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올가 토카르추크의 『방랑자들(Bieguni)』에 나타난 인간의 육체에 대한 탐험

        최성은(Sung Eun Choi)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 동유럽발칸연구 Vol.45 No.3

        2018년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올가 토카르추크(Olga Tokarczuk: 1962~ )의 『방랑자들 (Bieguni)』(2007)은 작가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으로 2018년도에 멘부커 인터내셔널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작가는 17세기부터 21세기까지 다양한 시공간을 배경으로 각자 나름의 이유로 여행길에 오른 다채로운 인간군상을 보여주면서, 우리를 쉼 없이 움직이게 만드는 ‘여행’ 또는 ‘이동’이야말로 인간을 자유롭게 해줄 수 있음을 역설한다. 여행과 이동의 의미를 21세기적 맥락에서 탐구하고자 했던 『방랑자들』에서 토카르추크는 ‘신체로서의 인간’에 주목하면서 ‘인체에 대한 탐험’ 또한 일종의 여행으로 간주한다. 목적과 이유는 저마다 다르지만, 경계를 넘나드는 이동을 실현하는 주체가 바로 인간의 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방랑자들』에는 ‘몸’에 관한 에피소드, 그중에서도 특히 파편화된 인체 부위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한다. 인간의 내장기관을 전시한 박물관에 대한 관람기록과 인체를 방부 처리해서 영구 보존하기 위해 고심하는 해부학자들의 사연 또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토카르추크는 정신과 몸을 대립시키지 않는다. 작가의 이러한 시각은 정신이나 의식보다 몸의 감각을 사유와 지각의 중심에 놓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신체의 고유한 주체성과 능동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철학과 밀접한 연관성이 발견된다. 토카츠추크는『방랑자들』을 통해 ‘필멸’의 존재인 인간의 육체를 ‘불멸’이라는 주제와 연관 지어 성찰하면서 인간의 몸에 깃든 에너지와 무한한 가능성에 주목한다. A winner of the 2018 Nobel Prize in Literature, Olga Tokarczuk(1962~ ) won the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for her novel Flights(Polish title: Bieguni) in 2018. It is a hybrid novel consisting of 116 texts on the common keyword of ‘travel’ or ‘vagabond’. Tokarczuk emphasizes that travel can truly free humans by keeping us moving continuously through the appearance of various characters who travel through different times and places in endless succession, between the seventeenth and twenty-first centuries. In Flights, which explores the meaning of journey and movement in the context of the twenty-first century, Olga Tokarczuk views ‘an exploration of the human body’ as a kind of journey in which one focuses on ‘the human being as a physical body.’ This is because the principal agent which realizes movement across boundaries is the live human body - though the purposes and reasons for such movement may be diverse. Thus, Flights contains numerous stories about the ‘body,’ and more particularly certain physical parts of the human body. Records of visits to museums which exhibit human internal organs, as well as stories about anatomists who conduct research on the eternal preservation of the human body though plastination, occupy a large part the book. Tokarczuk does not focus on conflict between mind and body. In the sense that she places physical sensation, rather than mind or consciousness, at the center of thought and awareness, and emphasizes the independence of the body, her approach seems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hilosophy of Maurice Merleau-Ponty. In essence, Tokarczuk emphasized on the energy and limitless possibilities of the human body by associating the mortal human body with the theme of ‘immortality.’

      • KCI등재

        크눌프의 편력시대 - 헤르만 헤세의 『크눌프』에 나타난 방랑자 모티프 연구

        이노은 ( Lee No Eu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3 독일언어문학 Vol.- No.100

        ‘방랑’은 독일민족의 집단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상징적인 요소 중의 하나로 여겨진다. 본고에서는 헤르만 헤세의 소설 『크눌프』에 나타난 방랑자 모티프를 살펴보고자 한다. 크눌프는 한편으로는 얽매이지 않은 낭만주의적 떠돌이 방랑자의 삶을 살면서 자연과의 합일을 추구하고 무목적성의 방랑을 하는 인물이다. 다른 한편으로 크눌프는 편력기능공의 전통에 서 있는 인물로서 장인제도의 규율을 숙지하고 존중하며 그 틀 안에서 움직이고자 한다. 이렇듯 독일 문학사 속의 방랑자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그 어느 한 곳에 속하지 않고 시민사회의 경계에 선 채 독특한 특징을 보여주는 크눌프의 시선을 통해 시민적 전통과 규범의 시대가 저물어가고 있음이 포착된다. 또한 크눌프의 삶을 통해 세기전환기의 독일문학에서 자주 다루어지던 시민성과 예술성 간의 병립 가능성에 대한 모색도 드러나는데, 결국 시민성과 예술성은 절대적으로 병립불가능함을 보여주게 된다. 30대의 헤세가 제기한 질문과 그에 대한 대답이 담겨있는 듯한 이 소설은 이후 헤세가 평생 탐구하게 될 주제, 자신의 내면에 이르는 길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는 문제의식을 정초하고 있다. 크눌프는 여러 의미에서 19세기 말까지의 전통적 방랑문화의 마지막 세대를 대표하는 인물로 읽힐 수 있다. 그의 방랑은 세기전환기에 청년들의 개혁운동으로 시작되어 20세기에 전체주의적, 군사적 행진으로 변질된 집단적 걷기운동과도 구분되는 것이라는 점에서도 그 고유성이 드러난다. Die vorliegende Arbeit hat es sich zur Aufgabe gemacht, sich mit dem Wanderermotiv in Hermann Hesses Roman Knulp zu beschäftigen, wobei das “Wandern” eines der symbolischen Elemente ist, die die kollektive Identität des deutschen Volkes ausmachen. Einerseits lebt Knulp das Leben eines ungebundenen, romantischen Wanderers, der die Einheit mit der Natur sucht und ziellos umherwandert. Auf der anderen Seite steht Knulp in der Tradition des Handwerkers. Er kennt und respektiert die Disziplin des Handwerks und will sich in ihrem Rahmen bewegen. Obwohl er die Tradition des Wanderers in der deutschen Literaturgeschichte fortsetzt, ist er einzigartig, weil er keinem Ort angehört, sondern am Rande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steht. Durch Knulps Augen sehen wir, dass die Zeit der bürgerlichen Traditionen und Normen zu Ende geht. In Knulps Leben zeigt sich auch die Suche nach der Vereinbarkeit des bürgerlichen und künstlerischen Lebens, die ein beliebtes Thema in der deutschen Literatur um die Jahrhundertwende ist. Am Ende erweisen sich Bürgertum und Künstlertum als absolut unvereinbar. Der Roman gibt einen Vorgeschmack auf das Thema, das Hesse sein ganzes Leben lang erforschen sollte, nämlich dass die wichtigste Aufgabe des Lebens darin besteht, den Weg zu seinem eigenen Inneren zu finden. In vielerlei Hinsicht kann Knulp als Vertreter der letzten Generation der traditionellen Wanderkultur des späten 19. Jahrhunderts gelesen werden. Seine Wanderung unterscheidet sich nämlich auch von der kollektiven Wanderbewegung des 20. Jahrhunderts, die als Reformbewegung der jungen Generation beginnt und im totalitären und militärischen Marsch ihre Fortsetzung findet.

      • KCI등재

        고정희 시의 기독교적 인간주의

        김옥성(Kim, Ok-sung) 한국근대문학회 201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9 No.2

        고정희는 1980년대의 중요한 시인 중 한명이다. 고정희는 특히 여성 시문학사의 맥락에서 큰 관심을 받아왔다. 그러나 그는 우리 기독교 시문학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고정희는 신중심적인 기독교 세계관을 인간주의적 상상력으로 변모하는 창의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순례자-디아스포라 의식은 기독교 세계관에서는 천국의 사상이다. 고정희는 그것을 지상의 상상력으로 전환하여 시적 주체의 방랑자 정체성으로 정립한다. 방랑자 주체는 세속적 가치에 얽매이지 않고 존재를 향유할 수 있는 자유를 추구한다. 방랑자 의식은 예언자적 소명의식과 맞물린다. 시적 주체는 세계 내에 거주하지만 세계와 거리를 유지하면서 타락한 사회를 비판하고 더 나은 공동체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예언자적 삶을 추구한다. 예언자적 주체는 예수의 재림이나 하나님 나라의 도래와 같은 신화적 종말론에는 관심이 없고, 지금 여기의 사회 공동체의 변화를 촉구한다. 고정희는 신학의 심오한 주제 중 하나인 신정론의 문제에 큰 관심을 기울인다. 그러나 그는 신에 대한 옹호의 차원이 아니라 사회 공동체의 변화 주체로서의 민중의 차원에서 악과 고통에 대해 관심을 기울인다. 고정희의 기독교적 인간주의의 상상력은 1980년대의 페미니즘과 민중의식을 기독교와 변증시키면서 탄생한 것으로 한국 기독교 시사에서 빛나는 성과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Jung-hee Goh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ets of the 1980s. Goh has received much atten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female poetical history. But she is also important in the history of Christian poetry. She shows a creative side that transforms the God oriented Christian world view into a humanistic imagination. The pilgrim-Diaspora consciousness is the idea of heaven in Christian world view. Goh transforms it into an earthly imagination and establishes it as a wanderer identity of the poetic self. The wanderer seeks freedom to enjoy its existence without being bound by worldly values. The wanderer consciousness coincides with a prophetic calling. The poetic self seeks to live in the world but remain distant from the world, criticizes a corrupt society and present a vision for a better community. The prophetic subject is not interested in mythical apocalypse such as Jesus" renaissance or the advent of God"s kingdom, but calls for a change in the community now and here. Goh pays keen attention to the question of theodicy, one of the profound themes of theology. However, she pays attention to evil and suffering at the level of the Minjung(민중) as a subject of change in the social community, not as a justification for God. The imagination of Christian humanism of Goh is the combination of Christian world view and feminism and Minjung consciousness of 1980s. It is one of the brillian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Christian poetry in Korea.

      • KCI등재

        잭 케루악의 자아로의 여행

        김은성(Kim, Eunseong)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5

        비트세대의 반문화 운동은 지배적인 가치와 태도에 저항한 문화적 그리고 사회적 운동이었다. 비트세대 작들은, 순응, 획일성, 물질주의, 그리고 소비주의를 거부하고, 그와 반대로 비순응성, 자발성, 그리고 개인성을 찬미했다. 이들의 작품은 1950, 60년대 미국에서 새롭게 떠오른 시대 가치의 기록이었다. 비트세대의 대표적인 작가였던 잭 케루악은 『길 위에서』와 『다르마 행려』에서 실제 자신의 모습이라 할 수 있는 방랑자를 창조했다. 길과 산에서의 케루악 자신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이 두 작품에서, 방랑자는 케루악과 다른 비트세대 작가들이 찬양했던 가치들을 구현한다. 『길 위에서』에서는 계속해서 움직이며 여행하는 방랑자의 모습이라면, 『다르마 행려』의 방랑자는 느린 방랑, 멈춤, 고독, 그리고 명상을 통하여 마음의 평화, 깨달음, 그리고 더 높은 차원의 자아를 성취한다. 전자의 작품에서의 케루악은 불안하고 행선지가 명확하지 않지만, 후자의 작품에서는 거대하지만 비워있는 자연의 공간에서 머문다. 그리고 여기에서 치열하고 진지한 명상을 통하여 그의 여행의 의미가 최대한으로 실현된다. The Beat Generation’s counterculture was a cultural and social movement which protested against the main values and attitudes. Rejecting conformity, consensus, materialism, and consumerism, writers and members of the Beat Generation celebrated non-conformity, spontaneity, simplicity, and individuality. Their works are a kind of record of these values which began to emerge in the 1950s, 1960s in America. Jack Kerouac, a representative writer of the Generation, created a hobo or bum who can be referred to as a close figure of himself in On the Road and The Dharma Bums. In the two books based on Kerouac’s immediate and individual experiences on the road and in mountains, the bum figure embodies the values which Kerouac and other beat writers celebrate. Instead of identifying himself with a hitchhiker figure in continuous movements and rush into and out of places in On the Road, Kerouac as Ray who narrates The Dharma Bums adapts slow wandering, staying, solitude, meditation to attain the peaceful state of mind, or the essential mind and enlightenment and to reach a greater selfhood. While Kerouac as Sal looks restless, rootless, and anxious and has no idea of where he is going in On the Road, Kerouac is finally anchored in a vast but empty space of nature in The Dharma Bums. His intensive and private experience here leads his long journey to be fulfilled and realized in The Dharma Bums.

      • KCI등재

        ‘자기 됨’을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원형심리학적 접근 시론

        최인자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7

        This research aims to show that Narrative Literacy can be grafted onto Personality Education which pursues healthy personality of harmony and balance.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act that Narrative is an important medium which structures and restructures mind, so it can be used as an education method for healthy personality with harmony and balance. This research postulates Healthy Personality Education which pursues being the self as whole personality where consciousness integrates with unconsciousness. Healthy Personality Education is possible through insight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unconsciousness which exists inside the self with individual consciousness. When this harmony is broken, human self is separated from oneself, loses vitality, energy, and life force, and experiences emptiness and meaninglessness. Therefore, Personality Education must teach this harmony before social relationship skill improvement and moral value acquisition. In this kind of Personal Education, Archetypal Motif of Mythology is very valuable educational material, because mythology can have an insight into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rough Archetype which is a basic form of human thought and emotion rooted in experience humankind has accumulated from ancient times. Besides, Archetype can be used as a psychological supporter that compensates for various values and wishes unaccepted in social collective consciousness. This research tries expansive reading in modern novels and fairy tales focused on Hermes Archetype and Demeter Archetype. Hermes Archetype appears both in The Catcher in the Rye and in A Day in the Life of Kubo the Novelist in common. The characters in both novels have ag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as wanderers and border riders, help vulnerable people, and try to find their self consciousness against absurdness of modern societies. By interpreting the Archetype`s behaviour methods, advantages, resources, and limits in modern literary works, we can bring our Collective Unconsciousness into consciousness and expand limited consciousness. Narrative Literacy Skills are very important. Understanding the complex meaning network of the crisis, opportunity, limit and meaning of life particular Archetype is in charge of depends on the narrative skill. If archetypal exploration is done through these various texts, we can create our own myth using expanded consciousness. Above Archetypes are very helpful for main character`s integrated role and meaning structure in our own myth. Archetypes give integrating power to various and contradictory roles and needs of life, and make it possible to structure their own personality and identity. 이 글은 내러티브 교육의 확장을 꾀하는 가운데 원형 심리학의 도움을 받아 신화의 원형상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내러티브는 마음을 구성하고 재구성하는 주요한 매체라는 점에서 인성교육의 중요한 매체가 될 수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신화의 원형상을 통한 심리적 내러티브 읽기에 주목하였다. 신화의 원형상은 인간의 근원적 자연 본성을 통찰하게 함으로써 ‘건강한 인성교육의 문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동안 인성교육이 건전한 인성, 바람직한 인성에 주목해 왔다면 현대 사회에서는 건강한 인성교육이 중요하다. 이 글이 전제한 ‘건강한 인성교육’은 의식과 무의식이 통합된 전체 인격으로서의 ‘자기 됨’의 추구를 목표로 한다. 이 통합이 깨어졌을 때 인간의 자아는 자기와 분리되어 활기와 에너지를 상실하고 공허함과 의미 상실을 겪는다. 신화적 원형상은 인류가 본성적으로 간직하고 있는 기본적인 정서와 사유의 형식의 ‘내가 모르는 나’를 통찰하게 하여 인간의 내면적인 인격과 조화를 이루고, 자기됨의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들은 현대 사회에서는 인정받지 못하는 인간 본연의 가치와 소망을 보상함으로써 심리적 조력자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청년기에 주로 마주치는 ‘방랑자 원형’을 <호밀밭의 파수꾼>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확인하였다. 이들 주인공은 모두 방랑자이자 경계인인데 비록 외면적으로는 일탈적이고 무책임하게 행동하지만 내면적으로는 자기 내면을 탐구하는 성숙한 변화를 일구고 있다. 곧, <호밀밭의 파수꾼>의 주인공은 일탈적 충동에서 오랜 방황을 하지만 결국 상처받기 쉬운 아이들을 위한 구호자로서의 자기 역할을 발견한다. 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도 소설가 주인공은 생활과 예술, 자기 의식과 사회의식의 경계 속에서 방황하지만 글쓰는 자로서의 자기 의식을 확보한다. 청년 독자들은 이 ‘방랑자 원형상’의 읽기를 통해 사춘기의 혼돈과 방랑에서 만나는 자신의 진솔한 내적 인격과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자아 정립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격려받는다. 그것은 주어진 사회적 역할과 규범에 적응을 독려받는 인성교육과는 구별되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이는 읽기 뿐 아니라 자기 신화 쓰기로 이어질 수 있다. 곧, 이 신화적 원형상은 주인공이 자기 자신의 신화를 탐구함에 있어, 현실 생활에서 대면하는 복잡하고 모순적인 자기 역할을 통합하고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자원을 마련해 준다. 이 글은 원형심리학이 내러티브 인성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시론으로서, 구체적인 논의는 다음 기회로 미루겠다.

      • KCI등재

        “신비적 방랑자”

        백상훈(Sanghoon Baek) 한국기독교학회 2019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1 No.-

        기독교 영성은 예수 그리스도와의 신비적 연합의 은총에 힘입어 상실/상처/소외의 실존적 자기의 통합을 이루면서 “신비적 방랑자”로서의 자기–초월적 삶을 살아가는 과정을 말한다. 어머니의 상실과 거절이라는 “초월 위기” 속에서 서서평 선교사는 그러한 삶의 전형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아브젝시옹’의 과정으로부터 출현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서서평의 영성 형성은 크리스테바가 말한 바 “자기 안의 이방인”에 대한 인식과 수용의 경험, 말씀을 통한 자기 치유의 여정, 그리고 모성적 공동체의 형성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Christian spirituality denotes the life process, in which one undertakes the self–integration in the course of his/her existential loss, wounds, estrangement and the self–transcendence of the “mystic wanderer.” A typical example of this spirituality is found in the life of Elizabeth Shepping the missionary, especially in her “transcendental crisis”of the loss and rejection of her mother, and this can rightly be understood according to Julia Kristeva’s psychoanalytic theory of the subject and abjection. Thus understood, Shepping’s spiritual formation is characterized as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stranger within, as Kristeva calls it, the healing journey of the self, and the formation of the maternal community.

      • KCI등재

        차펙 형제의 희곡 <곤충의 생활>의 분석

        김규진(Kim, Kyuchi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4 No.1

        <곤충의 생활>은 불특정한 숲속의 장소와 시간 속에서 진행되는 우화나 철학적 의미를 내포한 익살극과 유사하다. 이 희곡은 짧은 서곡과 에필로그가 있는 3막으로 된 희곡이다. 서곡과 에필로그에 나오는 방랑자가 이 3막을 연결시켜주는 고리 역할을 한다. <곤충의 생활>에서는 출생, 성장, 재생산, 죽음 등 인생의 우여곡절이 제시되고 있지만, 주요 테마는 삶의 순환이다. 여기서 죽음이 갑작스럽고 잔인 하듯이 인생의 순환에서 가장 결정적이 참혹한 장면은 죽음이다. 차펙 형제는 <곤충의 생활>에서 곤충을 묘사하면서 인간성 속에 있는 인간들의 제반 문제, 흠과 실수를 풍자하고 있다. 비판적, 풍자적 그리고 잔인할 정도로 우스꽝스러운 어조가 이 희곡을 지배하고 있다. 인간을 대표하며 모든 막에 등장하는 방랑자를 제외 한 거의 모든 주인공들이 상징적인 의미를 띄고 있다. 차펙 형제는 인간사회의 경제제도에서 가족과 아이들의 관점과 그들의 역할을 알레고리로 제시한다. 이점에서 저자들은 냉소적이고 비판적이다. From The Life of Insects is like a fable or a philosophical comedy that takes place in an unspecified forest at an undetermined time. This play is made up of 3 Acts and includes a prelude and epilogue. The tramp who appears in the prelude and epilogue serves as a link which interconnects the three Acts. Main theme of From The Life of Insects is the cycle of life. The ups and downs of life, such as birth, growth, reproduction and death were brought up in this play. In the cycle of life most cruel scene is death. This death is unexpected and brutal. Čapek brothers present morality, an evil deed and ethics while describe the life of Insects. Critical, satirical and cruelly derisive tone dominates the play. Except the tramp who represents human beings and appears in every act, all characters have a symbolical meaning. Čapeks represented allegorically the view of family and children, and the role of family and children in the economic structure of human society. In this matter they are extremely cynical and critical.

      • KCI등재

        차펙 형제의 희곡 <곤충의 생활>의 분석

        김규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4 No.1

        From The Life of Insects is like a fable or a philosophical comedy that takes place in an unspecified forest at an undetermined time. This play is made up of 3 Acts and includes a prelude and epilogue. The tramp who appears in the prelude and epilogue serves as a link which interconnects the three Acts. Main theme of From The Life of Insects is the cycle of life. The ups and downs of life, such as birth, growth, reproduction and death were brought up in this play. In the cycle of life most cruel scene is death. This death is unexpected and brutal. Čapek brothers present morality, an evil deed and ethics while describe the life of Insects. Critical, satirical and cruelly derisive tone dominates the play. Except the tramp who represents human beings and appears in every act, all characters have a symbolical meaning. Čapeks represented allegorically the view of family and children, and the role of family and children in the economic structure of human society. In this matter they are extremely cynical and critical. <곤충의 생활>은 불특정한 숲속의 장소와 시간 속에서 진행되는 우화나 철학적 의미를 내포한 익살극과 유사하다. 이 희곡은 짧은 서곡과 에필로그가 있는 3막으로 된 희곡이다. 서곡과 에필로그에 나오는 방랑자가 이 3막을 연결시켜주는 고리 역할을 한다. <곤충의 생활>에서는 출생, 성장, 재생산, 죽음 등 인생의 우여곡절이 제시되고 있지만, 주요 테마는 삶의 순환이다. 여기서 죽음이 갑작스럽고 잔인 하듯이 인생의 순환에서 가장 결정적이 참혹한 장면은 죽음이다. 차펙 형제는 <곤충의 생활>에서 곤충을 묘사하면서 인간성 속에 있는 인간들의 제반 문제, 흠과 실수를 풍자하고 있다. 비판적, 풍자적 그리고 잔인할 정도로 우스꽝스러운 어조가 이 희곡을 지배하고 있다. 인간을 대표하며 모든 막에 등장하는 방랑자를 제외 한 거의 모든 주인공들이 상징적인 의미를 띄고 있다. 차펙 형제는 인간사회의 경제제도에서 가족과 아이들의 관점과 그들의 역할을 알레고리로 제시한다. 이점에서 저자들은 냉소적이고 비판적이다.

      • KCI등재

        별 방랑자: 무의식의 전생여행을 통한 삶의 의미탐색과 사회풍자

        민경택 미래영어영문학회 2022 영어영문학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life and social satire through the past life trip of unconscious in The Star Rover written by Jack London. In this novel, London reveals his different type of naturalism on the basis of Sigmund Freud’s and Carl Jung’s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including archetypal phenomena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London shows his scathing criticism and acute diagnosis of religion, society, and human nature through the protagonist Darrell Standing’s the various past life trips of unconscious. Darrell Standing experiences his past life through many unconscious journeys wearing a straightjacket in San Quentin Prison. He uses the methods of mechanical self-hypnosis and subconsciousness to forget his physical sufferings. Therefore, he achieves death in life and becomes a temporary master of time and space to rove among the stars. London reveals not only hereditary hatred, wrath, cruelness, violence but also deep rooted and old distortion, irrationality, and absurdity in human society through the various past life experiences. But he paradoxicall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human love and kindness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our life and society.

      • KCI등재

        로베르트 슈만의《4번 교향곡》에 대한 재조명

        김용환 한국서양음악학회 2012 서양음악학 Vol.15 No.3

        Schumann's Symphony no. 4, “symphony in a single movement”, is considered to be artistically unique and innovative in symphonic literature with epoch-making idea among his symphonies. Throughout his lifetime there was controversy about the first version(1841) and the second version(1851) of Symphony no. 4 and it has been tightened since then. In debate on Symphony no. 4, there are analyses about academic background and special characteristics from various kinds of view. In this paper, the results and comments from preceding researches are verified, explained,revised and at the same time accepted cri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