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의 개념 확장 및 실행 과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김남진 ( Kim Nam-jin ),우정한 ( Woo Jeong-ha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이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가 모든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방법과 매체를 의미하는지, 일련의 보편적인 교육과정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비롯된다. 즉 보편적 학습 설계의 개념을 구명해 보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려는 문헌연구로써, 초기에 발표된 국내외 학술논문 및 저서에서부터 최근에 발표된 다양한 자료 그리고 관련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종단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는 교수방법과 교수매체를 의미하던 초기의 개념으로부터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그리고 확장된 보편적 학습설계는 학습전문가 양성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교육과정 설계 단계서부터 학습목표, 평가, 교수방법, 교수매체 등은 모든 학습자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의 개념 확장과 함께 보편적 학습설계의 실행 과정 역시 미시적 관점에서 거시적 관점으로 변화하였다. 초기 보편적 학습설계를 실행하기 위한 과정으로 소개되었던 PAL은 교실 상황에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제한된다. 거시적 입장에서, 교실 상황에서도 적용 가능한 조직차원의 보편적 학습설계 실행 과정이 미국 국립보편적 학습설계센터로부터 새롭게 대두되었는데, 학급과 학교는 물론 지역의 학군, 고등교육기관 그리고 더욱 광범위하게는 체제 및 구조 등이 보편적 학습을 위해 유기적으로 참여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변화는 특수교육학을 비롯한 국내 학문 분야에서도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올바른 접근과 국내 현실에 맞도록 변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stems from the question whether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refers to the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guarantee of students` right for learning, or it a series of UDL curriculum. That is, as a study on the notion of UDL, and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UDL, this study based on longitudinal approach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early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academic journals, and related website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notion of UDL which originally referred to the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extended to indicate the universally accessible curriculum. In addition, the extended UDL eventually aims to foster experts of learning. From the stage of curriculum desig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consider all learners regarding instructional goals, assessment, methods, and materials. Second, due to the extension of the notion of UDL, views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UDL changed from microscopic to macroscopic. PAL, which was initially introduced as the process of implementing UDL in a variety of manners, is reconceptualized as a limited implementation process of UDL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In the macroscopic perspective, system-wide UDL implementation process of UDL which is be able to be adapted for the classroom environment is suggested by National Center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this approaches, students` right for learning is assured not only in the limited dimension such as classes or schools, but in the broadened one which school district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systems organically participate in for universal learning. As the series of changes mentioned above denotes that the notion of UDL is extended, in the academic circles as well as the Special Education, the proper approaches to UDL and efforts to modify it into a model appropriate for domestic condition are expected.

      • KCI등재

        중학교 과학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 인식과 성공적 실행

        이학준 ( Lee Hak-jun ),김남진 ( Kim Nam-jin ),김용성 ( Kim Yong-seong ),김용욱 ( Kim Yong-woo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 인식과 성공적 실행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현직 중학교 과학교사 3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이들이 형성하고 있는 보편적 학습설계 인식과 성공적 실행에 대해 탐구하였다. 참여관찰과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 참여자들이 처음에는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에게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 지침, 체크리스트에 대하여 설명해주고, 보편적 학습설계 교육을 시키고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을 수업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과학수업의 교실 환경과 학생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목표를 3가지로 설정하고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이 진행하였다.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 3가지가 반영된 수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교 과학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은 모든 학생을 위한 과학이라는 기존의 교육목적과 부합하였다.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과학수업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서는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역량을 갖춘 보편적 학습설계 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는 높았고 수업 태도 역시 좋았다. 만약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수업의 성공적 실행을 하려면, 보편적 학습설계기반 수업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수업환경, 접근성, 유연한 자료 등이 준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보편적 학습설계 교사가 되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요인은 교사가 보편적 학습설계 교사가 되는 것이며, 학교는 보편적 학습설계가 가능하도록 접근과 재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학교가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erception and practice on UDL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hree current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explored perception and practices on UDL. they form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articipation and interviews showed that participants initially lacked a perception of UDL. and Th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UDL based science class is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educational purpose of science for all students, as well as the training of UDL teachers with the ability to validate the UDL classes. If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UDL based class is to be undertaken, then the classroom environment, accessibility, and flexible materials required to conduct a UDL based class should be prepa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at teachers should be the UDL teachers, and schools should be the schools that can UDL.

      • KCI등재

        보편적 설계의 철학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교육철학

        이학준 ( Lee Hak-jun ),김남진 ( Kim Nam-jin ),김용욱 ( Kim Yong-woo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설계의 철학과 보편적 학습 설계의 교육철학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설계의 철학이다. 보편적 설계는 단순히 건물이나 편의시설을, 추가 비용 없이 혹은 거의 없이 설계함으로써, 장애의 유무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매력적이고 기능적이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보편적 설계의 철학은 무장애 설계, 통합설계, 모든 이를 위한 설계라는 특징으로 요약된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의 교육철학이다. 보편적 학습 설계는 모든 이를 위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자료 설계로서 교육철학은 다음과 같다. 1) 이상적 인간상은 학습전문가이다. 2) 목적과 목표는 모든 이를 위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자료 설계이다. 3) 교수 방법은 과제의 맥락, 학습자의 사회적, 정의적 차원, 교실 분위기 등을 토대로 학습자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차별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진보 정도를 지속해서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구체적 방법은 다양한 인지적 네트워크 지원, 다양한 전략적 네트워크 지원, 다양한 정서적 네트워크 지원 등이다. 4) 내용은 보편적 설계의 7가지 원리의 교육적 활용에서 확인할 수 있다. 7가지 원리의 교육적 활용은 공평한 교육과정,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간단하고 직감적인 교수, 다양한 표현 수단들, 성공 지향적 교육과정, 적절한 학습자의 노력 수준, 학습을 위한 적절한 환경 등이다. 그리고 5)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수평적 관계이며 협력적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장애/비장애 학생들이 수업에서 최상의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교과과정이 설계되어야 하며, 수업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학생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ilosophy of universal design and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The research method was studied lit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philosophy of universal design. Universal design is intended to simplify everyone`s lives by making products, communication, and environments already rescued as useful as possible, with as few people as possible or at no additional cost. The philosophy of universal design is summarized as barrier free movement design, integrated design, design for all. Second, it is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UDL. UDL is a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for all, and the educational philosophy is as follows. 1) The ideal human image is a learning expert. 2) Objectives are educational design for all. 3) The teaching method should be able to be changed and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earner based on the context of the task, the social and the positive dimension of the learner, and the atmosphere of the classroom. and it should be able to continuously monitor progress. First, various cognitive network support, second, various strategic network support, and third, various emotional network support. 4) Contents were able to confirm contents of UDL in educational use of seve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The educational uses of the seven principles are as follows. It is an equitable curriculum, a flexible curriculum, a simple and intuitive teaching, a variety of means of expression, a success-oriented curriculum, a level of effort for the appropriate learners, and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learning. and 5)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s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The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so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non-disabilities receive the best possible instruction in the class, and be able to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lass.

      • KCI등재

        청각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 보편적 학습설계(UDL) 원리 중심의 논의

        이학준,권순우,김용성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velopment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Hearing Impaired Based on UDL. Research method is the study of literature on UDL for Hearing Impai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hearing impaired people have to include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UDL. Second, the direction of hearing impaired peopl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s to bring about a shift in awareness and institutional reform for hearing impaired people. After all,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 the area of complete deafness is a progressive form, not a complete form, that is a trial and error sequence. we should continue critical reflection and correctional supplementation in order to create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e principles and guidelines of UDL for all hearing impaired people. 이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청각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서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표상, 표현과 행동, 참여)를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는 3가지원리와 9가지 지침 그리고 원리와 지침을 반영한 체크 포인트로 구성되어있다. 둘째, 보편적학습설계 기반 청각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은 우선, 청각장애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은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와 지침에 따라서 ‘모든 청각장애인을 위한 교육’이라는보편성에 접근하여야 한다. 또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완성하기 위하여 목표, 재료, 설계, 시설 등에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와 지침을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청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식 프로그램이라는 특수성을 반영하여 개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전환과 제도개혁이 따라주어야 한다. 특히 제도개혁은 정책적 지지와 지원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청각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예산을 확대하고, 수요자 중심의 교육서비스 제공, 그리고 평생교육기관의접근성 보장을 위한 시설과 설비가 확충되어야 한다. 결국, 성공적인 청각장애인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은 시행착오를 거듭하여 완성해 가는 것으로 완료형이 아니라 진행형이라고할 수 있다. 성공적인 청각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은 모든 청각장애인을위한 평생교육에서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보편적 학습설계(UDL)의 원리와 지침이 반영된 청각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지속해서 검토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수정ᆞ보완을 지속해야 한다.

      • KCI등재

        차이화된 수업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현장 적용 방안 연구

        민천식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struction strategy that can be applied in the inclusive classroom by using UDL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all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Method] it is a literature study analyzing 38 related literatur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les of UDL is to the educational expansion the seven principles proposed in universal design: impartial use, flexibility in use, simple and intuitive use, perceivable information, tolerance for errors, minimization of physical effort. of the appropriate size and space for access and use. Second, when designing a curriculum that meets the needs of all learners, When designing a curriculum that meets the needs of all learners, in the process of content, process, and outcome of the curriculum approach perspective, the three key elements of UDL must be meets the various means of representation, the various means of participation, and various means of expression. various means of expression. Third, the teacher's belief is that the learner's ultimate goal to reach through the instruction of UDL is nomadic and motivated learners, rich and knowledgeable learners, strategic and goal-oriented learners. The four co-teaching approaches method that have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co-teaching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supportive teaching, parallel teaching, complementary teaching, and team teaching enable the mastery of curriculum expertise and teacher-to-teacher collaboration. [Conclusion] Principle of UDL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a new way of thinking to rethink current education in the framework of education for all. The principle of UDL is to move our thinking one step further, not in 'where to teach'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due to disabilities, but in 'thow to each' all students with each different educational needs. [목적] 본 연구는 모두를 위한 차이화된 수업을 위해 보편적 학습설계를 활용하여 통합학급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방안에 대해 관련 문헌을 통해 모색해 보려는 연구로써, [방법] 관련 문헌 38편을 살펴본이론연구이다. [결과]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는 보편적 설계에서 제안 되고 있는일곱 가지 원리, 즉, 공평한 사용, 사용상의 융통성,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 지각 가능한 정보, 오류에 대한 관용, 신체적 노력의 최소화, 접근과 사용에 적절한 크기와 공간을 교육적으로 확대한 것이다. 둘째, 모든 학습자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교육과정 접근 관점의 내용, 과정, 결과의과정에서, 보편적인 학습설계의 세 가지 핵심 요소는 표상의 다양한 수단, 참여의 다양한 수단, 표현의 다양한 수단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교사들이 가져야 할 신념은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최종적으로 도달하여야 하는 학습자 상은 유목적적이고 동기부여된 학습자, 자료가 풍부하고 다식한 학습자, 전략적이고 목표지향적인 학습자라는 것이며, 차이화 수업을 위한 협력교수의 효과가입증된 지원적 교수, 평행 교수, 상보적 교수, 팀티칭 네 가지 협력교수 접근 방법은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과 교사 간 협력의 숙달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결론]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는 모든 이들을 위한교육이라는 틀로 지금의 교육을 다시 생각하는 데 있어 새로운 교육방식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는 장애로 인한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학생을 `어디에서` 가르치느냐가 아니라, 각기 다른 교육적 요구를 가진 모든 학생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로 우리의 생각을 한걸음 더 나아가게 해준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 대상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온라인 학습 모듈 개발 및 적용 효과 탐색

        이아현(Ahhyun Lee),김수연(Sooyoun Kim),이대식(Daesik Lee),이희연(Heeyon Lee),신재현(Jaehyun Shin) 한국통합교육학회 2021 통합교육연구 Vol.16 No.2

        코로나 19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효과적인 교사교육을 위한 혁신적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반영하여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모듈을 제안하고 초등 예비교사 28명을 대상으로 해당 모듈을 이수하게 하여 그 효과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모듈 이수 후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교수학습지도안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향후 교사가 되어서 다양한 학습자의 학습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해당 원리를 교수 과정에 반영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온라인 학습 모듈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통합학급의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학습 접근을 최대화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학습적 요구가 있는 예비교사들의 접근성도 최대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COVID-19 has resulted in shifting all classes into online, followed by increased attention on how to effectively educate pre-service teachers in an e-learning format. This study suggests an interactive online module for teaching UDL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explores the impact of the module on lesson plan development. After completion of the module, 28 pre-service teachers significantly enhanced their ability to design lesson plans using principles of UDL and showed strong willingness to apply the UDL principles in their future profession. With the online module embedded with the concept of UDL, the current study not only prepared teachers to improve their competency to develop lesson plans based on the UDL principles but also provided learning opportunities to the maximum extent possible for all teachers including those with special needs.

      • 보편적 학습설계 분석을 통한 과정중심평가 구현 방안

        조호제(Hoje Jo), 김혜숙(Hyesook Kim)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설계가 과정중심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과정중심평가를 계획(수업 전)하고, 실천(수업 중)하며, 평가(수업 후)하는 일련의 구현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기준에서 과정중심평가와 관련된 기준을 살펴보고,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영역별 교수‧학습전략 틀을 바탕으로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 4가지 관점에서 교수‧학습전략을 제시하여 과정중심평가의 구현 방안을 제안하였다. 목표 설정에서 교사는 목표를 학습자 수준에 맞게 설정해야 하고, 목표의 수준별 다양화를 통해 학습자는 차별화된 학습내용을 선택할 수 있다. 내용 선정은 목표와의 일관성을 고려하여 학습자가 선정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준의 학습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방법 선정은 학습 내용에 적절한 수업 모형을 적용하되 학습 내용에 대한 수정이나 변경, 개선이 언제든지 가능해야 하고, 학습자의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자가 설정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평가 선정에서는 다양한 과정중심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 자신이 설정한 목표에 적절한 평가를 하고,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며, 교사도 평가결과를 통해 자신의 교수‧학습을 반성하고 교수학습설계를 수정할 수 있다. 보편적 학습설계는 과정중심평가를 계획, 실천, 평가하는 전 과정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기준에는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각 단계별 지침에서 과정중심평가를 위해 교사가 고려할 점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제시하고 있다. 목표, 내용, 방법, 평가는 상호배타적 개념이 아니라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어 일관된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i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and provide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ocess-based evaluation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planning (before class), practicing (during class) and evaluating (after class). To this end, the standards associated with the process-based evaluation in the 2015 revised general guidelines for school curriculum are reviewed, and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 terms of goal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 are provided based on the teaching & learning strategy frameworks by domain based on the UDL. Teachers should set the goals depending on the level of learners, and the learners should be able to select differentiated learning content through diversification of the goals by level. Considering consistency between the content and the goal, various levels of learning content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learner can reach his/her selected goal. When selecting the method, it should be possible to change, modify or improve the learning content while applying an appropriate teaching model for the learning content. Information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for the learner’s individual learning and attaining the goal set by the learner. When selecting the evaluation, the appropriate evaluation for the goal set by the learner is evaluated by utilizing various process-based evaluation methods. The learner can have an opportunity to modify and improve the learned content through the teacher’s feedback, and the teacher can reflect on his/her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s and modify th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The UDL provides many suggestion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planning, practicing and evaluating the process-based evaluation, and the 2015 revised general guidelines for school curriculum provide what the teacher should consider and how the teacher should do for the process-based evaluation in each step of goals,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The goals,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should be consistently established by being closely correlated and not mutually exclusive.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통합체육 연구의 동향과 방향

        이학준 ( Lee Hak-jun ),김남진 ( Kim Nam-jin ),우정한 ( Woo Jeong-h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학습설계(UDL) 기반 통합체육 연구의 동향과 방향을 알아보는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DB 검색사이트에 보편적 학습설계, UDL, 통합체육, 체육수업, 체육 등의 키워드 검색을 통해서 찾아낸 국내연구 5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편적 학습설계 관련 통합체육에 대한 국내연구는 석사 학위논문 2편과 연구논문 3편이다. 석사 학위논문은 통합체육에서 비장애학생이 장애학생에 대하여 갖는 태도에 관한 연구와 통합체육에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스포츠교육모형을 연구한 것이다. 연구논문은 통합체육에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수업으로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변화와 체육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 실태를 연구한 것이다.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통합체육수업의 확대 방안은 사회적 차원에서 보편적 학습설계의 활용에 관한 제도개혁(자유학기제 확대, 평가의 다양화)과 개인적 차원에서 통합체육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관한 교수역량 강화와 실행의지에서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and direction of UDL research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researches on the field of UDL and domestic studies (5). As a result, There are about 5 studies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All of these studies are specific to the use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Two domestic dissertations and three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The master thesis was a study on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student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study of sports education model that reflects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It should be expanded to reflect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o help students becom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expansion plan calls for institutional reform necessary for the utiliz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the social dimension. At an Individual dimension, they should have the teaching ability and will to act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b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 실천사례에 대한 질적 연구 : 초등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조윤정(Jo, Yunjeong),변영임(Byun, Young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 실행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 실천과정과 수업의 특징에 대해 규명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실행연구를 실시하고 실행연구에 참여한 초등교사 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한 후 심층 면담과 참여관찰,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업 실행 사례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수업을 사전단계와 실행단계로 나누어 실행하였으며 수업에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적용하였다.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의 특징으로는 모든 학생을 위한 학생중심수업, 학생주도성이 발휘되는 수업, 과정중심 평가가 이루어지는 수업, 교사의 지속적인 성찰이 이루어지는 수업 등을 제시할 수 있다. 결론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을 통하여 존재의 고유성과 차별성을 최대한 존중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잠재가능성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도나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관련 정책에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을 정착시키기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es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specify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asses. Methods Researchers conducted an action study and selected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action study as research participant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reflective writing. Results The classes consisted of pre-stage and an execution stage.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ere applied to the classes. The classes were characterized as student-centered classes for all students, classes pulling out student agency, classes conducting process-based evaluation, and classes in which teachers continuously reflect. Conclusions Through the classes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uniqueness and differentiation of existence can be respected as much as possible, and students can be supported to show their full potential. In order to implement the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t is necessary to include it in policies related to the curriculum at the provincial or national level,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to activate the classes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 KCI등재

        교육 현장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연구의 적용 전략 및 효과성 고찰

        손지영 ( Ji Young Son ),김동일 ( Dong Il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1

        보편적 학습 설계는 최근에 교수ㆍ학습 분야에 적용되어 장애학생을 비롯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대안적 교수설계 원리로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실제 수업 환경에서의 적용 전략 및 효과성을 고찰해보고, 앞으로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의 전망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검색하여 국내외 연구 총 8편을 수집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선행연구들의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였으며, 교육 환경에서 효과적인 보편적 설계의 적용 전략과 구체적인 적용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학생이 포함된 수업에서 학령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 방법으로 대부분 사례연구가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적용 전략은 복합적인 내용 제시, 표현, 참여 방법의 측면에서 세부적으로 이루어졌다. 적용 효과성으로는 수업참여도, 학생 상호작용, 과제수행행동, 사회성 기술의 증가, 내용이해도 및 학업성취도 향상, 동기 증가, 교사의 교수기술 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앞으로의 교육 현장에 효과적인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적용에 대한 제언과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is recently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principle of instructional design for a wide range of diverse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recent literatures on applying UDL in the educational settings and to identify research method, strategies applying UDL,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appeared in the research. The search procedures through the Web-database system were implemented to find the proper research. and a total of 8 articl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of subjects were K-12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and case study was mostly implemented as a research method. Results founded that strategies applying UDL were divided into the multiple methods of presentation, expression, and engagement. Additionall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pplying UDL were the improvements of students participation, students interaction, on-task behavior, social skill,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skills of teacher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