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수부산물 발효사료가 양돈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분석

        추교문,김회윤,하지희,양정모,양보석,박철진,송영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conomic analysis of fermented diet made of agricultural and marine by-products such as, dropped apples, persimmon shells,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by-products, king oyster mushroom by-products and brewer's grain in Berkshire or crossed pigs. The daily diet cost were decreased by 2.16∼3.44%, 3.83∼13.35% and 7.47∼41.61% when fermented dropped apples diet, fermented persimmon shells diet and fermented mushroom (F. velutipes) by-products diet were fed to Berkshire pigs. The daily feed cost was also decreased by 1.59∼4.05% and 59.09∼66.90% when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by-products diet and fermented brewer's grain diet were fed to crossed pigs. Carcass prices were increased by 3.09%, 1.20∼3.40% and 1.13% when 2% fermented dropped apples diet, fermented persimmon shells diet and 0.5∼1.0% fermented mushroom (F. velutipes) by-products diet were fed to Berkshire pigs. Carcass prices were increased by 2.87∼4.19% and 41.31∼49.14% when fermented king oyster mushroom by-products diet and fermented brewer's grain were fed to crossed pigs. Therefore, fermented agro by-products diet of dropped apples, persimmon shells, king oyster mushroom, mushroom (F. velutipes) and brewer's grain was expected to improve swine farms income due to decreased diet cost and increased carcass prices in Berkshire pigs or crossed pigs. 본 연구는 인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낙과사과, 감껍질, 팽이버섯 부산물, 새송이버섯 부산물 및 맥주박을 이용하여 발효사료를 제조하였고, 이러한 농수부산물 발효사료가 양돈에 미치는 경제적인 효과를 분석하였다. 흑돼지 한 마리당 1일 사료비는 낙과사과 발효사료가 2.16∼3.44%, 감껍질 발효사료가 3.83∼13.35%, 팽이버섯 부산물 발효사료가 7.47∼41.61% 감소하였다. 3원교잡종 한 마리당 1일 사료비는 새송이버섯 부산물 발효사료가 1.59∼4.05%, 맥주박 발효사료가 59.09∼66.90% 감소하였다. 흑돼지 한 마리당 도체가격은 2% 낙과사과 발효사료가 3.09% 증가하였고, 감껍질 발효사료가 1.20∼3.40% 증가하였으며, 10% 팽이버섯 부산물 발효사료가 1.13% 증가하였다. 3원교잡종 한 마리당 도체가격은 새송이버섯 부산물 발효사료가 2.87∼4.19% 증가하였고, 맥주박 발효사료가 41.31∼49.14%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료비 및 도체가격의 분석을 통하여 농수부산물 발효사료는 사료비는 감소하고, 도체가격이 증가하게 되어 양돈 농가의 소득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음식찌꺼기의 발효사료화시 수분조절제와 발효방법이 화학적 조성분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배동호,Bae, Dong-Ho 유기성자원학회 2000 유기물자원화 Vol.8 No.4

        음식찌꺼기의 사료화를 위한 발효처리시 수분조절제로 이용되는 재료 (톱밥, 버섯폐재, 밀기울, 야자박 등)와 발효방법 (호기성파 혐기성)및 발효기간이 음식찌꺼기 사료의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일련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험설계는 농가 지도자료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참나무 톱밥과 소나무 톱밥의 NDF(중성세제 불용성 섬유)함량은 각각 건물기준 93.5%와 95.4%로써 사료로 이용하기는 어려운 재료라고 할 수 있다. 톱밥을 수분조절제로 50% 혼합하여 $30^{\circ}C$에서 2일간 호기성발효를 했을때 NDF 함량은 발효 전 재료에 비하여 12% 증가했고 in vitro DDM (인공반추위 건물소화율)은 48% 감소했다. 참나무 톱밥은 소나무 톱밥에 비하여 양호하였으며, 버드나무 톱밥(80%)과 밀기울(20%)을 혼합하여 팽이버섯재배의 배지로 이용된 후의 폐재는 톱밥류에 비하여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된 사료의 NDF함량과 건물소화율은 이용된 수분조절제의 NDF함량에 주로 관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버섯폐재를 밀기울로 대체 했을때 밀기울의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발효된 사료의 NDF함량은 직선적으로 감소했고 소화율은 직선적으로 증가했다. NDF함량이 높은 수분조절제를 이용한 호기성발효는 발효기간이 길어질수록 NDF함량은 증가되었고 건물소화율은 감소되었다. 그러나 밀기울 만을 이용하거나 밀기울이 함유된 수분조절제는 발효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다. 혐기성발효는 호기성 발효에 비해 전 처리구에서 NDF함량은 감소되었고 건물소화율은 향상되었다. 버섯폐재와 밀기울을 수분조절제로 이용하여 실온에서 30일간 혐기적으로 발효한 사료를 유기산 조성과 pH가를 기준으로 발효상태를 판정할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Studies were conducted to know effects of the bulking agents (saw dusts, mushroom waste, wheat bran coconut meal, rice hulls) adding o moisture control, fermentation methods (aerobic and anaerobic) and periods (1 to 20 days) of food waste fermentation for animal feeds on chemical compositions and in vitro DDM (digestibility of dry matter). Experiment designs were focussed basically to obtain extension service data. The NDF (neutral detergent fiber) composition in the oak and pine saw dust were 93.5% and 95.4% (DM basis) in respectively. Thus, the fermented food waste feeds using saw dust (50%) increased NDF(12%), and decreased in vitro DDM(48%) compared to those of raw materials before aerobic fermentation. The oak saw dust showed higher DDM compared to pine. Mushroom wastes which is a residues of mushroom culture mixed originally willow saw dust (80%) and wheat bran (20%) showed quite higher feed value compared to both saw dusts. It was found that an in vitro DDM and NDF composition in fermented feeds appeared highly dependent or the NDF composition in bulking agents. With an increase wheat bran ratio substitute mushroom waste showed linearly decreased NDF, and increased in vitro DDM in the fermented food waste feeds. The fermented feeds added bottling agents composed higher NDF resulted in higher NDF and lower in vitro DDM with prolonged fermentation time. The feeds from anaerobic fermentation appeared lower NDF and higher in vitro DDM compared to those of aerobic fermentation.

      • KCI등재

        솔잎 토착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사료 급여가 돼지의 성장, 혈액성상, 도체형질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송영민,추교문,하지희,이현종,김삼철,김회윤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2

        본 연구는 솔잎 토착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사료 급여가 돼지의 성장, 혈액성상, 도체형질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평균 체중 75kg인 3원교잡종 (Landrance× Yorkshire×Duroc) 180두를 공시하여 돈방 당 15두씩 시험구당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발효사료는 원료 사료와 미생물을 혼합 후 혐기적 상태로 10일간 발효시켰으며, 양돈용 사료에 0 (대조구, CON), 3 (T1), 5 (T2) 및 10% (T3)로 대체하여, 42일간 급여 후 도축하였다. 발효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은 발효 후가 발 효 전보다 높았지만 (p<0.05), 조섬유 함량과 pH는 낮았다 (p<0.05). 돼지의 혈중 Hemoglobin 함량은 T3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p<0.05), Hematocrit 함량은 대조구와 T1구가 T2구와 T3구에 비해 높았 고 (p<0.05), Platelet 함량은 T1구가 T2구와 T3구에 비해 높았다 (p<0.05). 대조구의 혈중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s 함량은 발효사료를 대체한 모든 시험구에 비해 높았으나 (p<0.05), HDL-cholesterol 함량은 적었다 (p<0.05). 지육중량과 지육율은 T1구와 T3구가 대조구와 T2 구에 비해 높았으며 (p<0.05), 등지방 두께는 T1구와 T2구가 T3구에서 비해 낮았다 (p<0.05). 육 등급은 발효사료를 대체한 모든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었으며 (p<0.05), kg 증체당 사료비는 발효사료 를 급여했을 때 약 2~6% 적었다. 따라서 솔잎 토착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사료의 급여는 돼지의 건강과 육 등급 개선 및 사료비 절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biotic from pine needle microbe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haracteristics, carcass traits and economy of pigs. One hundred eighty pigs (L×Y×D, average body weight=75 kg) were grouped and housed with 15 animals per pen for 3 replications per each treatment. The ingredients and pine needle microbes mixed and fermented on anaerobic condition for 10 days to make the fermented diet. The basal diet was substituted with 0 (CON), 3 (T1), 5 (T2) and 10% (T3) of fermented diet, the pigs were fed for 42 days and slaughtered at the end of the trial to measure the carcass traits. Crude protein concentration of fermented diet on 10 day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on 0 day, while crude fiber concentration and pH were lower (p<0.05). The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diet did not affect on growth performance and feed intake. Hemoglobin concentration of whole blood in T3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CON, and hematocrit concentrations in CON and T1 were higher (p<0.05) than that of T2 and T3. The concentration of platelet was higher (p<0.05) in T1 than in T2 and T3. The CON had higher (p<0.05)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concentrations than the treatments, whereas lower (p<0.05)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Carcass weight and dressing in T1 and T3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CON and T2. The backfat thickness was higher (p<0.05) in CON and T2 than in T3. The carcass grade and economy improved b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diet compare to CON. In conclusion, the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diet using probiotics from pine needle microbes could improve health and meat quality and reduce the feed cost of pigs.

      • KCI등재

        고형오물을 이용한 해삼용 3단 발효사료 제조 중 질소 성분 변화

        이수정,고유진,김은자,강석중,류충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4

        본 연구에서는 육상양식장에서 배출되는 부산물의 자원화 방안으로 뱀장어 양식장에서 배출되는 고형오 물에 미강, 탈지대두박과 같은 식품 부산물을 첨가하여 유산균, 황국균, 고초균을 단계적으로 접종하여 발 효시킨 발효사료의 성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발효사료의 제조 단계별 수분함량은 유산균을 이용한 1단 발 효물 14.6%, 황국균과 고초균을 이용한 2단, 3단 발효물은 각각 33.0%와 34.0% 였다. pH는 1단 발효물 에서는 유산균에 의한 젖산의 분비로 인해 5.38로 나타났으며 2단, 3단 발효물은 각 5.66과 7.26으로 측 정되어 pH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트산의 함량은 1단 발효물은 0.126g/100g, 2단 발효물은 0.004g/100g, 3단 발효물은 0.093g/100g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질소 함량을 측정한 결 과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2단 발효물이 1226.37mg%로 높았고, 3단 발효물에서 710.18mg%로 다소 감소 하였으며, 암모니아태질소 함량은 1단 발효물 0.988mg/kg에서 3단 발효물 1.502mg/kg로 증가되었다. 총질소 함량은 1단 발효물 2.78%와 2단 발효물 4.08% 그리고 3단 발효물 4.85%로 증가되었다. 3가지 미생물로 연속적인 발효가 진행될수록 피트산은 감소하고 단백질 분해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3 단 발효에 의해 저분자 질소성분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미루어 소화 흡수성이 높은 사료화가 진행됨을 추측할 수 있다. This study presented a measure for turning by-products, released from land farming sites, into resources. The measure involved adding food by-products such as rice bran and nonfat soybean to the sludge, released from the eel farming sites, inoculating the lactic acid bacteria, As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subtilis by step, fermenting them, and measuring the changed ingredients of the fermented fodder. The water content of the fermented fodder by the step of preparation was the first-step fermented product (14.6%) using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second and third-stage fermented product (33.0% and 34.0% respectively) using As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subtilis. The pH level was found to be 5.38 in the first-step fermented product due to the secretion of lactic acid caused by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pH level of the second and third-stage fermented products was 5.66 and 7.26, respectively, showing that the pH level increased. The phytic acid content was 0.126g/100g in the first-step fermented product, 0.004g/100g in the second-stage fermented product, and 0.093g/100g in the third-stage fermented product. The measurement of nitrogen content revealed that the amino nitrogen content was high with 1226.37mg% in the second-stage fermented product, and a little lower with 710.18mg% in the third-stage fermented product. The ammonium nitrogen content increased from 0.988mg/kg in the first-stage fermented product to 1.502mg/kg in the third-stage fermented product. Total nitrogen content increased to 2.78% in the first-stage fermented product, 4.08% in the second-stage fermented product, and 4.85% in the third-stage fermented product. As fermentation continued with the three microbes, the phytic acid decreased, and the protein decomposition rate increased. Also, due to the 3 step fermentation, the low-molecule nitrogen ingredient content increased, suggesting that the fodder was developed to offer high digestion and absorption.

      • KCI등재

        어분대체 단백질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이 넙치의 성장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장미순,박희연,남기호,한현섭,김강웅,김경덕,이봉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5

        This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ermented soybean meal(FS) as a partial substitute for fish meal on the growth and muscle qual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ree replicate groups of 50 fish per each tank (initial mean weight 123±0.5 g) were fed one of four experimental extruded pellets containing 0%, 10%, 20% and 30% fermented soybean meal (control, FS10, FS20 and FS30) for 8 week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fish fed the control, FS10, FS20 and FS30 in weight gain,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p<0.05). Crude fat content of fish fed FS20 and FS30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control.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18:2n-6 was observed in fish fed FS10, FS20 and FS30 compared with fish fed the control (p<0.05).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fermented soybean meal level (p<0.05). Most of free amino acid were composed of taurine, leucine, alanine and lysine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p<0.05). Adenosine monophosphate contents of fish fed FS20 and FS30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control diet (p<0.05). In conclusion, fermented soybean meal can be used as a partial substitute for fish meal up to 30% in the diet without affecting growth performance in olive flounder. 본 연구는 고온미생물인 Bacillus coagulan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탈피대두박(fermented soybean meal; FS)을 어분대체 단백질원으로서 10%, 20% 및 30% 수준별로 첨가한 배합사료를 급여하여 넙치의 성장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였다. 사육실험은 평균체중 123 g의 넙치를 원형수조에 50마리씩 실험구별로 3반복으로 수용하면서, 대조 배합사료(control)와 실험배합사료(FS10, FS20, FS30)를 8주간 사육하였다.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과 실험 배합사료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육에서 유의적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지방 함량은 실험 배합사료 FS20, FS30을 공급한 넙치 등근육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18:2n-6의 함량은 실험배합사료 FS10, FS20, FS30을 공급한 넙치 등근육에서 대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넙치 등근육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든 시험구에서 넙치 등근육의 유리아미노산 중 taurine, leucine, alanine, lysine이 공통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공급한 사료에 따라 넙치 등근육의 유리아미노산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핵산관련물질 중 AMP의 함량은, FS20 및 FS30을 공급한 넙치 등근육에서 대조 배합사료를 공급한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 사료조성으로 넙치 치어를 사육하였을 때 어분대체 단백질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을 어분 단백질 함량 기준으로 30%까지 대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발효된 음식폐기물의 사료화 잠재력에 관한 연구

        김남천(Nam Cheon Kim),정재춘(Jae Chun Chung) 유기성자원학회 1995 유기물자원화 Vol.3 No.1

        음식쓰레기를 고속발효시켜 동물사료로서 이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검토하고자 인하대학교 병원파 한양대학교 병원에서 환자급식용으로 제공하는 음식쓰레기를 일정량 채취하여 140L들이의 고속발효기에서 발효시켰다. 첨가제로서는 수분조절 및 영양분의 균형을 위하여 건조한 비지와 톱밥을 습중량으로 약 40~50% 섞었고 종균제를 내용물 총량의 1/300 정도 넣었으며 46~520C 의 발효온도에서 40~48 시간 발효시켰다. 건조비지를 수분조절제로 사용한 경우는 조단백질과 조회분,칼숨,인의 함량이 시판되는 돼지사료보다 약간 떨어졌으며,톱밥을 수분조절제로 사용한 경우는 조섬유의 함량만 크게 높았고, 기타 다른 성분은 크게 낮았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때 건조비지를 첨가제로 사용했을 때만이 보조사료로서의 가치 가 인정 된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s of food wastes as an animal feed. The fo여 wastes from the lnha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Hospitals were used for this fermentation study. As the additive, approximately 40 - 50% of dry bean curd dregs and sawdust was mixed for moisture adjustment, certain amount(l!300 of the total content) of inoculum was added into the 140L volume fermenter and fermented for 40 - 48hours with the temperature of 46-520C maintained. Fermentation product with the dry bean curd dregs had the lower content of crude protein, crude ash, calcium and phosphorus than the commercial pig feed. Fermentation product with sawdust had the lower content in most components than the commercial pig feed except crude fiber content. Based upon these findings, it was considered that only the fermentation product with dry bean curd dregs as the additive could be used for the animal feed aid.

      • KCI등재

        복분자 발효사료가 버크셔 돼지의 혈액 내 영양운반인자와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연,최도현,안진호,박화춘,공현석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3 No.5

        오늘날 양돈의 사양이 증가 함에 따라 부존사료 자원으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물질에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를 개발하여, 기능성 친환경 돈육 및 가공품을 생산하는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항암, 항염, 항산화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복분자(Rubus occidentalis, RO) 부산물을 양돈사료의 원료로 확립하고자 버크셔 돼지를 대상으로 복분자 발효사료(Rubus occidentalis fermented fodder, ROFF)의 혈액 내 영양 운반인자와항산화 효능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일반사료(대조구)에 ROFF를 0.3% 첨가하였고, 발효사료의 효능을 확인 하기 위해 각 체중에 따른 버크셔 거세돈 및 암퇘지에게 43~73일간 급여하여효능을 확인 하였다. ROFF의 복합적인 효능은 혈액 생화학, 철분 및 항산화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ROFF의 섭취로 인해 거세 자돈 및 육성돈, 암컷 자돈, 육성돈, 및 110-150 kg 암컷 비육돈에서 total cholesterol (TC), LDL-cholesterol (LDL-C), HDL-cholesterol (HDL-C) 모두 감소하거나 HDL-C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보아 영양생리학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암컷 비육돈에서는 생화학적 수치가 모두 증가하는 경향으로 보아 임신 가능성이 있는 비육기의 경우 이러한 수치향상으로 자돈의 생산을 위한 원활한 영양 공급이 예상되며, 건강한 자돈의 생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판단된다. Transferrin (TFE) 함량은 거세돈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았으며, 암컷 육성돈 및 110-150 kg 암컷 비육돈에서 ROFF 섭취로 인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ROFF가 철분 결핍으로 인한부정적인 영향들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Glutathione peroxidase1 (GPx1)분석 결과 거세 비육돈 및 110-150 kg 암컷 비육돈에서 ROFF의 섭취로 인해 GPx1 활성이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ROFF가 항산화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ROFF의 급여가 전체적으로 시험 개체의 개선 효능에는 영향이 크지 않으나 RO의 함량을 고려 할 때매우 긍정적인 원료사료 중 하나라 할 수 있으며, 특히 ROFF가 거세돈 보다는 암컷 버크셔의 영양 운반 및 철분 함량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oday, as the specification of pigs increases, it is important to develop eco-friendly livestock feeds that do not add antibiotics to highly utilizable materials as feed resources, and to producefunctional eco-friendly pork and processed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Rubus occidentalis (RO) byproducts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such as anticancer, anti - inflammation and antioxidant as a raw material for pig feed. The multifaceted efficacy of the RO fermented fodder (ROFF) was confirmed by the nutrient transport factor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erkshire pigs. ROFF was added 0.3% to the general diet and the efficacy was confirmed by feeding diets to Berkshire pigs according to each weight for 43~73 days. As a result, the total cholesterol (TC), LDL-cholesterol (LDL-C) and HDL-cholesterol (HDL-C) levels were decreased or were increased in the castrated male and female Berkshire pigs but not significa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tendency was improved in nutrition physiology. The biochemical levels of female finishing pigs were not significant but increased. In the case of finishing pigs with possibility of pregnancy, it is expected that the nutrition supply for piglet production and will help in the production of the healthy piglet. Transferrin (TFE) levels tended to increase in female growing pig and 110-150 kg finishing pigs. Thus ROFF could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of iron contents deficiency in female Berkshire pigs. Glutathione peroxidase 1 (GPx1) activity was increased in castrated male and female 110-150 kg finishing pigs. Therefore, ROFF tends to improve the antioxidant capa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OFF is one of the most favorable dietary sources when considering the contents of RO in feed. In particular, ROFF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nutrient transport and iron content of female rather than castrated male Berkshire pigs.

      • Potentials of the Fermented Food Wastes as the Animal Feed

        김남천,정재춘 한국유기성폐기물자원화협의회 1995 유기성폐기물자원화 Vol.3 No.1

        음식쓰레기를 고속발효시켜 동물사료로서 이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검토하고자 인하대학교 병원과 한양대학교 병원에서 환자급식용으로 제공하는 음식쓰레기를 일정량 채취하여 140L들이의 고속발효기에서 발효시켰다. 첨가제로서는 수분조절 및 영양분의 균형을 위하여 건조한 비지와 톱밥을 습중량으로 약 40~50% 섞었고 종균제를 내용물 총량의 1/300 정도 넣었으며 46-52℃의 발효온도에셔 40~48시간 발효시켰다. 건조비지를 수분조절제로 사용한 경우는 조단빽질과 조회분, 칼슘, 인의 함량이 시판되는 돼지사료보다 약간 떨어졌으며, 톱밥을 수분조절제로 사용한 경우는 조섬유의 함량만 크게 높았고, 기타 다른 성분은 크게 낮았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때 건조비지를 첨가제로 사용 했을 때만이 보조사료로서의 가치가 인정된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s of food wastes as an animal feed. The food wastes from the lnha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Hospitals were used for this fermentation study. As the additive, approximately 40~50% of dry bean curd dregs and Sawdust was mixed for moisture adjustment, certain amount(l/300 of the total content) of inoculum was added into the 140L volume fermenter and fermented for 40~48 hours with the temperature of 46~ 52℃ maintained. Fermentation product with the dry bean curd dregs had the lower content of crude protein, crude ash, calcium and phosphorus than the commercial pig feed. Fermentation product with sawdust had the lower content in most components than the commercial pig feed except crude fiber content. Based upon these findings, it was considered that only the fermentation product with dry bean curd dregs as the additive could be used for the animal feed aid.

      • KCI등재

        종균 첨가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의 발효 사료화

        서은희,송은승,한억,이성택,양재경,이기영,Suh, Eun-Hee,Song, Eun-Seung,Han, Uok,Lee, Sung-Taek,Yang, Jae-Kyung,Lee, Ki-Young 유기성자원학회 1997 유기물자원화 Vol.5 No.1

        본 연구는 음식물 찌꺼기의 사료화를 목적으로 종균제(YM, 영진환경)와 아프리카산 고온성 효모인 Kl. marxianus를 이용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발효시켜 보존성을 연장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6일 동안 발효시, 편성 호기적 또는 혐기적 조건보다는 2일간 호기적 조건으로 발효시킨 뒤 계속하여 4일간 혐기적으로 발효시켰을 때 유기산 생성량이 높았고 생균수도 가장 높았다. 종균제(YM)의 첨가는 무첨가 시료보다 발효 후 잔여 총 생균수를 100배 이상으로 크게 증가시켰으며 여기에 Kl. marxianus 배양액을 추가로 첨가할 경우 총생균수는 더욱 증가시켰으나 효모수를 더 증가시키지는 않았다. The fermentative conversion of food wastes into feed was investigated by seeding of mixed inoculum YM (Youngjin Environmental co.), and thermotolerant yeast Kl. marxianus. For 6 days' fermentaion, the fermentation method of 2 days' aerobic followed by 4 days' anaerobic was better for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s and increasing total microbial population than 6 days' continuous aerobic or anaerobic fermentation. By seeding YM, the total microbial count increased about 100 times of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Kl. marxianus seeding together with YM increased total viable cell count, but did not increase yeast count significantly.

      • KCI등재

        수분 및 미생물 첨가제가 알팔파 사일리지의발효특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정승민,이배훈,최기춘,오미래,이기원,박형수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7 No.5

        본 연구는 수분함량과 미생물 첨가제가 알팔파 사일리지의 발효특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알팔파는 개화 10%시기에서 수확되었으며 수분 함량(M60, M50, M40 및 M30)이 60, 50, 40 및 30%일 때 각각 이용하였다. 1500g을 샘플링한 후, 증류수 10mL을첨가한 미첨가구(NAD)와 Lactococcus lactis 와 Pediococcus pentosaceus의 혼합물을 증류수(0.1g/10mL)에 1.5 x 1010cfu/g 농도로 희석한 후접종한 미생물 균주 첨가구(ADD)를 3개월 및 6개월 발효하였다. 수분 및 미생물 첨가제에 따른 연평균 알팔파의 조단백,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및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에서 차이가 없었다(p>0.05). 모든 발효기간에서 pH는 ADD의 M40에서 가장 낮았다(p<0.05). NAD 처리구에서는 젖산이M50에서 가장 높았고(p<0.05), ADD 처리군에서는 M40 시험구에서 젖산이 가장 높았다(p<0.05). NAD와 ADD의 M60은 젖산 함량이 다른 수분함량들에 비해 가장 낮으며(p<0.05) 낙산이 유일하게 검출되었다. 미생물군집의 상대적 풍부도는 ADD 처리구의 M40과 M50에서 Homo LAB(Enterococcus, Lactiplantibacillus, Lacticaseibacillus, Lactococcus, Pediococcus)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Clostridium은 M60에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oisture contents and microbial additives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feed value of alfalfa silage. Alfalfa was harvested at the 10% flowering stage and wilted to ensile alfalfa forages at 60, 50, 40, and30% moisture content (M60, M50, M40, and M30). After sampling 1500 g, 10m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no microbial additives(NAD). and a mix of Lactococcus lactis and Pediococcus pentosaceus wa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0.1g/10mL) at an added concentrationof 1.5 × 1010 cfu/g and was inoculated to the microbial additives (ADD). After 3 and 6 months of fermentation, samples were collectedfrom each silage and analyzed for feed value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verage annual feed valueby moisture and microbial additives (p>0.05). In all fermentation periods, pH was the lowest in M40 apllied ADD (p<0.05). In theNAD treatment group (p<0.05), lactic acid was highest in M50, whereas in the ADD treatment group, it was the highest in the M40test group (p<0.05). The M60 has the lowest lactic acid content (p<0.05) and only detected butyric acid compared to other moisturecontent. In the relative abundance of the microbiome, Homo LAB (Enterococcus, Lactiplantibacillus, Lacticaseibacillus, Lactococcus,and Pediococcus) had the highest ratio in the M40 and M50, and Clostridium was the highest in the M60 in ADD treatment. Therefore,this study concluded that adding microbial additives at 40% or 50% moisture content was advantageous in alfalfa sil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