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 점막하 종양에 대한 개복 및 복강경 위 절제술의 비교

        임채선,이상림,박종민,진성호,정인호,조용관,한상욱,Lim, Chai-Sun,Lee, Sang-Lim,Park, Jong-Min,Jin, Sung-Ho,Jung, In-Ho,Cho, Young-Kwan,Han, Sang-Uk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4

        목적: 위 점막하 종양(gastric submucosal tumor, gastric SMT)은 최근 건강검진의 보편화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반해 악성도에 따라 예후가 달라지고, 방사선 검사나 내시경 조직검사로 다른 종양과의 감별이 어려워 아직도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위 점막하 종양 환자에서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복강경 수술과 개복술의 결과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위 점막하종양의 복강경 절제술의 학습곡선 의미를 도출하여, 위 점막하종양의 적절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본원에서 위점막하종양으로 개복 위절제술을 받은 25명과 복강경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7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후 임상경과 및 병리학적 특징에 대하여 전향적인 자료 수집 후 후향적으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53.7세(22~80세)였으며 남녀비는 각각 44명, 59명으로 1 : 1.34였다. 대부분 무증상으로 내원하였으며, 주로 쐐기형 위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종양의 평균 장경은 4.33 cm (1.2~17.0 cm)였고, 주로 위상부에 위치하였으며, 평균 수술 시간은 117.3분(35~255분)이었다. 평균 출혈량은 113.9 ml (0~1,000 ml), 평균 수술 후 재원기간은 8.0일(1~69일)이었다. 술 전 내시경적 절제술이 실패하여 수술이 의뢰된 환자가 5명 있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13명(12.6%)에서 발생하였고, 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다. 위 점막하종양의 대부분은 간질유래성증양으로 58명(56.3%)이며, 이중 현재까지 크기가 5 cm 이상이고 복강경 위절제술을 시행한 2명이 재발되었다. 복강경 수술 군과 개복 수술 군에 따라 수술 시간 및 출혈량, 합병증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두 군 간에 환자의 증상(P<0.001), 종양의 크기 (P<0.001), 수술방법 중 쐐기형 절제술 시행(P=0.037), 술 후 연식섭취 시간(P<0.001), 술 후 퇴원 일(P=0.002)에는 차이가 있었다. 위 점막하종양의 복강경 위절제술은 26예 이상의 수술 경험이 필요하고, 이러한 학습 곡선을 극복함으로써 수술 시간, 출혈량을 줄일 수 있다. 결론: 5 cm 미만의 위 점막하종양에서는 복강경적 치료방법이 개복술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되며, 다양한 형태의 위 점막하종양을 복강경적 절제술로 시행 할 경우에는 학습 곡선을 먼저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권장된다. Purpose: Laparoscopic gastric resection (LGR) is increasingly being used instead of open gastric resection (OGR) as the standard surgical treatment for gastric submucosal tumors. Yet there are few reports on which technique shows better postoperative outcom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se two treatment modalities for gastric submucosal tumors by evaluating the postoperative outcomes. We also provide an analysis of the learning curve for LG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3.4 and 2008.8, 103 patients with a gastric submucosal tumor underwent either LGR (N=78) or OGR (n=25).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on a prospectively obtained database of 103 patients. We reviewed the data with regard to the operative time, the blood loss during the operation, the time to the first soft diet,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the tumor size and the tumor location. Results: The clinicopatholgic and tumor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ere similar for both groups. There was no open conversion in the LGR group. The mean operation time and the bleeding los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LGR group and the OWR group. The time to first soft diet (3.27 vs. 6.16 days, P<0.001) and the length of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7.37 vs. 8.88 days, P=0.002) were shorter in the LGR group compared to the OGR group. The tumor size was bigger in the OGR group than that in the LGR group (6.44 vs. 3.65 cm, P<0.001). When performing laparoscopic gastric resection of gastric SMT, the surgeon was able to decrease the operation time and bleeding loss with gaining more experience. We separated the total cases into 3 periods to compare the operation time, the bleeding losses and the complications. The third period showed the shortest operation time, the least bleeding loss and the fewest complications. Conclusion: LGR for treating a gastric submucosal tumor was superior to OGR in terms of the postoperative outcomes. An operator needs some experience to perform a complete laparoscopic gastric resection. Laparoscopic resection could be considered the first-line treatment for gastric submucosal tumors.

      •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과 개복 위절제술의 비교 분석

        임정택,김병식,정오,김지훈,육정환,오성태,박건춘,Lim, Jung Taek,Kim, Byung Sik,Jeong, Oh,Kim, Ji Hoon,Yook, Jeong Hwan,Oh, Sung Tae,Park, Kun Choo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목적: 정기 검진을 통한 위암의 조기 발견으로 조기위암은 늘어나는 추세이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맞춤 수술로서 국내에서도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교실에서도 2004년 4월부터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작하였으며, 2005년 1년간 122예의 복강경보조 위절제술을 시행하여 임상병리적 특징과 수술결과에 대하여 개복술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교실에서 조기위암으로 2005년도에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행한 119예와 2005년도 1~3월까지 개복 위절제술을 받은 126예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경과,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양 군 간에 환자들의 연령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복강경군에서 여성의 비율이 더 많았고 신체비만지수가 더 높았다. 수술에 소요된 평균시간은 복강경군이 더 오래 걸렸으며(239.2 vs 123.3분, P<0.001), 첫 번째 가스배출은 복강경군에서 빨랐고(3.05 vs 3.70일, P<0.001), 식이의 진행도 복강경군에서 빨랐다(물: 2.86 vs 3.22일, 미음: 3.87 vs 4.19일, 죽: 4.84 vs 5.26일, P<0.001). 합병증 발생은 복강경군에서 4.9%로 개복군의 9.5%보다 적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고(P=0.179), 퇴원도 복강경군에서 빨랐으나(7.73 vs 8.25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229). 절제된 림프절의 수는 복강경군에서 평균 23.9개, 개복군에서는 23.1개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63). 복강경 수술 중 개복술로 전환 한 예와 양 군 모두 합병증으로 재수술 한 경우와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복강경보조 위절제술이 개복술에 비해 수술 시간이 길지만, 기타 식이의 진행이나 획득한 림프절의 수나 합병증의 발생 등에서 우세하거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복강경보조 위절제술도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술식이며, 종양학적으로 용인될 수 있다고 생각되나, 표준수술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무작위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re has been increased the number of early gastric cancer and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LAG), due to early detection through mass screening program. We started the LAG in April 2004 and performed 119 cases of gastric cancer in 2005, so we report a surgical outcome compared with that of open gastrectomy (OG). Materials and Methods: 119 patients underwent LAG in 2005, and for open group, 126 patiens of early gastric cancer were selected sequentially from January 2005 to March 2005. We compared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postoperative courses and complications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a length of hospital stay, distal resection margin and a number of retrived lymph nodes. The operation time was longer in LAG group (239.2 vs 123.3 mins, P<0.001) and a diet progression was faster in LAG group (first flatus: 3.05 vs 3.70 days, SOW: 2.86 vs 3.22 days, liquid diet: 3.87 vs 4.19 days, soft diet: 4.84 vs 5.26 days, P<0.00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statistically in postoperative discharge date (7.73 vs 8.25 days, P=0.229). The additional requirement of analgesic injection was less frequent in LAG group (2.97 vs 4.92 times, P<0.001). The harvested lymph node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23.9 vs 23.1, P=0.563). A complication rate was lower in LAG group (4.9% vs 9.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179). There was no mortality in both groups and no conversion to open gastrectomy in the LAG group. Conclusion: LAG can be performed safely and accepted in view of curative procedure in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But we need the follow up of long-term period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and recurrence, and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should be done to establish that LAG will be a standard opera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연속된 77예의 경험

        이중호,송재원,오성진,김성수,최원혁,정재호,형우진,최승호,노성훈,Lee, Joong-Ho,Song, Jye-Won,Oh, Sung-Jin,Kim, Sung-Soo,Choi, Won-Hyuk,Cheong, Jae-Ho,Hyung, Woo-Jin,Choi, Seung-Ho,Noh, Sung-Hoo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4

        목적: 조기 위암 환자에 대한 복강경 보조 원위부 위절제술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의 하나로 점차 많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은 위아전절제술에 비해 술기상의 복잡성 등의 이유로 그 빈도가 높지 않다. 이에 저자 등은 본 교실에서 시행한 복강경 보조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분석하여 술기상의 가능성과 안정성 및 수술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조기 위암으로 2003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수술 전 조기위암으로 진단받고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과 D1+$\beta$ 림프절 절제술 및 Roux-en-Y 재건술을 시행받은 7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경과,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세였고 남자와 여자의 수는 각각 49명, 28명이었다. 평균 수술시간은 210분(범위 100-400)이었고 각 수술 시간은 수술 경험이 많아짐에 따라서 점 차 감소하였다. 수술 후 13예(16.9%)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사망한 예는 없었다. 장관 운동은 평균 수술 후 3.2일에 회복되었고, 수술 후 연식을 시작한 시기는 4.4일, 수술 후 평균 재원일은 10일이었다. 위의 절제연은 근위부 원위부 각각 평균 3.1 cm, 10.7 cm로 충분한 절제연을 확보하였으나 한 예에서 원위부 절제연에 현미경적 암세포의 침윤이 있었다. 림프절 절제 범위는 D1+$\alpha$가 2예(2.6%), D1+$\beta$가 55예(71.4%), D2가 20예(26.0%)이었고 평균 절제된 림프절 수는 41.8개이었다. 결론: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분석하였을 때 조기위암의 치료에 있어 효과적이고 안전한 술식임을 확인하였다. 그 적용 범위의 확대를 위해서는 앞으로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과 개복 수술의 전향적인 비교 연구와 장기 생존율 등 종양학적인 치료결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number of laparoscopy assisted distal gastrectomies (LADG) is gradually increasing for the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EGC) patients as a surgical modality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on laparoscopy-assisted total gastrectomy (LATG), mainly because this procedure is performed relatively infrequently, and the procedure is more complicated than LAD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technical feasibility, safety, and surgical results of LATG with lymphadenectomy through a review of our experienc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03 to June 2007, 77 LATG with Roux-en-Y esophagojejunostomy were performed for patients with a preoperative diagnosis of EGC.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surgical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ere 49 males and 28 females in the study with a mean age of 61 years (range $30{\sim}85$ years). The mean operation time was 210 minutes (range $100{\sim}400$ minutes) and the operation time was gradually decreased as the case numbers increased. There were 13 operative morbidities (16.9%) and no operative mortalities. The restoration of bowel motility was noted at 3.2 postoperative days; a soft diet was started at 4.4 postoperative days and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was 10 days. There were 20 mucosal lesions, 32 submucosal lesions, 15 proper muscle lesions, 7 subserosal lesions and 3 serosal lesions. A total of 20 patients were treated by D2 lymph node dissection, 55 patients were treated by D1+$\beta$ lymph node dissection, and two patients were treated by D1+$\alpha$ lymph node dissection. The mean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was 42 (range $11{\sim}86$). Lymph node metastases were noted in 12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LATG could be applied safely and effectively for patients with EGC. However, a prospective study comparing laparoscopy-assisted versus open gastrectomy for short-term and long-term surgical outcome is needed.

      • 위 점막하 종양에 대한 개복 및 복강경 위 절제술의 비교

        임채선,이상림,박종민,진성호,정인호,조용관,한상욱 대한위암학회 2008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8 No.4

        목적: 위 점막하 종양(gastric submucosal tumor, gastric SMT)은 최근 건강검진의 보편화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반 해 악성도에 따라 예후가 달라지고, 방사선 검사나 내시경 조직검사로 다른 종양과의 감별이 어려워 아직도 치료 방 침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위 점막하 종양 환자에서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복강경 수술과 개복술의 결과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위 점막하종양의 복강경 절제술의 학습곡선 의미를 도출하여, 위 점막하종양의 적절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본원에서 위 점막하종양으로 개복 위절제술을 받은 25명과 복강경 위 절제술을 시행 받은 7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후 임상경과 및 병리학적 특징에 대하여 전향적인 자료 수집 후 후향적으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53.7세(22∼80세)였으며 남녀비 는 각각 44명, 59명으로 1:1.34였다. 대부분 무증상으로 내 원하였으며, 주로 쐐기형 위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종양의 평균 장경은 4.33 cm (1.2∼17.0 cm)였고, 주로 위상부에 위 치하였으며, 평균 수술 시간은 117.3분(35∼255분)이었다. 평균 출혈량은 113.9 ml (0∼1,000 ml), 평균 수술 후 재원기 간은 8.0일(1∼69일)이었다. 술 전 내시경적 절제술이 실패 하여 수술이 의뢰된 환자가 5명 있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13명(12.6%)에서 발생하였고, 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다. 위 점막하종양의 대부분은 간질유래성종양으로 58명(56.3%) 이며, 이중 현재까지 크기가 5 cm 이상이고, 복강경 위절 제술을 시행한 2명이 재발되었다. 복강경 수술 군과 개복 수술 군에 따라 수술 시간 및 출혈량, 합병증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두 군 간에 환자의 증상(P<0.001), 종양의 크기 (P<0.001), 수술방법 중 쐐기형 절제술 시행(P=0.037), 술 후 연식섭취 시간(P<0.001), 술 후 퇴원 일(P=0.002)에는 차이 가 있었다. 위 점막하종양의 복강경 위절제술은 26예 이상 의 수술 경험이 필요하고, 이러한 학습 곡선을 극복함으로 써 수술 시간, 출혈량을 줄일 수 있다. 결론: 5 cm 미만의 위 점막하종양에서는 복강경적 치료방법 이 개복술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되 며, 다양한 형태의 위 점막하종양을 복강경적 절제술로 시 행 할 경우에는 학습 곡선을 먼저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 는 것이 권장된다.

      • 조기위암에서 복강경 및 개복 위아전절제술에 따른 영양학적 및 면역염증반응의 비교

        채현동,Chae, Hyun-Dong 대한위암학회 2010 대한위암학회지 Vol.10 No.1

        목적: 복강경하 보조 위 절제술이 위암 치료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측면 외에 수술적 치료와 관계하는 영양학적 및 면역학적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기위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의 영양학적 및 면역학적 측면에서의 안정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조기위암으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87예와 개복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정보와 혈청학적 검사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술 전 임상병리학적 요인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군에서 총 백혈구수는 개복군에 비해 술 후 1일째와 3일째 더 증가 정도가 낮았으며(P=0.001, P=0.008), CRP는 술 후 1일째와 3일째에서 증가 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632, P=0.139), 술 후 5일째의 감소 정도는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P<0.001). T4/T8 ratio는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군에서 술 후 3일째 감소 정도가 적었으나(P=0.003), Albumin의 감소 정도는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57). 결론: 복강경 위아전절제술은 개복 위절제술에 비해 Albumin을 이용해 비교한 영양학적 측면에서 장점은 없었으나, 술 후 총 백혈수의 증가, CRP 감소, 및 T4/T8 ratio 감소 등의 전신 면역 및 염증 반응에서 우월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LAG) is gaining wider acceptance as a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early gastric cancer, but the safety, efficacy and clinical benefits of this type of surgery are still un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LADG) and conventional open distal gastrectomy (CODG) for early gastric cancer (EGC)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postoperative nutritional status and acute inflammatory reaction.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seven patients with EGC and who underwent a LADG between March 2006 and May 2009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was enrolled. Over the same period, we enrolled 30 patients who underwent CODG and they were confirmed to have EGC from their pathology.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serologic parameters were evaluated from the medical records and then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reoperative white blood cell (WBC), C-reactive protein (CRP) level, albumin level, the T4/T8 ratio and the other clinical data between the two groups. The total WBC counts gradually increased and they were significant lower at the $1^{st}$ and $3^{rd}$ postoperative days in the LADG group than that in the CODG group (P=0.001 and 0.008, respectively). The postoperative CRP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at postoperative $5^{th}$ day in the LADG group (P<0.001). The postoperative albumin and T4/T8 ratio gradually decreased, and the T4/T8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3^{rd}$ postoperative day in the LADG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CODG group (P=0.003).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LADG has less of an influence on an acute inflammatory reaction than does CODG. Therefore, it is one of the safe and feasible procedures for the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 KCI등재후보

        조기위암에서 복강경 및 개복 위아전절제술에 따른 영양학적 및 면역염증반응의 비교

        채현동 대한위암학회 2010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10 No.1

        목적: 복강경하 보조 위 절제술이 위암 치료에 사용되기위해서는 기술적인 측면 외에 수술적 치료와 관계하는 영양학적 및 면역학적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조기위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의 영양학적 및 면역학적 측면에서의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조기위암으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87예와 개복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정보와 혈청학적 검사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술 전 임상병리학적 요인에는 차이가없었으며,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군에서 총 백혈구수는 개복군에 비해 술 후 1일째와 3일째 더 증가 정도가 낮았으며(P=0.001, P=0.008), CRP는 술 후 1일째와 3일째에서 증가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632, P=0.139), 술 후 5일째의 감소 정도는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P<0.001). T4/T8 ratio는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군에서 술 후 3일째 감소정도가 적었으나(P=0.003), Albumin의 감소 정도는 통계학적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57). 결론: 복강경 위아전절제술은 개복 위절제술에 비해 Albumin을이용해 비교한 영양학적 측면에서 장점은 없었으나,술 후 총 백혈수의 증가, CRP 감소, 및 T4/T8 ratio 감소 등의 전신 면역 및 염증 반응에서 우월함을 알 수 있었다.

      • 개복 위절제술에 경험이 풍부한 술자에 의한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의 Learning Curve

        김지훈,정영수,정오,임정택,육정환,오성태,박건춘,김병식,Kim, Ji-Hoon,Jung, Young-Soo,Jung, Oh,Lim, Jeong-Taek,Yook, Jeong-Hwan,Oh, Sung-Tae,Park, Kun-Choon,Kim, Byung-Sik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조기위암 치료에 있어서 복강경 위암 수술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하고 있다. 기존에 시행하고 있던 개복에 의한 위절제술에 익숙한 경험 많은 외과의사들은 복강경 위암 수술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기술적으로 습득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음을 느끼며 복강경 수술에 소극적 자세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저자 등은 개복 위절제술에 경험이 풍부한 외과의사에 의한 복강경 위절제술의 learning curve를 결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한 명의 술자에 의하여 수술전 조기 위암(cT1N0)으로 진단 받고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LADG) 및 $D1+{\beta}$ 림프절 곽청을 시행 받은 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강경 위절제술 시행을 위하여 전문팀을 구성하였다. 대상 환자를 6명씩 한 그룹으로 총 10그룹(마지막 그룹은 8명으로 구성함)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평균 수술시간을 비교하여 learning curve 극복 전후의 나이, 성별, 수술 후 합병증, 절개창의 길이, 수혈유무, 적출된 림프절 개수, 수술 전 후 혈색소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 시간을 분석한 결과 여섯 번째 그룹 (31st case)부터 수술 시간의 Plateau를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learning curve 극복시점을 30th case (7개월)로 간주하였으며 극복 전후 집단 간의 평균 수술시간을 분석하였을 때 각각 $239.0{\pm}69.7$분과 $170.0{\pm}32.6$분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양 군 간 평균나이, 성별, BMI, 수술 전후의 혈색소 수치변화, 적출된 림프절 개수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절개창의 길이, 수혈유무, 수술 후 합병증 유무도 양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저자들의 LADG learning curve 극복은 30예(7개월)로 다른 보고보다 일찍 도달할 수 있었다. 이는 개복 수술의 풍부한 경험, 전문 수술팀 구성, 그리고 단기간 집중적인 시술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laparoscopy assisted gastrectomy has been increasingly reported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early gastric cancer. However, expert surgeons, who have performed a conventional open gastrectomy for a long time, tend to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 laparoscopic procedur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arning curve of a laparoscopy 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for a surgeon expert in performing an open gastrectomy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a LADG.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pril 2005 and March 2006, 62 patients underwent a LADG with D1+beta lymph-node dissection. The 62 patients were divided into 10 sequential groups with 6 cases in each group (the last group was 8 cases), and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plateau of the learning curve was determined by examining the average operative times of these 10 groups. Other factors, such as sex, BMI, complications, transfusion requirements,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and change of postoperative hemoglobin level, were also analyzed. Results: With the $5^{th}$ group (after 30 cases), the operative time reached a plateau (average: 170 min/oper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the $30^{th}$ case and after the $31^{st}$ case with respect to changes in the postoperative hemoglobin level,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the transfusion requirements, and the complications rate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operative time, experience with 30 LADGs in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is the point at which the plateau of the learning curve (7 months) is reached. Abundant experience with a conventional open gastrectomy and a well-organized laparoscopic surgery team are important factors in overcoming the learning curie earlier.

      • 전(全)복강경하 위절제술의 임상적 유용성

        김진조,김성근,전경화,강한철,송교영,진형민,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임근우,박우배,김승남,Kim, Jin-Jo,Kim, Sung-Keun,Jun, Kyong-Hwa,Kang, Han-Chul,Song, Kyo-Young,Chin, Hyung-Min,Kim, Wook,Jeon, Hae-Myung,Park, Cho-Hyun,Park, Seung-Man,Lim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3

        목적: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복강경보조하 위절제술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나 전복강경하 위절제술은 복강 내 위장관 문합의 어려움 때문에 별로 시행되고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복강경용 선형 문합기를 이용한 다양한 복강내 문합술을 통한 전복강경하 위절제술의 경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000대학교 0000병원 외과에서 위암 또는 위양성종양으로 전복강경하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위절제술 후 복강 내 문합에는 복강경용 선형 문합기 만을 사용하였다. 대상 환자에 대한 수술의 결과와 임상병리학적인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평균 287분이었고, 문합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40분이었으며 사용한 선형 문합기의 카트리지 수는 평균 7.5개였다. 수술 후 첫 가스 배출은 2.9일, 첫 유동식 섭취는 3.6일, 재원 기간은 10.3일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11예(13.6%)에서 발생하였으나 수술로 인한 사망예나 개복수술로의 전환 예는 없었다. 75명의 위암 환자에서 절제된 림프절은 평균 38.1개였으며 병기는 I기가 72명, II기가 2명 그리고 IV기가 1명이었다. 위암 환자들의 평균 추적기간 16개월 동안에 5명의 환자가 사망하였으나 위암의 재발에 의한 사망은 없었다. 결론: 전복강경하 위절제술은 안전하고 기술적으로 용이 하였으며 위절제술이 필요한 환자들에 대한 좋은 최소침습수술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Purpose: In Korea, the number of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ies for early gastric cancer patients has been on the increase. Although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more beneficial, no reported case of a total laparoscopic gastrectomy has been reported because of difficulty with intracorporeal anastomosis. This study attempts, through our experience, to determine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a total laparoscopic gastrectomy with various types of intracorporeal anastomosis using laparoscopic linears stapler in treating early gastric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the surgical results and clinicopatholgical characteristics of 81 patients that underwent a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at our department between June 2004 and May 2007. The intracorporeal anastomoses were performed by using laparoscopic linear staplers. Results: The mean operative time was 287 minutes, the mean anastomotic time was 40 minutes, and the mean number of laparoscopic linear staplers used for an operation was 7.5. The mean time to the first flatus, the first food intake, and discharge from hospital was 2.9, 3.6, and 10.3 days respectively. There were 11 case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but no case of postoperative mortality or conversion to an open procedure. In 75 patients with an adenocarcinoma, the mean number of lymph nodes harvested was 38.1 and the stag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stage I, 72 patients; stage II, 2 patients; stage IV, 1 patient.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14 months, 5 patients died of other causes and there were no cases of cancer recurrence. Conclusion: A total laparoscopic gastrectomy with intracorporeal anastomosis by using a laparoscopic linear stapler was found to be safe and feasible. We were able to obtain acceptable surgical outcomes in terms of minimal invasiveness.

      • 원위부 위암에서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의 수술 성적

        정오,박영규,육정환,김병식,Cheong, Oh,Park, Young Kyu,Yook, Jeong Hwan,Kim, Byung Sik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2

        목적: 복강경 기구의 발달과 시술자의 숙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조기위암 이상으로 복강경 위절제술을 확대 적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의 적절성 및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2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은 22명의 원위부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성, 수술 성적 및 수술 후 경과 등에 대하여 같은 시기에 시행된 38명의 개복 D2 림프절 절제술 환자와 비교하였다. 결과: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은 평균 수술시간이 오래 소요되었으나($160{\pm}25min$. vs. $135{\pm}21min$., P<0.001), 평균 근위부 절제연 거리($6.1{\pm}2.8cm$ vs. $5.8{\pm}2.5$, P=ns), 평균 림프절 절재 개수($25{\pm}11$ vs. $26{\pm}9$, P=ns)에서 개복 수술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경과는 복강경 수술군에서 식이개시, 재원일수 등이 유의하게 빨랐다.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개복으로의 전환은 없었으며, 양군에서 유사한 수술 후 합병증 발생빈도를 보여주었다. 결론: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은 개복수술과 유사한 수술성적을 가지며, 양호한 수술 후 경과를 보인다. 향후 전향적 연구를 통해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With advancements in laparoscopic surgery, there have been efforts to expand the indication for laparoscopic surgery up to advanced gastric cancer. However, scant data are available regarding the feasibility and advantages of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with standard radical D2 lymph node dis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wo patients who were preoperatively diagnosed with cT1N0M0 gastric cancer underwent LADG with standard D2 lymphadenectomy between February and August 2007. They were compared with patients who underwent conventional open D2 lymphadenectomy with respect to clinicopathologic features, surgical outcomes, and postoperative course. Results: The mean operative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LADG group than in the open group ($160{\pm}25min$ vs. $135{\pm}21min$, P<0.001). However, surgical outcomes, such as surgical margin and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25.7{\pm}11.1$ vs. $26.9{\pm}9.2$, P=ns) were comparable between the groups. The LADG group exhibited quick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both groups exhibited similar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Conclusion: LADG with D2 lymphadenectomy is feasible and safe, with short-term surgical outcomes comparable to those seen in open D2 lymphadenectomy. Further prospective clinical investigation will be needed to better evaluate the advantages of LADG with D2 lymphadenectomy.

      • 진행위암의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 - 개복 위 전절제술과의 후향적 비교 -

        이준현,남유희,허훈,전해명,김욱,Lee, Jun Hyun,Nam, Yoo Hee,Hur, Hoon,Jeon, Hae Myung,Kim, Wook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3

        목적: 상부 진행위암 환자에서 시행된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개복 위 전 절제술과 비교 분석하여 수술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복강경 보조 위 전 절제술과 $D1+{\beta}$ 이상의 림프절 절제술이 시행된 47명의 환자 중, 수술 후 진행위암으로 확진된 29명의 환자(LATG군)를 같은 시기에 개복 위 전 절제술을 시행한 35명의 환자(OTG군)와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결과, 재발 및 생존기간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의 성비, 나이, 체질량 지수 및 병기 등에서 차이는 없었으나, 암종의 크기는 LATG군이 평균 6.1 cm로 OTG군의 9.2 cm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으며, 근위부 절제연은 평균 3.6 cm로 OTG의 2.1 cm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 수술시간은 LATG군이 평균 361.3분으로 OTG군의 289.0분보다 유의하게 길었으나, 출혈량, 합병증, 장 운동 회복일, 음식 섭취 시작일과 재원일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추적기간은 18.8개월(범위 3~46개월)이었으며 평균 생존기간은 LATG군 31개월과 OTG군 32개월, 무병 생존기간은 평균 28개월과 24개월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재발률은 LATG 군이 30.8%, OTG군은 34.3%였으며 재발부위는 두 군 모두 복막과 림프절이 가장 많았다. 결론: 대상 환자가 적은 후향적 연구지만 복강경 보조 위전 절제술은 진행위암의 치료에서 개복 위 전 절제술과 비교 시 수술과 연관된 합병증이나 생존기간, 재발율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환자의 예후에 대한 장기 추적 관찰과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ort-term operative outcomes of laparoscopy-assisted total gastrectomy (LATG) with those of open total gastrectomy (OTG) for patients suffering with advanced upper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47 patients who underwent LATG with $D1+{\beta}$ or D2 lymphadenectomy from July 2004 to March 2008, 29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proven advanced gastric cancer were compared with 35 patients who underwent conventional OTG during the same time period. The comparison was based on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urgical outcome, the follow-up survival and tumor recurrence. Results: The patients' age, gender and body mass index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tumor size ($9.2{\pm}3.9$ vs $6.1{\pm}3.6cm$, P=0.002) and the proximal resected margin ($2.1{\pm}2.0$ vs $3.6{\pm}2.1cm$ P=0.00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of the peri- and post-operative courses such as the time to first flatus, the time to starting a solid diet and the length of the hospital stay, except for a longer operating time (289.0 vs. 361.3 minutes, P<0.001) in the LATG group. The complication rate was higher in the LATG group (13.8%) than that in the OTG group (5.7%). The mean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times were 32 and 31 months, and 24 and 28 months, respectively, with an average 18.8 months follow-up duration. The main recurrent sites were peritoneum and lymph node in both groups. Conclusion: The early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LATG for AGC is technically feasible and it does not show any inferiorities of the postoperative outcomes as compared to those of conventional open total gastrect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