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해 유민사 관련 고고학 자료의 검토

        이효형(Lee hyo hyeong)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2 No.-

        근래에 들어 발해 고고학의 연구성과는 괄목할 만하다. 발해 고고학과 관련된 다수의 개별 논문은 물론이고 저서, 발굴보고서의 출간이 이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발해 멸망 이후의 유민사와 관련된 고고학적인 연구 성과는 아직도 눈에 띄지 않는다. 물론 올야성(兀惹城)의 위치를 찾아보려는 약간의 노력이 엿보이기도 하나 발해 유민사라는 입장에서 접근한 고고학 연구 성과를 찾기는 힘들다. 이에 발해 유민사와 관련된 고고학 자료의 정리와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돼 이 글을 작성하였다. 발해사도 마찬가지지만 발해 유민사 연구에서 고고학 자료의 가치는 남다르다. 갑자기 새로운 사서가 발견되지 않는 한 소략한 문헌자료를 보완할 방법은 현실적으로 고고학의 도움밖에 없기 때문이다. 러시아와 몽골 학자들이 공동으로 발굴한 몽골의 Chintolgoi 성 유적에서 발해 유민이 멀리 몽골 지역에까지 끌려가 발해인의 우수한 기술을 거란에 전수한 역사적 사실을 고고자료로 확인할 수 있었다. 러시아 Koksharovka-1 평지성 유적 역시 발해가 멸망한 뒤 안변부의 유민들이 반요(反遼) 투쟁을 계속 이어가면서 상경의 태묘(太廟)를 모방해 설치했던 건물지일 가능성 제기돼 고고자료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었다. 발해 유민사 및 그와 관련된 고고자료에 대해서는 동아시아 각국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주의 깊게 바라보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고고 발굴, 조사와 출토유물에 대한 정치한 분석을 통해 유민사가 체계적으로 정리돼야 할 것이다. 특히 발해 부흥운동의 주요 활동 근거지였던 중국에서의 유민 관련 고고조사 및 발굴이 활발히 진행돼 연구 성과가 더 많이 공개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바라본 渤海 유민의 高麗 이주 양상과 특징 검토

        송영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7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6

        渤海 멸망 이후 渤海人은 본국을 떠나 다양한 삶을 영위하게 되었다. 발해의영역에 그대로 거주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契丹 內地로 徙民되거나 高麗로 이주하기도 하였고, 後渤海國이나 定安國처럼 발해 계승 국가를 건국하기도 하였다. 발해 유민의 복잡한 민족 이동이나 정체성 유지 등은 기존의 유민사라는 관점에서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 부분들이 있다. 발해 유민의 진면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디아스포라적 측면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디아스포라는 民族分散 혹은 民族離散을 의미하며, 민족 뿐만 아닌 거주 장소 및 공동체의 의미도 지니고 있다. 최근 사회학이나 역사학 등 여러 학문에서 디아스포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발해 유민의 동향 중에서 고려로의 이주를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고려사』의 기록을 분석하면, 발해 유민을 발해 멸망 직후에귀화한 이들과 발해 계승국가 출신 유민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디아스포라의 특징 중 발해 유민은 집단적 이주와 비자발적이고 강제적인 이동 원인에서 상호 공통점이 보인다. 다만 정체성 유지를 위한 노력이나 동포끼리의 공감대 여부를 현재로서는 잘 알 수 없다. 그리고 모국과의 연계성은 존재했다고 보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로 귀화한 발해 유민의 특징으로 7가지를 설정하였다. 첫째, 발해 유민의 고려로의 귀화는 거란 내지로의 이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발적인 성격이 강하다. 둘째, 발해 유민의 고려로의 귀화는 발해의 멸망 뿐만 아니라발해 계승국가의 멸망과 연관성이 강하다. 셋째, 고려로 귀화한 발해인의 수는거란에서 사민된 발해인에 비해 결코 적은 수가 아니었다. 넷째, 고려 내에서의발해인이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거란의 발해인은 거란이 멸망할 때까지도 정체성을 유지하였다. 다섯째, 고려에서는 국초부터 발해인을 대상으로 동화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발해인의 거주지를 변경이 아닌 고려 내지로 설정하였다. 여섯째, 고려 사회 내에서 발해인끼리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고려 조정에서는 네트워크 형성을 달가워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일곱째, 고려 사회에서의 발해인의 위치는 오히려 거란 사회에서의 발해인 위치보다 높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The people of Balhae(渤海) left their territory and lived in different ways after fall of their country. Some of them remained in their home, some were forced to move to the inner territory of Kitan(契丹), others headed to Goryeo(高麗) or established countries as the successor state, Later Balhae(後 渤海) and Jeongan(定安國). Current immigration history is unable to fully explain the complicated migration patterns and identity maintenance of Balhae people. To understand Balhae descendants, a diasporic view is required. Diaspora means not only ethnic dispersion or separation, but living place or community. Recent diverse fields including sociology and history conduct various research on the diaspora. This paper examines emigration to Goryeo from a diasporic view. According to 《Goryeosa(高麗史)》, Balhae migrants consist of two groups. One group is the people who moved to Goryeo right after the fall of Balhae and the others are from the successor states. One of the diasporic characteristics is that the two groups have something in common—mass migration and being forced to migration. However, it remains a mystery that they made efforts to maintain identity or to establish bond of sympathy. It seems difficult that they had to establish some connections to their motherland, Balhae. The paper set up seven fetures of Balhae descendants who moved to Goryeo. Firstly, they were more voluntarily to emigrate than immigrants to Kitan. Secondly, migrantion to Goryeo resulted from not only collapse of Balhae but the fall of successor states. Thirdly, they were larger in number than those in Kitan. Fourthly, it is unknown whether Balhae descendants consistently kept their national identity as their compatriots in Kitan did. Fifthly, Goryeo implemented a policy of assimilation for the people of Balhae from the beginning of dynasty. For this, the government provided the inner territory as their settlement instead of the frontier area. Sixthly, It is also uncovered whether they built netwotks in Goryeo society. However, it seems clear that Goryeo governmental body did not gladly embrace such networks. Lastly, it has been assumed that Balhae people lived in Goryeo did not have a higher social status than the Balhae descendants in Kitan.

      • KCI등재

        금대 발해유민 張汝猷 묘지명 검토-가계, 통혼망, 문격을 중심으로-

        권은주(Kwen, Eun-Ju)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4 No.-

        발해 멸망 이후 발해 유민은 오랫동안 하나의 정치・경제・문화・지역 공동체를 유지하며 독자적인 정체성을 지녔다. 때문에 금대 발해 유민의 상호 통혼 원인으로 발해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중요하게 거론되었다. 이는 분명 상호 통혼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런데 발해 유민이라고 해서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혼인하지는 않았다는 점을 유의해야 된다. 지금까지 연구대상이 되었던 발해 유민들은 금대에 비교적 높은 정치・사회적 지위를 누리던 명문세가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통혼 역시 이들 사이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발해 유민 외의 여진, 거란 등 이민족과의 통혼 역시 일정한 門格을 가진 이들과 이뤄졌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장여유 집안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여유 묘지명을 소개함과 동시에, 그의 가계를 복원하고 장여유 집안을 사례로 발해 유민의 통혼망과 사회적 지위에 걸맞는 문격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장여유 집안은 7대에 걸쳐 명문세가로서의 문격을 유지하였고, 그에 걸맞은 혼인관계를 맺었다. 이들과 발해 유민의 통혼망은 처음에는 발해유민이라는 정체성과 지역 연고가 중요한 원인이었겠지만, 금대에는 문학적 소양과 進士 及第, 관료 경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After the fall of Balhae(渤海), its descendants maintained their unique identity by maintaining a singl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regional community for a long time. Therefore, the identity as Balhae descendants has been mention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ir intermarriages. Without a doubt, identity must have affected intermarriage.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Balhae descendants did not get married among themselves regardless of status. The Balhae descendants that have been studied to the present were mostly from relatively high political and social status of the times. Of course, they were married within themselves as well.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marriages with immigrants from Jurchen(女眞) or Khitan(契丹), other than the Balhae descendants, were only possible if the immigrants were of certain status. A common example of the case is the Jang Yeo-yu(張汝猷) family. This study introduces the epitaph of Jang Yeo-yu, restored his family lineage, and identified the means to maintain social status and the marriages of Balhae descendants using the Jang Yeo-yu family as an example. The family has maintained high social status as a noble family over seven generations, and they were married accordingly to their status. In particular,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marriage relationships with the Balhae descendants was a result of a complex correlation of factors including the identity as Balhae descendants, locality, and history of literary attainments, passing examinations of office, and experience as bureaucrats, all over several generations.

      • KCI등재

        동아시아 境界人으로서의 渤海人과 渤海遺民

        이효형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2

        Palhae is the most typical multi-ethnic group and multi-cultural nation in Korean history, And it is a marginal nation at the same time. Palhae is such a distinctive nation that it needs to be discussed in terms of ‘margin’ with several respects such as national attribution, and besides geographical border which was relatively long. In short, it is a marginal nation in terms of time, space, and ethnicity. The lexical meaning of a marginal man is 'an individual suspended between two cultural and social realities and struggles to establish one's identity because he or she doesn't belong to either side.' The concept of marginal man in this paper doesn't necessarily correspond to that of lexicon. Above all,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residential community of Palhae in the time of Palhae country or transferred to neighboring countries from Palhae are researched. Next, those who emigrated to Koryeo or China in the wake of the downfall of Palhae are examined. Then various Palhae refugee descendants who were living in Liao and Jin Dynasty were also considered. In this proc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rginal people who enter the stage of Palhae and the Palhae refugee descendants who enter the history of Palhae's downfall on the respect of marginal men. The collapse of Palhae brought about numerous marginal man, or refugee descendants all around East Asia at that time. The approach to Palhae refugee descendants suggests us to see it as the problem of immigrants and refugees, and to oversee the movement of refugee descendants as well. Moreover it provides the possibilities of looking into various aspects of national attribution, marginal men, diaspora and so on. To return to the main topic mentioned as above, Palhae residents and refugee descendants are surveyed with the respect of marginal man. In addition, the history of Palhae and its refugee descendants has the chance to be interpreted in the scope of whole East Asia beyond Korean history. The followings are some character istic results of recognization on Palhae refugee descendants with the viewpoint of marginal man. First, Palhae is a nation of margin and marginal men. In other words, it is a nation of margin in the aspects of geography, national identity, distinction of historical times, and the connection of Koryeo and Koguryeo dynasty. Second, Palhae is a multi-ethnic community. Residential proportion is so complicated that Palhae consists of koguryeos, Malgals, Uighurs, Sogdian, Khitans, Chinese, Sillas and etc. Third, Palhae is a society of integration and tolerance. Even though Palhae is complicated with residential composition, the discrimination between various residents is not discovered. The nation also has no discrimination in political system. It oriented the policy of tolerance rather than discrimination. Fourth, Palhae is a nation of internationalism and openness. This characteristic seems to be the result of Tang dynasty, which made Palhae highly brisk in human and material exchange. The plurality and dynamics of Koryeo dynasty show the influence of Palhae. Fifth, Palhae is a society which has a variety of cultures. It cherished its own unique culture and the cultures of Koguryeo, Tang, Malgal, Middle Asia, and Silla as well. We live in the times of margin. Palhae was also the nation of margin. Its downfall resulted in various marginal men across the whole East Asia. The marginal men managed to lead a variety of lives according to their own circumstances and they also performed their own roles in their dynasty of Liao, Jin, and Koryeo. 발해 주민구성원 전체를 발해인이라고 한다면 이들은 멸망과 함께 발해 유민으로 전환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발해인과 발해 유민을 동아시아 경계인의 입장에서 검토한 것이다. 우선 발해의 경계인 즉, 발해 존속기에 발해의 주민구성에 참여한 사람들과 발해에서 이웃 나라로 이주한 주요 인물들을 조사해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 다음에는 발해의 멸망으로 고려, 중국(후주, 송) 등 각지로 이주했거나 거란(요), 여진(금)에서 살아갔던 여러 유형의 발해 유민들을 검토하였다. 특히 발해의 멸망은 동아시아 전체에 수많은 경계인, 유민을 낳았다. 발해 유민에 대한 접근은 단지 유민에 대한 동태나 양상만이 아니라 이주민과 난민의 문제, 국가 귀속, 디아스포라의 관점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가능하나 여기서는 경계인의 시각에서 바라다보았다. 아무튼 이 글은 경계인의 시각과 함께 한국사를 넘어 동아시아 전체의 범위에서 발해사와 발해 유민사를 살펴보았다. 더하여 발해 주민구성 문제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도 감안하였다. 경계인의 시선으로 발해인과 발해 유민을 바라본 결과 발해 사회의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발해는 경계․경계인의 나라다. 둘째, 발해는 다민족․다문화 사회다. 셋째, 발해는 통합과 포용의 사회다. 넷째, 발해는 국제성과 개방성의 사회다. 다섯째, 발해는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는 사회다

      • KCI등재

        발해 유민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이효형(Lee, Hyo-Hyeong) 효원사학회 2020 역사와 세계 Vol.- No.57

        최근 발해사 연구의 커다란 진전과 함께 발해 유민사에 대한 연구 역시 더욱 심도 있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물론 앞으로도 발해사에 대한 다양한 시선은 늘 존재할 것이다. 그 시선이 국가 간이든 개별 학자 간이든, 아니면 학문 간이든 항상 존재하리라 생각한다. 이른바 후발해에 대한 관점은 크게 중국과 일본 학계로 대별되지만 각국의 개별 학자들 간의 견해차도 매우 크다. 발해의 멸망을 전후로 한 백두산 화산폭발설에 대해선 역사학자와 자연과학자 간의 많은 시각차가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발해 유민의 분산과 발해사 귀속을 둘러싼 입장은 한국과 중국 학자들 사이에 많은 간극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는, 지금까지 각국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발해 멸망 이후 등장하는 동란국, 후발해, 정안국, 올야와 관련된 단편적인 기록을 다시 철저하게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 토대 위에 문헌학에다 고고학적인 발굴성과를 연계시켜 연구한다면 발해 유민사를 바라보는 견해차는 점차 좁혀질 것으로 믿는다. 그리고 민족주의적이고 국가주의적인 연구가 아닌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연구 자세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발해는 한국사에서 가장 광활한 영토를 다스리던 다민족·다문화 국가였다. 이웃의 여러 나라와 육로, 해로의 다섯 가지 길을 통해 왕성한 교류를 하던 나라로 중국의 당으로부터 해동성국이란 영예스러운 칭호를 받았던 대국가였다. 926년 거란의 침략으로 갑작스럽게 멸망하여 발해 유민이 처음 생겨난 지 곧 1100년이 다가오는 이 시기에 동아시아 각 나라 사이의 다국적 연구네트워크 형성과 학문 간의 다양한 학술교류는 발해를 정확히 이해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며 동시에 다양한 시선을 좁혀나가는 출발점이 되리라 생각한다. With the recent great advancement in Palhae history research, research on Palhae descendants has also been carried out in greater depth. However, there are and will always be a variety of viewpoints on Palhae history. Perspectives on the so-called Post Balhae are broadly classified into Chinese and Japanese academia, but scholars in each country hold widely different views. Historians and scientists state different opinions on volcanic eruption of Mt. Paekdu prior to and following the fall of Palhae. Moreover, Korean and Chinese scholars take many different positions on the dispersion of Palhae descendants and historical title to Palhae history.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review fragmentary records of East Khitan, Post Balhae, Jeonganguk, and Olya, which appeared after the collapse of Palhae, based on the work of researchers from all over the world. On top of that, linking philology with archaeological excavations will gradually narrow the scope of Palhae descendants. Furthermore, it is vital to take an attitude of research for peace and prosperity in East Asia, not a nationalistic research attitude. Palhae was a multi-ethnic group and multi-cultural country that ruled the vastest territory in Korean history. It was a great country that engaged in vigorous exchanges with a few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five trade main routes of land and sea and was given the honorable title ‘Flourishing Land in the East’ by the Tang Dynasty. However, it suddenly collapsed in 926, when Khitan invaded the country. Multinational research network of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1,100 after the fall of Palhae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Palhae exactly and narrowing down a range of perspectives.

      • KCI등재

        金代 墓誌銘에 실린 渤海遺民

        方京一(Bang, Gyeong-Il) 백산학회 2006 白山學報 Vol.- No.76

        12세기에 여진족은 金나라를 세우고, 중원을 정복한 후 중원의 문화를 흡수하여 발달한 정권을 건립하였다. 이에 대한 학계의 기존 학설은 여진족이 漢人을 포용하면서 이런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金史』와 대비해 볼 때 한인의 영향에 대한 과대한 평가라고 본다. 『금사』에서 ‘漢人’을 추출하여 다시 분석하고, 현재 남아 있는 금석문을 입증사료로 발해의 출신임을 논증하였다. 尙書令 張浩의 父親 張行願의 墓誌銘, 金世宗의 母親 貞懿皇后 李洪願의 墓志銘, 금조 第一 文人 王庭筠의 문집에서 모두 자신이 渤海人이라고 밝히고 있다. 아울러 금조 지배층의 종족구성을 살펴보면 금조 지배층은 漢人보다 渤海유민을 더 많이 포용했다는 주장이 더욱 유력해진다. 장씨, 왕씨, 이씨는 발해 유민임이 분명할뿐더러 동명왕, 고려의 邊將임이 묘지명과 문집을 통해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들은 금조에서 발해유민과의 유대 관계에 대해 강조하면서 금조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在12世紀的東北亞,建立了金國的女眞族,在征服遼宋之后,迅速吸收中原文化构建了高度發達的封建政權。對此學術界的基本論調是女眞族建立政權后,大量吸收漢人加入統治曾,從而得到了這樣的效果。作者在對比了『金史』等史料后,提出是否過分地夸大評價了漢人的影響的問題.。爲此從『金史』將‘漢人’,集中整理后進行分析, 同時通過現存的金石文材料作爲傍證史料論證了這些漢人其實往往具有渤海遺民的身份特点。本文集中分析的金朝尙書令張浩的父親張行願的墓誌銘, 金世宗母親貞懿皇后李洪願的墓志銘, 金朝第一文人王庭筠文集,均對這些渤海人的身世進行了記彔. 据此硏究,作者提出了金國統治階層的種族構成中渤海遺民比漢人發揮了更大的作用的主張. 上述張氏、王氏、李氏等渤海遺民更多的時候以東明王、高麗邊將自居,這在他們的墓誌銘和文集中也得到了反映。同時這些金朝的渤海遺民通過這种紐帶關係,确立了他們在金朝的重要的地位. In the 12th century, the Jurchens founded the Jin dynasty in Northeast Asia. They adopted the Chinese culture immediately and built highly developed state after conquered the Liao and Song dynasties. It has been contended that the Jin state’s achievement was made possible by contributions of the many Han Chinese who joined the Jurchen cause. A close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the Jin Dynasty》 (Jinshi) and other historical documents, it appears that the influence of the Han Chinese has been greatly exaggerated. the influence of Han Nationality. The extant epigraphic materials also prove that the so-called Han Chinese were actually the people of Parhae (Bohai). This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Epitaph of the father of Zhang Hao, the prime minster of the Jin state, and the Epitaph of the Li Hongyuan, mother of Emperor Shizong, and the famous writer Wang Tingjun. These inscriptions unambiguously state that they were the Parhae people. It is clear that the Jin ruling class had incorporated more Parhae people that the Han Chinese. The Zhang, Wang, and the Li families were descendants of Parhae, and they were able to exercise a great influence at the Jin court.

      • 특집 : 고대 한민족의 민족이산과 그 역사가 남긴 흔적들 ; 금대 발해인의 향방(向方)

        김위현 ( Wee Hyeon Kim ) 한국민족학회 2009 민족학연구 Vol.7 No.-

        926년 거란의 기습으로 발해는 멸망되었다. 그러나 승복하지 않는 주현들의 저항으로 평정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이때 많은 발해인을 거란 상경으로 옮겨 특수 관리를 하였다. 그리고 발해를 동란국으로 이름을 바꾸고 황태자 야율배를 왕으로 삼아 다스리도록 하였다. 그 후 황제자리 다툼에서 황태자가 밀려나고, 동생 야율덕광이 즉위하게 되자 형인 동란왕의 세력약화를 위하여 동란국의 수도를 천복성(天福城:忽汗城)에서 요양(遼陽)으로 옮겨 놓고 감시를 강화하였다. 이 천도(遷都) 과정에서 대다수는 옮겨 왔으나 일부는 생여진으로, 일부는고려로 도망갔다. 그러나 발해 멸망 시 300여만 명 이라는 주민의 숫자에 큰 변동 없이 동란국에 남은 것이다. 거란의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서 스스로 일어난 후발해와 정안국 등을 건립하였으나 곧 거란에 평정되었다. 그리고 1029년 동경사리군(東京舍利軍) 상온(詳穩) 대연림(大延琳)이 흥요국(興遼國)을 세웠으나 이 또한 오래가지 못하고 평정되었다. 이때에는 많은 발해인들이 상경과 중경 등지로 옮겨졌다. 마지막으로 고영창(高永昌)이 대발해(大渤海)를 세워 서쪽의 거란을 상대로 계속하여 승리를 거두었으나 동쪽의 신흥 금나라에게 계속 패배를 당하였다. 이 대발해를 발해인의 최후의 항전(抗戰)으로 생각하고 50여 주현이 호응을 하였으나 계속 금나라에 패배하자 발해인들은 새로운 선택을 하게 된다. 전례로 보아 거란으로 돌아간다면 처벌이 기다리지만 금으로 투항(投降)하면 환영을 받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속속 금에 투항하는 동시에 앞장서서 거란 정벌에 나섰다. 이렇게 되자 금나라는 “여진 · 발해는 본래 같은 민족이다.” 라는 구호로 발해인이 하나같이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그리하여 맹안 모극이 되어 거란에게 항복을 받아내고 송을 밀어내는데 성공하였다. 여진의 황족인 완안씨(完顔氏)는 원래 신라유민이었고, 발해는 고구려 유민이었으므로 새로운 형태의 국가를 탄생시켰다고 하겠다. 뿐만 아니라 건국 이후 한때이지만 황제 족과 황후 족으로 국정을 맡았던 시기도 있었다. 발해인이 여진을 도와 금을 건국하였다는 것은 자신의 힘으로 못 이룬 꿈을 여진과 합작하여 이룬 것이다. 금대 발해인을 부류 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대 거란전, 대 송전에 전공을 세워 입신출세한 부류. 2. 요양(遼陽) 명문가의 발해녀로 금 황실에 선입(選入)되어 금 황실의 처첩(妻妾)이 되어 황제들을 낳으면서 외척(外戚)으로 행세한 부류. 3. 진사(進士)급제를 하여 정식 관료의 길을 밟은 사족(士族). 4. 맹안(猛安) 모극(謀克)이 폐지되고 연남(燕南) 일대로 옮겨져 산업과 군사에 종사하며 살던 서민(庶民)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금 일대를 지나면서 발해인 들의 숫자는 줄어들지 않았지만 내용적으로는 변화가 많았다. 1. 금나라 귀족 대열에 끼어 발해인의 독립정신이 쇠퇴하였다. 2. 거란화, 여진화가 되면서 고유의 풍속을 지키기 어려워졌다. 3. 공식적인 기록에 ○○발해인이라 하던 것이 발해가 사라지고 ○○인이라는 기록으로 나타난다. 이는 금나라의 일원이 되면서 더 이상 발해니 여진이니 구분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Balhae was defeated by the Ch`itan in 926. However, Balhae`s many rebellions throughout several prefectures and counties created difficulties in Ch`itan`s full control over the territory. Thus Ch`itan took many Balhae people to Shang-ching, the supreme capital, in order to make it easy to exert their influence upon them. Then they renamed Balhae as Tung-tan Kingdom and let the crown prince Yeh-lu˘ pei be the king to rule. When Yeh-lu˘ pei`s brother, Yeh-lu˘ te`-kuang became the king, he moved the capital from T`ien-fu city to Liao-yang(eastern capital) to minimize his brother`s political influence. Many Balhae people were also displaced to the new capital and yet some went to Savage Jurchen, and others fled to Koryo. The overall population of Tung-tan still remained over 3 million, which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Balhae at the time of its fall. There were attempts to establish new states such as Later Balhae and State of Ding-an but they were all quelled by Ch`itan. State of Hsing-liao established by Tung-ching she`-li Hsiang-wen and Ta yen-lim in 1029 did not last long. When it was defeated, many Balhae people were displaced to Shang-ching and Chung-ching. Great Balhae by Kao yung-ch`ang defeated Ch`itan successfully in the west. However, they could not do so against Chin in the east. Balhae people in the areas of over 50 prefectures and counties were united to defeat Chin but ended in failure. Balhae people chose to surrender to Chin instead rather than to remain in Ch`itan, where only punishment of rebellion awaited them. Thus Chin welcomed Balhae people with proclaiming that Jurchen and Balhae people had same origin. Balhae people became Me`ng-an Mo-k`o and helped Chin subjugate Ch`itan. They successfully quelled Ch`itan and drove Song out. It signified that a new form of state was established since Wan-yen, the royal blood of Jurchen, was originally from Silla and Balhae people from Koguryo. There were times when they ruled the country as relatives of emperors and empresses, though it was relatively brief. Balhae people`s help in establishing Chin meant the fulfillment of their frustrated dream to build their own nation. The followings are about the displaced Balhae people in Chin era. 1. a group of people who had successful careers after waging wars against Ch`itan and Song. 2. a group of people who became maternal relatives of imperial family of Chin as some Balhae women arose to empresses and concubines of Chin emperors. 3. a group of people who became officials after passing government exams. 4. a group of people who became commoners after the abolishment of Me`ng-an Mo-k`o, having been moved to southern Yen area and employed as soldiers and laborers. Balhae population did not declined but there were changes in Balhae people. Those are: 1. Their spirit of independence diminished as they entered into Chin aristocracy. 2.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keep their own tradition and customs as they became parts of Ch`itan and Jurchen societies. 3. The documentation of them as ○○ Balhae people disappeared and instead they were recorded as ○○ people in the official documents. This meant it was no longer necessary to distinguish Balhae from Jurchen.

      • KCI등재

        유민묘지명(遺民墓誌銘)을 통해본 당(唐)의 동방정책(東方政策)과 고구려(高句麗) 유민(遺民)의 동향

        여호규 ( Yeo Hokyu ),배근흥 ( Bai Genxing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7 東洋學 Vol.69 No.-

        본 논문은 고구려 遺民墓誌銘을 바탕으로 “7세기 후반 唐의 東方政策과 高句麗 遺民의 동향”을 고찰한 것이었다. 필자는 陝西師範大學 拜根興 교수와 공동으로 이 글을 작성하면서 고구려 유민묘지명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한편, 문헌사료와 연계시켜 “당의 동방정책 변화에 따른 고구려 유민의 동향”을 다각도로 고찰 했다. 이를 통해 고구려 멸망 이후 다양하게 전개된 고구려 유민의 동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이들의 동향이 당의 동방정책에 미친 영향을 새롭게 고찰할 수 있었다.가령 2015년에 발견된 <南單德墓誌銘>이나 高欽德·高遠望 父子의 墓誌銘을 통해 고구려 멸망 직후 당이 고구려 고지에 대해 기미지배를 구축하던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李他仁墓誌銘>이나 唐의 관인이었던 <陽玄基墓誌銘>을 통해서는 고구려 부흥운동이 요동지역이나 한반도 서북지역뿐 아니라 부여지역이나 두만강 유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전개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高乙德墓誌銘>을 통해서는 당이 673년경 고구려 부흥운동을 진압하고, 674년부터 신라와의 전면전에 착수하던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당은 679년부터 대규모 원정군을 편성해 돌궐의 침공을 방어했는데, 여러 유민묘지명을 통해 고구려 유민출신 장수들이 돌궐 방어전에 투입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高玄墓誌銘>을 통해서는 각 州에 분산 배치한 고구려 遺民 병사를 체계적으로 동원한 사실도 새롭게 파악했다. 그리고 696년 6월 거란의 흥기는 698년 발해의 건국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의 관심을 받았지만, 사료의 제약으로 고구려 고지에 거주하던 유민의 동향을 파악하기는 힘들었다. 그런데 <高質墓誌銘>과 <高慈墓誌銘>을 통해 거란의 흥기 직후 요동지역의 고구려 유민들이 부흥운동을 전개한 사실을 새롭게 확인했다.부여지역과 두만강 유역에서도 고구려 부흥운동이 전개된 사실을 밝힌 것은 향후 이 분야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거란의 흥기 직후, 요동지역의 고구려 유민이 부훙운동을 전개한 사실을 밝힌 것도 발해 건국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 글이 고구려 유민의 동향, 신라의 대당정책, 당의 동방정책 변화 등이 맞물리며 통일신라의 확립과 발해의 건국으로 귀결된 이 시기 한국사의 전개양상을 재조명할 단서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aimed at examining the Koguryo refugees as well as the Chinese Tang(唐) dynasty’s Eastern policy during the 2<sup>nd</sup> half of the 7<sup>th</sup> century, through remaining tomb epitaphs[墓誌銘] of those Koguryo refugees. As part of a joint project with Professor Bai, Genxing(拜根興) at the Shaanxi(陝西) Education University, I surveyed a grand collection of extant epitaphs of Koguryo refugees, and tried to examine their movements and activities. I also wanted to have a look at how they progressed as the Tang’s policy tended to change itself as well, and analyzed written documents from many perspectives to that end. As a result, I was able to recreate details of the refugees’ activities, which turned out to be quite diverse ever since the dynasty fell, and was able to newly determine how their actions affected the Tang’s policy in return.For example, the epitaph of Nam Dan-deok(南單德) and epitaphs of Go Heum-deok(高欽德) & Go Weon-mang(高遠望), which were all found in 2015, reveal how the Tang dynasty established a ruling authority over Koguryo’s old territory. From the epitaphs of Yi Ta-in(李他仁) and Yang Hyeon-gi(陽玄基, who was a Tang official) we can confirm that a Koguryo Revival Movement was widely in progress around 670 and 671 in the Buyeo region as well as areas nearby the Duman-gang river. In the meantime, the recently found epitaph of Go Eul-deok(高乙德) vividly shows us how Tang subdued the Revival movement around 673 and began to engage Shilla full-scale in 674.Tang organized a large army in 679 to protect itself from the invasion of the Turks, and through many Koguryo refugee epitaphs we learned that many of them were actually enlisted in the Turk front. And especially from the epitaph of Go Hyeon(高玄), we discovered that Koguryo refugees who had been dispersed and stationed in various Ju/州 areas were systematically pulled from where they were to be diverted to the front. Unfortunately we were not able to identify the status of Koguryo refugees who remained inside the dynasty’s old territory while the Khitans’ rise in June 696 which definitely led to Balhae’s foundation in 698 was heavily on our minds. The fact that since the Khitans’ rise the Koguryo refugees in the Liadung region were behind the Koguryo Revival movement was newly determined by epitaphs of Go Jil(高質) and Go Ja(高慈).As mentioned above, I examined all the existing written texts as well as newly discovered epitaph materials in order to analyze changes in the Tang dynasty’s Eastern policy as well as the ever-changing status of the Koguryo refugees from a multilateral perspective. The fact that Koguryo Revival movements also progressed in the Buyeo and Duman-gang region was newly determined during this project and will help enhanc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is period. Also, the newly identified detail that Koguryo refugees in the Liaodung region involved themselves in a Koguryo Revival movement right after the Khitans rose will contribute to bettering previous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which was behind the foundation of Balhae. Results from this project would be able to provide scholars and researchers with details regarding the Koguryo refugees’ actions, Shilla’s Tang policy, and changes in the Tang dynasty’s Eastern policy, and enable them to have a macroscopic view of the overall picture including the Unified Shilla’s firm establishment as well as the foundation of Balhae, which were all crucial changes the Koreans of this period were able to witness.

      • KCI등재

        渤海와 遊牧王朝의 交流

        韓圭哲(HAN Giu-cheol) 고구려발해학회 2009 고구려발해연구 Vol.34 No.-

        본고는 지금까지 발해와 거란 및 돌궐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종합하고 그 의미를 찾아 보면서 발해와 유목제국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초보적 연구이다. 돌궐은 발해가 건국되고 맨 먼저 사신을 파견해야 할 정도로 당과의 외교·군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왕조였다. 발해의 건국은 거란 李盡忠의 반란과 함께 突厥이 당나라를 일정하게 견제하고 있던 국제적 환경속에서 가능했다. 발해와 돌궐 등의 교류는『吐蕃文書』나 발해시대 연해주와 중앙아시아를 잇는‘담비길’이 있었다는주장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발해는 突厥및 西域과도 적극적인 교류를 하였음이 점차 확인되어 가고 있다. 유목민족의 하나인 거란도 발해와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발해의 풍속이 거란 그리고 고구려와 같았다고 할 정도로 거란은 고구려시대부터 문화적으로도 깊은 관계에 있었다. 그리고 발해시대에는 발해에서 거란으로 통하는‘契丹道’도 있었다. 또한 발해는 거란으로 인해 나라를 세울 수 있었고, 거란으로 인해 멸망하였다. 한편 발해를 멸망시키고 그 유민들을 상당수 받아들인 거란으로서는 군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발해유민으로 인해 요나라의 부흥을 꾀할 수 있었다. 발해인들이 거란인이 되면서 그 역사 문화적 전통을 계승·발전하였다는 점은 양국간의 교섭에서 얻어진 중요한 결과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basic study on past inspections of relations of Balhae(Palhae, Parhae, Bohai) and nomadic dynasties such as Turk and Khitan. Turk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plomatic and military aspects with Dang Dynasty. So, Balhae had to dispatch the first ambassador to Turk after the establishment of Balhae. The establishment of Balhae was only possible with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of Li Jinchoong(李盡忠) rebelling and Turk regularly checking Dang Dynasty. The exchange between Balhae and Turk and Seoyeok is gradually being confirmed as documents of Tibet and such are found. Khitan, one of nomadic tribes, had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Balhae. Khitan was deeply related in cultural aspect since Koguryo Dynasty. The customs of Balhae were almost similar to those of Khitan and Koguryo. There even was ‘Khitan Road(契丹道)’ connecting Balhae to Khitan in the Balhae period. Also, Balhae was established and fell because of Khitan. On the other hand, Khitan, which had destroyed Balhae and had taken in many nomads of Balhae, was able to intend the renaissance of Liao Dynasty only with nomads of Balhae both in military and cultural aspects. The fact that Khitan’s historic and cultural traditions had inherited and developed after the people of Balhae became the people of Khitan is an important result of the exchange between two countries.

      • KCI등재

        백두산 화산폭발과 역사 사회적 영향 - 발해 멸망과 디아스포라를 중심으로 -

        이석현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人文論叢 Vol.61 No.-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국내외 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아왔던 10세기 백두산 화산 폭발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아울러 발해 멸망과의 관련성과 그 영향 등에 대해 고찰한것이다. 근래에 백두산 분화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과거 백두산 폭발에 대한 관심도고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과학적 연구성과들을 검토하여 백두산 분화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고찰하였다. 연구성과의 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946년 백두산 폭발설이 가장 유력한 가설임을 확인하였다. 당시의 백두산 분화의 영향과 관련하여 여러 데이터와 함께 일본과 동해에 분포되어 있는 백두산 화산재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9세기 백두산 분화에 대한 학설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검토하면서 발해 멸망과의 연계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또한 발해 멸망 전후에 일본에 파견되었던 발해 사신들의 기록을 검토하여 926년의 발해 멸망 연도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926년 발해 멸망 이후요나라에 의한 대규모 강제 이주로 인하여 백두산 주변의 발해인들은 대부분 요나라와동란국으로 이주되거나 고려로 망명하였다. 물론 일부분의 발해 유민들은 동여진 부족과 함께 그 지역에서 발해인의 정체성을 지닌채 살아가고 있었던 상황도 확인하였다. 다만 대부분의 발해인들은 강제 이주와 망명 등의 형태로 옛 발해 지역을 떠나 다른 지역에 정착하는 디아스포라의 모습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946년의 백두산의 폭발과 926 년의 발해 멸망과 그 이후의 발해인들의 디아스포라와 직접적인 관련성을 부여할 수는없었다. 다만 앞으로 9세기 백두산 분화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입증된다면, 백두산 폭발과 발해 멸망과의 직간접적인 연관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