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각묘지명(石刻墓誌銘) 사료에 반영되어 있는 7세기 중엽의 당(唐)과 백제(百濟) - 신발견 당(唐) 군인[군장(軍將)] 묘지명을 중심으로

        배근흥 ( Bai Genxing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19

        본고는 새로 발견된 한반도 출정 당 군인 출신 묘지명과 문헌사료를 통해 7세기 나당연합군과 백제 사이의 여러 가지 문제를 살폈다. 묘지명을 통해 당 출정 군인의 모집과 다양한 활동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당의 군사 모집 방식은 부병 외에 모병, 번병, 의정 등의 방식이 있었다고 한다. 묘지명에 의하면 응모 방식으로 정벌에 참여하거나 行軍大總管 등이 隨從 장수를 선발하는 등 추천에 의한 사례도 확인되었다. 또한 백제 내 羈?府州에서 활동상도 묘지명에 기록된 사례도 있었다. 당의 군인들은 전함 건조 및 군수품 해상 운송 및 백제 전장 참전 군사의 사망 상황 등을 알 수 있었다. 묘지명 사료는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자료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찬자가 `이역 출정`에 대해 과장하여 표현함으로써 묘주의 위대한 일생을 부각시키려 했을 개연성도 있지만 묘지명 자료에는 당대의 상황을 보여주는 내용도 적지 않았다. 현전하는 문헌 자료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은 발굴과 정리 작업에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In the field of the East Asian history in the mid seventh century, except the Chinese, Korean and Japanese existing textual documents, stone inscriptions and epigraphs discovered by archaeological excavation in the three countries are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for researching some issues. In the 660s, aiming at the increasingly serious situation among the Goguryeo(高麗), Baekje(百濟) and Silla(新羅) on the Korean Peninsula, for building its world order, the Tang Dynasty combines the vassal state Silla in the southeast of Korean Peninsula, and destroys the Baekje in the southwest of Korean Peninsula at one fell swoop. Thousands of Tang`s soldiers and generals magnificently go out to battle by sea. Using the announced newly unearthed epitaphs in the past 20 years, and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this paper discusses the Tang soldiers` recruiting and generals` recommending and selecting, the issues related to Tang`s governance in the Daifang State(帶方郡) once belonging to Baekje, the building of Tang`s warships, the transportation of grain and other military materials, the loss of soldiers and generals, and so on. And hope the paper can provide addition and new research viewpoints to the existing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사료로 본 3명의 고구려 여성 이민 사적에 관한 고찰

        拜根興 ( Bai Genxi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1

        서기 668년 당과 신라가 연합해 고구려를 멸망시켜 고구려 이민들이 당나라로 유입하게 되었다. 初唐은 개방·포용 국책을 시행하여 당나라에 입국한 고구려 이민자들을 수도 長安·동도 落陽 및 龍右道, 江南道 등에 안치하였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이주민들은 당나라 사람들의 공동체 안으로 융합되면서 당나라의 일원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출토된 墓誌와 문헌사료에 의해 760년대에 당에 유입한 泉男生의 모친 泉氏 부인·고구려 婢女, 고구려 이민의 후손인 高提昔의 행적을 정리함으로써 이민자, 특히는 여성 이민이 당에 유입한 후의 각자 다른 생활 경력을 고찰하였다. 이로 인해 학계에 더 많은 入唐 이민에 관한 표본 자료와 모범 사례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668 A.D., when the Tang Empire and Silla allied to end the reign of Goguryeo,numbers of Goguryeo immigrants enteredthe land of Tang. As immigration was welcomed in the early years of the Tang Dynasty, Goguryeo immigrants were settled in the capital Chang'an (长安), the eastern capital Luoyang(洛阳), and the provinces of LongyouDao(陇右道) and Jiangnan Dao(江南道). As time went by,these people gradually became part of the Tang community. Based on epitaphs and historical documents, this essaytells the life stories of three characters: Ms.Quan(泉氏夫人), mother of QuanNansheng (泉男生who moved to Tang during A.D.660s), a maidservant from Goguryeo, as well as Gao Tixi(高提昔), a descendant of Goguryeo immigrants. By exploring different lives of the immigrants, especially female immigrants from Goguryeo to the Tang Dynasty, this essay tries to provide more examples about Tang immigrants to the scholarly community.

      • KCI등재

        유민묘지명(遺民墓誌銘)을 통해본 당(唐)의 동방정책(東方政策)과 고구려(高句麗) 유민(遺民)의 동향

        여호규 ( Yeo Hokyu ),배근흥 ( Bai Genxing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7 東洋學 Vol.69 No.-

        본 논문은 고구려 遺民墓誌銘을 바탕으로 “7세기 후반 唐의 東方政策과 高句麗 遺民의 동향”을 고찰한 것이었다. 필자는 陝西師範大學 拜根興 교수와 공동으로 이 글을 작성하면서 고구려 유민묘지명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한편, 문헌사료와 연계시켜 “당의 동방정책 변화에 따른 고구려 유민의 동향”을 다각도로 고찰 했다. 이를 통해 고구려 멸망 이후 다양하게 전개된 고구려 유민의 동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이들의 동향이 당의 동방정책에 미친 영향을 새롭게 고찰할 수 있었다.가령 2015년에 발견된 <南單德墓誌銘>이나 高欽德·高遠望 父子의 墓誌銘을 통해 고구려 멸망 직후 당이 고구려 고지에 대해 기미지배를 구축하던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李他仁墓誌銘>이나 唐의 관인이었던 <陽玄基墓誌銘>을 통해서는 고구려 부흥운동이 요동지역이나 한반도 서북지역뿐 아니라 부여지역이나 두만강 유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전개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高乙德墓誌銘>을 통해서는 당이 673년경 고구려 부흥운동을 진압하고, 674년부터 신라와의 전면전에 착수하던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당은 679년부터 대규모 원정군을 편성해 돌궐의 침공을 방어했는데, 여러 유민묘지명을 통해 고구려 유민출신 장수들이 돌궐 방어전에 투입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高玄墓誌銘>을 통해서는 각 州에 분산 배치한 고구려 遺民 병사를 체계적으로 동원한 사실도 새롭게 파악했다. 그리고 696년 6월 거란의 흥기는 698년 발해의 건국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의 관심을 받았지만, 사료의 제약으로 고구려 고지에 거주하던 유민의 동향을 파악하기는 힘들었다. 그런데 <高質墓誌銘>과 <高慈墓誌銘>을 통해 거란의 흥기 직후 요동지역의 고구려 유민들이 부흥운동을 전개한 사실을 새롭게 확인했다.부여지역과 두만강 유역에서도 고구려 부흥운동이 전개된 사실을 밝힌 것은 향후 이 분야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거란의 흥기 직후, 요동지역의 고구려 유민이 부훙운동을 전개한 사실을 밝힌 것도 발해 건국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 글이 고구려 유민의 동향, 신라의 대당정책, 당의 동방정책 변화 등이 맞물리며 통일신라의 확립과 발해의 건국으로 귀결된 이 시기 한국사의 전개양상을 재조명할 단서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aimed at examining the Koguryo refugees as well as the Chinese Tang(唐) dynasty’s Eastern policy during the 2<sup>nd</sup> half of the 7<sup>th</sup> century, through remaining tomb epitaphs[墓誌銘] of those Koguryo refugees. As part of a joint project with Professor Bai, Genxing(拜根興) at the Shaanxi(陝西) Education University, I surveyed a grand collection of extant epitaphs of Koguryo refugees, and tried to examine their movements and activities. I also wanted to have a look at how they progressed as the Tang’s policy tended to change itself as well, and analyzed written documents from many perspectives to that end. As a result, I was able to recreate details of the refugees’ activities, which turned out to be quite diverse ever since the dynasty fell, and was able to newly determine how their actions affected the Tang’s policy in return.For example, the epitaph of Nam Dan-deok(南單德) and epitaphs of Go Heum-deok(高欽德) & Go Weon-mang(高遠望), which were all found in 2015, reveal how the Tang dynasty established a ruling authority over Koguryo’s old territory. From the epitaphs of Yi Ta-in(李他仁) and Yang Hyeon-gi(陽玄基, who was a Tang official) we can confirm that a Koguryo Revival Movement was widely in progress around 670 and 671 in the Buyeo region as well as areas nearby the Duman-gang river. In the meantime, the recently found epitaph of Go Eul-deok(高乙德) vividly shows us how Tang subdued the Revival movement around 673 and began to engage Shilla full-scale in 674.Tang organized a large army in 679 to protect itself from the invasion of the Turks, and through many Koguryo refugee epitaphs we learned that many of them were actually enlisted in the Turk front. And especially from the epitaph of Go Hyeon(高玄), we discovered that Koguryo refugees who had been dispersed and stationed in various Ju/州 areas were systematically pulled from where they were to be diverted to the front. Unfortunately we were not able to identify the status of Koguryo refugees who remained inside the dynasty’s old territory while the Khitans’ rise in June 696 which definitely led to Balhae’s foundation in 698 was heavily on our minds. The fact that since the Khitans’ rise the Koguryo refugees in the Liadung region were behind the Koguryo Revival movement was newly determined by epitaphs of Go Jil(高質) and Go Ja(高慈).As mentioned above, I examined all the existing written texts as well as newly discovered epitaph materials in order to analyze changes in the Tang dynasty’s Eastern policy as well as the ever-changing status of the Koguryo refugees from a multilateral perspective. The fact that Koguryo Revival movements also progressed in the Buyeo and Duman-gang region was newly determined during this project and will help enhanc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is period. Also, the newly identified detail that Koguryo refugees in the Liaodung region involved themselves in a Koguryo Revival movement right after the Khitans rose will contribute to bettering previous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which was behind the foundation of Balhae. Results from this project would be able to provide scholars and researchers with details regarding the Koguryo refugees’ actions, Shilla’s Tang policy, and changes in the Tang dynasty’s Eastern policy, and enable them to have a macroscopic view of the overall picture including the Unified Shilla’s firm establishment as well as the foundation of Balhae, which were all crucial changes the Koreans of this period were able to wit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