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레진의 간헐적 광중합 방법이 변연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윤용환,박성호 대한치과보존학회 200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2 No.3

        이 실험의 목적은 광중합 복합 레진을 자체 제작한 광조사 차한 장치를 이용하여 간헐적 광중합시켜 기존의 연속 중합법과 변연적합도를 비교함으로써 간헐적 광중합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번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Pyramid(Bisco, Schaumburg, U.S.A)와 Heliomolar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이다. 발치된 상악 소구치에 class II MOD 와동 형성 후 뀌 두 재료를 bulk 충전하고 다음의 중합cycle에 따라 중합시켰다: 제1군- 연속 광중합 (60초간 계속 광조사); 제2군- 2초 광조사, 1초 광차단 (90초 시행); 제3군- 1초 광조사, 1초 광차단 (120초 시행); 제4군- 1초 광조사, 2초 광차단 (180초 시행), 저작재현장치 (R&B, Daejeon, Korea)로 720000회의 운동횟수, 분당 120의 회전속도, 5℃와 55℃의 물을 교대로 치아에 6000회 주사하면서 5.0 kg의 하중을 치아에 적용하였고 실험 전후 변연적합도를 전체와 부위별 변연으로 나누어서 ×200배율의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부위별 변연은 교합면, 인접면, 치은면 등 세 부위로 나누어서 법랑질 변연을 측정하였다. 전체 변연적합도에서 각 군간, 재료간, 저작 운동 전후 차이를 보기 위해 thre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시행하였고, 부위별 변연적합도에서는 각 군에서 부위별 차이와 각 부위에서 군간 차이를 보기 위해 각각 on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시행하였다 (95% 유의수준). 전체 변연적합도를 보면, 저작 운동 전에는 Pyramid의 경우 3, 4군이 1, 2군에 비해, Heliomolar의 경우 3, 4군이 1군에 비해 전체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고, 저작 운동 후에는 Pyramid, Heliomolar모두 3군이 1군에 비해 전체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다 (p < 0.05). 재료간 비교에서는 저작 운동 전에는 2군에서 Heliomolar가 Pyramid보다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고 (p < 0.05) 그 외의 군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저작 운동 후에는 모든 군에서 재료간 유의차가 없었다. 각 부위별 변연적합도를 비교하면, 저작 운동 전 Pyramid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는 4군이 2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eliomolar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 2,4 군이 1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저작 운동 후 Pyramid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는 3군이 1, 2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eliomolar에서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 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effect of intermittent polymerization on marginal adaptation by comparing the marginal adaptation of intermittently polymerized composite to that of continuously polymerized composite. The materials used for this study were Pyramid (Bisco Inc., Schaumburg, U.S.A.) and Heliomolar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class II MOD cavities prepared in 48 extracted human maxillary premolars.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y light curing method; group 1- continuous curing (60s light on with no light off) ; group 2- intermittent curing (cycles of 3s with 2s light on & is light off for 90s) ; group 3- intermittent curing (cycles of 2s with is light on & is light off for 120s) ; group 4- intermittent curing (cycles of 3s with Is light on & 2s light off for 180s). Consequently the total amount of light energy radiated was same in all the groups. Each specimen went through thermo-mechanical loading (TML) which consisted of mechanical loading (720,000 cycles, 5.0 kg) with a speed of 120 rpm for 100hours and thermocycling (6000 thermocycles of alternating water of 50℃ and 55℃. The continuous margin (CM) (%) of the total margin and regional margins, occlusal enamel (OE), vertical enamel (VE), and cervical enamel (C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ML under a×200 digital light microscope. Thre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performed at 95% level of confidence to test the effect of 3 variables on CM (%) of the total margin: light curing conditions, composite materials and effect of TML. In each group,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additionally performed to compare CM (%) of regions (OE, VE, 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the thre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Before TML, in groups using Pyramid, groups 3 and 4 showed higher CM (%) than groups 1 and 2, and in groups using Heliomolar, groups 3 and 4 showed higher CM (%) than group 1 (p < 0.05). After TML, in both Pyramid and Heliomolar groups, group 3 showed higher CM (%) than group 1 (p < 0.05). CM (%) of the region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 (p < 0.05). Before TML,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within the VE and CE region. In the OE region, group 4 of Pyramid showed higher CM (%) than group 2, and groups 2 and 4 of Heliomolar showed higher CM (%) than group 1 (p < 0.05). After TML,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among groups within the VE and CE region. In the OE region, group 3 of Pyramid showed higher CM (%) than groups 1 and 2, and groups 2,3 and 4 of Heliomolar showed higher CM (%) than group 1 (p < 0.05). It was concluded that intermittent polymerization may be effective in reducing marginal gap formation. [J Kor Acad Cons Dent 32(3):248-259, 2007]

      • KCI등재

        Replica technique과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한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관한 비교 연구

        신미선,이장훈,Shin, Mi-Sun,Lee, Jang-Ho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5 No.4

        목적: 본 연구는 보철물의 적합도를 계측하는 두 가지의 측정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지르코니아로 전부도재관을 제작하고 replica technique과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전부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타이타늄의 지대치 모형을 제작하여 20개의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 10개는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해 복제하고 복제된 시편을 협설, 근원심으로 절단하여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였고, 다른 10개의 전부도재관은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협설과 근원심으로 단면을 형성하고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계측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alpha}=.05$). 결과: 변연과 내면 적합도는 replica technique $49.86{\pm}29.69{\mu}m$, triple-scan protocol $75.35{\pm}64.73{\mu}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 < .001), 내면 적합도만을 측정한 결과 각각 $58.38{\pm}31.77{\mu}m$, $64.00{\pm}46.43{\mu}m$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343). 결론: Replica technique과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전부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 측정한 결과 triple-scan protocol에서의 변연 적합도가 크게 측정되었고, 내면 적합도만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all ceramic crown using the replica technique and the triple-scan protocol.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zirconia ceramic crowns were fabricated using titanium abutment model. All crow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10 each, depending on the replica technique and the triple-scan protocol. The internal and marginal fit of 10 zirconia ceramic crowns were measured at 17 points for each specimen using the replica technique. The other 10 ceramic crowns were measured using the triple-scan protoco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t-test (${\alpha}=.05$). Result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fi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replica technique ($49.86{\pm}29.69{\mu}m$) and triple-scan protocol ($75.35{\pm}64.73{\mu}m$, P<.001).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internal fit except marginal fit were $58.38{\pm}31.77{\mu}m$ and $64.00{\pm}46.43{\mu}m$, respectively (P>.343). Conclu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rginal fit measured by the two method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nal fit between the two methods.

      • KCI등재

        다양한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된 3 본 고정성 가공의치 지르코니아 코어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 평가

        허중보,김우식,김하영,김종은,이정렬,김영수,전영찬,신상완,Huh, Jung-Bo,Kim, U-Sic,Kim, Ha-Young,Kim, Jong-Eun,Lee, Jeong-Yeol,Kim, Young-Su,Jeon, Young-Chan,Shin, Sang-W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9 No.3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다양한 CAD/CAM 시스템에 의해 제작된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3-unit 브릿지 코어의 적합도를 "Replica Technique"으로 측정하여 기존 제품들의 내면 및 변연 적합도를 평가해 각 시스템의 적합 특성을 알아보고 임상 적용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상악 좌측 제1소구치를 결손치로 하고 상악 좌측 견치, 상악 좌측 제2소구치를 지대치로 하는 3-unit 고정성 가공의치를 구현한 티타늄 모형을 제작하고, 40개의 실험 모형을 제작하였다. 각 모형을 10개씩 분류하고 Cerasys$^{(R)}$ (C군), Dentaim$^{(R)}$ (D군), KaVo Everest$^{(R)}$ (K군), $Lava^{TM}$ (L군)시스템으로 각각 지르코니아 코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코어는 각 지대치마다 내면에 16개의 점을 선택하고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하여 각 포인트의 간극을 측정하였고 부위별 측정치를 비교, 평가하였다. Two-way ANOVA와 Dunnett T3 analysis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alpha}$=.05). 결과: 모든 시스템에서 변연의 외부보다 내부에서 조금 더 큰 간극을 보이는 특징을 보였다. K군의 경우 전반적인 적합도는 우수하였으나 절단부위의 간극이 아주 크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고, C군의 경우 변연부위의 간극은 K군와 비교하여 크지만(P<.05) 전반적인 내면 간극이 다른 시스템에 비해 균일한 특징을 보였다. 축벽의 간극에서는 모든 시스템, 모든 절단부위에서 $100\;{\mu}m$ 미만의 우수한 적합도를 보였다. L군와 C군의 경우 변연의 외측부와 내측부의 간극차이가 적었으나 KaVo Everest$^{(R)}$와 Dentaim$^{(R)}$의 경우 마진 내측이 외측보다 간극이 큰 특징을 보였다(P<.05). 변연과 내면적합도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K군과 C군이 D군과 L군보다 상대적으로 더 좋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보였고(P<.05) 두 지대치 중 견치가 제2소구치보다 더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P<.05). 결론: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변연 부위의 적합도는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에 있었다. 변연 간극과 내면 간극 모두에서 지대치 중에 견치에서보다 제2소구치에서 더 큰 간극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축벽보다는 교합면 쪽 간극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margin and internal fitness of 3-unit zirconia bridge cores fabricated by several CAD/CAM systems using replica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Three unit-bridge models in which upper canine and upper second premolar were used as abutments and upper first premolar was missed, were fabricated. Fourty model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Cerasys$^{(R)}$ (Group C), Dentaim$^{(R)}$ (Group D), KaVo Everest$^{(R)}$ (Group K), $Lava^{TM}$ (Group L)), and zirconia cores were fabricated by each company. Sixteen points were measured on each abutment by replica technique. Statistical analysis was accomplished with two way ANOVA and Dunnett T3 (${\alpha}$=.05). Results: In most systems, there was a larger gap on inter margin than outer margin. In the Group K, overall fitness was excellent, but the incisal gap was very large. In the Group C, marginal ga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Group K, but overall internal gap was uniform (P<.05). The axial gap was under $100\;{\mu}m$ in all system. The difference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gap was small on Group L and C. However, internal ga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external gap in Group D (P<.05). The fitness of canine was better than second premolar among abutments (P<.05). Conclusion: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 was within the clinically allowed range in all of the three systems. There was a larger gap on second premolar than canine on internal and marginal surface. In most systems, there was a larger gap on occlusal surface than axial surface.

      • KCI등재

        수종의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코어에서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한 변연 및 내면 적합도 평가

        허중보,박청길,김하영,박찬경,신상완,Huh, Jung-Bo,Park, Cheong-Gil,Kim, Ha-Young,Park, Chan-Kyung,Shin, Sang-W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8 No.2

        연구목적: 최근CAD/CAM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코어의 변연적합도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여러 종의CAD/CAM 시스템의 변연 뿐만 아니라 내면적합도까지 상호 비교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종의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전치부 단일 치아 지르코니아 코어의 변연 및 내면적합도를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3종의CAD/CAM 시스템 (Cerasys $system^{(R)}$, KaVo $Everest^{(R)}$, $LAVA^{TM}$)을 이용하여, 시스템 별로 5개씩의 단일치아 지르코니아 코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지르코니아 코어를 레플리카 테크닉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해 복제하고 복제된 시편을 협설, 근원심으로 정중앙을 절단하여 변연 및 내면의 간격을 측정하였다. Measuring microscope ($AXIO^{(R)}$)를 이용하여 50배 확대하여 촬영하고 $I-Solution^{(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ANOVA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지르코니아코어의 평균 변연간격은 $Cerasys^{(R)}$가 $84.74{\pm}27.57{\mu}m$, KaVo $Everest^{(R)}$가 $80.23{\pm}21.07{\mu}m$, $Lava^{TM}$가 $96.37{\pm}11.45{\mu}m$이었고 평균내면간격은각각 $Cerasys^{(R)}$는 $94.99{\pm}18.74{\mu}m$, KaVo $Everest^{(R)}$는 $92.31{\pm}25.18{\mu}m$, $LAVA^{TM}$는 $94.99{\pm}18.74{\mu}m$이었으며, 세 시스템간의 변연 및 내면간격의 평균적인 적합도에서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변연 및 내면간격의 비교에서는 KaVo $Everest^{(R)}$가 $LAVA^{TM}$보다 전반적으로 내면간격이 작은 것으로 보였다 (P< .05). 내면간격 중 절단부위의 간격은 세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다른 부위보다 크게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에서 $Cerasys^{(R)}$, KaVo $Everest^{(R)}$, $LAVA^{TM}$시스템의 변연적합도는 차이가 없었고, 내면적합도는 KaVo $Everest^{(R)}$가 $LAVA^{TM}$ 보다 적었으나 세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절단부위 간격이 크게 나타났다. 세 시스템 모두 변연적합도 및 내면적합도가 임상적으로 허용범위 내에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margin and internal fitness of single anterior all-ceramic crown zirconia core made by three deferent CAD/CAM systems. Material and methods: Five single zirconia cores were manufactured by three deferent CAD/CAM systems($Cerasys^{(R)}$system, KaVo $Everest^{(R)}$system, $LAVA^{TM}$system). The manufactured zirconia cores were duplicated through the use of replica technique, and a replicated sample was sectioned in the center of bucolingual and mesiodistal direction to measure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 Measurement was carried out by using measuring microscope ($AXIO^{(R)}$) and $I-Solution^{(R)}$ and analysed through the use of ANOVA. Results: As for the mean marginal fitness of the zirconia core, it was $84.74{\pm}27.57{\mu}m$, in $Cerasys^{(R)}$, $80.23{\pm}21.07{\mu}m$ in KaVo $Everest^{(R)}$ and $96.37 {\pm}11.45{\mu}m$ in $LAVA^{TM}$, and as for the mean internal gap, it was $94.11{\pm}30.07{\mu}m$ in $Cerasys^{(R)}$, $92.31{\pm}25.18{\mu}m$ in KaVo $Everest^{(R)}$, and $94.99{\pm}18.74 {\mu}m$ in $LAVA^{TM}$.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ly deference among the total average gap of three systems. The internal gap in KaVo $Everest^{(R)}$ seemed to be smaller than $LAVA^{TM}$ (P < .05). The internal gap in the incisal area was larger in all of the three systems.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ginal fitness in $Cerasys^{(R)}$, KaVo $Everest^{(R)}$ and $LAVA^{TM}$. As for the internal fitness, it was smaller in KaVo $Everest^{(R)}$ system than $LAVA^{TM}$ system. In all of the three systems, there was a larger gap in incisal area.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 was within the clinically allowed range in all of the three systems.

      • KCI등재

        $Procera^{(R)}$ AllCeram 을 이용한 도재관의 임상적 변연적합도에 관한 연구

        송영균,조인호,이종혁,Song, Young-Gyun,Cho, In-Ho,Lee, Jong-Hyuk 대한치과보철학회 200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6 No.5

        완전도재 수복물은 뛰어난 심미성을 가지고 있어, 환자들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재관을 제작함에 있어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정밀도 또한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변연적합도는 수복물의 성공 여부에 중요한 요소이고, 이 분야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임상적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CAD/CAM 시스템의 하나인 $Procera^{(R)}$ AllCeram 시스템의 변연적합도를 실제 환자의 수복물 상에서 측정함으로써 임상에 사용되는 CAD/CAM 시스템의 변연적합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보철과에 내원한 56명, 101개의 지대치에 대해 코핑 상태와 최종수복물의 변연오차를 입체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하고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 결과, 코핑의 변연오차 ($53.84{\pm}38.83\;{\mu}m$)보다 최종 수복물에서의 변연오차 ($45.82{\pm}30.84\;{\mu}m$)가 더 낮은 값을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각 측정 지점간 비교에서 역시 모든 변연에서 코핑 의 변연오차가 최종 수복물에서의 변연오차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구치부의 변연오차는 전치부의 변연오차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설측 변연의 경우, 근심, 원심, 순측 변연의 오차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Procera^{(R)}$ 시스템의 Allceram 관의 변연적합도는 임상적 허용 범위 내에 있었으며, 특히 도재 축성후 변연적합도 는 더 우수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연 중 설측 변연의 오차가 가장 큰 것은 주모형의 정보 입력시 순측 부위의 특성상 일어나는 오류로 사료된다. $Procera^{(R)}$ 시스템 Allceram 관 수복시 설측 변연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은 변연적합을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주모형 변연 부위의 변곡 정도에 따른 변연오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tatement of problem: Use of all-ceramic prostheses fabricated with CAD/CAM systems is increasing in the dentistry. Marginal fidelity in production of all-ceramic restoration has important clinical implications and is a key consideration issue in CAD/CAM production as well.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marginal fidelities of $Procera^{(R)}$ Allceram Crown. Material and methods: On 56 patients treated with $Procera^{(R)}$ system Allceram Crown at Dankook Dental Hospital, marginal discrepancies of 101 abutments were measured by stereomicroscope at coping and final restoration stages. Paired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 marginal discrepancy dat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surement and measuring point stages. Results: Marginal discrepancies of final restoration ($45.82{\pm}30.84\;{\mu}m$) were lower than alumina coping ($53.84{\pm}38.83\;{\mu}m$). Furthermore, th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95% confidence level. Anterior marginal discrepancies were lower than posterior marginal discrepancies,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ingual marginal discrepancies were higher than other measurement sites, and th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95% confidence level. Conclusion: Within the conditions of this study, marginal fidelities of $Procera^{(R)}$ Allceram Crown were acceptable, and after porcelain build-up, marginal fitness improved over alumina coping. More careful scanning is needed for better results.

      • KCI등재

        두 종류의 CAD/CAM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의 도재 축성 전후의 변연적합도 비교

        신호식,김석규,Shin, Ho-Sik,Kim, Seok-Gyu 대한치과보철학회 200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6 No.5

        연구목적: 변연적합도는 보철수복물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McLean과 von Fraunhofer등에 의하면 120 ${\mu}m$ 이하를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를 넘는 정확하지 않은 변연은 지각과민을 일으키거나 이차 우식을 일으키고, 치태 축적을 용이하게 하여 보철물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에 최근에 우리나라에 소개되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CAD-CAM 전부도재 수복물 중 $LAVA^{(R)}$ 시스템 (3M ESPE, St. Paul, MN)과 $EVEREST^{(R)}$ 시스템 (KaVo Dental GmbH, Biberach, Germany)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전부 도재관들이 도재전장 금속주조 수복물과 비교해 보아 코핑 상태일 때와 도재축성 후 각각 변연적합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재료와 방법: 상악 제1소구치 덴티폼 치아를 high speed diamond bur 로 교합면 2.0 mm, 순설면 1.0 mm, 그리고 변연은 chamfer margin을 6도 측면 경사 절삭 기계로 균일하게 제작해서 이를 인상 채득하여 금속 지대치를 제작하였다. 이를 덴티폼 모형상에 장착한 후 전악인상을 채득하여 $LAVA^{(R)}$ 수복물 코핑, $EVEREST^{(R)}$ 수복물 코핑, 그리고 도재전장 금속주조 수복물 코핑을 각각 8개씩 제작하였다. 이들 코핑을 염색제를 섞은 Fit-checker $II^{(R)}$ (GC Cor.,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금속 지대치에 접합시킨 뒤, $Microhiscope^{(R)}$ system (HIROX KH-1000 ING Plus, Seoul, Korea)을 이용하여 300배율로 관찰하면서 변연 간격을 ${\mu}m$단위로 측정하였다. 도재축성 후에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모든 수복물의 변연간격을 측정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결과: 코핑 상태에서의 평균 변연간격 값은 $EVEREST^{(R)}$ 에서 $52.00{\pm}11.94\;{\mu}m$, $LAVA^{(R)}$ 는 $ 56.97{\pm}10.00\;{\mu}m$, 그리고 도재 전장 금속 주조 수복물은 $97.38{\pm}18.54\;{\mu}m$를 보였고, 도재축성 후에 평균 변연 간격값은 $EVEREST^{(R)}$ 는 $61.69{\pm}19.33\;{\mu}m$, $LAVA^{(R)}$ 는 $70.81{\pm}12.99\;{\mu}m$, 그리고 도재 전장 금속 주조 수복물은 $115.25{\pm}23.86\;{\mu}m$를 보였다. 결론: 1. $LAVA^{(R)}$ 와 $EVEREST^{(R)}$ 수복물은 도재 전장 금속 주조 수복물과 비교하여 각각 코핑상태일 때와 도재 축성 후 모두 유의성 있는 (P < .05) 차이를 보이는 우수한 변연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2. $LAVA^{(R)}$ 와 $EVEREST^{(R)}$ 수복물 간의 평균 변연 간격 비교에서 코핑 상태일 때와 도재 축성 후에 모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P > .05). 3. $LAVA^{(R)}$과 $EVEREST^{(R)}$ 그리고 PFM 은 각각 코어 상태일 때와 비교하여 도재 축성 후 변연 간격에서 약간 증가되었으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 > .05). Purpose: Marginal fit is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for the successful prosthodontic restoration. Poor fitting margin of the restoration causes hypersensitivity, secondary caries, and plaque accumulation, which later result in prosthodontic failure. CAD/CAM zirconia all-ceramic restorations, such as $LAVA^{(R)}$ (3M ESPE, St.Paul, MN) and $EVEREST^{(R)}$ (KaVo Dental GmbH, Biberach, Germany) systems were recently introduced in Korea. It is clinically meaningful to evaluate the changes of the marginal fit of the CAD/CAM zirconia systems before and after build-up.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the marginal fit of the two CAD/CAM all-ceramic systems with that of the ceramometal restoration, before and after porcelain build-up Material and methods: A maxillary first premolar dentiform tooth was prepared with 2.0 mm occlusal reduction, 1.0 mm axial reduction, chamfer margin, and 6 degree taperness in the axial wall. The prepared dentiform die was duplicated into the metal abutment die. The metal die was placed in the dental study model, and the full arch impressions of the model were made. Twenty four copings of 3 groups which were $LAVA^{(R)}$, $EVEREST^{(R)}$, and ceramometal restorations were fabricated. Each coping was cemented on the metal die with color-mixed Fit-checker $II^{(R)}$ (GC Cor., Tokyo, Japan). The marginal opening of each coping was measured with $Microhiscope^{(R)}$ system (HIROX KH-1000 ING-Plus, Seoul, Korea. X300 magnification). After porcelain build-up, the marginal openings of $LAVA^{(R)}$, $EVEREST^{(R)}$,and ceramometal restorations were also evaluated in the same metho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with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test. Results: In coping states, the mean marginal opening for $EVEREST^{(R)}$ restorations was $52.00{\pm}11.94\;{\mu}m$ for $LAVA^{(R)}$ restorations $56.97{\pm}10.00\;{\mu}m$, and for ceramometal restorations $97.38{\pm}18.54\;{\mu}m$. After porcelain build-up, the mean marginal opening for $EVEREST^{(R)}$ restorations was $61.69{\pm}19.33\;{\mu}m$, for $LAVA^{(R)}$ restorations $70.81{\pm}12.99\;{\mu}m$, and for ceramometal restorations $1115.25{\pm}23.86\;{\mu}m$. Conclusion: 1. $LAVA^{(R)}$ and $EVEREST^{(R)}$ restorations in comparison with ceramometal restorations showed better marginal fit, which had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in coping state and also after porcelain build-up . 2. The mean marginal opening values between $LAVA^{(R)}$ and $EVEREST^{(R)}$ restorations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porcelain build-up as well as in coping state (P > .05). 3. $EVEREST^{(R)}$, $LAVA^{(R)}$ and ceramometal restorations showed a little increased marginal opening after porcelain build-up, but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5).

      • KCI등재

        열가압성형도재의 사용이 금속도재관 치경부 변연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김세연,이청희,Kim, Ji-Eun,Kim, Se-Yeon,Lee, Cheong-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2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열가압성형기법이 금속도재관의 치경부 변연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에 앞서, 4개의 금속 주모형을 형성하였다. 각 모형은 각각chamfer, heavy chamfer, shoulder with bevel, shoulder (collarless)변연을 형성하였다. 각 변연당 10개씩의 금관을 제작하여, 총 40개를 제작하였다. Coping 단계에서, 그리고 금속도재관 완성 단계에서 주모형과 금관 사이의 변연간극은 100배율의 광학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측정되었다. Data분석은 paired t-test along with one-way ANOVA와 Duncan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결과: 변연간극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한 결과, 금속 코핑과 그 후 완성된 금속도재관, 모든 경우에서 변연부 간격은 임상적 허용범위 안에 있었다. Chamfer 변연 실험군의 경우 Heavy chamfer 변연 실험군에 비하여 금속도재관 완성 후 변연부 간격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그리고Shoulder 변연 실험군에서 도재로 처리된 변연이 Chamfer와 Shoulder변연 실험군의 금속변연에 비하여 변연부 간격이 유의하게 작게 나타났다. 결론: 열가압성형기법을 통하여 제작한 금속도재수복물의 변연적합도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작한 금속도재수복물의 변연적합도와 유의한 차이점이 없었다. 제작과정의 효율성으로, 열가압성형기법은 임상에서의 효과적인 사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what impact the heat and press-on-metal technique has on the marginal fit of metal ceramic crown. Materials and methods: Prior to the experiment, 4 metal master models were prepared. Each model has margin of chamfer, margin of heavy chamfer, margin of shoulder with bevel and margin of shoulder (collarless). Additionally, 10 crowns were made for each margin, total of 40 crowns. Marginal discrepancy between the master model and crown was observed at ${\times}100$ microscopic magnification in two states; in coping state and upon completion of making metal ceramic crow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aired t-test along with one-way ANOVA and Duncan multiple comparison test. Results: After analyz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marginal discrepancy, it was confirmed that marginal discrepancies were within the clinical permitted range for all states; in coping state and upon completion of making metal ceramic crown. For the chamfer group, a significant increase in marginal discrepancy upon completion of making metal ceramic crown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heavy chamfer group. Also, a marginal discrepancy of porcelain margin in shoulder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marginal discrepancy of metal margin in chamfer and shoulder group. Conclusion: From the test result, one can conclude that marginal fit of metal ceramic crown built with heat and press-on-metal techniqu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marginal fit of metal ceramic crown built with traditional technique. And along with efficiency of this system, heat and press-on-metal technique is considered in clinic.

      • KCI등재

        다양한 CAD/CAM 방식으로 제작한 금속하부구조물 간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 비교 연구

        정승진,조혜원,정지혜,김정미,김유리,Jeong, Seung-Jin,Cho, Hye-Won,Jung, Ji-Hye,Kim, Jeong-Mi,Kim, Yu-L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7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CAD/CAM 기술로 제작한 4가지 금속하부구조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하여 정확도 및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상악 중절치 레진모형치아를 삭제한 뒤 복제하여 Ni-Cr 합금 표준 모형을 제작하였다. 이를 공초점 현미경방식의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 12개의 STL 파일을 얻었다. CAD 프로그램 상에서 $50{\mu}m$의 시멘트 공간을 부여한 두께 0.5 mm의 금속하부구조물을 디자인하였다. Co-Cr 금속하부구조물은 다음 4가지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Wax pattern milling & Casting (WM), Resin pattern 3D Printing & casting (RP), Milling & Sintering (MS), Selective laser melting (SLM).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리콘 복제법을 이용하였다. 측정한 결과값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통계처리하고, 사후검정으로 Scheffe test를 시행하였으며, 5% 유의수준으로 평가하였다(${\alpha}=.05$). 결과: 변연 적합도는 WM군($27.66{\pm}9.85{\mu}m$)과 MS군($28.88{\pm}10.13{\mu}m$)이 RP군($38.09{\pm}11.14{\mu}m$)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치경부 적합도는 MS군이 RP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축면 적합도는 WM군과 MS군이 RP군과 SLM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절단면 적합도는 RP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결론: Wax pattern milling & Casting, Milling & Sintering법으로 제작한 Co-Cr coping의 변연과 축면에서의 적합도가 더 우수하였다. 모든 군의 Co-Cr coping의 변연, 치경부, 축면 적합도는 임상적으로 허용할만한 범위 안에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of four different metal copings fabricated by CAD/CAM technology and to evaluate clinical effectiveness. Materials and methods: Composite resin tooth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prepared for a metal ceramic crown and duplicated metal die was fabricated. Then scan the metal die for 12 times to obtain STL files using a confocal microscopy type oral scanner. Metal copings with a thickness of 0.5 mm and a cement space of $50{\mu}m$ were designed on a CAD program. The Co-Cr metal copings were fabricated by the following four methods: Wax pattern milling & Casting (WM), Resin pattern 3D Printing & casting (RP), Milling & Sintering (MS), Selective laser melting (SLM). Silicone replica technique was used to measure marginal and internal discrepancies.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wit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appropriate post hoc test (Scheffe test) (${\alpha}=.05$). Results: Mean marginal discrepancy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Group WM ($27.66{\pm}9.85{\mu}m$) and Group MS ($28.88{\pm}10.13{\mu}m$) than in the Group RP ($38.09{\pm}11.14{\mu}m$). Mean cervical discrepancy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Group MS than in the Group RP. Mean axial discrepancy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Group WM and Group MS then in the Group RP and Group SLM. Mean incisal discrepancies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Group RP than in all other groups. Conclusion: The marginal and axial discrepancies of the Co-Cr coping fabricated by the Wax pattern milling and Milling/Sintering method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marginal, cervical and axial fit of Co-Cr copings in all groups are within a clinically acceptable range.

      • KCI등재

        단일 도재 수복물의 가공 정밀도가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손큰바다,유범영,이규복 대한치과보철학회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8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3 종류의 치과용 도재 블록으로 제작된 단일 수복물의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평가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3 종류의 치과용 도재 블록(Rosetta; HASS, IPS e.max CAD; Ivoclar vivadent, VITA Suprinity; VITA)으로 제작된 단일 수복물의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캐드 소프트웨어에서 단일 수복물을 디자인하였고, 수복물 디자인 모델(crown designed model) 파일의 제작을 위해 디자인 후 캐드 소프트웨어에서 추출하였다. 그리고 수복물 디자인 모델 파일은 밀링 장비를 사용하여 도재 블록(lithium disilicate ceramic block)을 가공하였다. 수복물 스캔 모델(crown scanned model) 파일의 제작을 위해서 접촉식 스캐너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복물의 내면을 디지털화 하였다. 그리고 삼차원 검사 소프트웨어(Geomagic control X; 3D Systems)를 이용하여, 수복물 디자인 모델과 스캔 모델의 중첩과 가공 정밀도의 삼차원 분석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제작된 수복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실리콘 복제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3 종류의 단일 도재 수복물의 차이는 Kruskal-Wallis H test를 통해 분석되었고,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α = .05). 결과: 도재 블록의 종류에 따라서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P < .001). 그리고 가공 정밀도와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1). 결론: 도재 블록의 종류에 따라서 제작된 단일 수복물의 변연 적합도는 임상적 허용 범위에 있었기 때문에(< 120 μm), 적합도 측면에서 모두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가공 정밀도로 간주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수종의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기반 완전도재관의 적합도 비교

        김성준,조광헌,이규복,Kim, Sung-Jun,Jo, Kwang-Hun,Lee, Kyu-Bok 대한치과보철학회 200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7 No.2

        연구목적: 최근에는 금속도재관의 심미적 문제로 심미성과 강도가 개선된 코아용 도재 및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도재관 시스템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금속과 유사한 강도를 가지면서 금속의 비심미성을 극복할 수 있는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보철물의 제작이 국내외에서 많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되는 여러 종류의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도재관의 적합도에 대한 임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다양한 CAD/CAM 시스템 중 Procera, Cerec inLab, Lava에 의해 제작된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도재관의 변연 적합도와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여 이를 전통적인 방식으로 주조된 금속 도재관의 적합도와 비교 평가해 봄으로써 임상 적용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를 위해 하악 우측 제2소구치에 해당하는 레진치를 삭제하여 인상채득 후, 금속 주모형을 제작하였다. 금속 주모형의 40개의 인상을 채득 후 각 시스템마다 10개씩 총 40개의 crown을 제작하였다. 금속도재관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하였고 Procera, Lava, Cerec inLab crown은 zirconia core를 이용하여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하였다. 수직 변연 오차와 내면 간격을 각 그룹마다 금속 주모형에 시멘트 접착 없이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oneway ANOVA와 Tukey's HSD test로 통계 내었다. 결과: 수직 변연 오차는 금속도재관이 $50.6{\pm}13.9{\mu}m$, Procera crown이 $62.3{\pm}15.7{\mu}m$, Lava crown이 $45.3{\pm}7.9{\mu}m$, Cerec inLab crown은 $71.2{\pm}2.0{\mu}m$로 측정되었다. 내면 간격은 금속도재관이 $52.6{\pm}10.1{\mu}m$, Procera crown이$161.7{\pm}18.5{\mu}m$, Lava crown이 $63.0{\pm}10.2{\mu}m$, Cerec inLab crown이 $73.7{\pm}10.7{\mu}m$로 측정되었다. 변연 적합도 측면에서 볼 때 Procera crown, Lava crown, Cerec inLab 그리고 전통적인 금속도재관은 임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적합도 범위($120{\mu}m$) 내에 있었다. 내면 적합도 측면에서 볼 때 Procera crown을 제외한 Lava crown, Cerec inLab, 금속도재관은 임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적합도 범위($140{\mu}m$) 내에 있었다. Statement of problem: The interest in all-ceramic restorations has increased as more techniques have become available. With the introduction of machinable dental ceramics and CAD/CAM systems there is a need to evaluate the quality levels of these new fabrication techniques. Purpose: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rown fidelity(absolute marginal discrepancy and internal gap) of various zirconia-based all-ceramic crowns fabricated with different CAD/CAM(computer-assisted design/computer-assisted manufacturing) systems and conventional cast metal-ceramic crowns. Material and methods: A resin tooth of lower right second premolar was prepared. After an impression was taken, one metal master die was made. Then 40 impressions of metal master dies were taken for working dies. 10 crowns per each system were fabricated using 40 working dies. Metal-ceramic crowns were cast by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and Procera, Lava, and Cerec inLab crowns were fabricated with their own CAD/CAM manufactruing procedures. The vertical marginal discrepancies and internal gaps of each crown groups were measured on a metal master die without a luting agent.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one-way ANOVA and Tukey's HSD test. Results: 1. Vertical marginal discrepancies were $50.6{\pm}13.9{\mu}m$ for metal-ceramic crowns, $62.3{\pm}15.7{\mu}m$ for Procera crowns, $45.3{\pm}7.9{\mu}m$ for Lava crowns, and $71.2{\pm}2.0{\mu}m$ for Cerec inLab crowns. 2. The Internal gaps were $52.6{\pm}10.1{\mu}m$ for metal-ceramic crowns, $161.7{\pm}18.5{\mu}m$ for Procera crowns, $63.0{\pm}10.2{\mu}m$ for Lava crowns, and $73.7{\pm}10.7{\mu}m$ for Cerec inLab crowns. Conclusion: 1. The vertical marginal discrepancies of, 4 crown groups were all within the clinically acceptable range($120{\mu}m$). 2. The internal gaps of LAVA, Cerec inlab, and metal-ceramic crowns were within clinically acceptable range except Procera crown($140{\m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