoruba, and zulu tribes used objets. Last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African tribe textiles applied to the modern textile, owing to the acknowledgement of values of handy craft and cultural mixture, they were applied to the modern textile trend category like new sensibility and the return of natural aesthetic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theoretical data to have overall understanding of African tribe textiles and to examine the modern textile trend,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n traditional textiles.

      • KCI등재

        중소기업 인력 부족률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박성익,류장수,조장식,김종한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5 산업혁신연구 Vol.31 No.3

        본 논문은 중소기업의 인력 부족률 현황을 살펴본 후, 의사결정나무분석과 패널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인력부족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부족률의 추이를 살펴보면, 제조업의 부족률이 전 산업의 부족률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다. 그리고 전 산업 및 제조업 모두에서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부족률이 낮아지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둘째로, 산업별 및 직종별 의사결정나무분석의 결과에서도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부족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월 급여가 높아질수록 부족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산업별 및 직종별 부족률에 대한 패널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도,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부족률이 낮아지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다른 변수의 효과를 통제하더라도, 기업규모가 부족률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수도권 지역보다 다른 지역의 부족률이 대체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내부노동시장이 형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대기업은 물론이고, 중소기업 중에서도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부족률이 낮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국 중소기업 인력부족 문제를 해결 혹은 완화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중에서도 종업원 수가 특히 작은 기업에 노동력이 갈 수 있도록 유인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실시할 경우, 규모별 차등 지원책이 필요하며 규모가 작은 기업에 더욱 강한 인센티브가 가도록 해야 중소기업 인력부족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current status of labor shortage and analyzes its determinants in the SMEs(small and medium enterprises) utilizing panel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analysis. Major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rate of vacanci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urns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whole industry.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rate of vacancies becomes lower, the bigger the company size is. Second, the result of panel regression also confirms that the company siz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ate of vacancies. In particular, the company size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ate of the vacancies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other variables such as salary. Third, the decision tree analysis is in line with the result of the panel regress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 size and the rate of vacancies. And higher salary means the lower rate of the vacancies according to the decision tree analysis. It is note-worthy that the smaller company suffers severely from the labor shortage within the SMEs, needless to compare the case of the large company. This suggests that labor must be attracted to the smaller company in order to solve or alleviate the labor shortage. Therefore, the policy should be designed to support the SMEs based on the company size, more favorably to the smaller company.

      • KCI등재

        일본의 지도력 부족교사 평가시스템 분석

        전제상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일본의 신 교사평가제 도입에 따른 지도력 부족교사 평가시스템을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새로운 교사평가제 도입운영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본 교사평가제의 변천과정과 새로운 교사평가시스템의 주요 내용(평가의 목적, 평가방법, 평가시기, 평가과정, 평가자, 평가결과 및 활용), 지도력 부족교사 문제의 등장 배경과 평가시스템의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도력 부족교사의 관리시스템, 지도력 부족교사의 개념과 유형, 지도력 부족교사의 평가기준과 인정절차, 지도력 부족교사를 위한 관리방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으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새로운 교사평가제 도입, 지도력 부족교사 대책 수립을 위한 실증적 연구 실시와 현실적인 대안 강구, 교사평가제 시행을 위한 법적 근거와 다양한 연수체제 마련이 요청된다.

      • 댐의 용수공급능력 평가를 위한 경험적 지표의 개발: 낙동강 수계를 대상으로

        전창현,주국화,유철상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에서는 미공병단(1975)에서 제안한 경험적 지표인 용수부족지표(Shortage Index, SI)의 기본 개념을 근거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용수부족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SI는 용수공급 부족에 의한 피해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경우, 실제 피해 정도를 반영하여 용수부족 발생빈도, 지속기간 및 부족량에 대한 용수공급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먼저, 용수부족지표의 공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지표를 구성하는 두 매개변수(k, 임계값)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1995년에 해당하는 자료들에 대한 수도산업의 총 파급효과(산업연관분석 결과)와 수자원 공급 비용 간의 관계로부터 국내에 적용 가능한 용수부족지표를 개발하였으며 낙동강 수계 내 5개의 다목적댐(안동댐, 합천댐, 임하댐, 남강댐, 밀양댐)을 대상으로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고려한 용수부족지표(SI)는 수자원 부족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비용과 수자원 공급에 필요한 비용 특성을 반영하게 되며 SI가 1보다 크게 되면 용수공급 부족으로 인한 추가적인 수자원 개발이 필요하게 된다. 2. SI의 두 매개변수(k, 임계값) 중 k는 용수공급 부족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의 정도, 임계값은 수자원 부족률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본 연구에서는 수도산업의 총 파급효과(산업연관분석 결과)와 수자원 공급비용 간의 관계로부터 국내에 적용 가능한 용수부족지표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k는 2, 임계값은 7.5%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미국의 경우, k=2, 임계값=10%). 3. 낙동강 수계에 대한 적용 결과, 1994-1995년 가뭄발생시 합천댐과 임하댐의 용수부족지표가 1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용수공급능력 문제로 인한 추가적인 수자원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에서 측정된 조절 부족과 폭주 부족의 발생률

        신진아 대한시과학회 2004 대한시과학회지 Vol.6 No.1

        이 연구는 대학생 집단에서의 조절 부족과 폭주 부족의 발생률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160명(평균 나이 20.6세)을 대상으로 Push-up method(push-up 방법)와 NPC 검 사(폭주 근점 검사)로 조절력과 폭주 근점을 측정하였다. 평균 폭주 근점은 8.63cm (:t 2.98) 이고 정상적인 폭주 근점을 보인 경우는 77.5% 였다. 평균 조절력은 9.87D (:t 3.58) 이고 나이에 따른 정상적인 조절력을 보인 경우는 67.5% 였다. 폭주와 조절 모 두 정상 범위에 포함된 경우는 51.9% 였고, 폭주는 정상이나 조절 부족은 25%, 조절 은 정상이나 폭주 부족은 15.6% 폭주 부족과 조절 부족이 함께 나타난 경우는 7.5% 였다. 성별 비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약간 더 폭주 부족과 조절 부족에 대한 빈도 가 높았고 나이와의 상관성은 없었다. 폭주 부족보다 조절 부족이 더 많았고 다른 연 구 결과에 비해 조절 부족과 폭주 부족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학생들의 조절력과 폭주 근점 측정은 기본검사에 포함시킬 펼요가 있으며 문진을 포함한 다양 한 검사를 통하여 조절과 양안시 문제를 다루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accommodative insufficiency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college students. We select 160 subjects(mean age 20.6) and perform push-up method for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NPC for near point of convergence. Mean near point of convergence was 8.63 cm(:t2.98) and 77.5% was within normal range. Mean amplitude of accommodation was 9.87D( :t3.58) and 67.5% was within normal range according to their age expected. 51.9% shows both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as normal, 25% shows accommodative insufficiency with normal near point of convergence, 15.6% shows convergence insufficiency with normal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7.5% shows both accommodative insuf ficiency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Female give higher incidence than male for both convergence insufficiency and accommodative insufficiency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age. Accommodative insufficiency was more prevalent than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this study and prevalence of both convergence insufficiency and accommodative insufficiency was higher than other studie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in college students it is important to give a accommodative and binocular test to detect general binocular dysfunction and necessary to include these examination as a rout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