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조선의 독본과 문종 개념의 인식

        조윤정(Jo, Yun-jeong)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근대 초기(1895~1925) 독본에 나타난 문종(文種) 개념의 형성과 그 인식 과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그리고 지식의 범주화, 문학장의 형성, 작문 교육의 체계화 속에서 문종 개념이 정립되고, 관습화된 양상을 구명했다. 문종은 단순히 글의 형식이나 체제에 대한 명칭이 아니다. 문종 개념은 전통적인 글의 양식과 외부로부터 유입된 장르의 교섭을 의식하는 가운데 창출되었다. 이 논문은 글이 존재하는 양식 및 지식이 유통되는 방식으로서 교육에 대한 인식 전환과 관련하여 문종 개념을 고찰했다. 그것을 증명하기 위해 조선, 일본, 미국의 독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종 관련 개념을 추출,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개념과 개념 사이에 존재하는 균열과 불일치의 가능성을 살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구어와 조선어 사이의 교환관계가 완전히 성립하지 않고, 관습화되지 않았던 시기에 문종에 대한 인식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지식인들이 어떤 논리와 언어를 동원하여 문종을 정형화하는지 살폈다. 문종 관련 지식은 독본이라는 매체를 통해 계몽의 논리로 전이되고, 문학적 자율성 속에서 재사유되는 과정을 거친다. 조선의 문종 개념은 애초부터 "문예 양식의 갈래"로서 쓰인 것이 아니라, 중국 한문학의 文體 개념과 일본의 文(章) 개념을 서양의 "kinds of composition"과 "forms of discourse"의 번역어로 조선에 유입하는 과정에서 창출된다. 그리고 문종, 즉 장르는 근대 작문 교육의 변화 과정에서, 현재의 의미에 근접하게 통용되어 온 것이다. 그러므로 서구어 genre는 ‘종류-법칙-작가와 독자 간의 구성적 관례와 규약(code)"으로 그 개념의 변화를 거쳐 현재에 이른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consider the formation and recognition process of the concept of genre re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early modern Chosun(1895-1925). And this paper looks deep into the aspect of foundation and customization of the concept of genre occurred with the categorization of knowledge, the formation of literature place and the systematization of writing education. The genre is not simply the name for the form or system of literary works. And the concept was created under the interaction between traditional styles of writing and exterior concept of genre. This study consider that the concept of genre as the way of being of literature and the method of distributing knowledge is related with the change of educational recognition. To prove this, this paper makes extracti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oncepts related with genre commonly re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Chosun, Japan and United states. Through this process, we can see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and disagreement existed among the concepts. Considering that the recognition of genre was made when the relation between Chosun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was not completed and customized, this paper deals with that intellectuals standardized genre with what kinds of logic and narration. The knowledge of genre was transferred into the logic of enlightenment through the textbooks and then reconsidered under the literary autonomy. Initially, the concept of genre of Chosun was not used as ‘category of literary pattern’ but was created under the process of translating western language of “kinds of composition” and “forms of discourse” into Korean language by using the concept of style(文體) of Chinese literature and the concept of writing(文章) of Japanese literature. And the concept of genre has become the current meaning under the changes of modern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 transition of the concept of ‘kinds-rules-compositional custom and code between writers and readers’.

      • KCI등재후보

        김동인 소설과 위반의 미학

        조윤정(Jo, Yunjeong) 돈암어문학회 2014 돈암어문학 Vol.27 No.-

        이 논문은 김동인이 작가를 인물로 내세웠거나 작가의 자율성을 실험하는 단편소설을 "위반"의 구조 속에서 분석하고, 그가 사상가로서의 권위를 벗은 새로운 작가의 상을 구축하는 방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작가의 독창성 확보 문제가 문학/작가의 자율성에 대한 고민을 낳고, 소설적 진실이 작가의 자기 환멸을 그려내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었음을 구명한다. 이 논문은 김동인 문학에 대한 연구의 시점을 소설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양하여, 작가와 독자의 위치 전복, 성경 다시 읽기/쓰기, 작가?편집자?문단의 관계 폭로, 소설 창작의 과정을 소설화한 양상에 주목한다. 이와 같은 관점은 그가 기존의 문학 규범을 위반하고 전복하는 과정에서 작가의 예술관, 문학관의 토대를 마련했음을 드러낼 수 있다. 김동인은 <마음이 옅은 자여>와 <목숨>에서 권위를 벗은 작가의 모습을 보여준다. 전자에서 김동인은 작가-독자의 위계 전복을 통해 자기 문학(론)의 위상을 확보한다. 후자에서 그는 죽음에 대한 사유를 계기로 삼아 한 없이 위대하면서도 우스워질 수 있는 인간이라는 간극 속에서 작가의 실재성을 획득한다. 작가의 자율성을 중시했던 김동인은 성경의 다시 읽기/쓰기를 통해 소설과 소설가의 권위를 확보한다. <이 잔을>, <명문>, <신앙으로>에서 그는 기독교의 진리라는 것은 성경적 진실과 그것을 재해석하는 주체의 위치 사이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는 소설을 통해 성경의 언어와 성물의 이미지에 긴박되어 있는 조선인의 신앙심 사이에 종교적 진실성에 대해 자문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한다. 소설은 작가의 독창성을 확보하는 방법이면서 작가를 살릴 수 있는 자본이기도 하다. 자기 파산 이후 김동인에게 소설은 그의 작가적 위치를 보여주는 교환가치가 된다. 이때, 그는 예술과 자본의 교환가치 속에서 작가-편집자 혹은 작가-작가의 관계, 작가와 소설의 이미지, 참 예술에 대한 욕망 등에 대한 사유를 담은 소설을 창작한다. <발가락이 닮았다>, <소설급고>와 <광화사> 같은 작품이 그 예다. 이 작품들은 소설 창작의 메커니즘으로서 "위반"의 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게 하며, 자본의 논리 속에서 작가가 경험해야 하는 자기 부정과 환멸의 비애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sis Kim dong-in‘s short stories which show writer as a character or experiment writer"s autonomy in the frame of "transgression" and aims to consider the way in which he made a new figure of writer who took off the authority as a thinker. Through this kind of work, this study reveals that the problem of retaining the originality of writer, make distress about the autonomy of writer and reality of fiction can reach to describing self-disillusionment of writer. This paper changes the point of study of his fictions from interior of the fictions to exterior and pays attention to changing position of writer and reader, re-reading/re-writing of the Bible, exposure of the relations among writer, editor and literary circle and the way of writing fictions in which he described the process of writing fictions. This kind of point of view can reveal that he made a basis of his view of art and literature under the process of transgressing and overturning the established literary norms.

      • KCI등재

        특집논문 : 언어의 위계와 어법의 균열 -해방기~1960년대, 한국의 언어적 혼종상태와 문학자의 자의식-

        조윤정 ( Yun Jeong J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6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일본어-한국어-영어의 교체 혹은 공존의 상황 과 그것의 문학적 형상화에 주목한다. 논의의 과정에서 해방 이후 한반도의 언어적 혼종 및 언어의 위계화, 국민국가 만들기에 있어서 언어-주권성, 전후세대 작가들의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마이너리티로서의 세대적 자의식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해방이후 염상섭, 김동인, 채만식 이 ``통역``을 통해 소통 불가능성을 형상화하는 의도를 살핀다. 또한, 전후 비평을 통해 전후세대를 명명하려는 문인들의 자의식을 비판적으로 바라 봄으로써 언어적 ``결여 상태``가 ``세계인``이라는 과잉된 자부심으로 전복되는 논리를 고찰한다. 그리고 손창섭, 장용학, 송병수, 서기원 등 전후세대 작가들의 소설에서 한국어가 (구)제국어와 세계어 사이에 위태롭게 낀 한 반도의 ``자기반영``임을 언급한다.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소설과 비평에 나 타난 표준화된 ``어법``과 그것의 ``균열``이 언어-주권성의 문제를 세계와의 동시대적 연관 속에서 바라볼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situation in which substitution or coexistence of Japanese, Korean and English had occurred after liberation and the imagery of that situation. Hybridism and hierarchy of languages after liberation in the Korea Peninsula,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sovereignty in the aspect of building a nation state, and national identity and the sense of generation identity as a minority of postwar generation writers, would be discussed. Concretely, this study seeks the intention with which Yeom Sang Seop, Kim Dong In and Chae Man Sik embody the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y use of ``interpretation``. And the logic, with which ``the lack of language`` was modified to the excessive pride of ``a cosmopolitan``, would be considered through the critical view of sense of identity of writers who wanted to designate postwar generation by literary criticism.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in the fictions of postwar generataion writers like Son Chang Seop, Jang Yong Hak, Song Byeong Su and Seo Gi Won etc., Korean language struggle with the language of Empire and the universal language, and this linguistic condition represent political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tandardized ``grammar`` and its ``rupture`` represented in the fictions and literary criticism of post liberation, has meaning in the aspect in which it makes the connection between language and sovereignty to be considered under the worldwide relationships.

      • KCI등재

        국가주의적 희망의 서사를 넘어서기

        조윤정(Jo, Yunjeong)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4

        이 논문은 결혼 이주 여성이 자신을 재현하는 글쓰기에 주목하여 한국어 수기의 조건, 대상, 의미를 분석한다. 이주 여성은 글을 쓰면서 언어, 주관 기관, 독자, 자기 재현 욕망이라는 네 가지의 검열 체계를 거친다. 이 때문에 이주 여성의 글에는 자신의 감정을 단순화하고 일관된 논리로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이 나타난다. 특히, 모성애의 문제는 한국 사회에 작동하는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동화(同化) 이데올로기와 관련된다. 결혼 이주 여성들은 수치화될 수 없는 재생산노동에 종사하며, 글쓰기로 한국에의 적응과 가정의 돌봄을 입증한다. 그들이 공모전에서 요청받는 다문화가정구성원으로서의 희망은 한국에서 느끼는 상반된 위상-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영웅, 결손 가정의 원인-과 감정을 인위적으로 봉합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우리가 주목할 것은 그들이 말하는 희망이 아니라, 희망이나 발전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복합적인 감정과 자기 설명의 불가능성이다. 이민자 수가 많아지고 공론장이 활성화되면서 한국(인)의 배타적인 폐쇄성, 계급·인종·젠더의 서열화 문제를 폭로하는 글이 많아졌다. 다른 한편, 결혼 이주 여성이 자녀를 비롯한 한국인에게 모국어와 모국 문화를 가르치는 일화 역시 증가했다. 그 속에서 이주 여성은 동화의 불가능성과 함께 정체성의 혼란을 고백한다. 이는 한국 다문화가족 정책에 내재한 균열이다. 그런데 그 균열은 세계화를 외치며 국민/비국민을 가르고 이민자를 배제하는 한국인에게 ‘완전한’ 한국인, ‘진정한’ 세계화가 무엇인지 묻게 한다. 그리고 독자 역시 그 질문 앞에서 자기를 설명할 수 없다는 무능과 고통을 인정하게 된다. 이처럼 결혼 이주 여성에게 요청된 국가주의적 희망의 서사는 이주 여성과 한국인의 정체성 변화나 확장 가능성을 암시하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나와 너의 불완전함을 인정하는 계몽의 복수성이야말로 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어 수기에서 발견할 수 있는 희망의 전조이다. Concentrating on the writing of immigrated females on marriage, this paper analyzes the conditions, the objects and the meanings of the memoirs written in Korean. When the immigrated female writes the memoir, she needs to censor the writing under the condition of the language, the managing department, the reader and the desire expressing herself. Therefore in these memoirs a kind of obsession can be found, which simplifies the writer’s emotion and composes the emotion in a consistent logic. Especially, the subject of maternal affection is related with the ideology of normal family and the ideology of assimilation operated in Korean society. Immigrated females normally work in the area of social reproduction in which the magnitude of work is hard to be calculated and they prove their adaption in Korea and the care for their own family. The hope that is requested in writing contests to them as a member of multi-cultural family, accompanies the process intentionally harmonizing the two conflicting social assessments for them, the one is a hero attributing to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other is a reason of broken family, and their incompatible emotions under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What we need to concentrate is not the hope that they say but their complex emotions and the impossibility of explaining their being that the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ir hope or development. As the number of immigrants are increasing and social discussions are more activated, the articles that disclose the exclusiveness of Korean society and the ranking problem according to social class, race and gender, are released more frequently. In this situation, the immigrated females experience not only the impossibility of assimilation but also identity crisis. This is the problem which is embedded in the policy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By the way, this problem of disharmony demands an answer for the questions, that is, who is ‘genuine’ Korean and what is ‘real’ internationalization, to Korean people who exclude immigrants in the society while claiming globalization. The Korean readers of the memoirs also feel pain and incompetence because they can not explain their existence in front of these questions. Like this, the nationalistic hopeful narration requested to the immigrated females, comes to have meaning to both the writers and Korean readers in the direction of changing and enlarging the identity of both of two groups. Therefore this kind of multiplicity of enlightenment that admits the incompleteness of everyone, is the sign of hope which we can find in the memoirs of the immigrated females.

      • KCI등재

        유학생의 글쓰기, 사상의 오독과 감정의 발현 -잡지 『여자계(女子界)』를 중심으로-

        조윤정 ( Yun Jeong J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3 No.-

        이 연구는 조선 최초의 여성잡지인 『女子界』를 통해 당대 유학생이 신사상에 반응하는 양상에 주목한다. 특히, 근대 초기 유학생들의 글쓰기를 통해 ``신사상의 수용과 오독``, ``관념어의 습득``에 대해 고찰한다. 당대 여성의 주체 구성 문제는 자유와 평등을 주장하는 사회적 ``분위기`` 혹은 신사상이라는 ``범주``에 대한 반응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응은 담론에 대한 편입과 일탈의 문제를 담지한다. 이때, 『여자계』에는 담론의 ``범주성``과 그 범주로부터의 일탈이 가져온 ``오독 혹은 오해``, 그리고 그 오독이 가져온 ``윤리적 감정``의 표출이 나타난다. 일본 유학 시기 신사조를 접하고 이를 조선의 상황에 재조명하는 유학생들의 의식에는 중심 담론을 향한 ``편입욕망``과 중심으로부터의 일탈이 가져올 ``불안의식``이 공존한다. 지식인으로서의 불안의식은 필자인 유학생들에게 자신이 신사조의 오독자가 아님을 강조하는 글쓰기의 원인이 된다. 유학생들의 글에는 ``誤解, 誤讀, 誤信``과 같은 단어들이 자주 나타난다. 그러나 그들은 신사상의 오독을 통해 조선의 여자해방을 주장하는 ``오독의창조성``을 보여준다. 일본 유학을 통해 신문명이라는 범주를 경험한 유학생은 그 범주로부터 일탈한 조선여자에게 거리감을 느낀다. ``행복한 우리들과 불쌍한 저네들``의 수사는 ``수치심의 전이``를 동반한다. 기독교적 사명 하에서 여자 유학생들은 조선의 교육받지 않은 여성들에게서 헬렌 켈러의 신체적 결여성을 겹쳐본다. 그리고 설리반 선생에게 ``추상적 개념어``들을 배우던 헬렌 켈러의 상황을 환기하며, 자신들이 조선 여성들에게 신문명의 관념을 가르치는 ``문화적 매개``의 역할을 할 것이라 자처한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우정과 열정이라는 ``관념어의 체계``를 통해 ``민족의 근대화``를 발화한다. 또한, 루소 사상의 수용을 통해 ``자연``의 상태, ``상상력``의 상태에서 예술을 창조하고, 그 예술을 통해 자기 해방을 실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여자계』는 신사상의 수용과 유학생의 집단의식을 통해 조선 여성들에게 ``감정과 욕망의 발현-자아의 각성-여성 해방-근대 문명``의 관계성을 드러낸다. 그리고 여성해방이라는 근대화의 사명 속에서 여성의 교육과 글쓰는 행위가 제도화되어 가는 시작점을 보여준다. 유학생들은 ``시대적 윤리``와 ``여성적 직분``이 교차하는 자리에서 자신의 사명을 찾는다. 그리고 기독교적 수사와 비유를 통해 여자해방의 이상을 제시한다. 식민지 조선의 여성이라는 이중의 억압 속에서 유학생들은 여자해방사상에 반응했고, 신사상의 오독과 그 오독의 창조적 연쇄 속에서 자신의 내면을 언어화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aspect that modern students studying abroad react through Joseon`s first women`s magazine Yeojagye. Students studying abroad met with new trend of thought and reflected situation of Joseon in the period of studying abroad, they had a desire for central discourse and uneasiness of departure from center. The uneasiness of intellectual became factor of writing that emphasized the oneself was not person whom misread new trend of thought. However, writers of Yeojagye showed ``creativity of misreading`` that asserted Joseon women`s liberation through misreading of new trend of thought. Students studying abroad experienced the category of new civilization through Japan, felt distance not admitting Joseon women in the category. The rhetoric, ``happy us and poor them``, accompanied ``a sense of shame`s transfer``. The Joseon women`s uneasiness changed a sense of shame through meeting with new civilization and the sense of shame`s revelation was connected with the discovery of a new great cause. Students studying abroad had left mother country to look upon oneself as the mediator between educated women and noneducated women, they prepared a unified group`s spirit. At This time, the matter of importance is a fact that they commonly discovered their mission in ``a wish of God``. In this christian mission, women students studying abroad were overlapped noneducated women and Helen Keller`s physical lack. They aroused Helen Keller learned ``abstract concept word`` from Sullivan, they looked upon oneself as ``the cultural mediator`` would teach new cultural notion to Joseon women. Also, they presented possibility of created arts in condition of ``nature`` and ``imagine``, and possibility of realized self liberation in arts through acceptance of Rousseau`s idea. Yeojagye indicated connection of ``revelation of emotion and desire-awakening self-women liberation-modern culture`` through acceptance of a new idea and group`s sprit of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it showed starting point that women`s educatin and writing systematized in mission of modernization called women liberation. Students studying abroad discovered the mission on a place crossing ``moral of times`` and ``feminine duty``. Writers could not help resisting against a male dominated discourse in process of forming and systematizing of notion titled ``women`s liberation``. Students studying abroad reacted to idea of women`s liberation under the double suppression named Joseon women of a colony, they had to verbalize the inside themselves in a misreading of new ideas and creative link of the misreading.

      • KCI등재

        이공계 글쓰기 교육에서 쓰기 능력의 평가와 수준별 교육의 효과 ― 카이스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윤정 ( Jo Yunje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4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작문 능력의 평가와 수준별 학습의 중요성을 환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대학 글쓰기 교육과 관련하여 수준별 학습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지만 그것이 도입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논문은 카이스트의 사례를 바탕으로, 글쓰기능력 평가의 내용과 수준별 수업의 방식을 제시한다. 글쓰기 능력 평가와 수준별 수업은 학생들의 상황에 맞게 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방식을 설정하고, 학생들에게 글쓰기 학습에 대한 구체적이고 확실한 동기 부여를 해줄 수 있다. 글쓰기의 수준별 교육이 도입되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그것의 학습적 효과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수준별 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기위해 수업의 구체적인 내용과 특징을 개괄하고, 글쓰기 강좌의 수강생이 필수적으로 거치는 일대일 대면 상담의 방법과 실효성을 살핀다. 그 과정에서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의 결과와 학기말 논술 능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향상도를 분석했다. 글쓰기 능력 평가와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은 향후 대학 글쓰기 교육의 과제를 검토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고려해야 할 사항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tails and effects of the level tests executed at KAIST, and shows the impact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on the writ-ing abilities of student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writing assessments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s on writing education at universities. All of the students of KAIST have to take a `writing level test`, after which they take lectures on writing according to the grade obtained. This paper summarizes the contents and grading methods of the `writing level test`, which was incorporated in order to objectively identify the writing abilities of students. This kind of evaluation system can help in establishing the purposes and methods of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each student`s current status, and make the students establish a definite and firm motive for writing education.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is paper sum-marizes the concret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ctures titled `basics of writing` and `logical writing` respectively, which are executed at KAIST. This paper also emphasizes the method and effects of `one to one consultation`, which is an essential step of the above lectures. The effectiveness of graded learning is verified through surveys that were carried out during the process of `one to one consultation`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is seen from the results of the end of term writing test. The writing level test and education program of KAIST is based on the premise of a small group of students, the student`s desire for learning, the educational passion of the professor, and the contribution of the writing center. The process through which writing evaluation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were carried out at KAIST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for inspecting problems and finding ways of developing writing education programs in universities.

      • 온라인 협업 툴을 위한 UI 시나리오 제안 - 친화도 다이어그램을 (Affinity diagram)을 중심으로

        조윤정(Yunjeong Jo),박남춘(Namchoon Park),이지현(Jihyun Lee)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코로나-19 로 인한 비대면 상황의 장기화로 온라인 협업 툴에 대한 요구와 사용은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이에 따라 코로나-19 이전 대면으로 이뤄지던 UX(User Experience) 디자인 프로세스 또한 온라인 협업 툴을 활용한 비대면 중심의 프로세스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X디자인 프로젝트에서 온라인 협업 툴인 비 캔버스(Beecanvas)를 활용해 친화도 다이어그램 (Affinity Diagram)을 수행한 사용자들의 경험과 대면 상황에서의 친화도 다이어그램 수행 경험을 함께 수집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협업 툴을 활용한 친화도 다이어그램 수행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도출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UI (User Interface)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듣기 교육 연구의 주제별 동향 분석

        조윤정 ( Cho Yunjeong ),조희경 ( Jo Heegyeong ),조희영 ( Jo Heeyeong ),전은주 ( Jeon Eunju ) 한국화법학회 2016 화법연구 Vol.0 No.3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language listening education by topic and to propose future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n Korean listeni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lassified 6 doctoral theses and 66 research papers related to Korean listening education by their topics and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For analysis, the criteria of the research topics were general, content, teaching method, educational materials, assessment, and curriculum; accordingly, research on educational materials had the highest percentage, followed by teaching method and general research. This study found that research on content, assessment, and curriculum had a lower percentage compared with other research topic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forms the following propositions. First, proficiency requires assessment and research on curriculum by area. Second, the research scope should be expanded to other research areas, such as teaching strategy, learners with various goals, research on other functions besides speaking, and application plans using educational materials.

      • KCI등재

        백수 청년을 둘러싼 감정 구조와 증오의 전복 - 2000년대 한국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

        조윤정 ( Jo Yunjeong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9 No.-

        이 논문은 외환위기 이후 한국 장편소설에 형상화된 백수 청년을 둘러싼 감정 구조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백수 관련 신문 기사의 추이, 연관어 분석 등을 토대로 실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백수 담론의 유통 과정에서 나타난 사회문화적 특성 등을 함께 살폈다. 또한, 박주영, 이상운, 정한아, 김영하, 구경미, 김사과의 장편소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백수를 향한 증오와 그에 대응하는 인물들의 행위가 지닌 전복성을 분석했다. ‘실업’, ‘노는 인간’ 등의 레테르는 노동의 상태성을 기본으로 삼는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소설 속 인물은 ‘최저 임금, 최소 노동’의 삶을 살면서도 그 상태를 부정하기보다는 백수로서 선택적 노동을 향유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로써 작가들은 ‘백수건달’로 뭉뚱그려진 ‘비노동’ 상태에 대한 사회적 증오를 되돌려 주고, 자본주의의 노동 통제와 편협한 인정 구조를 폭로하여 기존의 사회경제적 관념에 균열을 일으키려 한다. 이는 후기 자본주의의 한국 사회에서 경제적 위기를 경험하며 노동 윤리를 강요받았던 청년들이 그에 순응하기보다는 노동하지 않을 권리로 자기를 실현하고, 사회적 현상에 대한 냉담함으로 죄책감과 수치심을 극복하려는 욕망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다만, 현재의 관점에서 볼 때, 2000년대 소설 속 백수가 노동의 놀이화나 친밀성의 공동체를 통해 타인과 연대하고 근대의 노동 윤리를 전복하려 한 양상은 백수의 현실을 낭만화했다는 역사적 평가를 피하기 어렵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ucture of feeling related to unemployed youth who were figured in Korean novels after the currency crisis. The common perception about unemployment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shown in jobless discourse were also inspected based on newspaper articles about jobless and analysis on associated words of jobless. And this paper analyzed hatred for jobless and overturning properties of the unemployed character’s responsive behaviors with the research on long novels of Bak Juyeong, Lee Sangun, Jeong Hana, Kim Yeongha, Gu Gyeongmi and Kim Sagwa. The labels like ‘unemployment’ and ‘jobless’ assumes ‘a job for a person’ as a normal situation. Nevertheless, characters in novels after the 2000s do not feel anxiety from their lives nor deny them but enjoy their self-chosen works although their lives consist of ‘minimum wages’ and ‘minimum labor’. With these characters, the writers give back the social hatred for ‘not in a job’ state and make a crack on the existing social and economic sense by revealing labor control and the narrow-minded evaluation system of capitalism. In these novels, it is meaningful that young people, who had experienced economic crisis and been forced into existing lab or ethics in post-capitalism society, actualized ‘themselves’ with their right not to work and expressed their eagerness to reach their ideal of ‘labor as an amusement’. However, the aspects in the novel of 2000s, that is, converting a labor into an amusement, banding together with others in a group of intimacy, and turning modern lab or ethics upside down, could be criticized for romanticizing the reality of the unemployed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