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어 발화명사의 통사·의미 속성에 관한 연구 - 프랑스어 발화명사의 대상부류 구축 -

        이성헌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3 No.-

        Notre étude se propose d'établir les classes d'objets des noms de parole en français pour mettre en évidence les propriétés syntactico-sémantiques de ces noms. Nous entendons par noms de parole des noms prédicatifs comme annonce, aveu, critique, dialogue, explication, interview, ordre, proposition, question qui dénote une action de dire et/ou son contenu et qui se caractérisent entre autres par leur apparition dans les construction suivantes : (Ⅰ) Nhum Vsup GNpréd [Ø + à Nhum] [Ø + W], (Ⅱ) Nhum entendre GNpréd et (Ⅲ) Nhum comprendre GNpréd. Nous commençons par soulever les problématiques dans la description des noms prédicatifs de parole qui entourent la mise en lumière de la corrélation entre le nom prédicatif et ses supports ainsi que l'hétérogénéité des propriétés syntactico-sémantiques des noms de parole, ce qui nécessite la notion de classes d'objets. Ensuite, nous présentons la théorie des classes d'objets et leur application à la description des noms. Les classes d'objets, dont la notion est à l'origine conçue pour mieux délimiter le domaine d'arguments lors de la description des prédicats, renvoient à des ensembles de noms sémantiquement homogènes. Elles se caractérisent avant tout par leur méthode de construction : elles sont établies sur la base de critères syntaxiques appelés opérateurs appropriés, et cela à partir de nouveaux traits, ceux-ci étant préalablement définis selon les mêmes principes, autrement dit selon des critères syntaxiques nommés cette fois-ci opérateurs généraux. Pour finir, nous montrons que la construction des classes d'objets des noms de parole confirme tout l'intérêt de cette théorie : cette dernière permet de décrire de façon rigoureuse et systématique les noms de parole et de mettre en lumière leurs propriétés syntactico-sémantiques. 이 글은 프랑스어 발화명사(noms de parole)들의 통사·의미 속성을 기술하기 위하여 이들 명사의 대상부류(classes d'objets)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발화명사는 annonce, aveu, critique, dialogue, explication, ordre, proposition, question 등과 같이 「말하는 행위와 그 내용」을 함께 지칭하는 명사들을 말하고, 대상부류는 어휘의 결합관계라는 통사적 근거에 의해 설정되는 의미적으로 균질한 어휘들의 부류 체계를 말한다. 이들 발화명사는 annoncer, avouer, critiquer, dialoguer, expliquer, ordonner, proposer, questionner 등 동일 어근(racine)을 공유하는 동사들과 형태적 상관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이들 동사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논항을 선택하고 문장 구성 시에는 그 의미의 핵을 이루는 의미적 술어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면서도, 이 술어 기능이 명사라는 문법범주에 실현됨으로 해서 발화동사들과는 구별되는 통사행태를 보인다. 그런 까닭에, 발화명사들은 발화동사들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동일한 비중으로 다루어져야 하며, 그러면서도 술어동사와는 구별되는 술어명사로서의 통사·의미 속성이 정확히 잘 드러나도록 기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화명사들을 그 의미유형에 따라 세분하고 그 유형별로 발화명사들의 통사·의미 속성을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발화명사로 간주되는 명사들이라고 해서 모두가 동일한 의미속성과 통사행태를 보이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뒤에서 보게 되겠지만, 발화행위의 유형에 따라 이를 지칭하는 발화명사들도 서로 다른 언어 속성을 보인다. 우리가 발화명사의 대상부류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시각에서이다.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드러났듯이, 특정 의미영역의 대상부류를 구축하는 과정이 바로 그 의미영역을 공유하는 어휘들을 그 통사·의미 속성에 따라 부류화하고 그 속성들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장과 목표 하에, 다음에서는, 먼저 발화명사 연구의 쟁점을 정리하고 이와 관련한 기존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발화명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발화명사의 대상부류 구축이 그에 부합하는 것임을 보일 것이다. 그런 다음, 대상부류 이론에 따라 발화명사 부류를 설정하고, 이에 속하는 명사들의 통사·의미 속성을 근거로 보다 세분된 하위부류들을 구축함으로써 각 부류에 속하는 발화명사들의 보다 고유한 속성들도 아울러 밝힐 것이다.

      • KCI등재

        학령전기 일반아동의 발화유형과 발화 종결기능 어미 사용 특성

        김정미(Jung-Mee Kim),윤미선(Mi-Sun Yoon),김수진(Soo-Jin Kim),장문수(Moon-Soo Chang),차재은(Jaeeun C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3

        배경 및 연구목적: 구어는 문어와 달리 불완전한 구조를 갖고 있다. 언어병리학에서 구어에 기초한 연구들은 구어의 이러한 특성에 대한 고려가 다소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의자발화에 나타난 발화유형과 발화종결기능 어미들을 살펴봄으로써 아동구어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세~5세 아동 16명에게서 수집한 자발화를 바탕으로 김수진ㆍ차재은ㆍ오재혁(2011)의 발화유형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종결어미발화, 연결어미발화, 조각발화 및 미완결발화로 분류하고 다시 어순에 따라 정상발화와 도치발화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발화유형과 발화종결 기능 어미는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2세 아동들은 조각발화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3, 4, 5세 아동은 종결어미 발화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4세와 5세 아동들은 종결어미발화, 조각발화, 연결어미발화 및 미완결 발화의 순으로 나타나 성인의 발화유형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발화 종결에 사용한 어미들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유형의 종결어미와 연결어미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아동들이 산출한 발화유형과 종결기능 어미분석을 통해 구어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발화유형의 비율에는 아동들의 문법능력이 반영되어 있었다. 아동 자발화에 나타나는 이러한 구어적 특성들은 언어평가와 중재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Spoken language has incomplete structures, and prior studies in communication disorders have been lacking in this area.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types of utterances and examined utterance final functioning endings of typically developing 2- to 5-year-old children. Methods: Sixt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utterances were recorded in everyday interactional contexts. A total of 3,200 utterance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utterance final intonation, final ending, completion for grammar and word order. Results: Results showed the fragment utterances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in 2-year-old children and utterance type with sentence final ending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in other ages. In addition, the types of ending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age increase.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adults’ utterance types and discussed in a language developmental perspective.

      • KCI등재
      •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 발화 분석 - 초등학교 1, 2학년을 중심으로 -

        홍영자, 유병학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4 No.-

        본 연구는 읽기 교과서의 발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읽기 수업에 적합한 발화 전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국어과의 영역 중 읽기 영역과 발화의 목적,발화의 수준만 을 분석하였고,1, 2학년 읽기 교과서에 한정하였다. 또한 읽기 교과서는 2차시만 재구성 하였고,발화 양상을 분석한 후 현장에 직접 적용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그러나 앞으 로 교과서 개발과 구성에 다소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하며 국어과 전 영역에 대한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학년별 교수 과정에 맞는 발화를 제시한 후속 연구를 기다린다.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utterance patterns shown in reading textbooks of 2nd semester of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analyze utterance aspects according to its purpose and level, which help to find appropriate strategies for reading classes. What happens in a classroom teaching situation is not only teacher's questions, but also areas of exploration and modeling. Therefore, what 'utterance' implies here includes teacher's questions, explanations and modeling. Based on the category of utterance suggested by preceding researcher T.-H. Park (2003), the category of utterance was designated to be divided into principle learning and application learning. Utterance factors in principle learning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explanation and study objective confirmation par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tterance. Utterance factors in application learning were divided into pre-reading, reading and post-reading procedures, and utterance analyzing factors of principle learning and application learning were designated as explaining, modeling, and organizing. In addition, utterance analysis based on its level was performed following Bloom’s (1956) classification system which regards apprehension level as a basic frame and hence it results in reorganization of post-reading procedures into realistic, explicative, and applicative utterances, respectively. Among 45 utterances from principle learning situations in reading textbooks of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19 were guiding utterances in teacher-leading study, while both modeling and explaining had 6 utterances. This implies that more explaining utterances which can cultivate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on one hand and modeling utterances which need examples of functional strategies on the other should be presented. Although various types of utterances must be distributed to increase learners' interest in the texts and enable better understanding, no utterance as of yet has been presented which aims at activating background knowledge and motivating curiosity. In application learning, there were 3 pre-reading utterances from the reading textbook of 2nd semester of 1st grade. However, in 2nd grade there was no pre-reading utterances, putting too much weight on utterances during and post reading. It means that teachers might put more importance on post-reading activities in reading classes. Moreover, after analyzing utterances in application learning situations, there were several utterances which caused the same difficulty. Besides, there were some cases where utterance contents didn’t match their appropriate level. Upon supplementing these problems, I chose the first chapter of 2nd semester of 1st grade textbook, and reorganized an activity for a class period into 'my own story-making'. This was designed to stimulate the students' curiosity for the pre-reading step, to promot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during reading, and to help them arrange information from the script after reading. This study originally aimed to find appropriate strategies for reading classes by analyzing utterance conditions in textbooks, but only the reading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utterance, and the level of utterance were analyzed. Since this study could not be performed with all reading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we limited our focus on 1st and 2nd grade reading textbooks. It was somewhat inconvenient at being able to reorganize the time period into that of only a single class of the reading textbook, and not applying the utterance conditions to the fields. However, I hope this study may help us develop and arrange new textbooks, and I also expect further research which can suggest appropriate utterancesby analyzing all parts of textbooks.

      • KCI등재후보

        언어 분석 단위로서의 ‘발화’ 설정 방법론 연구

        안병섭(Ahn Byoung-seob)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운율 단위의 최상위 층위로서 ‘발화’ 단위를 인정하고, ‘발화’ 단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운율은 언어의 문법, 의미, 정보들이 만나는 중요한 언어 요소이다. 음운 규칙의 적용 범위가 운율 단위로 정해지기도 하거니와, 통사 및 의미ㆍ정보 구조와 같은 언어적 요소 및 화자의 감정ㆍ태도 등과 같은 준언어적 요소들이 운율에 얹혀서 표현된다. 따라서 운율을 음운론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은 소리와 통사 구조와의 관계, 소리와 발화 의미와의 관계를 밝히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 영역을 ‘발화 음운론’이라 명하고, 분석 단위로서의 ‘발화’ 단위를 ‘화자의 발화 의지가 운율적으로 완료된 의사소통의 자립 단위’로 정의한다. 언어 수행으로서의 발화는 화자가 정보를 소리에 담아 청자에게 전달하는 의사소통 행위이기 때문에, 발화의 크기는 화자의 발화 의지에 의존한다고 본다. 또한 운율적 완료성의 판별은 억양의 전반적인 하강화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이 정의 방법을 음성 언어 자료에 적용하면서 그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efine 'Utterance' as prosodic units for Utterance Phonology. I define that 'Utterance unit' is a communication unit that terminated speaker's utterance will in prosody. And Utterance unit is the highest-level in prosodic structure. This definition bases on the declination of intonation contour, pause and other prosodic feature. And then I show some concrete manners to divide utterance from utterance. Then I apply their manners to spoken language practically.

      • KCI등재

        일본어 교재 음성자료의 발화속도와 포즈

        이유진(李有振) 한국일본어학회 2013 日本語學硏究 Vol.0 No.36

        본고에서는 음성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발화속도와 포즈를 음성교육에 도입하기 위한 기초단계의 하나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일본어 중·고등학교 교과서, 국내의 초급 일본어 교재, 일본어 초급 일본어 교재의 발화속도와 포즈의 특징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또한 중학교 교과서의 발화 간 포즈의 길이를 일본어 초급 일본어 교재의 발화 간 포즈의 길이로 변환하였을 경우 일본어 모어화자의 청취인상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재가 초반·중반·후반에서 발화속도와 발화 내 포즈는 변화 없이 나타났다. 발화속도를 측정한 결과 중학교 교과서가 가장 느리게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교과서, 국내의 초급 일본어 교재, 일본의 초급 일본어 교재의 순서로 일본의 초급 일본어 교재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둘째, 발화 간 포즈는 일본의 초급 교재 SFJ가 대화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일정하게 나타났다. 발화 간 포즈를 비교해 보면 일본의 초급 일본어 교재가 가장 짧게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교과서, 국내의 초급 일본어 교재, 중학교 교과서의 순서로 중학교 교과서가 가장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학교 교과서의 발화 간 포즈의 길이를 일본의 초급 일본어 교재의 발화 간 포즈의 길이로 단축하였을 경우 일본어 모어화자의 자연성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유사학생발화(PST: Pseudo Student Talk)의 유형과 분류

        신윤주,최승언 한국지구과학회 2008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9 No.1

        In most classrooms, teachers talk more than students. Teachers have been thought to be knowledge-donors and students have been thought to be knowledge-acceptors, so teacher-talks were thought to be more important than student-talks. But student-talks are very important to the students: not only to the students who speak out their opinions or answer to the questions given to them, but also to the others who say nothing in the class. Many students in Korea are not so fond of speaking out something to all the class, so some teachers are using a strategy: to say something as if he(or she) is a student in the classroom. What teachers talk are not the words of the teacher-talks. They are only talked by the teachers, but they function like student-talks. To study this type of talks are needed to help both teachers and students but there are not much research about this. So in this paper we a) name it Pseudo Student Talk (PST), b) define it as 'a kind of talks that are not talked by students of the class but its functions are very similar to the student-talks', c) classify PST in 'EBS 2005 science class for 7th grade' according to types of student talks(categorized by Lemke), and d) show the usage of each kind of PST. 수업 중 발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교사의 발화이다. 그러나 교사는 항상 교사의 입장에서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 발화와 유사한 발화를 통해 학생들의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발화 형태를 유사학생발화라 명명하고, 유사학생발화가 다수 관찰될 것으로 예상되는 방송 수업(EBS의 2005학년도 중 1 과학 수업 중 지구과학 부분)을 연구하여 유사학생발화를 ‘수업 중, 학생 발화와 같은 역할을 하나, 교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발화의 통칭’이라 정의하였으며, Lemke의 학생발화분류를 토대로 연구 대상인 수업 중 나타난 유사학생발화를 교사가 개입하는 형태의 유사학생발화와 교사가 개입하지 않는 유사학생발화로 크게 유사학생발화를 나누고 교사 개입 유사학생발화로 유사 교사-학생 간 협의(Pseudo Teacher-Student Conferences), 유사 삼단계 담화(Pseudo Triadic Dialogue), 유사 교재 활용 담화(Pseudo External Text Dialogue), 유사 학생 질문 담화(Pseudo Student-Questioning Dialogue), 유사 교사-학생 간 담화(Pseudo Teacher-Student Duologue), 유사 교사-학생 간 토론(Pseudo Teacher-Student Debate), 유사 실 담화(Pseudo True Dialogue), 유사 학생 상호 담화(Pseudo Cross Dialogue), 유사 동료 학생 발화(Pseudo classmate talk)를, 그리고 교사 미개입 유사학생발화로 유사 학생 독백/유사 수업 중 잡담(Pseudo student monologue/Pseudo side talk)을 분류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류와 함께 각 유사학생발화의 실례를 소개하고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Reliable Sample Size for Mean Length of Utterance Analysis in Preschooler

        윤미선(Mi-Sun Yoon),김수진(Soo-Jin Kim),김정미(Jung-Mee Kim),장문수(Moon-Soo Chang),차재은(Jae-Eun C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4

        배경 및 목적: 학령전기 아동에서 자발화 분석을 통해 산출하는 평균발화길이(MLU)는 아동의 언어 발달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인정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MLU 측정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자발화 표본의 크기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2-4세 일반 발달 아동 30명을 대상으로,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을 녹음한 자료를 전사하여 발화 표본을 만들었다. 발화 표본은 연속된 발화에서 200발화를 선정하여, 50발화 단위로 4개의 세트(50-100-150-200발화)로 구성하였다. 1차 200발화 표본 수집 후 2차로 200발화 표본을 수집하여, 총 240개(30명×4세트×2차)의 발화 표본에서 어절, 단어, 형태소 단위의 평균발화길이(MLU-e, MLU-w, MLU-m)를 산출했다. 결과: 첫째, 200발화를 선정하기 위한 총 발화 수는 차수와 연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1차와 2차 표본에서 산출한 MLU-e, MLU-w, MLU-m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발화 표본의 크기에 따른 평균발화길이의 상관분석 결과에서 MLU-e는 전연령이 50발화 표본에서 r값이 .90 이상이었다. 그러나 MLU-w와 MLU-m은 2세와 4세는 발화 표본의 크기가 100발화 이상일 때, 3세는 발화 표본의 크기가 50발화 이상일 때 .90 이상의 상관 계수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발화 분석 시 신뢰할 수 있는 발화 표본의 크기로 MLU-e 산출에는 50발화 표본이 적절하나, MLU-w나 MLU-m은 3세는 50발화, 2세와 4세는 100발화 표본이 적절할 것으로 추정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 reliable minimum sample size for the mean length of utterances (MLU) analysi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f ages between 2-4 years. Conversations with their caregivers at home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by trained transcribers. Four sets of speech samples of different length, 50-100-150-200 utterances, were selected successively from original transcriptions. The same procedure was repeated 3 days later and a total of 240 sets of speech samples were prepared. t-tests for comparing the MLU between 1st and 2nd speech samples were done. Correlation analysis of MLU in speech samples of different length was performed. Results: The MLU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1st and 2nd sample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cores for MLU-eojeol of 50 utterances were over .90 in 3 different age groups. Meanwhile these of MLU-word and MLU-morpheme were over .90 respectively when sample size was 100 utterances in the groups of 2 and 4 years old. In 3 years old group, they were over .90 in sample of 50 utterance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eech sample of 50 utterances should be considered as a reliable sample size for the analysis of MLU-e, excluding the 100 utterances for the analysis of MLU-w and MLU-m. It does not mean that this sample size is adequate to analyze other quantitative parameters regarding semantic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for this issue.

      • KCI등재

        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후 말더듬회복 예측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 발화길이를 중심으로

        이수복(Soo Bok Lee),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기 말더듬아동의 말더듬 발생 및 지속에 대한 언어요인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말더듬 발생 1년 이내의 2-5세 말더듬아동을 대상으로 치료시 발화길이 변화와 발화길이가 말더듬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후향적(retrospective) 연구로서 18명의 말더듬아동을 연구대상으로 18개월 동안의 말더듬 치료종료시점에서 비유창성 빈도를 기준으로 회복집단아동(12명)과 지속집단아동(6명)으로 구분하였다. 부모와 상호작용놀이 상황에서 발화를 5차례 수집하여 3종류(전체, 유창한, 비유창한)의 발화길이(평균형태소길이, MLU-m)를 분석하였다. 결과: 집단 및 시점에 따른 발화길이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모든 발화종류에서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3개월과 18개월시점에서는 집단 간에 비유창한 발화길이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회복집단은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비정상적 비유창성(abnormal disfluency, AD)의 빈도가 감소하였으며 비유창한 발화길이와 유창한 발화길이의 차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지속집단은 AD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유창한-비유창한 발화길이의 차이가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유창한-비유창한 발화길이의 차이비교를 통해 지속집단 및 회복집단의 발화길이가 치료 후 시점에 따라 변화하는 중요한 언어학적 요인이며, 치료시점에 따른 집단간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임상측면에서는 치료과정에서 발화길이의 종단적 변화를 추적함으로서 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예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언어치료사는 말더듬치료 시작 후 12-18개월시점의 언어 및 비유창성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제안한다. Objectives: Previous studie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ttering and lan-guage ability have been inconsistent,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atment outcome of utterance length in children (age 2 to 5) within one year of the onset of stuttering. Fur-thermore, the study longitudinally examined utterance length's influence on recovery from early childhood stuttering. Methods: For 18 months direct therapy was given to eighteen children with indirect therapy for their parents to change their attitudes.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ive times (assessment at 3, 6, 12, and 18 months) and were analyzed to identify contributing factors of persistence and recovery in the developmental pathway of stuttering.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3 types of utterance length (total, fluent, and stuttered utterance length). Second, when fluent utterance length was compared to nonstuttering children (Kim, 2002), both groups displayed similar patterns of normal language development. Third, a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of abnormal disfluency and stuttered utterance length was observed, that is, higher frequency of abnormal disfluency influenced stuttered utterance length in both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length of fluent and stuttered utter-ance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initial treatment of stuttering and identifying longitudinal changes in utterance length, being essential for improved treatment of early childhood stuttering. We also suggest that clinicians be aware of lan-guage and disfluency changes at 12 and 18 months after treatment in order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stuttering.

      • KCI등재

        자기발화수정의 언어적 유형 연구

        이현주 우리어문학회 2009 우리어문연구 Vol.33 No.-

        자기발화수정은 화자가 자신의 발화를 점검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실제적인 발화의 산출 간에 나타나는 차이를 인식하고, 문맥에 적절하게 수정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 행위는 상위인지 능력에 의한 메타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인 기능으로 언어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외의 언어병리학 분야와 아동특수교육 분야에서는 언어 능력 발달과 자기 점검 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성을 기반으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의 국어학 분야에서는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실증적인 방법을 통해 화자가 자신의 발화를 점검하고, 스스로 수정하는 양상을 관찰하여 언어적 유형을 분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자기발화수정의 언어적 유형은 크게 화자의 발화에 의해 겉으로 드러난 오류를 수정하는 ‘외적 수정’과 오류의 형태가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으나, 화자가 내면에서 오류를 감지하여 수정하는 과정이 언어적인 단서로 드러나는 ‘내적 수정’으로 구분된다. 외적 수정은 ‘수정 반복’과 ‘대체’를 통해 주로 선행 발화를 강조하거나 보완하여 발화의 내용 및 의도를 청자에게 명시적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다. 내적 수정은 ‘편집 용어’나 ‘단순 반복’의 언어적인 형태를 통해 화자가 계획한 발화 내용이 떠오르지 않아 기억하는 과정에서 시간을 벌거나 목표한 발화 내용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사용되어 발화의 흐름을 정상적으로 진행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이들은 발화 흐름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발화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자기발화수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는 유창한 말하기 능력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self check & repairs of his discourse by empirical observation. Self-repairs mean self recognition the difference between contents and expression of his discourse and repairing it. This is the metacommunication strategy by meta-cogni tion. The types of self-repairs is classified into overt repairs which repairs the errors of external discourse and covert repairs recognised internal errors which disclosed by linguistic clue. Overt repairs are used for obvious communication by means of emphasis or supple -mentation of preceding discourse with ‘substitution' and ‘repetition repairs'. On the other hand, covert repairs take a role making normal progress in the process of planing and remembering his discourse by means of ‘editing terms' or ‘simple re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