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베트남어 법률텍스트의 번역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과 베트남의 FTA 협정 번역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구본석(Gu Bon Seo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최근에 불거진 역내 안보 이슈로 인해 우리나라와 대중국 관계는 악화로 일로 를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 정세의 변화 속에서 베트남이 우리나라 기업들의 차이나리스크 (China Risk) 회피를 위한 대안으로 각광 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2016년 현재 베트남은 미국, 중국, 홍콩에 이은 한국의 제 4위 투자국이자 중국, 미국, 일본에 이은 제 4위의 무역 상대국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우리나라의 베트남에 대한 활발한 투자로 인해 베트남 법률, 특히 경제와 관련된 분야의 법률 정보에 대한 수요는 나날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실에서 베트남어와 관련된 번역 연구는 한국과 베트남 모두에서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양국 경제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한국과 베트남의 FTA의 일반규정 중 일부 영문조항과 해당 베트남어 조항 곧 출발언어로 영문조항을 목표언어로 베트남어 조항을 법률 전문용어 번역전략 분석을 위한 대상으로 삼아 번역과정에서 활용된 번역기법을 파악해 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법률 번역에서 유효한 Varo & Hughes의 일곱 가지 번역전략, Sarcevic의 다섯 가지 번역전략과 Varo & Hughes의 세 가지 번역전략을 소개하고 이 중 Varo & Hughes의 3가지 번역전략 치환, 확장, 변조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영어와 베트남어는 서로 다른 언어계통에 속한 언어임에도 문법적, 구문적인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언어이어서 문법적인 변화, 품사의 변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치환전략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사회주의라는 정치체제로부터 발생하는 제도적인 차이, 서로 다른 법률체계로부터 오는 차이, 문화적인 차이 등으로 인해 많은 의미적인 공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는 데에는 확장과 변조전략이 유효하다는 것이다. 셋째, 전술한 바와 같이 정치, 문화, 언어습관 등에서의 상이성으로 인해 일부 조항에서 번역의 의미가 명료하지 않게 되거나 드물지만 의미가 일치하지 않는 사례도 발견되고 있다는 점이다. Due to recent security issues in the region,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are getting worse. In response to such changes in international circumstances, Vietnam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avoiding the China risk of Korean companies. Specifically, as of 2016, Korea is Vietnam’s fourth largest investor after the United States, China and Hong Kong, and the fourth largest trading partner after Chin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Korea is actively investing in Vietnam. As a result, the demand for legal information of Vietnam, especially in the fields related to the economy, is rapidly increasing. However, in reality, translation research related to Vietnamese is very limited in both Korea and Vietnam. In this paper, we try to grasp the legal terminology translation techniques used in the translation process by analyzing some English articles(ST) and Vietnamese articles (TT) of Korea - Vietnam FTA, which symbolize economic relationship. To do this, we introduce the seven translation of Vinay & Darbelnet, the five translation strategies of Sarcevic and the three translation strategies of Varo & Hughes. And we will try to develop a discussion on the three translation strategies - transposition, expansion, and modulation of Varo & Hugh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first, English and Vietnamese are languages ​​belonging to different language systems. Nevertheless, they have grammatical and syntactic similaritie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use of transposion through grammatical change and part - speech change is not high. Second, there are many gaps in meaning due to institutional differences, legal systems, and cultural differences arising from the political system of socialism. Expansion and Modulation strategies are effective in resolving these gaps. Third, as mentioned earlier, differences in political, cultural and linguistic habits make it possible to find Indefinite translations, or wrong translations, in some article of the agreement.

      • KCI등재

        번역 교육을 위한 번역전략의 실증적 연구

        이은용 ( Eun Yong Le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2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2

        본고에서는 번역자의 개입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번역자가 무엇에 주의하며 번역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번역전략을 객관화하고 이를 제시함으로써 번역 교육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번역문의출발 텍스트, 직역본, 번역본의 대응쌍을 비교·고찰하여 번역 과정에서 일어나는 번역자의 개입 유형과 그 효과를 고찰하였다. 개입 유형을 밝히는 데 ``직역본``을 사용함으로써 번역의 암묵적인 단계와 번역자의 역할을 명시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방법론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특징은 번역학에서 연구된 ``번역 보편소``의 개념을 번역전략의 측면에서 ``명시화``, ``일반화``, ``간결화``로 재정의 하고, 그 하위 항목을 도출하여 각각의 번역전략을 구사한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제시하여 번역전략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고찰을 실시한 점이다. 기존의 번역 연구에서는 번역자의 개입과 그에 따른 번역 양상에 대해 종합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논한 연구가 없다는 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그러한 한계점을 조금이나마 극복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번역 교육의 측면에서 볼때, 번역자는 경험을 통해 체득한 번역전략을 무의식중에 수행하여 출발 텍스트의 의미를 살리면서 수용성 있는 도착 텍스트를 산출 하게 되는데, 이러한 내용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수자가 어떻게 전달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연구된 내용이 없다. 이런 면에서 번역자의 개입에 대한 분석을 통해 번역전략의 측면에서 기술된 본고의 내용은 번역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참고 자료로서도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本稿においては飜譯者の介入の樣相を具體的に捉えることにより、飜譯者がどういったことに注意して飜 譯をすべきなのかに關わる飜譯戰略を客觀化し、これを提示することで飜譯敎育に貢獻することを目的とし た。そのために、飜譯文の原文、直譯文、飜譯本を比較考察することにより、飜譯の過程で起きる飜譯者の介 入の類型とその效果を分析した。介入の類型を分析するのに「直譯本」を使うことで、飜譯における暗默の段 階や飜譯者の役割を明らかに提示することができたというのが本硏究の方法論においての特徵と言える。も う一つの特徵としては、飜譯學の分野で硏究された「飜譯普遍素(universals of translation)」の槪念を飜譯戰 略の側面から「明示化」、「一般化」、「簡潔化」として再定義し、その下位項目を抽出し、それぞれの飜譯戰 略を驅使するための具體的な事例とともに提示することで、飜譯戰略に關する具體的かつ實證的硏究を行っ た点である。 旣存の飜譯硏究においては、飜譯者の介入やそれによる飜譯の樣相について、綜合的かつ具體的な觀点か ら論じた硏究は行われていないことを考えると、本硏究ではそのような限界を少しでも解決できたといえよ う。なお、飜譯敎育の面からみても、飜譯者は經驗を通じて習得した飜驛戰略を無意識のうちに遂行して原 文の意味を生かしながら受容性のある飜譯文を産出しているが、こういった內容を實際の敎育の現場で敎え る立場におかれている人がどう人えればいいのかに關する具體的·實證的硏究は行われていない。このよう なことを考えると、飜譯者の介入を分析し、その內容を飜譯全略の觀点から考察した本稿の內容は、飜譯敎 育の現場において活用できる資料としても有效なものになると思われる。

      • KCI등재

        상상력 증진을 고려한 아동 문학 번역의 충실성 제고

        김혜경 ( Kim¸ Hyeky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40 No.-

        본고에서는 그림이 있는 아동도서를 번역할 때 번역가가 어떠한 번역 전략을 취하는가에 따라 원전에 대한 충실도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는 점에 착안해 분석을 시도하려 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이 있는 아동문학의 번역시 아동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번역가가 적용하는 부연과 생략 등의 번역 전략이 적절한가에 대해 로저 하그리브즈(Roger Hargreaves)의 Mr Men 시리즈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 시리즈 중 대부분에서 잉여적으로 명시화하거나 생략하는 번역 전략을 사용하였는데, 이와 같은 번역 전략으로 ST에는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은 암시적인 내용을 번역가의 의도대로 글로 명시화하거나, ST에 표현된 내용을 아동 독자의 이해에 불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생략하는 번역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그러나 ST에 표현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번역가의 이해에 따라 명시화하는 것은 아동이 그림과의 상호작용으로 이야기의 간극을 메워가며 상상하는 인지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을 여러 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대상독자의 연령에 따라 부연된 설명적 표현이나 생략된 표현들이 도움이 될 수도 있겠지만, 이야기를 읽을 수 있는 독자라면 시각적 코드와 상황적 의미파악으로 상상적 인지 활동을 충분히 수행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고 본다. 명시적 번역은 그림책 읽기과정에 동원되고, 발현되는 아동의 직관적 이해를 충분히 염두에 둔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번역서에서는 설명에 의존한 번역 전략을 취함으로써 번번이 문장 간극의 의미까지 들추어내곤 했는데, 이러한 전략은 원전이 보유한 언어적 기법, 운율 맞추기, 반복패턴 등을 간과한 것이어서 흥미와 묘미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읽는 행위 이전에 보는 행위가 선행한다는 점에서 직관적 이해가 이루어질 것이고, 동시에 명시화하는 것의 의미가 확보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대상 독자의 이해 수준을 넘어선 어휘의 차용이나 ST의 표현상의 의도와 형식에 대한 고려가 간과되는 경우도 빈번하였는데, 이것은 아동의 창의력을 동반한 상상적 인지 활동의 활성화를 막는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려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동화책을 읽거나 듣는 대상독자의 상상을 통한 인지 활동을 고려하여 번역을 하는 경우, 아동 독자의 이해를 목적으로 잉여적 설명을 부연하거나 필요이상의 생략, 불필요한 어휘를 차용하는 등의 전략 사용을 재고해봄으로써, 아동독자의 상상력 증진과 더 나아가 이야기 구성의 재미를 부여하는 데 좀 더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Mr. Men series written by Roger Hargreaves are salient bedtime-hour picture books for children. These books have respective special characters in each book.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what kinds of translation strategies are applied by Korean translators. More often than not, translation strategies of explicit specification or omission were used. According to such translation strategies, unlike the explicit contents of the ST, implicit contents were explicitly written from the intention of the translator, or omitted in TT. In case of considering unnecessary parts for young child readers' understanding, omission strategies were frequently used. However, several examples have shown that translator’s severe negotiation such as paraphrase or omission may distort or interfere with the children’s imagination through cognitive interactions by filling the gaps between words and pictures. Sometimes translation strategies such as paraphrase and omission are appropriate to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translated texts with picture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target reader, descriptive or omitted expressions may be helpful, but readers who can read stories can fully perform and develop cognitive functions of imagination through visual, contextual and semantic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use of vocabulary is sometimes beyond the level of the target audience's understanding;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ST’s expressive intention, some explanations were frequently found. This could prevent the activation of imaginative cognitive activities accompanied by children's creativity. Therefore, it needs to be taken seriously. As shown in this study, a translation should take the imaginative cognitive activity of target readers into account to further enhance the imagination of the child reader and develop their enjoyment in reading.

      • KCI등재

        K-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神 도깨비>의 자국화⋅이국화 번역 전략

        최연연,심보경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4 韓中關係硏究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神 도깨비>의 자막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소를 중국어로 어떻게 번역해야 하는지 그 번역 방법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자국화⋅이국화 번역 양상을 연구하는 데 있다. 드라마 <도깨비> 자막의 한국어와 중국어 번역본 텍스트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제적 부등성이 존재하는 문화소 번역에 사용된 자국화⋅이국화 번역전략을 비교 분석한 결과, 언어문화의 호칭어 번역에서는 출발어에 포함된 시대적 배경, 신분 등 문화소가 훼손되지 않도록 이국화 번역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관용어 번역에서는 도착어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언어문화소로 대체하는 자국화 번역전략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유희에서는 자막에 주석을 달아 구체화시키는 번역전략을 활용하는 방안과 자국화와 이국화 전략을 적절하게 결합시키는 방안이 문화소의 보존과 전달에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문화에서는 문화공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자국화 전략을 사용하여 낯선 사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두 문화권에 동일하게 존재하지만 서로 다른 속성과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명칭에 관해서는 이국화 전략을 사용하여 출발어 문화권 사물과의 부등성을 나타내며 의미의 표층적 구조에서 대응되지만 심층적 구조에서 등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함축적인 의미를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번역전략이 경제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translation patterns of localization and foreignization through a case analysis of how to translate cultural elements shown in the subtitle text of the Korean drama “Lone and Brilliant God Goblin” into Chinese. After selecting the Korean and Chinese translated texts of the Korean and Chinese subtitles of the drama “Goblin”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anslation strategies of localization and foreignization used in the translation of cultural elements with actual problems, it was found that it was effective to use an exoticization translation strategy to prevent damage to cultural places such as the background and status of the times included in the ST in translating the titles of language culture, and to replace them with language and culture elements used in TL culture in idiom translation. In language play,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a translation strategy that specifies subtitles with annotations and the appropriate combination of localization and exoticization strategies were reasonable for the preservation and delivery of cultural elements. In material culture, when cultural gaps exist, localization strategies are us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unfamiliar objects, and for names that exist equally in both cultures but have different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exoticization strategies are used to show incompatibility with ST culture objects and respond in a superficial structure of meaning, but it is concluded that translation strategies that explicitly reveal implications are economical if there is no equivalence in a deep structure.

      • KCI등재

        유머 소구를 활용하는 광고 번역의 번역전략 분석

        우경조 ( Kyongjo Wo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유머 소구’를 활용하는 광고의 번역에 적용된 번역전략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부조화-해소 과정에 기반한 유머 광고와 Delabastita가 제시한 8가지 유머 번역전략에 대해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학부 및 통번역대학원 학생들의 광고 번역 과제에 나타난 유머 번역전략을 살펴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두 편의 영어 TV 광고에 대해 52명의 학생이 참여한 번역 텍스트 60종을 분석했고, 분석 결과 해당 TT에서 활용된 번역전략은 직역, 재생, 보충 전략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이들 번역전략은 모두 원문의 유머 효과를 살리기 위해 택한 것으로 보이고, 특히 원문 광고에서 유머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는 부분의 경우 둘 이상의 번역전략을 활용하여 원문의 유머 효과를 살리려는 의도가 드러났다. 본 연구는 번역사에게 많은 난제를 야기하는 유머번역전략에 대해 비교적 많은 수의 번역문을 유용한 분석의 틀에 기반해 분석했다는 의의가 있으며, 향후 유머 번역 및 광고 번역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ranslation strategies applied to the translation of advertisements using “humor appeal.” To this end, the researcher first looked at humor advertising based on the “incongruity-resolution” theory and eight humor translation strategies presented by Delabastita. Based on the framework, humor translation strategies in the rendered texts were analyzed. More specifically, 60 texts translated by 52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have been analyzed in translation assignments of two English TV commercial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ies were “literal translation,” “reproduction” and “compensation” strategies, and all of these strategies seemed to have been selected to reproduce the humor effect of the original advertisement. In particular, for the parts where a high degree of humor is shown in the original advertisement, the student translators have opted to adopt more than one translation strategy to represent the humor effect.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advertising translation texts based on a useful analysis framework on humor translation that cause many challenges to translators,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spark more interest in humor translation and advertising translation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Translation Strateg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ranslation & English Pedagogy

        남원준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09 통번역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한영번역교과과정에서 번역전략의 학습과 적용이 갖는 교육적 효과에 관해 천착한다. 특히,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된 사례연구를 통해 번역전략기반의 교육적 접근이 번역교육은 물론, 영어교육에도 효과가 있다는 점을 보이며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본 접근을 통해 학습한 학생들은 번역전략을 선택ㆍ적용하는 과정에서 번역원문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 검토, 사고함으로써 이전보다 향상된 한영번역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배양된 능력은 번역교육을 통한 영어교육 또는 영어교육을 통한 번역교육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두 학문분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있어 연계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는 3단계의 과제수행을 통해 우선 번역원문의 어떤 부분이 번역문제(translation problem)인지를 규명하고, 학생들이 이를 어떻게 번역하는지를 분석한 후, 어떠한 번역전략(translation strategies)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떻게 학생들이 이러한 전략을 실제 번역에 적용함으로써 향상된 번역을 수행하는지를 알아본다. 이를 통하여 번역전략기반의 접근이 번역교육과 영어교육에 어떠한 함의를 갖는지를 살펴본다.

      • KCI등재

        자막 제작 영상번역 규칙과 해석이론에 기반한 축역

        심재환(Shim, Jae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0 중남미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중남미와 스페인에서 국내로 수입되는 영화와 드라마에 들어가는 자막의 제작과 관련해 국내 방송업계에서 준수하는 자막 제작 규칙을 국내 번역가와 영상번역 연구자들에게 설명하고 해당 규범과 규칙으로 인한 제한 속에서 발화되는 대사 내용의 의도와 의미를 효과적으로 살리며 축약하는 번역전략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미디어 산업의 발달과 함께 우리는 기존의 방송 업계는 물론 1인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 제작자와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만나고 교류하는 시대로 접어들었으며, 수많은 문화콘텐츠가 세계적으로 공유되는 현실에서 살고 있다. 이런 과정 속에서 예나 지금이나 대중이 가장 많이 접하는 번역은 영상번역이며 그 중에서도 제작 속도와 가성비를 이유로 선호되는 것이 바로 자막이다. 영상번역은 제도적인 특성을 가진 제도 번역의 일종으로 업계에서 관례적으로 굳어진 규범과 규칙을 따르는데, 통번역 학계는 물론 많은 번역가들이 이에 대해 전혀 모르거나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알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막 제작을 위한 BA영상번역 규칙을 설명하며 기존 영상번역 연구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 효과적으로 축역된 자막의 제작을 위해 일반 번역가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해석이론에 기반한 재필(rewriting) 전략을 소개한다.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audiovisual translation with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education and analysis of audiovisual translation by listing and explaining existing conventions for subtitling in audiovisual translation. These are products of conventional ways and methods of translating, styling, structuring and laying out subtitles on screen, which have come to take root as a set of rules that audiovisual translators must know and follow. Such conventions were formed due to the inherent spacial and temporal limitation in audiovisual translation for subtitling in order to facilitate viewer reading and comprehension hindering the transmission of non-linguistic information on screen. These rules have undergone several changes until becoming the set of concrete conventions that is used today for audiovisual translation. It has been adjusted to fit the target language and its display on screen, as well a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reading subtitles. Precedent research and studies in Korea have yet to list and explain these rules, as most related research focus on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linguistic aspects and equivalence of the end product based on the source text. However, it must be understood that this is a unique type of translation that is closer to institutional translation, which conventions have spread throughout the audiovisual field and industry. These conventions affect the translation and the translator"s translation tactics and must be considered prior to any linguistic analysis or evaluation. The study lists and explains said conventions for Korean subtitling. It also introduces a method for creating condensed translations for subtitling that satisfy given conventions, a rewriting strateg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heory.

      • 번역에서 개념범주의 구분과 상호 관련성—번역 리론, 전략, 방법, 기교를 둘러싸고

        김창진(金昌珍)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0 중국조선어문 Vol.228 No.-

        번역리론은 번역실천으로부터 개괄해낸 관련 지식의 체계화된 결론 및 번역 관련 현상이거나 본질에 대한 체계화된 기술이고 설명이다. 번역전략은 일반적으로 문화에 대한 적용 즉 번역자가 출발어문화에 대한 취사와 선택을 구현한다. 또한 직역, 의역 등 번역방법은 이러한 번역전략을 시달하기 위한 구체수단에 해당하며 언어형식에 관련된다. 주석달기, 증역, 감역, 어순변경 등 번역기교는 번역방법을 언어형식으로 조절할 때 역자가 사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번역에서는 대체로 리론, 전략, 방법, 기교의 우로부터 아래로 되는 순으로 그 개념범주의 순위를 정리해볼 수 있으며 번역작업은 이를 념두에 두고 수행되여야 한다.

      • KCI등재

        리차드 러트(Richard Rutt)의 『九雲夢』 英譯本의 底本 활용양상과 번역전략 연구

        이창희(Lee, Chang-hee) 한국고전번역원 2019 民族文化 Vol.54 No.-

        본고는 리차드 러트(Richard Rutt)의 『九雲夢』 英譯本인 A Nine Cloud Dream의 저본 활용양상과 번역전략을 분석한 것이다. 제2장에서는 러트의 底本 활용양상을, 제3장에서는 그가 번역텍스트에 적용한 번역전략을 고찰했다. 그 개략은 다음과 같다. 러트는 번역소설의 서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번역 당시 性眞의 大覺場面이 포함된 李家源本을 원천텍스트로 삼고 서울대본을 보조텍스트로 활용하며 수정·보완하였다. 兩 異本은 전체적인 서사구조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세부 묘사, 서사구조의 배치, 그리고 인물 간의 대화 등에서는 두 텍스트 간에 간극이 존재한다. 때문에 충실한 번역비평을 위해서 러트가 선택한 원천 및 보조 텍스트의 활용방식을 일차적으로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러트는 李家源本을 주요 원천텍스트로 삼으며 해당 판본에 누락된 내용을 서울대본을 통해 보완하였다. 하지만 지식적·문화적 배경이 다른 서구 독자들에게 거리감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는 보조텍스트를 통해 보완하지 않았다. 또한 두 텍스트의 층위를 구분하기 보다는 독자들의 충실한 작품 감상을 위해 때로는 보조텍스트를 선택하거나 심지어는 가시성(visibility)을 드러내기 위해 일부 구절을 변용하기도 했다. 러트는 번역서문에서 자신의 작품인식, 번역관 그리고 목표수신독자를 명시했다. 이에 의거하여 본 논문은 러트가 번역텍스트에 적용한 번역전략을 중심으로 번역비평을 전개하였다. 번역자는 ‘여성’과 ‘공간’이라는 화두를 중심으로 번역텍스트의 전체적인 서사구조를 재편성했다. 크게는 7장으로, 세부적으로는 원천텍스트와 다르게 16회로 재구성했다. 러트는 목표수신독자 중심의 번역관에 입각하여 번역어 차원에서는 첨가 및 구체화 수법을 활용했다. 또한 ‘상위어(superordinate)’를 사용하여 어휘의 층위를 높이는가 하면 로컬리제이션(localization)을 통해 원천 및 번역 텍스트 독자 간의 문화적 거리를 좁히고자 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R. Rutt’s English version, A Nine Cloud Dream, based on his translation principles and text understanding. According to ‘Introduction’, Rutt clarified the orignal and secondary text he used. Shortly, he used Yi Ka-won text(李家源本), making further amendments and additions in the ligh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text. Yi Ka-won text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text do not have much difference in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 but there are some gaps between the two texts, such as detailed description, arrangement of the epic structure, and dialogue etc. Therefore, I identified the way of Rutt’s utilizing source and secondary text for a translation criticism. In conclusion, Rutt used Yi Ka-won text as the source text and made amendments and ad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version. However, he did not supplement some elements that may cause a sense of distance to Western readers with different intellectual and cultural backgrounds. Sometimes some phrases in the secondary text were selected and translated. Even Rutt adapted some phrases, showing his visibility. Rutt stated his text review, translation principles and the target reader in the ‘Preface.’ Accordingly, the translation criticism was conducted based on them mainly focusing on the translation strategies that Rutt applied to the translational text. The translator reorganized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 of the translational text concentrating on the topics of ‘women’ and ‘space.’ He used strategies such as ‘addition’ and ‘explicitation.’ Moreover, Rutt used ‘superordinate’ and ‘localization’ to narrow the cultural difference.

      • KCI등재

        Legibilidad y receptividad : nuevos pilares para la traduccion de literatura coreana

        Kwon Eun-hee,Seong Cho-lim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3 통번역학연구 Vol.17 No.3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가 미국에서 거둔 성공은 원작에의 충실성을 강조하는 기존의 한국문학번역에 방향전환을 가져왔다. 도착어의 유창성, 독자의 가독성, 텍스 트 수용성을 강조한 새로운 번역전략을 구사한 까닭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번역 전략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먼저『엄마를 부탁해』의 미국 시장 성공의 결과로 한국문학번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에 대해 짚어 보고, 번역과정에 어떠한 이론적 모델이 적용되었는지 고찰한 다음, 원작과 영어번역 본, 그리고 영어번역본에서 중역된 스페인어번역본을 차례로 비교 분석하면서 각 언 어의 번역자들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 전략들이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 또, 이러한 전략들이 용인될 수 있는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도착어의 자연스러운 표현을 위해 문장형태를 변형, 조정하거나, 문화적으 로 독특한 이미지를 동일의미를 지닌 다른 형태의 이미지로 대체하고, 원작의 의미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문단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단어, 구 등을 생략, 첨가하는 등의 불가피한 변화에서부터 간접화법을 직접화법으로 대체한 다거나, 문화적 요소에 대한 완전한 자국화, 나아가 거의 번역자의 창작에 가까운 문 장, 문구의 첨가 등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략들이 모두 정당화될 수 있는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하지만 『엄마를 부탁해』가 한국문학번역에 불러일으킨 돌풍은 아무도 부인할 수 없으며 그 번역방 향이 뚜렷하게 독자의 가독성과 수용성을 향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한국문학 번역에 몸담고 있는 모두에게 왜, 무엇을 위해서, 어떻게 번역하고 있는가?에 대한 진지한 물음을 던졌다는 것은 자명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