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구려 복합문 와당의 출현과 형성 과정

        김희찬(KIM Hee-chan) 고구려발해학회 2011 고구려발해연구 Vol.39 No.-

        본 논문에서는 고구려 복합문 와당의 출현 과정과 지역적 특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복합문 와당은 선행하고 있었던 구획선 연화문 와당과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출현하고 있었으며, 평양지역에 국한되어 유행하고 있었다는 지역성도 동시에 내포하고 있었다. 즉 구획선 연화문 와당은 평양 천도 이후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구획선이 소멸되면서 복합문 와당과 구획선이 없는 연화문 와당으로 분화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복합문 와당은 문양 구성이 독립적이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양의 개별성은 連瓣形와당에서는 파생될 수 없는 형태이기 때문에 그 출현 과정이 외적이기 보다는 내적 요인에 기인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고구려 연화문 와당에 표현된 연화의 형태는 연판이 아닌 연봉오리를 형상화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문양의 개별성에 바탕을 두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양의 개별성이 복합문 와당으로 전환될 수 있었던 토대가 되었던 것이다. 또한 구획선 연화문 와당은 평양 천도 이후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구획선이 소멸됨과 동시에 연화의 외형도 杏仁形에서 船形과 線刻形연화로의 형태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선각형 연화는 복합문 와당과, 선형 연화는 구획선이 없는 연화문 와당과 결합하고 있었다. 그런데 평양지역에서 출현한 복합문 와당과 구획선이 없는 연화문 와당이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집안지역의 경우, 그 수용 과정이 대단히 선택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선형 연화와 결합된 구획선이 없는 연화문와당은 일정부분 수용되고 있었지만 복합문 와당의 경우에는 거의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즉 구획선 연화문 와당은 구획선이 없는 연화문 와당과 결합하여 행인형 연화를 대신하여 선형 연화가 채택되는 등 과도기적 형태로 이행되고 있었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6세기 초엽 경에는 선형 연화로 대표되는 구획선이 없는 연화문 와당이 유행하게 되면서 구획선 연화문 와당은 점차 소멸되고 있었다. 따라서 구획선이 없는 연화문 와당은 평양지역에서 출현한 형태이기는 하지만 집안과 평양지역 모두에서 유행하고 있었던 반면에 복합문 와당은 집안지역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평양지역에 국한된 채, 고구려 후기까지 지역성이 강한 와당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고구려 와당은 집안과 평양지역이라는 이원적인 지역 구도를 형성하면서 진행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On investigation of the appearance process and the regional characterization of roof-end tiles with the composite designs in Koguryo, I come to two conclusions: (1) Koguryo’s roof-end tiles with the composite design were appeared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roofend tiles with dividing line lotus design, (2) Koguryo’s roof-end tiles with the composite design were prevailed in Pyungyang area only.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Pyangyang, roof-end tiles with dividing lines branched into roof-end tiles with composite designs and roof-end tiles with non-dividing lines. Especially the roof-end tiles with composite designs had independent individual designs in the face of roof-end tiles. As these independent individual designs couldn’t be derived from lotus petal designs, I guess that the main cause of the appearance of these independent individual designs must be inner factor. And the lotus flower in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embodied lotus bud not lotus petal, that it’s shape was expressed in stereoscopic. Therefore the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were appeared as independent individual designs from the beginning, and this tradition became the basis to develop to composite designs. The composite design roof-end tiles with carved-in-line lotus flower also, like carvedin-relief lotus flower, expressed individual lotus bud. And although the basic form is 4+4 type of carved-in-relief + carved-in-line lotus flower, they could be divided into lotus composite design and honeysuckle composite design on account of their character of independence.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Pyungyang, dividing lines were disappeared and the appearance of lotus changed from apricot stone type to carved-in-line lotus type at the same time. Then the carved-in-line lotus combine with the roof-end tiles with composite designs and linear lotus combine with the roof-end tiles with non-dividing line. After the middle of 5th century in Pyungyang area, after all, the roof-end tiles with dividing line which were prevailed model traditionally coexisted with the roof-end tiles with composite design and non-dividing line which were appeared newly. In the process the modes of roof-end tiles were changed gradually. But, in Ji’an area the roof-end tiles with composite design and non-dividing line were adopted selectively. Although, some of the roof-end tiles with non-dividing line which combine with linear lotus were adopted in Ji’an area, the roof-end tiles with composite design were not adopted. While the roof-end tiles with non-dividing line were prevailed in Ji’an area, the roof-end tiles with dividing line were disappeared gradually in the early 6th century. In conclusion, the roof-end tiles with non-dividing line were prevailed in Pyungyang and Ji’an area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the roof-end tiles with composite design were restricted to Pyungyang area until late Koguryo Dynasty. So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roof-end tiles in Koguryo were used in the dualistic structure of Pyungyang and Ji’an area.

      • KCI등재

        중등 국어 교사의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 양상 연구

        김동욱(Gim, Dong-uk),장은주(Jang, Eun-ju)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5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중등 국어 교사의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 양상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 국어과 교사 12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을 어떻게 실행하였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었는지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지속적 비교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범주화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국어과 교사들의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 양상은 1) 수업 목표가 복합양식 문식 능력 신장과 관련이 있으며, 복합양식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 수업 유형, 2) 수업 목표가 복합양식 문식 능력 신장과 관련이 없지만 복합양식 텍스트를 활용하여 표현보다는 이해에 중점을 둔 수업 유형, 3) 수업 목표가 복합양식 문식 능력 신장과 관련이 없지만 복합양식 텍스트를 활용하여 이해보다는 표현에 중점을 둔 수업 유형, 4) 수업 목표가 복합양식 문식 능력 신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복합양식 텍스트를 제작하거나 생산하는 데 중점을 둔 수업 유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둘째, 중등 국어과 교사들이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 중 겪는 어려움은 교수자, 학습자, 수업 실행, 평가, 교수·학습 환경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중등 국어과 교사들의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을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multimodal literacy instruction(hereafter MLI) on Korean language classes at secondary schools. In doing so, 129 korean teachers at secondary schools were asked to explain MLI and teaching difficulties in their Korean language class. The MLI of Korean teachers categorized as followed; A type were aimed explanding of multimodal literacy therfore focused on understanding multimodal text; B type aimed were not aimed explanding of multimodal literacy but focused on understanding multimodal text; C type aimed were not aimed explanding of multimodal literacy but focused on producing multimodal text; D type aimed were aimed explanding of multimodal literacy therfore focused on producing multimodal text. And the difficulties of MLI on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instructor, student, instructing, evaluating,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From the findings, this paper suggest that Korean teachers needs supporting for MLI in various ways.

      • KCI등재

        북한 문법의 복합문 연구 -조선어리론문법과 조선어학전서를 중심으로-

        김건희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lanation of the complex sentences whose system are recently established in the Sentence-Theory of Joseoneorironmunbeop and Joseoneohakjeonseo of North Korean grammar. The terminology of complex sentence such as the ‘tanil-mun, hwaktae-mun, jeonkae-mun, naepo-mu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in the viewpoint of consistency, balance, validity, (1) the basic notion, (2) composition unit, (3) type classification of the two reference book are dealt with. While there is one composition unit, ‘tanil-mun’ and the type classification ‘uijon-mun : judo-mun’ in the complex sentences of Joseoneorironmunbeop(1987), there are various composition units, ‘bu, gu, jeol’ and the specificated type classification ‘jeonkae-mun composed of bu’, ‘naepo-mun composed of gu’, ‘bokhap-mun composed of jeol’ in the complex sentences of Joseoneohakjeonseo(2005).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sentences of North Korean grammar is summarized as ‘the opposing classification polarization of composition unit and type class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어리론문법과 조선어학전서를 토대로 비교적 최근 그 체계가 정립되기 시작한 ‘북한 문법의 복합문’에 대해 북한 문법 내적으로 어떻게 기술되고 있는지 소개하고 논평하는 것이다. ‘단일문, 확대문, 전개문, 내포문’ 등 용어부터 두 문법서의 복합문 체계가 달라서 남한 문법의 시각으로 비판하기보다는 체계 자체의 ‘일관성, 균형성, 타당성’을 중심으로 일반적인 복합문의 핵심 주제인 ‘기본 개념, 구성 단위’와 ‘유형 분류’에 대해 두 문법서의 기술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먼저 문장론 (1987)에서는 복합문의 구성 단위를 ‘단일문’ 하나로 설정하고 조선어문장론 (2005)에서는 ‘부, 구, 절’로 다양하게 설정한다. 다음으로 문장론 (1987)에서는 복합문의 유형을 ‘의존문-주도문’(연결의 성격)으로 설정하고 거의 대부분의 복합문을 ‘접속 복합문’(연결의 방식)으로 규정한다. 반면에 조선어문장론 (2005)에서는 ‘부로 구성되는 전개문’, ‘구로 구성되는 내포문’, ‘절로 구성되는 복합문’으로 복합문의 종류 자체를 세분화한다. 이러한 북한 문법 복합문 기술에서 시사하는 ‘구성 단위와 유형 분류 양극화’ 문제에 대해 추후 남한 문법의 복합문과 비교, 대조하는 연구에서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개별논문 : 복합 문서 처리 전략 검사 도구의 타당도 검증 및 전략 수행 양상 분석 -학생의 복합 문서 요약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최숙기 ( Sook Ki Choi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1

        이 연구의 목적은 복합 문서 기반의 정보 요약 과제를 수행하는 중학생들의 복합 문서 처리 전략의 요인을 탐색하고, 전략 수행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총 497명을 대상으로 하여 지구 온난화를 주제로 한 5편의 글을 읽도록 한 뒤 정보를 요약하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복합 문서 처리 전략 검사지를 작성하였고 결과를 토대로 하여 요인 분석을 통해 전략 요인을 추출하고, 학년과 성별에 따른 전략 수행 양상을 탐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중학생의 복합 문서 독해 전략을 구성하는 요인은 ‘텍스트 간 정교화’와 ‘정보 축적’ 의 2개의 전략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정보 축적 전략과 텍스트 간 정보 정교화 전략 간에는 .7이상의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들의 복합 문서 처리 전략 수준은 약 3.6이상으로 보통 수준 이상의 사용 양상을 보였고 성별 차이는 없었으며 1학년이 2학년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전략 사용 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복합 문서의 독해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정교화 전략 사용 수준이 높아질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 유의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constructs of multiple-text comprehension strategies in a sample of 497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ad 5 texts on a climate change and responded to a Multiple-text strategy inventory(MTSI) developed by Braten & Strømsø(2011) focusing on strategic multiple-text processing in summary writing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many findings. 1) Two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first factor representing the accumulation of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different texts and first factor representing cross-text elaboration. 2)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that self reported accumulation and cross-text elaboration strategies were correlated highly and positively(r>.07). 3)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used multiple-text processing strategy commonly(M≥3.6) and the multiple-text strategy use level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as above normally. 4)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and was seen that 7th grade students more used multiple-text strategies than 8th grade students significantly.

      • KCI등재

        고구려 와당의 형태별 전개과정과 지역적 특성

        김희찬(Kim Hee chan) 백산학회 2016 白山學報 Vol.- No.104

        고구려 와당은 문양의 형태에 따라 권운문 와당, 연화문 와당, 복합문 와당, 인동문 와당, 귀면문 와당 그리고 기타 와당 등 6가지 형태로 대분류될 수 있으며, 그 전개과정은 평양 천도 이전부터 국내성과 평양지역에 따라 각기 다르게 진행되고 있었다. 그중에서 권운문 와당, 인동문 와당, 귀면문 와당은 각각 단일한 하나의 형태였던 것에 비하여 연화문 와당은 구획선 연화문 와당, 구획선 없는 연화문 와당, 연판문 와당, 선각형 연화문 와당 등 4가지 형태로, 복합문 와당은 연화복합문 와당, 인동복합문 와당, 상하복합문 와당 등 3가지 형태로 세분될 수 있었다. 고구려 와당은 4세기 대 국내성지역을 중심으로 독창적인 권운문 와당과 구획선 연화문 와당의 형태로 출현한 이후, 점차 주변지역으로 확산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평양지역에서는 새롭게 유입되는 권운문 와당을 전혀 수용하지 않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구획선 연화문 와당의 경우에도 평양지역의 造瓦 전통을 결합시킨 4구획 연화문 와당의 형태로 수용하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평양 천도 이전의 평양지역은 국내성지역에 비해 비교적 독립적이고 배타적인 성격이 강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지만 평양 천도 이후에는 그 전개 양상이 확연히 달라지고 있었다. 즉, 국내성지역에서는 주변지역에서 새롭게 유입되는 와당을 전혀 수용하지 않은 채, 자기 지역에서 새롭게 출현한 구획선 없는 연화문 와당, 인동문 와당만을 고집할 정도로 배타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에 비해 평양지역에서는 국내성지역을 포함한 주변지역의 모든 와당들을 적극 수용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와당들을 상호 융합시켜 새로운 형태의 와당을 만들어 내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평양 천도 이후 국내성지역이 주변지역의 외래적인 와당을 수용하지 않았을 정도로 배타성이 강했던 반면에 평양지역은 주변의 모든 문화를 적극 수용할 만큼 개방적이고 다원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고구려 와당은 출현 당시부터 국내성과 평양지역이라는 이원적 지역 구도를 형성하면서 고구려 후기까지 지속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Roof-end tiles in Koguryo can be classified as 6 categories : rolling cloud design, lotus flower design, composite designs, honeysuckle design, monster-mask design, and the res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se roof-end tiles in Pyungyang and Guknaeseong area were different even before the capital transfer to Pyungyang. The mode of three roof-end tiles like rolling cloud design, honeysuckle design and monster-mask design was only one. But roof-end tiles with lotus flower design can be divided 4 modes : roof-end tiles with dividing line, non-dividing line, lotus petal design and boat type. The roof-end tile with composite design can be divided 3 modes: composite lotus design, composite honeysuckle design, composite up-and-down design. As the inventive rolling cloud design roof-end tiles and roof-end tiles with diving line appeared in Guknaeseong area in 4th century in Koguryo, they were being spreaded surrounding areas. But roof-end tiles with rolling cloud design was not accepted in Pyungang area. Furthermore roof-end tiles with diving line was accepted as 4 dividing lines type connected with the production method in Pyungang area. So we can conclude that Pyungyang area was more independent and exclusive than Guknaeseong area before the capital transfer to Pyungyang. But after the capital transfer to Pyungyang the development process changed definitely. In Guknaeseong area, new trends introduced from surrounding areas were never accepted. They persisted lotus roof-end tiles with non-dividing line and honeysuckle design that were originally appeared in their region. But in Pyungyang area they actively accepted all of the modes from surrounding areas include Guknaeseong and made new modes through blending these different types. From the fact we can conclude that Guknaeseong had a closed nature even they did not accept outside culture, Pyungyang had openness and pluralism to accept outside culture. After all the dualistic development process of the roof-end tiles in Koguryo that based on the two region Guknaeseong and Pyungyang and that started from the appearance of roof-end tiles continued until the end of Koguryo Dynasty.

      • KCI등재후보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

        정현선(Jeong Hyeon s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2

        이 논문에서는 문식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인 대면, 지면, 화면에서 일어나는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 번째로는 학생들 스스로 문식 활동에 대해 되돌아보는 성찰을 위해, 문식 활동 일지 작성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는 지면 공간을 기반으로 한 복합양식 텍스트인 그림책에 대해 행동유도성에 초점을 두어 독자로서 반응하고 감상하는 읽기 활동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사진을 찍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 학생이 직접 시각적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를 표현하고 소통하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자신의 문식 활동에 대해 기록하는 일지 작성은 학생들로 하여금 청소년들의 평균적인 매체 이용 통계 결과와 비교하여 자신의 매체 문식 활동에 대해 되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활동이 될 수 있다. 또한 그림책 읽기 활동은 지면 위에 펼쳐진 글과 그림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독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방식을 학생들이 자연스럽고 즐겁게 경험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활동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그림책에 대한 반응과 감상을 이끌어내기 위한 교사의 전략적 질문과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학생들이 쓰기를 위해 직접 시각적 이미지를 생산하는 활동은 쓰기의 내용 생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자신이 생성한 내용과 표현인 사진이나 그림을 글에 포함하여 복합양식 텍스트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학생의 쓰기 표현의 향상은 시각화 전략과 더불어, 학생의 글에 대한 교사의 구두 반응이 더해질 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the meanings and methods of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occurring face-to-face, on the page, and on the screen are discussed, as the spaces where literacy activities take place. First,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the suggestion of writing literacy activity journals to provide introspection enabling them to look back on their own literacy activities. Second, focusing on affordances, kinds of reading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interact through reaction and appreciation processes were presented, with implementation of picture books containing multimodal text based on the page space. Finally,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create visual images on their own via taking pictures or drawing objects and expressing multimodal text with them were presented. Writing activity journals, wherein children and teenagers make a record about their literacy activities, can be an important activity in that it would provide basic data enabling the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media literacy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statistics on the average use of the media. In addition,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can be meaningful in that they enable students to enjoy experiencing the way the text and pictures stretched across the papers creat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induce the reader's behavior. These activities need to be carried out with a focus on strategic questions and activities to derive reactions about and appreciation of the picture books from th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ies wherein the students produce visual images for their writing on their own can promote the creation of content for the associated writing, and would be helpful in the students' transporting of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o better express multimodal texts by way of including pictures and drawings,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they created by themselves, inside of their writing.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mprovement in students' writing ability can only be achieved with the teacher's oral response on top of the visualization strategy.

      • KCI등재

        공익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에서의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

        김도연 한국국어교육학회 2023 새국어교육 Vol.- No.13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공익 광고를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복합양식 문식성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방법: 공익 광고를 활용한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복합양식 문식성의 개념과 복합양식 문식성 역량의 구성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후 국가에서 고시한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 <한국어(KSL) 교육과정>, 그리고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한국어교육에서의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내용 체계를 도출하였다. 결과: 지식과 기술, 태도를 융합할 수 있는 복합양식 문식성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익 광고를 활용한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방안을 구안하였다. 결론: 공익 광고를 활용한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은 매체 문식성에서 요구하는 중핵적인 능력을 길러 줄 수 있으며 나아가 복합양식을 사용하여 학교 안팎에서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 plans based on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to enhance multimodal literacy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Methods: To propose education plans for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multimodal literacy and its components. Then, the study analyzed the <Korean Standard Curriculum>, <Korean as a Second Language(KSL) Curriculum>, and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mandated by the governmen to derive a framework for multimodal literacy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class model to improve multimodal literacy, which can integrat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Based on this model, this study came up with a teaching learning method for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Conclusio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would help students to develop the core skills required for media literacy, and ultimately, students may use multimodality and develop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inside and outside school.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경화(KyoungHwa Kim),석혜은(HyeEun Se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308편의 연구들을 발표된 시기별로 양적 변화추이를 살펴본 후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연구는1990년부터 발표되었고,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된 것은 2005년부터였다. 특히 2009, 2013, 2016, 2021년에는 연구의 양적인 증가가 확인되었다. 토픽모델은 계량적 지표와 정성적 기법을 종합하여 4개의 토픽으로 구성된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매체 교육’, ‘교육 내용 및 영역’,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의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한편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연구는 양적으로 매우 적어, 본 연구가 관련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To this goal, we examined the quantitative change trends in 308 studies by publication period and then analyzed research trends using Topic Modeling. Domestic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research has been published since 1990, and discussions began in earnest in 2005. In particular, a quantitative increase in research was confirmed in 2009, 2013, 2016, and 2021. For the Topic Model, a model consisting of four topics was selected by combining quantitative indicators and qualitative techniques, and was categorized into the areas of 'media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 and area',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did. Meanwhile, research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which is emphasized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is quantitatively very small,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고구려 적색 연화문 와당의 출현과 전개과정 구획선 -없는 적색 연화문 와당을 중심으로-

        김희찬 ( Hee Chan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구획선 없는 적색 연화문 와당은 연화의 형태가 선형이라는 점이 가장 특징적이다. 그렇지만 선형 연화와 구획선 없는 적색 연화문 와당의 출현 시점은 서로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연화문 와당은 구획선연화문 와당으로 출발하고 있었지만 평양 천도 이후 구획선 자체에 큰변화가 일어나면서 복합문 와당으로 분화되었고, 그 과정에서 선형 연화가 출현하게 되었다. 행인형 연화에서 선형 연화로의 전환 과정은 연화 내부에 표현된 수직융기선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즉, 3줄의 수직융기선은 연화의 중앙에서 점차 외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선형 연화 단계에 이르면연화의 테두리선으로 고착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연화의 융기선이테두리선과 결합된 형태가 가장 오래되었다는 것을 반증해 주고 있다. 그런 점에서 구획선 없는 적색 연화문 와당은 대체로 5세기 말엽~6세기초엽 국내성지역의 9연화문 와당의 형태로 출현하여 점차 8연화문, 6연화문 와당으로 분화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비해 평양지역에서는 6세기 초엽 국내성지역의 영향을 받아 구획선 없는 적색 연화문 와당이 출현하고는 있었지만 구획선 연화문 와당과 복합문 와당의 강세에 밀려 주류적인 와당으로는 등장하지 못했던 것 같다. 그런 상황에서 6세기 중엽 이후 자방부의 연자문이 사라지고, 자방과 연화 사이에 부가문양대가 첨가되는 등, 다양한 변화 속에서 구획선 없는 적색 연화문 와당도 점차 유행하게 되었다. 이처럼 구획선 없는 적색 연화문 와당은 국내성지역에서 출현한 이후, 정형화된 형태를 유지하면서 9연화문, 8연화문, 6연화문 와당으로 변해가고 있었지만, 평양지역에서는 당시 유행하고 있었던 다양한 장식적인 요소들을 수용한 결과, 4연화문에서 12연화문 와당에 이르기까지 다변화되고 지역색이 강한 연화문 와당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The main characteristic of red color lotus flower roof-end tiles with non-dividing line is a boat type of the flower. But, in my guess, boat type and non-dividing line lotus flower roof-end tiles did not appear simultaneously. After the capital transfer to Pyungyang, the lotus flower roof-end tiles in Koguryo, which started with dividing line roof-end tiles, was divided into composite design roof-end tiles as it’s dividing line changed. In the process boat type lotus flower appeared. Transformation from ginkgo nut type to boat type was very closely related with the change of three vertical uplift lines in lotus flower. That is, three vertical uplift lines moved from center to outside of lotus flower and set in border line in the phase of boat type. From the fact we can know that the oldest type is the union of uplift lines and border line. At first the lotus flower roof-end tiles with non-dividing line appeared 9 flowers between the end of 5th century and the early of 6th century. And then it divided into 8 flowers and 6 flowers. Though roof-end tiles with non-dividing line appeared in Pyungyang area in the early of 6th century by the influence of Guknaeseong area, it was not accepted as mainstream. Because dividing line roof-end tiles and composite designs roof-end tiles kept their position firmly. In the process, non-dividing line roof-end tiles were used widely after the middle of 6th century as seed design in ovary part disappeared and supplement designs added between ovary and lotus flower. Non-dividing line roof-end tiles, which appeared in Guknaeseong area, developed it’s type to 9 flowers, 8 flowers and 6 flowers roof-end tiles while keeping formulaic style. In comparison with it, roof-end tiles in Pyungyang area accepted various ornament elements. In the result, roof-end tiles in Pyungyang area has strong regionality and transformability from 4 flowers to 12 flowers roof-end tiles.

      • KCI등재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1학년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서수현,옥현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8 No.-

        이 연구에서는 Brandt의 문식성 후원자라는 개념을 토대로,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에서 나타나는 문식성 후원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식성 후원자는 문식성 발달에 미치는 주변 환경의 역할이 조명되면서 등장한 개념으로,문식성에 접근하는 길을 열어주고 문식성을 후원하고 가르치며 문식자(the literate)의모델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특정한 문식성 또는 문식 활동을 통제하고 억누르기도하는, 그리고 이러한 행위를 통해 어떤 형태로든 이익을 얻는 주체(agent)를 가리킨다. 이 연구에는 모두 다섯 명의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이작성한 그림일기, 교사와 학생들의 면담, 연구자와 학생·학부모와의 면담을 통해자료가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에는 부모, 책, 영화,만화 등이 주요한 문식성 후원자로 등장하였으며 그 지원 양상도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후원자의 판단에 따라 장려되는 문식 활동도 있는 반면 제한되는 문식 활동도 있었다. 이 연구는 그림일기 표현 활동의 실체를 들여다보는 연구라는 점에서,그리고 후원자와 후원 받는 이 사이의 구체적인 상호작용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의의가 있다.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 of literacy sponsorship coined by Deborah Brandt, aims to analyze the patterns of literacy sponsorship in the first graders’ picture diary composition. According to Brandt, literacy sponsor refers to any agents, local or distant, concrete or abstract, who enable,support, teach, or model, as well as recruit, regulate, suppress, or withhold literacy. Five first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including the students’ picture diaries,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their parents, and their classroom teacher. Parents, books, movies, and comics were found as the most dominant literacy sponsors in their picture diary practices and the patterns of their sponsoring were shown differently. Also found was the fact that some of the sponsoring were shown as support or teaching while the others were shown as regulation or restr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