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주 부석사 소조불좌상과 신라 화엄종 도상의 전파

        이주민(Lee, Ju-min) 신라사학회 2013 新羅史學報 Vol.0 No.29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에는 크기가 2.75m에 달하는 대형 소조여래좌상이(국보 제 45호)이 봉안되어 있다. 이 불상은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조각임에도 불구하고 조성시기와 도상에 대한 논의가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부석사 소조여래좌상은 고려시대에 많은 수리를 거치면서도 부석사가 창건된 7세기 불상의 원형을 나름대로 유지하여 왔다고 생각되는데, 이것은 불단 아래에 고식의 방형 와적대좌가 남아있는 점이나 王京의 성전사원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녹유전이 무량수전에서도 발견된 점 등에서 어느 정도 유추가 가능하다. 아울러 최근 x-ray 조사를 통해 불두가 목 부분에서 접합된 것이 확인된 사실도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해 준다. 의상에 의해 조성된 부석사 소조불좌상은 아미타불이지만 항마촉지인의 과도기적 모습인 "초기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부석사 소조불좌상이 의상 창건당시의 도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라면 우견편단을 한 항마촉지인의 가장 이른 예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의 항마촉지인 불상의 도상은 우견편단으로 착의한 대의 끝단을 넓은 띠처럼 표현한 ‘석굴암계’와 같은 우견편단의 착의형식이지만 대의 끝단이 밖으로 접혀지거나 여러 개의 주름으로 표현되는 ‘부석사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두 유형이 통일신라는 물론 나말려초까지 불좌상 조성에 있어 중요한 範本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석사 소조불좌상의 영향은 8세기 중엽에 조성된 갈항사지 석불좌상을 포함하여, 포천 철불좌상, 원주 출토 철불좌상들, 화엄십찰 중 하나인 서산 보원사지 철불좌상(949년경)등 나말여초기의 중부지역 소재 불상들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경북지역 일대에서 대의 깃이 밖으로 접히거나 주름이 진 우견편단의 착의형식에 ‘초기 항마촉지인’을 결한 상들이 많이 확인되는 것 역시 부석사 소조불좌상의 영향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항마촉지인 불상의 신라 등장시기와 배경 -부석사 무량수전 소조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정성권 신라사학회 2023 新羅史學報 Vol.- No.59

        부석사는 의상이 문무왕의 명을 받아 676년 2월에 소백산 남쪽에 창건한 사찰이다. 본문에서는 소조여래좌상의 불단 아래에 깔린 녹유전과 불상 하단의 와적기단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부석사 무량수전 소조여래좌상은 창건기의 원형이 남아 있는 불상임을 논의하였다. 부석사 창건배경에 대해서는 나당전쟁이 격렬하게 지속되는 676년 2월의 시대적 배경을 주목하였다. 당시 시대적 상황의 분석을 통해 의상이 왕명을 받고 부석사를 창건한 것은 나당전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논하였다. 부석사가 소백산맥 남쪽에 조성된 이유는 부석사 북쪽 소백산맥 넘어 분포해 있는 고대 산성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더불어 부석사와 멀지 않은 곳에 있었던 봉화 북지리 지림사가 부석사의 위치 선정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지림사가 삼국시대 이미 다양한 석불이 조성되고 화랑의 순례지역으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다. 당나라와의 치열한 전쟁기간 중에 창건된 부석사는 주변 지역 백성들을 위무하고 소백산맥 북쪽에 분포한 다수의 고대 산성들과 후방의 왕경을 원활하게 연계하는 일종의 후방 배후기지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더불어 불력에 기대어 당나라 군대를 몰아내고자 하는 종교적 열망 역시 반영되었다. 부석사 소조여래좌상은 의상이 부석사를 창건할 때 아미타불로 조성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아미타불이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있는 이유는 당나라 군대를 불력에 기대어 제압해야 할 항마의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으로 추정하였다. 부석사 무량수전 소조여래좌상은 우리나라 최초의 항마촉지인 불상이라 할 수 있으며 석굴암 본존불을 비롯한 촉지인계 불상의 한반도 등장을 알리는 기념비적인 불상이다. Buseoksa Temple is a temple built by Uisang on the south side of Sobaeksan Mountain in February 676 under the order of King Munmu.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foundation made of green bricks and roof tiles under the Buddha statue. Through this, it was discussed that the Buddha statue in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is a Buddha statue that still retains its original appearance from the time of its founding. Regarding the background of the founding of Buseoksa Temple, attention was paid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February 676, when the Silla-Tang War was raging. Through analysis of the situation of the time, the fact that monk Uisang received the royal order and founded Buseoksa Temple is directly related to the Silla-Tang War. The reason why Buseoksa Temple was built south of the Sobaek Mountains is related to the ancient fortresses distributed across the Sobaek Mountains to the north of Buseoksa Temple. Buseoksa Temple, founded during the fierce war with the Tang Dynasty, played a role in comforting the people of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it also played a role in smoothly connecting the numerous ancient mountain fortresses distributed to the north of the Sobaek Mountain Range with the royal border behind it. The construction of Buseoksa Temple also had a religious purpose: to drive out the Tang army through the power of Buddha. The reason why the Buddha statue at Buseoksa Temple is shaped like a hand to ward off evil is because the Tang Dynasty was seen as an object that needed to be subdued. The Buseoksa Temple Muryangsujeon Buddha is Korea's first Buddha statue with a hand shape said to ward off evil. The Buseoksa Temple Buddha statue is a monumental Buddha statue that announced the emergence of the main Buddha in Seokguram Grotto.

      • KCI등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의 성격에 대한 고찰

        김태형 ( Tae Hyung Kim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5 文物硏究 Vol.- No.28

        경북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18호)은 국내 최고의 목조건축물로 널리알려져 왔지만 종교건축물로서의 성격에 대해서는 부석사 경내 중심 전각인 금당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무량수전의 내부에 봉안된 무량수불의 위치나 참배객의 진입 동선 등이 여타의 사찰과는 매우 다른 양식을 보이고 있다. 무량수전은 남향의 건물로 통상 금당에 해당하는 대웅전의 경우 그 정면에 불상이 봉안되는 게 관례였다. 그렇지만 부석사 무량수전의 경우 정면이 아닌 서쪽에 불상이 독존으로 봉안되었고 그 주위에 협시보살 혹은 다른 불상이 함께 봉안되어 있지 않은 것도 매우특징이다. 이러한 건물의 특징은 다른 사찰의 금당에서 볼 수 없는 사례로 필자는 경내에서 수습된 ‘강당’명 명문와를 근거로 무량수전 관련 문헌과 강당 관련 금석문을 비롯하여 여러 사료들을 검토, 재해석 한 결과 부석사 무량수전이 금당이 아닌강당임을 주장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현재의 부석사 사역이 남북 축선상으로만 존재해 있던 것이 아니라 동서로 분포하고 있음을 현장 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부석사의 창건기가람의 규모에 대해 그동안 제기되어 왔던 것과는 달리 대석단을 비롯한 여러전각과 시설들이 676년경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8세기 초 혹은 중반 이전에는 대가람의 면모를 갖추었을 것으로 보았다. 부석사와 관련된 연구는 그동안 중심사역에 해당하는 무량수전을 축으로 하는 공간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필자의 조사 결과 부석사는 남북의 축선으로 이어지는 중심사역 외에 동서로 이어지는 암자구역과 별원구역으로 존재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경북유형문화재 제127호 부석사 원융국사비를 통해 무량수전 내 불상봉안 방식이 지엄-의상으로 이어진 화엄일승사상의 구체적 산물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가람배치에 대해 11세기 당시에도 많은 문제제기와 함께 불교 교리적논쟁이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고, 결국 금당에 해당하는 전각의 필요성에 따라 보물 제220호 영주 북지리 석불좌상들이 있었던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방동 절터에 별도의 금당을 조성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부석사 무량수전의 기능과 관련해서는 서산 보원사지의 보물 제106호 ‘법인국사탑비’와 엔닌(圓仁)의 『입당구법순례행기』 등의 기록을 통해 강당 성격의 무량수전에서 행해졌던 법회의식의 한 단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무량수전이 교학을 강설하는 장소라기보다는 염불과 예경의식 등을 설행하는 실천 수행의 장으로 활용되었음을 추정하였다.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Yeongju, which is National Treasure #18, has been widely known as Korea``s best wooden structure, but considered a Buddha Hall inside Buseoksa Temple in terms of its character as a religious structure. However, the position of Amitabha enshrined inside Muryangsujeon (無量壽殿:Amitabha hall) or the traffic of worshippers are ver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temples. Muryangsujeon is facing south and in case of Daewoongjeon, which is usually the Buddha Hall, the Buddhist statue was generally enshrined at the front. In case of Muryangsujeon of Buseoksa Temple, the Buddhist statue is enshrined to the west without any bodhisattvas or other statues, making it very unusual.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are not found in other Buddha Halls of other temples. Therefore, I have focused on the tiles engraved with ``Lecture hall`` and compared them with the related literature and engravings related to lecture halls to review and reinterpret various historical resources. As a result, I have come to argue that Muryangsujeon of Buseoksa Temple is a lecture hall, not a Buddha Hall. Along with this, it has been verified through a field study that the current boundary of Buseoksa was not just on a longitudinal axis, but also on a latitudinal axis. Unlike what has been suggested in regards to the scale of Buseoksa at the foundation, it seems that most of the buildings and facilities such as ‘Massive stone walls’ were built from around 676 to complete the view of a Big Temple before the early or mid 8th Century. Any studies related to Buseoksa Temple were concentrated on the spaces around Muryangsujeon, which is the central structure. As a result of my study,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Buseoksa Temple has an hermitage zone and a another temple zone that lead from east to west in addition to the central zone on the longitudinal axis. In particular, based on the Stele for State Receptor Oneyung(圓 融::964~1053) in Buseoksa Temple, which is Gyeongbuk Intangible Cultural Asset #127, it was emphasized that the enshrinement of Buddhist statues in Muryangsujeon is a specific product of Huayan Yana(華嚴一 乘) succeeded from Chi Yan (602-668) to Uisang (625-702). It was assumed that there were many problems raised and debates in regards to the layout of the temple back in the 11th Century. As a Buddha Hall was needed a separate hall could have been built at the temple site in Bang-dong Bukji-ri Buseok-myeon Yeongju-si with the stone seated Buddhs of Bukji-ri Yeongju-si, which is Treasure #220. In regards to the functions of Muryangsujeon of Buseoksa Temple, the records of Stele for State Receptor Beopin(法印:900~975) of Bowonsa Temple Site, Seosan, which is Treasure #106 and Ennin``s ..Ennin and the Tang Patrol.. showed an aspect a Buddhist ritual that was performed at Muryangsujeon, which was a lecture hall. Therefore, it has been assumed that Muryangsujeon is not a place for lectures, but a place for practical training including Buddhist prayers and worshipping rituals.

      • KCI등재

        부석사의 시·공간에 구현된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

        한주희,문정필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3

        본 연구는 부석사의 가람 배치를 「화엄일승법계도」에 내재된 화엄사상으로 해석하고,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건축의 시·공간에서 인식 가능한 가치를 통하여, 방문객들이 과거불, 현재불, 미래불 영역을 쉽게 이해하고 고대의 사회상을 회상하는데 목적이 있다. 화엄종 사찰에서는 ‘삼세불’ 즉, 과거, 미래, 현재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화엄 사상의 시간성을 관찰할 수 있으나 부석사에서는 인식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를 통하여 삼세불 영역을 해석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는 「화엄일승법계도」가 부석사의 시·공간으로 구현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화엄경』을 중심으로 ‘수행론’, 「십지품」 , ‘삼세불’, ‘삼종세간’, ‘정토신앙’, ’풍수지리설‘을 살펴보았다. 건축의 물질·공간·시간의 인식, 오름의 해인삼매, 깨달음에 대한 기대라는 주제로 살펴보고자 한다. 「화엄일승법계도」가 구현된 부석사의 가람배치와 시·공간적으로 해석한 불전각 영역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석사 건립에서,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는 물질, 공간, 시간의 건축적 개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사지에 진입하기 위한 석축과 계단은 여러 불법과 화엄 사상이 적용된 시·공간으로 과거불을 상징하는 비로자나불이 구현되었다. 둘째, 부석사의 오름은 ‘건축적 산책’으로 자연에 연속되어 긍정적 정서로 응집되어 있다. 이는 관광객 본연의 무의식에 있는 자연과 부석사에 있는 자연이 상호 관입을 이루는 현재의 시·공간에서 현재불을 상징하는 석가모니불이 구현되었다. 셋째, 부석사 무량수전 영역은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어 극락정토에서만나는 관념적 가치를 상징하는 아미타불을 확인할 수 있다. 극락세계는 자신이 자연으로 지속되려는 기대를 의미하는 미래의 시·공간으로 미래불을 상징하는 아미타불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세 가지를 통하여 통일신라 사회에 부석사가 영주지역에 창건된 의도뿐만 아니라 화엄종 사찰 중에서 독특하게 ’삼세불‘을 인식하는 현대사회의 문화관광 자원이 되어 고대의 사회상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helping visitors easily understand the areas of the past Buddha, the present Buddha, and the future Buddha and at reviewing the ancient social aspects by interpreting the placement of the temples of Buseoksa(浮石寺) Temple with Hwaeom(華嚴) thought inherent in 「 Hwaeomilseungbeopgyedo(華嚴一乘法界圖)」, and by discussing the values identifiable in the time and space of the architecture founded in the Unified Silla era. In a Hwaeomjong(華嚴宗) temple, the temporality of the Hwaeom thought that is divided by ‘Samsebul(三世佛)’, that is, the areas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can be observed, but it’s not easy to recognize in Buseoksa Templ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nterpret the three Buddhist areas through Euisang’s 「Hwaeomilseungbeopgyedo」. 「 Hwaeomilseungbeopgyedo」 has been embodied as the time and space of Buseoksa Temple, based on the ‘Suhangron(修行論)’, 「Sipjipung(十地品)」, ‘Samsebul’, ‘Samjongsegan(三種世間)’, ‘Fengshui(風水地理)’ theory of Jeongto(淨土) belief centered around Hwaeomgyeong, the subjects of the recognition of architectural matter, space and time, Haeinsammae(海印三昧) of Oreum, and the expectation of enlightenment were discussed. The placement of temples in Buseoksa Temple in which 「Hwaeomilseungbeopgyedo」 has been embodied, and the interpretation of each area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terms of time and space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Buseoksa Temple, it has been found out that Euisang’s 「Hwaeomilseungbeopgyedo」 had the architectural concepts of matter, space and time, and that the stonework and stairs to help enter the slope are the time and place to which different Buddhist doctrines and Hwaeom theory have been applied, and have the value to recognize the past Bddha, Vairocana Buddha(毘盧遮那佛). Second, Oreum of Buseoksa Temple is continued in the nature with ‘Architectural Promenade’ and condensed as positive emotions, which is the value to recognize Sakyamuni Buddha(釋迦牟尼佛) symbolizing the present Buddha in the present time and space in which the nature in a visitor’s inborn unconsciousness and the one in Buseoksa Temple make mutual intersection. Third, the area of ‘Muryangsujeon(無量壽殿)’ in Buseoksa Temple has the value of indentifying Amitabha Buddha(阿彌陀佛) that symbolizes the conceptual value of achieving perfect realization and meeting in Pure Land. The Land of Happiness is the future time and space meaning the expectation that one intends to continue in the nature, and has the value to perceive Amitabha Buddha, the future Buddha. These three things have become the cultural and tourism resources in the modern society, with the intention of why Buseoksa Temple was constructed in Yeongju region in Unified Silla and with the unique awareness of ‘Samsebul’(the three Buddhas) among Hwaeokjong temples, and help us recall the ancient social aspects.

      • KCI등재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

        박은경 ( Park Eun-ky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3

        불전 장엄의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 채색이나 그림으로 불전의 안팎을 장식하는 것이다. 이에 수많은 벽화와 단청이 전국 사찰 곳곳에 존재하지만, 대부분 조선후기에 제작된 것이다. 그 이유는 특히 고려시대 몽고의 침략과 조선시대 임진왜란 등과 같은 전란으로 인해 사찰 건축이 피해를 많이 입었으며, 이에 따른 벽화도 불타고 소실되어 버렸다. 뿐만 아니라 사찰의 목조건물을 해체하고 중수·보수되는 과정에서 벽체가 교체되면서 벽화가 유실되거나 혹은 벽화가 덧칠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고려후기에 제작된 영주 부석사 조사당의 범·제석천 및 사천왕 벽화는 현존하는 사찰벽화 가운데 최고의 사례이자, 고려시대 유일한 불교도상 벽화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매우 귀중한 벽화자산이다.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부석사는 화엄십찰(華嚴十刹)로도 알려진 유서깊은 명찰로, 영주시를 지나 봉황산 중턱에 둥지를 틀고 있다. 부석사는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로, 지난 해 2018년 6월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사찰이다. 사찰의 경내 주불전인 무량수전을 지나 위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조사당 건물이 자리한다. 지금까지 부석사 조사당 벽화에 대해서는 부석사 및 조사당 수리보고서 등에서 언급되어 왔고, 제작기법이나 사천왕의 명칭 및 도상과 양식 등을 다루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기존의 견해와는 달리, 조사당 벽화의 도상을 재검토하고, 그 배치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에 관해 기존에 명명되고 있는 존상명에 대한 재검토와 더불어 불교미술의 방위관에 착안하여 배치 문제를 살펴보았다. 고려 및 조선시대 사천왕상 배치형식이 작품에 따라 달라지는 원인과 관련된 다양한 의견이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기준이 되는 향방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적어도 통일신라 석굴암이나 고려시대 불화는 동향법(東向法)이 적용된 사례라는 점이다. 그런데 부석사 조사당은 본존이 남쪽을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의 남향법(南向法)에 입각한 배치이다. 이 남향법은 조선시대에 보편적으로 많이 보이는 향법이나, 적어도 고려시대 부석사 조사당을 통해 남향법이 등장하였다는 사실이 주목 시 된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조사당 사천왕벽화의 서방의 용 모티브의 등장이나 남향법 배치 등을 통해 새로운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어떤 원리에 의해 향법이 작용한다는 사실은 조사당 벽화 도상의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ost representative way of decorating Buddhist halls is to adorn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s with colorings or paintings. Although numerous mural paintings and dancheong- a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re found in Buddhist buildings throughout the country, most of them were paint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temples were damaged and mural paintings were also burnt and destroyed by the invasion of Mongo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addition, many mural paintings were either lost or repainted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their walls during the process of dismantling and repairing the temples' wooden buildings. In this sense, the Pusok temple's mural paintings of Brahma, Indra Sakra and the Four Deva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re invaluable heritages in that they are not only the best examples of existing mural paintings but also the only examples of Buddhist mural paintings of the Goryeo dynasty. Pusok temple, founded in the 16th years of King Munmu(676) by the Buddhist monk Uisang, is a historically distinguished Buddhist temple and also known as one of ten Avatamska temples. It is a branch temple of Goun temple, the 16th parish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is temple has nestled in the middle of Bonghwang mountain after passing through Yongju city. Moreover, Pusok temple is currently a UNESCO World Heritage Sites under the name of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since June 2018. Passing through the main building of Pusok temple-Muryangsujeon, the Chosa-Hall is located a little above. Heretofore, previous researches on Chosa hall's mural paintings of Pusok temple have been mentioned in the repairing reports on Pusok temple and Chosa hall. In addition, these researches have been mainly dealt with production techniques, styles, icons and names. However, unlike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article focuses mainly on reviewing the icons and layout of the mural paintings of Chosa hall in Pusok temple This article attempts a new interpretation on the icons and layout of the mural paintings of Chosa hall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names and traditional method of arranging direction and location on Buddhist art history. It seems that the layout of painting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of the standard direction, though there were various explanations on changing arrangements of the Four Devas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Chosun dynasty, according to each art work. At least, Seokguram in the Unified Silla and Buddhist paintings of the Goryeo dynasty are the cases which apply the eastward method. However, paintings of Chosa hall in Pusok temple have been arranged based on the southward method in that the main Buddha status is facing south. It is important that this southward method is founded in the case of Chosa hall, Pusok temple during the Goryeo dynasty, since it was a common method of arranging temples' hall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course of this research, a new fact was founded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Western dragon motif and the southward arrangement of the Four Devas. Therefore, a certain rule influences on the Buddhist halls' direction and location, and this rule will be an important clue that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Chosa-Hall's mural paintings.

      • KCI등재

        부석사 입지의 풍수환경과 좌향에 관한 연구

        박정해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1 No.-

        본 연구는 부석사 입지와 축선이 꺾인 모습 속에 나타난 풍수적 특징 을 밝혀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석사는 우리 전통건축이 가지는 특 징 중에서도 입지환경에 따라 건축물 배치의 축이 다른 모습으로 나타 나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찰이다. 부석사의 주산과 안산은 아름다운 형상으로 서로 잘 어우러지는 모습 이다. 또한 핵심적인 의미를 가지고 사찰의 지향점과 특징적인 의미를 가진 혈처에 자리한 무량수전은 가장 건축적 특징을 간직한 모습이다. 부석사의 좌향은 호순신의 지리신법과 부합하지 않는 모습으로, 마치 봉황이 알을 품고 있는 모습과 닮아 있어 봉황포란형이라 할만하다. 이 와 같이 부석사는 다양한 지형조건을 반영하여 자연과 하나 되는 공간 구성을 이루어냈다. 특히 중요건축물을 혈처에 배치하고 자연지형에 순 응토록 축선에 변화를 실천하는 모습 속에는 당시의 시대상과 경제적 특징까지를 반영하는 모습이다. 더 나아가 입지가 갖는 특징을 실천하 는데 있어 풍수는 가장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In this study, the reason why the axis of Muryangsu-jeon(無量壽殿) which is deflected from main axis of Buseoksa Temple(浮石寺) is traced with the view of Feng shui features. Buseoksa Temple is a typical one that supports the possibility of setting different building axis based on its location environment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front and backward mountains, so called Ju-san and Ahn-san in Feng shui have gorgeous shape and coordination with each other. And Murangsu-jeon is located on the most accurate acupuncture point of backward mountain chain, which was implicitly pursued as ideal temple location. The aspect of Buseoksa is not applied to the principle,Jirishinbeop (地理新法) written by Ho Sun-shin. But the entire shape of mountain chain is, so to speak, Bong-hwang-po-rahn(鳳 凰抱卵) which means that the oriental phoenix incubates egg. According to topography environment, Buseoksa Temple is located on the acupuncture point of ground and positively applied to a curved axis. So, by considering various environment conditions, Buseoksa Temple was planned to coordinate with nature, and Feng shui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select location, to set aspect and to organize architectural space.

      • KCI등재

        의상(義湘)의 행로(行路)와 사상적 변화에 대한 고찰

        석길암(Gil Am Seo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9

        본 논문에서는 의상의 생애를 지엄과의 만남, 귀국의 동기, 부석사행, 그리고 부석사 시절의 사상적 경향과 특징이라는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검토의 결과를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첫 번째는 스승인 지엄과의 만남은 유식에서 화엄가로의 사상적 전환을 의미하는 사건이다. 두 번째는 중국 화엄교학의 기초자인 지엄의 입적 및 동문의 사제인 법장과의 갈등을 계기로 이루어진 귀국인데, 이 귀국은 지엄 이후 의상과 법장을 대표로 하는 海東華嚴敎學과 中國華嚴敎學의 사상적 분기점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는 浮石寺行인데, 이 부석사행은 의상이 중국 화엄의 전래자가 아니라 해동화엄사상의 開祖로 나아가는 계기로 작용한 사건이다. 가정이지만 의상이 왕경인 경주 인근에서 주석하였다면, 이후 의상계 화엄 혹은 해동화엄이라 불리는 독특한 사상적 전통의 형성이 가능했을 것이라고 단언하기는 쉽지 않다. 익히 알려진 것처럼 의상계의 문헌들은 대부분 이두를 사용하여 작성되었고, 스승과 제자로 이어지는 깨달음의 전승방식 등 당시의 신라 불교계 혹은 중국 화엄종과는 대단히 다른 독특한 사상전통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독특한 전통은 좀더 오픈되어 있었을 신라 왕경의 불교계에서 독자적으로 형성되기는 조금 무리이지 않았을까 하는 것이 논자의 의견이다. 또한 의상의 제자들이 좀더 당시 王京 경주의 주류불교의 흐름에 익숙했던 王京 출신의 상류층으로 구성되었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의상계만의 독특한 전통은 역시 형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곧 부석사행은 일정 부분 신라 왕경 지역 불교계의 흐름과 격리되는 결과를 초래했으며, 그것은 역으로 의상계 화엄이라는 독특한 전통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네 번째는 부석사 시절의 독특한 사상적 경향에 대해서인데, 부석사 시절의 사상에는 북종선과 지론종 그리고 삼계교의 사상적 영향이 훨씬 더 구체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의상과 그의 직전제자들에게서는 지론종 그 중에서도 대단히 특징적이고 예외적인 흐름으로 생각되는 지론종의 『七宗禮法』및 교리집성문헌 Φ180의 영향이 보인다. 이들 예외적이고 독특한, 그리고 지엄의 입적을 전후해서 의상에게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이는 지론종 一派의 사상은, 부석사 시절 제자들에게 사상이 전승되는 동안 더욱 구체화되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계기로 성기사상이 더욱 강화된 것은 물론 구제론적이고 구체적이면서 실천적인 화엄의 형성이라는 방향으로 나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것은 동아시의 불교사상의 한 주류를 이루는 화엄사상의 성립과 그 양대 조류의 분기점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paper, I divided Uisang(義湘)`s life into four periods: his visiting Zhiyan (智儼), his motive of returning to homeland, his entering Buseoksa(浮石寺) Temple, and his ideological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in Buseoksa Temple. The brief result is as follows: First, his visiting his teacher of Zhiyan was an ideologically transformative event which changed the Weishi(唯識) scholar into Huayan(華嚴). Second, his returning to homeland, which was brought by the death of Zhiyan, the drafter of Chinese Huayan Thoughts, and by conflict with Fazang(法藏), a fellow student under Zhiyan, could be a ideological watershed, after Zhiyan, between Korean Hwa-eom Thoughts with Uisang as the representative and Chinese Huayan with Fazang. Third, his entering Buseoksa Temple was an event that invested him with the founder of Korean Hwa-eom Thoughts, not the successor of Chinese Huayan. If he had dwelled near the capital city of Gyeongju, we cannot assert easily that the unique ideological tradition, which is called Korean Hwa-eom or Uisang-line Hwa-eom, could have been able to be formed. As is generally known, Uisang-line masters wrote most their books in Idu(吏讀) system, which is old Korean notation with Chinese characters before inventing Korean own characters, and they formed specific tradition including the way of which enlightenment was passed down from a teacher to a student, which was very different from Silla buddhism or Chinese Huayan School in that time. They might have had difficulties to form such specific tradition by themselves, I think, if they had been within buddhist world near the capital city which had been even opener than Buseoksa Temple. Also, I think, if Uisang`s students had been from the high class, more familiar with main stream of Buddhism of the capital city, they could not have built their own specific tradition as we know now. In a word, Uisang`s entering Buseoksa Temple brought about a result of isolation from Buddhist tendency of the capital city to some degree, and inversely, this isolation would be benefit for them to form their unique tradition of Uisang-line Hwa-eom. Fourth, his ideological tendency in Buseoksa Temple was characterized as much more concretized ideological influence of Northern Zen, Dilun(地論) School, and Sanjiejiao(三階敎). Especially, Uisang and his direct students were affected from Dilun School, and their thoughts show influence from the Qizonglifa(七宗禮法, the Seven Kinds of Worship) and the Collected Texts of Doctrine Φ180 which are taken as extraordinary and exceptional Dilun texts. These exceptional and specific thoughts of one sect of Dilun School seem to exert influence on Uisang before or after Zhiyan`s passing away, and seem to more concretize while being transmitted to his students at Buseoksa Temple. With this as a moment, they was not only thought to tighten their thoughts of Nature Arising(性起) up, but also to build their soteriogical, concrete, and practical Hae-eom thoughts. These established, we can see, specific Hwa-eom thought which became mainstream of East Asian buddhist thoughts, and played a role of a sort of watershed between Fazang line and Uisang line, two major trends of East Asian Huayan thoughts.

      • KCI등재

        朝鮮後半期佛畵特輯 : 浮石寺 三身三世佛掛佛圖 硏究

        김선희 ( Seon Hee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2 강좌미술사 Vol.39 No.-

        부석사 <삼신삼세불괘불도>는 현재 2점이 알려져 있다. 한 점은 1684년 작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다른 한 점은 부석사에서 봉안하고 있는 1745년 작 <삼신삼세불괘불도>로 1684년 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을 바탕으로 하여 조성되었다. 부석사 <삼신삼세불괘불도>는 조선시대 불교회화의 여러 주제들 가운데 하나로서, 임란 이후 비로자나불 위주의 화엄사상과 석가모니불 중심의 법화사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도상으로, 첫째, 부석사 괘불도는 한 화면을 상·하 2 단 배치법을 보여주는 구성으로서, 상단의 삼신불이 하단 석가불 위주의 영산회도를 보완해주는 독특한 구도이다. 비로자나불 중심의 삼신불과 석가불 중심의 삼세불이 결합된 오불회도의 도상특징은 조선 전기로부터 시작되어 부석사 괘불도에서 정점을 이룬다. 1684년과 1745년에 조성한 두 점의 부석사 괘불도는 규모나 작품성에 있어 당대를 대표할 수 있는 불화로 17-18 세기 조선조 괘불화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둘째, 1745년 작 부석사 괘불도는 1684년 작 괘불도를 바탕으로 하여 사상적인 면에서는 다를 바 없다고 하겠다. 그러나 구도, 형태, 색채에 이르기까지 양식적인 면에서 차이를 분명하게 나타내고 있어, 18세기 중엽으로의 변화를 보여주는 불화로서 그 가치가 평가된다. 셋째, 참여화사로는 서기(瑞氣)· 자인(自仁)·유성(有誠)등 15 인이 동참하였음이 파악된다. 그 중 ``자인’은 봉정사 감로왕도(감로왕 도) 조성 시 수석 화원으로 활약하였고, 동참 화원 ``유성’은 통도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임한(임한)’의 화풍을 계승하여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이렇듯 괘불도의 화기를 통하여 두 괘불도 간의 관련성이 짐작된다. There are two known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三身三世佛 掛佛圖) at the Buseok-sa Temple (浮石寺). One was created in 1684 and is kept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other was created in 1745 and is currently enshrined at the Buseok-sa Temple. The latter was created based on the former in 1684. The icon of the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at the Buseok-sa Temple is one of various themes of Buddhist art in the Chosun Dynasty, and represents compositely the Hua-Yen thought centering on Vairocana Buddha and the lotus-sutra thought centering on Sakyamuni Buddha. In addition,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through the present study. First, Buseok-sa Buddhist banner paintings (畵記), when ton, and the, respectage c,ner prepresentatage works ina and mpletcrtistry, and I Buddhvndudhie as historical materials inaresecrch on Buddhist banner paintings in the 17th-18th centuries of the Chosun Dynasty. The two the Buseok-sa Buddhist banner paintings created in 1745 was based on the painting created in 1684, so it shares the thought of the earlier one. However, it has clear distinctions in style from composition to form and color. In this sense, this work is valued as a Buddhist painting showing transition to the mid 18th century. Third, it was found that 13 monk painters were involved in these paintings including Seogi (瑞氣), Jain (自仁) and Yuseong (有誠). Among them, ‘Jain’ worked as the chief painter in creating the Bongjeong-sa Amita-raja painting, and co-worker ‘Yuseong’ acted in the Gyeongsang-do region, inheriting the painting style of ‘Imhan (任閑)’ who worked mainly at the Tongdo-sa Temple. These painting records of the Buddhist banner paintings suggest association between the two paintings.

      • KCI등재

        부석사 가람배치 변화에 관한 고찰

        오세덕(Oh, Se-deok) 신라사학회 2013 新羅史學報 Vol.0 No.28

        Buseoks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in Hwaeom study of Korea known to be established by Uisang. It is one of the important temples in understanding the Korean Buddhist building construction history.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foundation by Uisang,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changes in the process of continuation of more than 1,000 years. But, it keeps main foundational lines relatively well.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changes of temple alignment of Buseoksa based on extensive research results. In chapterⅡ, this study reviewed the process of location selection in the initial period of foundation with its social background. As a result, this study conjectured that the perspective of location of Jisangsa temple of China, where the founder Uisang inherited Hwaeom study during his overseas study period in Tangit, influenced the foundation of Buseoksa building. And it is probable that the original form of the temple was a mountain temple like Namseonsa and Jisangsa of China rather than a large scale temple as in the present. ChapterⅢ reviewed the change of temple alignment from Unified Silla to Goryeo period through the examination of founding period with remains like Muryangsujeon bottom stylobate, stone light, stone pagoda, surface stone subsidiary material of stylobate, Dangganjiju and large stone stylobate. In particular, while the existing studies on Muryangsujeon bottom stylobate style, this study suggested a possibility that it would be found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which is later than the existing argument. And, this study also conjectured that the initial foundation of large stone stylobate, the greatest features of Buseoksa would be early Goryeo like Geodonsa temple site, which is later than the existing view. ChapterⅣ reviewed the changes of temple alignment of Buseoksa in Joseon based on more practical literary documents and resources like various Gimun, Hyeonpan and Buseoksa Drawing by Gyeomjae Jeong Seon. 부석사는 한국의 화엄학을 대표하는 사찰로 의상법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 불교건축사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찰 중 하나이다. 특히 의상의 초창 이후 1000년 이상의 법등을 이어오는 과정에서 수많은 변화가 발생하였지만 비교적 온전히 가람의 주축선을 유지하고 있는 사찰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 동안의 많은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부석사의 가람배치 변화상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부석사의 초창시기 가람의 입지선정 과정과 사회적인 배경을 검토해 본 결과 창건주 의상이 당나라 유학을 통해 화엄교학을 전수 받은 중국의 지상사 입지관이 어느 정도 투영된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또한 현재 같은 대규모의 사찰이 아닌 중국의 남선사와 지상사 같은 산지가람의 사찰로 초창되었을 가능성을 높았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부석사에 남아 있는 무량수전 하부 기단, 초석, 석등, 석탑, 가구식기단의 면석부재, 당간지주, 대석단 등의 석조유물 시기성 제고를 통해 통일신라~고려시대까지 가람배치 변화상을 검토해 보았다. 특히 무량수전 하부 기단형식이 기존의 연구를 통해 통일신라시대 제작되었다는 견해가 제시되었으나 본고에서는 기존의 견해보다 늦은 고려시대 초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그리고 부석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대석단의 초창시기도 기존의 견해보다 고려초기 원융국사의 중창 때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조선후기 부석사도와 순흥읍지, 선비의 일기 등을 통해 부석사 가람배치 변화를 살펴본 결과 19세기까지 통일신라시대 완성된 가람의 주축선에 큰 변화없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었으며, 시대적인 경향을 반영한 많은 부속전각이 세워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조각승 세균(世均)의 목조광배 연구 -봉화 축서사·영주 부석사의 목조광배를 중심으로-

        김소정(Kim, So-ju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3 美術史學 Vol.- No.45

        목조광배(木造光背)는 17-18세기에 등장한 새로운 불교 미술품이다. 목조광배가 등장한 17세기는 사찰에 대대적인 재건불사가 행해지던 시기로 불전과 불상이 집중적으로 재건되었다. 특히, 불전 내부가 이전시기와는 달리 예배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예경대상이었던 불상과 그를 장엄하던 광배에도 변화가 발생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목조광배가 등장하게 되었다. 더불어 당시는 조각승의 개인역량이 높았던 시기로 조각승들이 불교 미술품에 새로운 시도를 많이 했다. 그 대표적인 작품이 바로 목각설법상(木刻說法像)이다. 목각설법상은 목조광배와 동시기에 함께 유행했던 작품이었는데, 주목할 점은 두 작품의 후원자와 제작자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목각설법상을 제작했던 집단은 조선 후기 새로운 양식의 불교 미술품 제작에 적극적이었다. 그들의 영향 아래에서 목조광배가 처음 제작되었던 것이다. 목조광배는 자료와 기록의 부재로 인해, 제작시기와 조각승이 밝혀진 예가 몇 점 없어, 막연히 조선시대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해왔다. 그렇지만, 목조광배가 가지고 있는 특징들과 조각승의 독창적인 기법 등을 통해 제작시기와 조각승을 충분히 추정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의 목조광배이다. 〈봉화 축서사상〉의 목조광배는 묵서명을 통해 1730년 세균(世均)에 의해 제작된 것임이 밝혀졌다. 반면 〈영주 부석사 상〉의 목조광배는 관련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조선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해왔다. 그런데 〈봉화 축서사 상〉의 목조광배를 제작했던 세균이 인근에 위치한 〈영주 부석사 상〉의 목조광배에도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는 특징이 다수 확인됨에 따라, 목조광배의 제작시기와 조각승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제시할 수 있었다.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의 「개금기」(1723)와 봉화 축서사 목조광배의 묵서명(1730)의 기록에서 조각승을 포함해 시주자, 공덕주 등 동일인물이 다수 확인되어 두 사찰이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재료의 사용과 제작방법 그리고 불전 내부 장엄 요소의 유사성 등은 두 목조광배가 유사한 시기에 동일한 조각승의 영향을 받았음을 증명한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영주 부석사의 목조광배가 1723년 불상이 개금될 당시 세균이 새롭게 제작하였거나 또는 기존의 광배를 보수하는데 깊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았다. 이렇듯, 두 사찰에서 보이는 목조광배는 외형적으로는 공통분모를 찾기 어려우나, 서로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영주 부석사의 「개금기」(1723)에 목각설법상의 제작을 맡았던 신경의 제자들이 참여하고 있는 모습이 확인되어 목조광배의 제작에 신경의 영향력이 행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18세기까지도 목조광배의 제작에 신경 유파가 참여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들을 통해 목조광배의 제작집단까지도 추정해 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영주 부석사와 봉화 축서사에 설치된 목조광배는 조각승의 뛰어난 역량을 보여주면서 나아가 목조광배의 제작집단까지 유추 가능하게 하는 작품으로 그 가치가 상당하다. The wooden mandorla emerged as a new form of Buddhist art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More specifically, the Korean Buddhist world of the 17th century saw the first use of wooden mandorlas in the reproduction and restoration of Buddhist prayer halls and statues destroyed during the foreign invasions of Korea in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The restoration movement resulted in changes to the interior of Buddhist temple buildings, including the enshrinement of Buddhist statues with mandorlas inside them, creating a friendlier environment for worshippers. One of the more distinctive features of these changes was a new style of wooden mandorla that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rise of a new generation of Buddhist monk-artists who were more interested in their artisanship and the creation of new styles for their works. The changed environment also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wooden statues of the Buddha delivering a sermon, which became popular in the same period as the new mandorla. Similarly, both types of work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artists who created them as well as their patrons. The makers of the new Wooden Altarpiece were also keenly interested in creating new styles of works, contributing to the appearance of the new wooden mandorlas, which are now regarded as a valuable resource for studies on the trends of Buddhist art and the society of that period. There is, unfortunately, a severe lack of records and documents related with the wooden mandorlas, leaving the identity of their creator and their production date unknown. Despite the shortage of direct evidence, one can conjecture when and by whom each mandorla was made through a close study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including the carving techniques, of each work. Two of the greatest examples are the wooden mandorlas surrounding the head of the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of Chukseosa Temple and the Clay Seated Buddha of Buseoksa Temple. The mandorla of the Buddha of Chukseosa Temple bears an ink inscription stating that it was made by the monk-sculptor Segyun in 1730. As for the mandorla of the Buddha statue at Buseoksa Temple, no record remains of it, while the details suggest that it is a work of the Joseon period. Art historians recently identified details which show that Segyun, the maker of the Chukseosa mandorla, als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Buseoksa mandorla, thus assisting them in their conjectures about the production date and the identity of the artist of the latter. The Record of Re-gilding(1723) connected with the Clay Seated Buddha of Buseoksa Temple and the ink inscription(1730) on the wooden mandorla of Chukseosa Temple contain the names of the people related with the production of the two statues, including the patrons and artists, revealing that the two temples, Buseoksa and Chukseosa, were closely related. In addition, the use of the same material and carving techniques and the similarities in the adornment of the interiors of the halls enshrining the statues show that the two wooden mandorlas were made by the same carver in the same perio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details,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wooden mandorla of Buseoksa Temple was made by the monk-woodworker Segyun in 1723 when the statue with mandorla was re-gil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