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4운동기 해외유학파의 서양학문 수용과 유통-신문학을 중심으로-

        이재령 ( Lee Jaeryoung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東洋學 Vol.71 No.-

        이 연구는 5·4운동기 중국의 해외유학출신들에 의해 전개된 신문화운동을 통해 서양학문의 수용 및 확산 과정을 파악하였다. 청말민초 해외유학을 통해 근대지식을 습득하고 서양문명을 경험한 지식인들이 신해혁명 이후 좌절에 빠진 중국사회에 새로운 돌파구로 신문화운동을 제기하였다. 그 가운데 문학혁명이 가장 빠르고 구체적으로 전개되었는데 구 봉건문학의 폐해로부터 벗어나 사상혁명과 문자혁명을 통한 평민문학의 건설에 맞추어졌다. 여기에 동원된 문학 도구는 백화문이었으며, 창작방법은 서양의 명저를 번역, 참조하는 것이었다. 유학파지식인들이 번역한 작품의 선정 기준이나 내용은 문학성, 오락성보다 중국인들의 각성을 촉구하는 계몽과 혁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신문학에 따른 번역이나 창작 작품은 인도주의에 의거한 ‘인간의 문학’과 사회의 모든 현상을 그대로 묘사하는 ‘사실주의문학’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개성해방과 개인주의를 강조했다. 신문학의 경향이 계몽성, 혁명성, 사실성을 바탕으로 개개인의 자유와 평등, 개성 해방을 고양시킨 방향으로 나아간 것이다. 따라서 문학혁명은 문학 자체의 내용과 형식, 표현수단, 장르 등의 변화에 그친 것이 아니라 중국인의 윤리의식, 가치체계, 물질문명 전반에 변화를 가져온 사상혁명을 병행하였다. 이렇게 볼 때 해외유학파에 의해 수용된 서양문학은 근대 학문·사상의 교두보로서 문학혁명을 폭발시키고 신문화운동과 5·4운동을 확산시킨 원동력이었다. 그 과정에서 서양으로부터 이식된 자유·평등·민주·과학 등의 개념이 중국사회 전반에 보편화되었고 근대 지식장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았다. This study examines processes of acceptances and distributions of Western sciences throughout the New Culture Movement which Chinese studying-abroad-group propelled during the May Fourth Movement period. In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Qing dynasty to the republic, intellectuals who learned modern sciences and experienced Western civilization through studying abroad brought up the New Culture Movement as a breakthrough for Chinese society disappointed after the Xinhai Revolution. The most rapid and specific one among several sub-movements was the literary revolution, which focused on building the literature of ordinary people through ideological revolution and writing revolution liberating from harms of feudal literature. For the literary revolution, its tool was baihuawen(白話文: plain speech writing) and its method was translating and referring Western classics. Those selected Western classics were neither for literary value nor for entertainment but for enlightenment and revolution urging Chinese people’s awakening.Translations and writings in accordance with New Literature focused on ‘humanist literature’ based on humanitarianism and on ‘realist literature’ describing all social events as they are, and emphasized liberat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ism. The trend of New Literature, based on enlightenment, revolution and reality, went toward liberty and equality of all individuals and liberating personality. Indeed, the literary revolution not only achieved changes in contents, formalities, expressions, and genres, but also led the ideological revolution changing Chinese people’s morality, value system, and material civilization as a whole. From this perspective, the Western literature accepted by Chinese studying-abroad-group was the bridgehead to the modern sciences and thoughts and the key motivation bursting the literary revolution and spreading the New Culture Movement and the May Fourth Movement. Throughout the process, the concepts of liberty, equality, democracy, science, and so on, which were transplanted from the West, became common in Chinese society and became the axis of modern knowledges.

      • KCI등재

        일본 쓰쿠바 대학[筑波大學]의 조선(朝鮮) 관련 서적과 오카쿠라 요시사부로(岡倉由三郎)의 장서(藏書)

        유춘동 ( Yoo Choondong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7 東洋學 Vol.69 No.-

        이 글은 일본 쓰쿠바 대학[筑波大學] 중앙도서관에 있는 조선(朝鮮)시대 전적, 조선 관련 서적과 오카쿠라 요시사부로(岡倉由三郎, 1868~1936)의 장서(藏書)를 살펴본 것이다.일본 이바라키 현[茨城縣] 쓰쿠바 시에 있는 쓰쿠바 대학은 ‘일본 동경교육대학(東京敎育大學)’을 개명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자리 잡은 곳이다. 이 대학에는 총 60종의 조선시대 전적(典籍)이 있다. 이 사실은 1976년 후지모토 유키오(藤本幸夫) 교수를 통해서 알려졌다.그러나 이곳에 “누가, 어떤 이유로 이 책을 수집했는지, 그리고 총량은 어느 정도인지”는 보론(補論)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이 대학의 전신(前身)이었던 ‘동경교육대학’ 시절에 작성되었던 『도서원부(圖書原簿)』와 『괘도목록(掛圖目錄)』를 보면 지금보다 더 많은 조선시대 전적, 조선 관련 서적들의 기록이 남아있기 때문이다.아울러 함께 밝힐 문제는 “이 책의 수집가”이다. 이 책들은 대부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에서 대학으로 보낸 것도 있지만 오카쿠라 요시사부로가 수집했던 것도 포함되어 있다.오카쿠라 요시사부로는 현재 일본의 유명한 영문학자로만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1891년 조선에 한성일어학당(漢城日語學堂)이 처음 만들어지자 이곳에 부임했던 최초의 일본어 교사였다. 그는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조선의 책들을 틈틈이 수집했고, 1893년 『철학잡지(哲學雜誌)』에다가 한글로 쓴 서적의 의미와 조선의 대중문학(大衆文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했다. 이 과정에서 세책(貰冊) 고소설과 조선시대 대표적 대중가요집인 『남훈태평가』를 소개하기도 했다. 그가 썼던 글은 이후 모리스쿠랑(Maurice Courant)의 『한국서지(Bibliographie Coreenne)』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글을 발표하기까지 오카쿠라 요시사부로는 조선시대 책들을 착실히 수집했고, 이후 그의 책은 이 대학의 장서(藏書)가 되었다.이 글은 이처럼 그동안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쓰쿠바 대학의 있는 조선시대 전적과 관련 서적에 대한 부분, 오카쿠라 요시사부로가 수집했던 장서(藏書)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books related to the Joseon Dynasty at the University of Tsukuba and discusses the collection of the books of Yoshisaburo Okakura (1868~1936).It is already known that there are a total of 60 kinds of Joseon Dynasty Rare Books in this university.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supplementary argument in this university about “who collected books through which path, and how much the total is.”The reason is that I can see more books of Korea and books related to Joseon in the view of the books and documents that were written in the days of Tokyo University of Education.In addition, we need to look at this issue with “The person who collected this book”. These books were collected and sent by the Chosun Governor-General’s Office, but included a book by Saburo Okakura.He was a researcher of Joseon scholarship who came to the Joseon Dynasty and studied various aspects of the Joseon dynasty and book culture. In 1893, he introduced the popular literature of Chosun, the Rental book of Joseon(sechaek), and the poetry of Namhuntaepyongga through philosophical magazines. This was reflected in Maurice Courant’s Bibliographie Coreenne (Korean Bibliography).The books collected by Okakura Yoshisaburo became collections of this university.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ings related to this in turn.

      • KCI등재

        ≪異體字字典≫的應用與未來

        이첨부 ( Li Tien-fu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東洋學 Vol.71 No.-

        台灣敎育主管當局自1970年代初,開始有關標準字體的整理工作,前後公布了≪常用國字標準字體表≫、≪次常用國字標準字體表≫、≪罕用字體表≫等三個標準字體表, 同時也初步整理了≪異體字表≫。後來更據以撰成 ≪異體字字典≫。≪異體字字典≫引用古今字書62種,實際用例參考文獻1242種,收錄正字29924字,異體字76469字,全書總計106333字,堪稱是一部大型的中文字形彙典。在字音與字義面,≪異體字字典≫居於歷史語言辭典的編纂立場,詳贍(仔細)的考察每一個字的音、義根源與發展,幷視文獻保存狀況,作應有而詳盡的保存。2013年起,我們啓動了≪異體字字典≫形、音、義內容的修檢工作,更在系統上作了許多擴充,期盼?能爲學者提供更爲充實的內容、便捷的利用。 Ministry of Education initiated the programme of compiling standard characters by 70s, and having issued The List of Commonly-used Characters, The List of Less-commonly-used Characters and The list of Rarely-used Characters. Ministry of Education started the project of The List of Variant sequentially, and this list eventually turned into 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Variants.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Variants, compiled by Ministry of Education, has cited 62 philology books and 1,242 practical literatures to collect 29,892 standard characters and 76,469 variant characters, 106,333 characters in total. It is absolutely a large-scale work of Chinese characters. When it comes to characters’ phonetic and meaning, 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Variants holds a historical perspective. It reviews every single word’s phonetic and meaning deliberately, and goes to their roots and developments. Furthermore, 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Variants tries to preserve literatures as proper as possible.Since 2013, we have initiated the revising project of 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Variants, and tried to expand its system .We hope this dictionary provides profound information for researchers, and facilitates the work of research.

      • KCI등재

        유민묘지명(遺民墓誌銘)을 통해본 당(唐)의 동방정책(東方政策)과 고구려(高句麗) 유민(遺民)의 동향

        여호규 ( Yeo Hokyu ),배근흥 ( Bai Genxing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7 東洋學 Vol.69 No.-

        본 논문은 고구려 遺民墓誌銘을 바탕으로 “7세기 후반 唐의 東方政策과 高句麗 遺民의 동향”을 고찰한 것이었다. 필자는 陝西師範大學 拜根興 교수와 공동으로 이 글을 작성하면서 고구려 유민묘지명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한편, 문헌사료와 연계시켜 “당의 동방정책 변화에 따른 고구려 유민의 동향”을 다각도로 고찰 했다. 이를 통해 고구려 멸망 이후 다양하게 전개된 고구려 유민의 동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이들의 동향이 당의 동방정책에 미친 영향을 새롭게 고찰할 수 있었다.가령 2015년에 발견된 <南單德墓誌銘>이나 高欽德·高遠望 父子의 墓誌銘을 통해 고구려 멸망 직후 당이 고구려 고지에 대해 기미지배를 구축하던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李他仁墓誌銘>이나 唐의 관인이었던 <陽玄基墓誌銘>을 통해서는 고구려 부흥운동이 요동지역이나 한반도 서북지역뿐 아니라 부여지역이나 두만강 유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전개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高乙德墓誌銘>을 통해서는 당이 673년경 고구려 부흥운동을 진압하고, 674년부터 신라와의 전면전에 착수하던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당은 679년부터 대규모 원정군을 편성해 돌궐의 침공을 방어했는데, 여러 유민묘지명을 통해 고구려 유민출신 장수들이 돌궐 방어전에 투입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高玄墓誌銘>을 통해서는 각 州에 분산 배치한 고구려 遺民 병사를 체계적으로 동원한 사실도 새롭게 파악했다. 그리고 696년 6월 거란의 흥기는 698년 발해의 건국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의 관심을 받았지만, 사료의 제약으로 고구려 고지에 거주하던 유민의 동향을 파악하기는 힘들었다. 그런데 <高質墓誌銘>과 <高慈墓誌銘>을 통해 거란의 흥기 직후 요동지역의 고구려 유민들이 부흥운동을 전개한 사실을 새롭게 확인했다.부여지역과 두만강 유역에서도 고구려 부흥운동이 전개된 사실을 밝힌 것은 향후 이 분야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거란의 흥기 직후, 요동지역의 고구려 유민이 부훙운동을 전개한 사실을 밝힌 것도 발해 건국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 글이 고구려 유민의 동향, 신라의 대당정책, 당의 동방정책 변화 등이 맞물리며 통일신라의 확립과 발해의 건국으로 귀결된 이 시기 한국사의 전개양상을 재조명할 단서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aimed at examining the Koguryo refugees as well as the Chinese Tang(唐) dynasty’s Eastern policy during the 2<sup>nd</sup> half of the 7<sup>th</sup> century, through remaining tomb epitaphs[墓誌銘] of those Koguryo refugees. As part of a joint project with Professor Bai, Genxing(拜根興) at the Shaanxi(陝西) Education University, I surveyed a grand collection of extant epitaphs of Koguryo refugees, and tried to examine their movements and activities. I also wanted to have a look at how they progressed as the Tang’s policy tended to change itself as well, and analyzed written documents from many perspectives to that end. As a result, I was able to recreate details of the refugees’ activities, which turned out to be quite diverse ever since the dynasty fell, and was able to newly determine how their actions affected the Tang’s policy in return.For example, the epitaph of Nam Dan-deok(南單德) and epitaphs of Go Heum-deok(高欽德) & Go Weon-mang(高遠望), which were all found in 2015, reveal how the Tang dynasty established a ruling authority over Koguryo’s old territory. From the epitaphs of Yi Ta-in(李他仁) and Yang Hyeon-gi(陽玄基, who was a Tang official) we can confirm that a Koguryo Revival Movement was widely in progress around 670 and 671 in the Buyeo region as well as areas nearby the Duman-gang river. In the meantime, the recently found epitaph of Go Eul-deok(高乙德) vividly shows us how Tang subdued the Revival movement around 673 and began to engage Shilla full-scale in 674.Tang organized a large army in 679 to protect itself from the invasion of the Turks, and through many Koguryo refugee epitaphs we learned that many of them were actually enlisted in the Turk front. And especially from the epitaph of Go Hyeon(高玄), we discovered that Koguryo refugees who had been dispersed and stationed in various Ju/州 areas were systematically pulled from where they were to be diverted to the front. Unfortunately we were not able to identify the status of Koguryo refugees who remained inside the dynasty’s old territory while the Khitans’ rise in June 696 which definitely led to Balhae’s foundation in 698 was heavily on our minds. The fact that since the Khitans’ rise the Koguryo refugees in the Liadung region were behind the Koguryo Revival movement was newly determined by epitaphs of Go Jil(高質) and Go Ja(高慈).As mentioned above, I examined all the existing written texts as well as newly discovered epitaph materials in order to analyze changes in the Tang dynasty’s Eastern policy as well as the ever-changing status of the Koguryo refugees from a multilateral perspective. The fact that Koguryo Revival movements also progressed in the Buyeo and Duman-gang region was newly determined during this project and will help enhanc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is period. Also, the newly identified detail that Koguryo refugees in the Liaodung region involved themselves in a Koguryo Revival movement right after the Khitans rose will contribute to bettering previous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which was behind the foundation of Balhae. Results from this project would be able to provide scholars and researchers with details regarding the Koguryo refugees’ actions, Shilla’s Tang policy, and changes in the Tang dynasty’s Eastern policy, and enable them to have a macroscopic view of the overall picture including the Unified Shilla’s firm establishment as well as the foundation of Balhae, which were all crucial changes the Koreans of this period were able to witness.

      • KCI등재

        오리엔탈리즘인가 프래그머티즘인가? 영국군의 장에서 아일랜드다움 그리고 식민 대립

        러글린스위니 ( Loughlin Sweeney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7 東洋學 Vol.69 No.-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의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의 분석은 식민 셰계의 지배자로서 제국(empire)에 대한 연구의 시선을 대도시(metropolis)와 주변부(periphery)의 이항 대립적 담론, 식민 지배자들이 가졌던 태도와, 그리고 그들이 식민지의 토착문화의 해석에 사용된 문화적 편견으로 옮겨놓음으로서 식민지 역사 연구에 있어 근본적인 변화를 남겼다. 그 이후로, 사이드의 연구를 새로운 방향으로 이끈 다수의 해석이 식민지 역사 연구에서 제기되었다. 예를 들어, 식민지의 행위성(agency)과 직간접적인 식민지 규율의 현실 적합성에 대한 강조라든가, 식민 지배자와 피지배자사이의 대면을 중재함에 있어서의 ‘하위주체’(subaltern)의 역할에 대한 연구들이 있었다. 또 한 가지 결정적인 연구는, 논란의 여지가 있고 모호했던 제국주의의 첨병에서 실제로는 실용적이고 ‘상호적인’ 특성을 가졌던 식민 관계가 오히려 오리엔탈리스트(orientalist)적인 선입견을 얼마나 무녀뜨렸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이와 더불어 ‘4민족’적 - 민족과 제국의 개념에 대한 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즈 4개국의 차이를 인식하는 - 접근법으로 인하여 영국 제국주의에 대한 대도시 식민지배자(metropolitan)들의 태도에 대한 연구는 더 큰 복잡성을 띠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기된 새로운 방법론적 틀들을 검토하고, 이 방법론들이 아시아 내 여러 지역에 식민시대 군대의 장(sphere) 장교, 특파원, 행정직으로 투입되었던 아일랜드인의 예시에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서신과 회고록에서 찾을 수 있는 아일랜드인들의 제국에 대한 태도를 인용하고 오리엔탈리즘의 시각을 상호성과 토착 행위성을 강조하는 역사적 접근법을 결합함으로써, 식민지 규율의 복잡성에 대한 새로운 연구 영역을 제시한다. Edward Said’s concept of ‘Orientalism’ has been instrumental in refocusing colonial history towards the attitudes of colonizers at the metropolis and periphery, and the cultural preconceptions that mediated colonial encounter. Historians have taken Said’s work in many innovative directions: a greater emphasis on indigenous agency and the practicalities of direct and indirect colonial rule; the role of the ‘subaltern’ in mediating encounter between colonizers and the colonized; and, crucially, the extent to which orientalist preconceptions were eroded by the pragmatic, ‘transactional’ nature of colonial relations at an imperial frontier that was contested and ambiguous. Metropolitan attitudes toward empire have been given further complexity with the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nations’ constituting the Union. This paper reviews these new methodological frameworks and examines their relevance to the study of ‘imperial Irishmen’ in multiple Asian localities, all of whom were inculcated in the colonial military sphere, as officers, correspondents, and administrators. It cites new indicative examples of Irish attitudes to empire derived from correspondence and memoirs, and proposes new avenues of research into the complexities of colonial rule which marry the lens of orientalism with historical approaches emphasizing transaction and indigenous agency.

      • KCI등재

        ‘적(的)<sub>2</sub>’, ‘적(的)<sub>3</sub>’과 ‘래착(來着)<sub>1</sub>’의 통사적 특징과 시간 자질 중한 대조연구

        한경숙 ( Han Keungshuk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東洋學 Vol.73 No.-

        본고는 현대중국어 시간조사 ‘的<sub>2</sub>’, ‘的<sub>3</sub>’과 ‘來着<sub>1</sub>’의 통사구조와 시간 자질에 대한 공시적인 중한 대조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변별적 시간 자질 즉 ‘的<sub>2</sub>’, ‘的<sub>3</sub>’과 ‘來着<sub>1</sub>’ 사이의 시간 표현의 차이를 규명하였고 ‘的<sub>2</sub>’와 ‘了<sub>1</sub>’의 차이도 분석하였다. ‘的<sub>2</sub>’는 술어의 바로 뒤에 위치하고 ‘的<sub>3</sub>’은 문장의 말미 즉 목적어 뒤에 위치한다. ‘來着<sub>1</sub>’도 문장의 말미에 위치한다. ‘的<sub>2</sub>’, ‘的<sub>3</sub>’ 구문의 술어는 지속성 동사, 비지속성 동사, 심리동사, 형용사 등이 가능하고 ‘來着<sub>1</sub>’ 구문의 술어는 지속성 동사, 심리동사, 존재동사, 판단동사 모두 가능하다. 복합문 중에서 ‘來着<sub>1</sub>’은 앞 구문의 말미에 출현할 수 있지만, ‘的<sub>2</sub>’, ‘的<sub>3</sub>’은 앞과 뒤 구문 모두 가능하다. ‘的<sub>2</sub>’, ‘的<sub>3</sub>’ 구문에서 ‘的<sub>2</sub>’, ‘的<sub>3</sub>’은 어기에 따라 분류된 陳述句, 感嘆句, 祈使句, 疑問句 등 구문에 모두 출현 가능하고, 특수한 主謂句인 連動句, 兼語句, ‘把’字句, ‘被’字句 등에도 출현 가능하지만, 存現句에는 출현하지 않는다. ‘來着1’ 구문은 疑問句가 가장 많고 陳述句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으며 ‘的<sub>2</sub>’, ‘的<sub>3</sub>과 달리 存現句가 가능하다.현대중국어 시간조사 ‘的<sub>2</sub>’, ‘的<sub>3</sub>’과 ‘來着<sub>1</sub>’은 술어 동사의 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的<sub>2</sub>’, ‘的<sub>3</sub>’과 ‘來着<sub>1</sub>’의 시간 자질을 고찰하기 위하여 이들과 관련된 술어의 자질을 먼저 고찰하였다. 상 자질 보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동태성], [+완결성], [-순간성], [+접근성] 등 술어자질을 먼저 설정하고 예문 분석을 통하여 ‘的<sub>2</sub>’, ‘的<sub>3</sub>’과 ‘來着<sub>1</sub>’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的<sub>2</sub>’는 상 자질과 시제 자질을 가지고 있고, ‘的<sub>3</sub>’은 시제조사 겸 어기조사이며, ‘來着<sub>1</sub>’ 역시 어기조사 겸 시제조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的<sub>2</sub>’, ‘的<sub>3</sub>’과 ‘來着<sub>1</sub>’ 모두 우리말의 ‘_었(었었)_’으로 번역되는데 ‘_었(었었)_’은 한국어에서 ‘과거시제’를 나타낸다. 즉 중국어의 시간조사 ‘的<sub>2</sub>’, ‘的<sub>3</sub>’과 ‘來着<sub>1</sub>’ 등은 상, 시제, 어기 등 여러 가지 자질을 구현하고 있지만, 이들과 대응되는 한국어의 범주는 시제 범주의 하위 범주인 과거시제뿐이다. 이렇듯 한중 두 언어는 시간 표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的<sub>2</sub>’와 ‘了<sub>1</sub>’도 비교 분석하였다. ‘的<sub>2</sub>’와 ‘了<sub>1</sub>’ 두 조사 모두 술어 동사의 뒤에서 동사의 상 자질을 구현해주고 있지만, ‘的<sub>2</sub>’구문의 의미지향(語義指向)은 동사 앞의 부사어에 있는 반면, ‘了<sub>1</sub>’ 구문의 의미지향은 술어 동사 자체의 상에 있다. 비록 이들 모두 술어 동사의 상을 구현해주고 있지만, 두 조사의 의미지향이 다르기에 이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 자질들이 서로 다르다. 즉 각 구문의 초점이 서로 다르다. 그리고 ‘的<sub>2</sub>’와 ‘了’ 앞의 동사가 [+순간성] 자질을 가지고 있는 동사일 때 ‘的<sub>2</sub>’가 동사의 과거시제를 나타내지만, ‘了’는 동태조사가 아닌 어기조사 ‘了<sub>2</sub>’이다. 즉 술어동사가 [+순간성] 자질을 가지고 있는 동사일 때 그 뒤의 ‘了’는 동사의 상 자질을 구현해줄 수 없다. ‘的<sub>3</sub>’과 ‘來着<sub>1</sub>’은 비록 문장 중에서 모두 어기조사 겸 시제조사이지만, ‘的<sub>3</sub>’ 구문의 의미지향은 술어 동사 앞의 부사어에 있고 ‘來着<sub>1</sub>’ 구문의 의미지향은 술어 동사에 있다. 이렇듯 ‘的<sub>2</sub>’, ‘的<sub>3</sub>’과 ‘來着<sub>1</sub>’ 모두 시간 자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De<sub>2</sub>(的<sub>2</sub>)” located immediately behind the predicate and the end “De<sub>3</sub>(的<sub>3</sub>)” is located behind the object. “Laizhe<sub>1</sub>(來着<sub>1</sub>)” located in the tail. “De<sub>2</sub>(的<sub>2</sub>)”, “De<sub>3</sub>(的<sub>3</sub>)” syntax of the wine is often a bean properties of verbs, psychological verbs, verbs, adjectives, and other “Laizhe<sub>1</sub>(來着<sub>1</sub>)” syntax“ of the wine is continuity verbs, psychological verbs, verbs are verbs, judgement is possible. composite door “Laizhe<sub>1</sub>(來着<sub>1</sub>)” of the phrase appeared in the end of the can, “De<sub>2</sub>(的<sub>2</sub>)”, “De<sub>3</sub>(的<sub>3</sub>)” before and after the phrases are possible. “De<sub>2</sub>(的<sub>2</sub>)”, “De<sub>3</sub>(的<sub>3</sub>)” syntax is the statement, the question, the research use the as soon as possible, and “Laizhe<sub>1</sub>(來着<sub>1</sub>)” phrases are only part of the question, the statement is possible. the investigation of modern chinese time “De<sub>2</sub>(的<sub>2</sub>)”, “De<sub>3</sub>(的<sub>3</sub>)” and “Laizhe<sub>1</sub>(來着<sub>1</sub>)” tim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verb. “De(的<sub>2</sub>)”, “De(的<sub>3</sub>)” and “Laizhe<sub>1</sub>(來着<sub>1</sub>)” time, the quality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redicate of the first temple. the quality judgment of whether to have [+ Dynamics], [+Completion], [-Instantaneity], [+Proximity] the transient availability, quality and sample analysis, first through the “De<sub>2</sub>(的<sub>2</sub>)”, “De<sub>3</sub>(的<sub>3</sub>)” and the “Laizhe<sub>1</sub>(來着<sub>1</sub>)” the results “De<sub>2</sub>(的<sub>2</sub>)” the quality and test quality. when the “De<sub>3</sub>(的<sub>3</sub>)” and what, “Laizhe<sub>1</sub>(來着<sub>1</sub>)” is what and how to investigate. “De<sub>2</sub>(的<sub>2</sub>)”, “De<sub>3</sub>(的<sub>3</sub>)” and “Laizhe<sub>1</sub>(來着<sub>1</sub>)” can be translated into Korean “-었(었었)-”, Korean “-었(었었)-” belongs to the past tense system. it is the chinese for “De<sub>2</sub>(的<sub>2</sub>)”, “De<sub>3</sub>(的<sub>3</sub>)” and “Laizhe<sub>1</sub>(來着<sub>1</sub>)” is the tense, and reflects the quality of tone, but also to be the language of the sub category of the category of the test is in the past tense. this is also “De<sub>2</sub>(的<sub>2</sub>)” and “Le<sub>1</sub>(了<sub>1</sub>)”, “De(的<sub>3</sub>)” and “Laizhe<sub>1</sub>(來着<sub>1</sub>)” comparative analysis. “De<sub>2</sub>(的<sub>2</sub>)” and “Le<sub>1</sub>(了<sub>1</sub>)” difference is the object of verbs are also in the quality of the verb to have, “De的<sub>2</sub>” focus in front of the adverbial verb phrase in the phrase, “Le<sub>1</sub>(了<sub>1</sub>)” focus on the language itself. the investigation of the two, although they are different in terms of verbs and the use of different means, and the existence of reasons will be different. and “De(的<sub>2</sub>)” and “Le<sub>1</sub>(了<sub>1</sub>)” difference, the verb “De<sub>2</sub>(的<sub>2</sub>)” is [+ Dynamics], [+Completion], [+Instantaneity], [-Proximity], “the availability of “De<sub>2</sub>(的<sub>2</sub>)”, the past tense of verbs in the mainland, in the category. the trial. this is also “De<sub>2</sub>(的<sub>2</sub>)” and “Le<sub>1</sub>(了<sub>1</sub>)”, “De<sub>3</sub>(的<sub>3</sub>)” and “Laizhe<sub>1</sub>(來着<sub>1</sub>)” comparative analysis. “De<sub>3</sub>(的<sub>3</sub>)” and “Laizhe<sub>1</sub>(來着<sub>1</sub>)” is from the article are what and how the “De<sub>3</sub>(的<sub>3</sub>)”, the focus of the predicate verb in the adverbial “Laizhe<sub>1</sub>(來着<sub>1</sub>)” syntax of the predicate verb is the focus. such “De<sub>2</sub>(的<sub>2</sub>)”, “De<sub>3</sub>(的<sub>3</sub>)” and time are “Laizhe<sub>1</sub>(來着<sub>1</sub>)” quality, but also have a car to see things.

      • KCI등재

        신라 부군(副君)과 월지궁(月池宮)

        홍승우 ( Hong Suengwoo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東洋學 Vol.70 No.-

        이 논문은 신라 동궁이 왕위계승권자인 태자의 거처가 맞는지와 『三國史記』와 「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文」에 등장하는 月池宮이 東宮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憲德王 14년에 興德王이 책봉된 副君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부군은 태자의 이칭으로 널리 사용된 용어이지만, 헌덕왕대에 별도의 태자가 있었기에, 왕위계승권자인 태자와 동일한 실체가 아니라는 주장이 일찍부터 제기되었다. 이 주장을 근거로 동궁이 태자궁이 아니라거나, 월지궁과 동궁이 동일한 실체가 아니라는 주장들도 나오고 있다.우선 『三國遺事』 「溟州五臺山寶叱徒太子傳記」에 나오는 부군을 고찰하였다. 이 부군이 신라 당대에 사용된 용어인지를 확인하기는 힘들지만, 일반적인 왕자의 의미로 사용된 태자와 구분되는 지위였음을 알 수 있으므로, 그 의미는 왕위계승권자인 태자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다만 흥덕왕의 경우만 다른 『三國史記』의 태자 책봉기사들과 다르게 부군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부군이 단순한 태자의 이칭이 아닐 가능성을 보여준다. 흥덕왕이 된 부군은 헌덕왕이 조카 애장왕을 죽이고 왕위를 빼앗은 사건과 관련하여 자칭한 것으로 보이는 부왕이라는 칭호와 동일한 것이다. 신라에서는 전왕과의 실제 가족 관계와 무관하게 왕위계승권자를 태자로 칭했지만, 이미 당에 널리 알려진 헌덕왕이 자신을 태자라 칭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대신 부왕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였고 그것이 흥덕왕이 된 부군으로 이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이고 임시적인 호칭이었고, 그 실체는 태자였기에 곧 다시 태자 호칭이 사용되었다.흥덕왕이 된 부군은 헌덕왕대 부왕과 동일한 것이고 왕위계승권자를 의미하는 것인 만큼, 그가 부군이 된 후 들어간 월지궁이 태자의 거처 동궁과 동일한 실체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 In order to confirm that Wolji-Gung, appearing in SamgukSaki and Inscriptions for Jijeung-Daesa, is the name of Shilla Dynasty’s East Palace which is the residence of royal successor Taeja, I researched the nature of Bugun which is the official position King HeungDeok became in 822.First, I analyze the official titles for royal family written on biography of Prince Bojildo contained in SamgukYusa. It revealed that Bugun is the title of the successor to the throne. But it is not just different name of Taeja but the Specific Nomenclature used by King HeonDeok.King HeonDeok robbed the throne from his nephew. But he did not notify the Tang Dynasty his self crowning. He just sent a envoy and informs he is legitimate royal successor. But he is already known as a uncle of previous king named Aejang, so he did not use the official title called Taeja. He used Buwang as a title of royal succesor, but it’s nature is same to Taeja. Later, he made his little brother King HeungDeok a royal succesor, and titled as Bugun.In conclusion, Bugun is the official title of a royal succesor of Shilla Dynasty used during the reign of King HeonDeok and it is clear that Wolji-Gung the residence of Bugun is the other name of palace of royal successor called East Palace.

      • KCI등재

        상해박물관장초죽서(上海博物館藏楚竹書)(참(參))의 『주역(周易)·송괘(訟卦)』에 대한 새로운 해석

        한경호 ( Han Kyungho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東洋學 Vol.73 No.-

        『周易』이라는 책은 기본적으로는 占書임이 유래이며, 이후 儒學의 사상 발전에 따라 註釋이 덧붙여져 왔다. 그러나, 근년에는 馬王堆및 阜陽에서 출토된 西漢의 帛書와 竹簡, 그리고 1994년 上海博物館이 발굴하여 정리한 戰國時代楚지역의 竹簡중에서 『周易』이 발견되면서, 『周易』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새로운 성과를 내는 데에 기여를 하는 데에 이르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기본적으로 중국어 역사음운론 등 역사언어학적인 이론에 의거하여 上博簡『周易』의 「訟卦」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기로 한다.본고는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첫째, “?” <sup>*</sup>lek<sup>a</sup>과 “?” <sup>*</sup>tek<sup>a</sup>聲字“□”의 異文이 나타난 원인에 대해서는 野原將揮(2009)와는 달리, 상고음의 無聲流音(liquid) <sup>*</sup>l-이 적어도 전국시대에는 중고음과 같은 파열음인 t<sup>h</sup>- 쪽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둘째, 本卦初六爻의 “不出御事” <sup>*</sup>pi?<sup>b</sup>.k<sup>hj</sup>ut(s)<sup>b</sup>.ŋas<sup>b</sup>.dzris<sup>b</sup>에서 나타난 “御” <sup>*</sup>ŋas<sup>b</sup>와 今本“所” <sup>*</sup>sŋra?<sup>b</sup>의 대응이 보여준 것은 바로 앞 음절의 “出”이 使動용법으로 쓰인 <sup>*</sup>k<sup>hj</sup>utsb>t<sup>h</sup>jwi’이었음이다.셋째, 本卦九二爻의 “ ” <sup>*</sup>sreŋ?<sup>b</sup>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나타냈다. 1) 上博『周易』의 書寫者는 <sup>*</sup>sreŋ?<sup>b</sup>라는 의미요소에 대하여 ‘종교적’인 관념을 지녔기에, ‘?’이라는 글자에 자형상 제사와 유관한 의미를 나타내는 部首인 ‘示’를 더하였다는 점; 2) 上博“□”과 대응되는 馬帛의 ‘省’<sup>*</sup>seŋ?<sup>b</sup>은 음가상 유사하다는 것 이외에도, 揷入辭(infix)의 유무를 통한 의미 파생관계를 지닐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넷째, 중국어 역사음운론적인 각도에서 本卦九四爻를 보았을 때, 今本‘?’와 馬帛‘兪’ <sup>*</sup>lo<sup>b</sup>가 上博‘愈’ <sup>*</sup>lo?<sup>b</sup>와 대응되는 異文을 보인 원인은, 그 다음에 이어지는 음절인 ‘安’ <sup>*</sup>qan<sup>a</sup>~?an<sup>a</sup>의 聲母가 앞 음절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다섯째로는 今本의 ‘?帶’와 대응되는 上博의 ‘□’이 자형상 부수로 從‘絲’이 되는 이유는, 아마도 筆寫者가 ‘帶’(띠)가 ‘線’과 유관하다고 여겼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I-Ching originated as a book about the divination. Later, further annotations were added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he Confucian philosophy. Recently, I-Ching texts were found among the excavated silk scripts and bamboo slips of Western Han era from Mawangtui and Fuyang, and Shanghai Museum bamboo slips of Chu (the Warring State). This discovery contributed to many new works on I-Ching. This study basically suggests new interpretations of I-Ching Song Gua of Shanghai Museum bamboo slips based on historical linguistics, especially the historical phonology of Chinese languages.The new facts found by this study are listed below.First, I don’t agree with Nohara (2009) about the reason of variant writing of “?” <sup>*</sup>leka and “?” <sup>*</sup>teka. This variation shows that the voiceless liquid of Old Chinese <sup>*</sup>l- had been already changed into a plosive which resembles Middle Chinese t<sup>h</sup>- by the Warring States era.Second, in 本卦初六爻, there is a clause “不出御事” <sup>*</sup>pi?b.k<sup>hj</sup>ut(s)b.ŋasb.dzrisb. In this clause, “御” <sup>*</sup>ŋasb corresponds to “所” <sup>*</sup>sŋra?b in the current version of the text. This correspondence shows that the former syllable, “出”, is actually a causative verb <sup>*</sup>k<sup>hj</sup>utsb>t<sup>h</sup>jwi’.Third, in 本卦九二爻, the character <sup>*</sup>sreŋ?b shows two characteristics. One is that the scriber of Shanghai Museum bamboo slips had a ‘religious’ perception about this semantic unit, so he added the semantic component ‘示’ (indicates relatedness to the rituals) to this character. The other one is that the character ‘省’<sup>*</sup>seŋ?b written in Mawangtui silk scripts is not only similar in the phonetic value with the corresponding character “” written in Shanghai Museum bamboo slips, but may be also in a relationship of derivation by an infix.Fourth, when we analyze 本卦九四爻in perspective of historical phonology of Chinese languages, we can see that the writing variants of ‘?’ in current version, ‘兪’ <sup>*</sup>lob in Mawangtui silk scripts, and ‘愈’ <sup>*</sup>lo?b in Shanghai Museum bamboo slips, are because the onset of the following syllable ‘安’ <sup>*</sup>qana~?ana somehow affected the preceding syllable.Last, ‘□’ in Shanghai Museum bamboo slips, which corresponds to ‘?帶’ of the current version, contains the semantic component of ‘絲’. This may be because the scriber perceived the belt ‘帶’ as something related to the string (‘?’).

      • KCI등재

        회재부우(懷才不遇)한 조식(曹植)의 처세 태도 - 그의 시를 중심으로 -

        심우영 ( Shim Wooyeung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東洋學 Vol.70 No.-

        조비(曹丕)가 위(魏)나라를 건국하여 황초(黃初) 연호를 쓴 이후, 조식(曹植)은 그의 시에 자신의 처지에 대한 탄식과 형에 대한 원망을 대부분 우회적으로 표현하여 소극적인 자세를 견지하였다. 때로는 군주의 은총을 은근히 기대하였고, ‘건공입업(建功立業)’에 대한 의지를 적극적으로 천명하기도 하였지만, 이것이 실현되지 않자 때로는 현실의 비애를 털어놓으며 정권에 대한 암묵적인 비판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동시에 속세를 떠나 소요경계인 신선세계를 향한 정신적 해탈을 추구하며 초세의 삶을 꿈꾸기도 하였다.그의 처세태도는 조비(文帝)와 조예(明帝) 즉, 부자로 이어진 계속된 핍박과 압제의 생존환경으로 인하여 언제나 피동적일 수밖에 없어서, 어릴 때부터 쌓아온 건공입업의 유가적 태도는 아무 소용이 없었다. 일부 학자는 조식이 건공입업의 뜻을 적극적으로 천명하였다고 하여, 이것을 침소봉대하여 충성과 애국의 유가적 처세태도가 초지일관 충만한 인물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것 또한 잃어버린 옛 시절의 영광을 재현하려는 개인적 욕구에서 기인한 것이 아닌가라는 의구심이 드니, 이는 나약하고 소극적인 그의 처세태도로 인하여 야기된 인과응보적인 결과라고 밖에 말할 수 없다. Cao Zhi(曹植) expressed his sadness and resentment of his brother indirectly in his poems, and maintained his passive attitude, but sometimes he actively expressed his will to make a contribution, expecting the Monarch’s grace. However, when this didn’t come true, he expressed tortuous reality through poetry and tacitly criticized the regime, and at the same time pursuing spiritual liberation toward the immortal world, which was free and unfettered. After the Huangchu(黃初) Period, the life of Cao Zhi was persecuted and was always passive. So attitude of Confucian scholar learned from childhood was of no use. Some scholars evaluate Cho Zhi as a person who had a full-fledged loyalty and patriotism, because he mentioned “We have to make a contribution for the country.” However, this also seems to be due to his personal desire to recreate the glory of his lost old days, all of which are analogous to his weak and passive attitude.

      • KCI등재

        『서경(書經)』의 ‘천명(天命)’과 『관자(管子)』의 ‘무시(務時)’의 상관관계 연구 - 도덕적(道德的) 천명(天命)과 그 실현(實現) 방법(方法)을 중심으로 -

        오청식 ( Oh Cheongsik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東洋學 Vol.73 No.-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書經』의 ‘天命’과 『管子』의 ‘務時’의 상관관계를 도덕적 천명의 구체적 실현을 위한 방법론의 관점에서 논술한 것이다. 殷周의 교체기는 천명관이 도덕적 천명으로 변한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천명은 오로지 한사람에만 주어지지 않고, 믿을 수도 없으니, 이를 부여받을 수 있는 유일한 전제조건은 德治이다. 이는 殷代의 절대 권위의 上帝에서 사람의 주체적인 노력을 통한 德治로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管仲은 ‘務時’의 전제조건은 人本이고, 人本은 富民을 통해서 구체화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나라가 부유하고 백성의 衣食이 풍요로운 이상적인 상태인 富民은 백성의 경제활동의 기초인 농사를 통해서 실현되는 것으로 보았다. 농사는 사계절의 변화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에 순응하는 정치를 펼치는 것이 군왕의 의무이고, 부민을 실현하는 길이다.천명은 결국 天意가 누구에게 있는가에 대한 해석으로, 이를 부여받을 수 있는 유일한 통로는 덕치를 시행하는 것이고, 이러한 덕치는 時令에 대한 순응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順時의 내용은 춘하추동 사계절로 대표되는 시령에 부합하게 정치명령을 시행하여 백성이 경제활동을 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논자는 천명이 바로 順時라고 보고, 특히 『管子』의 ‘務時’에 대한 실천적 사고가 도덕적 천명의 구체적인 실현 방법임을 논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an-Ming(天命)’ of 『Shu-Jing(書經)』 and the ‘Wu-Shi(務時)’ of 『Guan-Zi(管子)』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crete realization method of moral Tian-Ming. The time of the transitian from the Yin(殷) Dynasty to the Zhou(周) Dynasty is of great significance on the side where the viewpoint of the Tian-Ming changed morally. Tian-Ming is not only constant but also unbelievable, and the only precondition that can be granted is ‘the rule of virtue(德治).’Guan-Zhong(管仲) thought the precondition of ‘Wu-Shi(務時)’ is the humanity and the humanity is realized througf the ‘Bu-Min(富民)’. In addition, ‘Bu-Min’ is in ideal state of rich in the country and rich in food and cloth for people and is realized through farming as the basic economic activity for people. Because farming is most influenced by the changes of four seasons a year. And it is the duty of ruler to adjust the changes of four seasons and to practice the good policies for people.‘Tian-Ming’ is an interpretation of who granted the supreme power by the ‘Tian(天)’, and the only way to possess the supreme power is to realize ‘the rule of virtue’, and ‘the rule of virtue’ is accomplished by the complete compliance with four season’s change. Ruler tried his best lest that he should disturb the people’s economic activity such as farming.In conclusion, ‘Tian-Ming’ can be called ‘Shun-Shi(順時)’, especially concept of 『Guan-Zi』’s ‘Wu-Shi’ is a concrete realization method of moral Tian-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