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독교 민중해방운동과 영성

        강원돈(Won Don Kang) 혜암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교회 Vol.15 No.-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에서 전개된 기독교 민중해방운동에서 형성된 영성을 분석했다.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로 자리를 잡지 못한 한국에서 기독교 민중해방운동은 민중이 주체가 되어 전개하는 해방운동에 기독교인들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나타났고, 그러한 기독교인들이 민중해방운동에 참여한 경험에서 비롯된 신학이 민중신학이다. 1970년대에 하나님의 선교의 틀에서 민주화-인권운동과 민중운동에 개입한 현영학, 안병무, 서남동, 김용복 등 민중신학자들은 역사 안에서 펼쳐지는 메시아 통치에 민중이 주체로서 참여한다는 점을 부각했고, 민중의 역사 주체성을 사건의 신학, 증언의 신학, 성령론적-공시적 해석, 민중의 사회전기 등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민중신학은 메시아 통치의 역사성을 중시했다. 그것은 출애굽 사건, 원시 이스라엘, 예언자 운동, 묵시운동, 예수 운동 등을 통하여 또렷하게 드러났고, 그 운동의 기억을 전승하면서 오늘의 민중의 고난과 죽임당함과 저항에 온 몸으로 연대하는 기독교인들의 운동을 통하여 계속 실증되고 있다. 메시아 통치의 역사적 기억을 전승하면서 민중과 더불어 투쟁하는 기독교인들의 영성은 메시아적 영성으로 규정할 수 있다. 그것은 예언자적 영성이고, 묵시적 영성이고, 정치적 영성이고, 참여적 영성이다. 1980년대의 한국 민중해방운동에 대응하면서 민중신학은 소장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급진화하였고, 민중해방운동의 필요 불가결한 일부를 이루는 기독교인 운동을 뒷받침하는 이론과 신학적 담론을 제공하였다. 소장파 신학자들의 민중신학은 역사적 현실관계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과 신학적 성찰을 해방실천의 맥락에서 통합하고자 했고, 실천과 유물론에 굳게 선 신학을 모색하고자 했다. 유물론적 신학은 메시아 통치의 역사성과 물질성을 중시하기에 메시아 통치를 관념론과 형이상학의 언어로 서술하는 것을 단호하게 거부한다. 그것은 유물론의 합리적 핵심을 지키고자 한다. 따라서 유물론적 신학은 역사적 현실관계들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현실관계들을 은폐하고 왜곡하는 갖가지 이데올로기를 가차 없이 비판하고, 민중해방운동의 전망과 전략을 명확하게 인식하고자 한다. 유물론적 신학은 유물론적 영성을 제시한다. 그것은 하나님의 정치에 충실한 메시아적 영성이지만, 하나님과 인간과 자연이 형성하는 관계들의 망상구조를 체화한 신독의 영성, 사회적 영성, 생태학적 영성을 통합하는 형식과 내용을 갖는다.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spirituality which has been formed in Christian movement for minjung liberation in Korea. In Korea, in which Christianity has not established itself as the dominant religion, the Christian movement for minjung liberation appeared as a mode of Christians’ participation in the liberation movement of minjung as subjects. Minjung theology was born from the experience of Christians who participated in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In the 1970s Minjung theologians, such as Hyun Young-hak, Ahn Byeong-mu, Suh Nam-dong, and Kim Yong-bok, intervened in the democratization-human rights movement and the minjung movement in the framework of God’s mission(mission Dei). They focused that minjung participated as the subject in the messianic rule ‘in history’. They attempted to explain the minjung as subject of history through theology of events, theology of testimony, spiritual-synchronic interpretation, and social biography of minjung. Minjung theology emphasized the historicity of the messianic rule. It was evident through the Exodus event, the primitive Israel, the prophetic movement, the apocalyptic movement, and the Jesus movement. It continues to be demonstrated through the movement of Christians who transfer the memory of the messianic rule in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struggle in solidarity with the minjung who suffer, are brought unceasingly to death and resist. The spirituality of the Christians can be defined as messianic because they are oriented to the messianic rule in history and struggle with minjung. It is prophetic spirituality, apocalyptic spirituality, political spirituality, and participatory spirituality. In response to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in the 1980s, Minjung theology of younger generation has radicalized. It provided theories and theological discourse to support the Christian movement, which was an integral part of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Such a Minjung theology attempted to integrate social scientific analysis and theological reflection in the context of liberation practice. It sought to seek a theology firmly founded on liberation practice and materialism. This theology has been called materialistic theology. It accentuates the historicity and materiality of the messianic rule, therefore it adamantly rejects to describe it in the language of idealism and metaphysics. It endeavors to keep the rational core of materialism. Therefore, materialistic theology scientifically analyzes historical relations of reality. It relentlessly criticizes various ideologies that conceal and distort real relations. It seeks to clearly recognize the prospects and strategies of minjung liberation movement. Materialistic theology presents materialistic spirituality. It is a sort of messianic spirituality that is faithful to God’s government in history. It has a form and content that unites personal spirituality before God(coram Deo), social spirituality, and ecological spirituality. It is because the materialistic spirituality is open to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which God, human beings, and nature form.

      • KCI등재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조연정(Cho, Yeon-jung)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1 No.-

        1980년대의 민중운동과 여성운동의 관계를 탐색할 때 민중운동이라는 대의에 의해 여성운동의 명분이 약화되고 따라서 여성운동이 지연되었다는 사실은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문제적인 사실은 ‘민중’이라는 실체 없는 대상이 재현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젠더 위계화가 생겨났다는 점이다. 이때 민중을 둘러싼 도덕적 선의 영역이 남성적인 것으로 재현되며 여성적인 것은 부정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은 특히 강조될 필요가 있다. 실제 노동 현장의 여성들은 자신의 노동력을 부정당하거나 혹독하게 착취당했으며, 여성성이라는 관념 역시 도덕적으로 타락한 것으로 부정당하면서 여성들은 이중의 타자화를 겪는다. 이처럼 젠더적 관점에서 1980년대의 민중운동 혹은 민중문학론을 재인식하는 논리는 정치적으로나 도덕적으로나 절대적 당위성을 지녔던 당대 대항운동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낸다. 1980년대의 무크 동인지 『또 하나의 문화』를 중심으로 활동한 여성 지식인들의 목소리와, 그들과 여러 이슈를 공유한 여성문학의 사례들은 이에 중요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또 하나의 문화』에 적극 가담한 유일한 시인이었던 고정희의 문학적 발화들을 중심으로 1980년대 여성운동과 여성해방문학의 성과를 짚는다. 여성 평론가의 부재 현상을 문단의 주요한 과제로 요청한 것의 의미, 나아가 ‘마당굿시’와 ‘해방시’ 등 그녀 시의 다양한 전략적 장치들을 여성‘운동’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고정희에게 문학은 여성해방의식을 공론화하는 장으로서 기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When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opular movements and women’s movements in the 1980s, it is pivotal to consider the fact that the cause of women’s movements was considerably weakened and the movements delayed due to the cause of the popular movements. What is just as important is the problem that a gender hierarchy has been naturally formed as the “people,” which is an entity without substance, was reproduced. The fact that the area of moral good regarding the people was reproduced as something masculine and that femininity became the subject of denial should be emphasized in particular. Women in actual workplaces were denied of their labor or were severely exploited, and the concept of femininity was also deemed to be morally corrupt, resulting in the women to suffer a dual otherization. Attempts to reconsider the popular movement in the 1980s or the people’s literature theory in agender perspective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counter-movements which had absolute political and moral validity at the time. The voices of female intellectuals who took active parts in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An Other Culture in the 1980s and the cases of feminist literature which had various issues in common with the intellectuals need to be studied carefully. This study analyzes the achievements of the women’s movements of the 1980s and the literary works on women’s liberation by focusing on the literary works by Jung-hee Koh who was an active contributor to An Other Culture . This study looks into the implications of Koh requesting to have the nonexistence of female literary critics as a key issue of the literary scene and of her poetry foregoing aesthetic tension and written in a long form employing straightforward language in the perspective of women’s “movements.” To Koh, literature served as a platform to publicize female liberalization.

      • KCI등재

        해방 후 복간 『개벽』을 통해 본 3·1운동의 인식

        성주현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58

        연구의 목적은 해방 후 복간된 『개벽』을 통해 3.1운동에 대한 인식과 평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해방 후 발간된 『개벽』에 게재된 3.1운동 관련 글을 조사 발굴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당시 3.1운동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3·1운동은 1919년 3월 1일부터 5월까지 전 민족이 전국적으로 전개한 일제강점기 가장 상징적인 역사적 사건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3·1운동의 재현을 막기 위해 감시와 탄압으로 일관하였다. 그렇지만 중국 상하이에는 3·1운동의 영향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이후 민족운동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해방 후 3·1운동은 대한민국 헌법의 정신으로 계승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복간 『개벽』은 3·1운동으로 창간된 『개벽』을 계승하여, 3·1운동 당시의 국제적 정세와 3·1운동의 준비와 전개과정, 독립선언서, 민족대표와 최석일 등을 통해 3·1운동을 재음미하고 이를 계승하여 완전한 독립과 민주 혁신을 도모하고자 노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복간 『개벽』에서 나타난 본 3·1운동은 민족해방의 역사적 사명이었으며, 세계 약소민족의 가장 대표적인 투쟁이었다. 또한 3·1운동의 완성은 분단이 아닌 통일된 완전한 독립 정부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3·1운동은 민족운동인 동시에 민중운동이었다고 평가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through 『Gaebyeok』 reprinted after liberation. The March 1st Movement was the most symbolic historical ev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ich nationwide unfolded from March 1st to May 1919. Afterwar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consistent with surveillance and repression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the March 1 Movement. However, in Shanghai, China,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and later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national movement. After liberation, the March 1st Movement succeeded in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continues to this day. The book "Gaebyeok" inherits the "Gaebyeok", which was founded as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prepar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national representatives, and Choi Seok-il. It can be seen that the efforts were made to promote complete independence and democratic innovation by re-examining the 1st Movement and succeeding it.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seen in the book Gaebyeok, was a historical mission and was the most representative struggle of the world's smallest peoples.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the March 1 Movement, which was seen in the book Gaebyeok, was a historical mission and was the most representative struggle of the world's smallest peoples, and the completion of the March 1 Movement was to establish a unified and completely independent government, not division. And it was evaluated that the March 1st Movement was both a national movement and a people movement.

      • KCI등재

        민중신학에서 생명신학으로

        장동민(Chang Dong-Mi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0 No.-

        It was thought that Minjung theology have lost its influence since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in the 1990s. But now it seems to revive in the arena of public narrative, with its changed name, ‘Minjung Life Theology’ or ‘Life Theology.’ The major them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is transformation was possible. I want to demonstrate that Minjung theology is a fusion of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and the Minjung cultural/religious movement. One of the reasons that made this fusion possible was the concept, ‘social biography of Minjung.’ Minjung theologians view the Gospel of Mark as a ‘social biography of Minjung,’ namely, the description of ‘Minjung’s self-transcending’ experience in the midst of Minjung’s social oppression and poverty. They believe that Mark provides a hermeneutical framework that makes possible the fusion of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and the Minjung cultural/religious movement. According to Minjung theologians, the Gospel of Mark is both a ‘myth’ and a ‘history.’ They emphasize the social reality of suffering Minjung, criticizing Bultmann’s existential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But at the same time, Mark is a reinterpretation of the Markan community, agents of the transformation of Jesus’ story. The Gospel of Mark, as a social biography of Minjung, uses a special language, ‘rumor.’ Rumor is Minjung’s imprecise, biased, cultural (even religious) language, with ‘narrative truth’ in it. But it is based upon ‘historical truth,’ and more reliable than the oppressors’ language. Jesus’ story in Mark, is both the individual Jesus’ story and that of a corporate Jesus, Minjung. Jesus movement, in this sense, is both a religious movement and a socio-political movement orienting toward a Messianic community. These characteristics of first-generation Minjung theology make it possible to head toward a new religious/social movement, Life Theology.

      • KCI등재후보

        특집 1 : 1970년대와 1980년대의 학생운동연구 ; 운동의 혁명적 개조와 이념의 퇴행성, 이중성의 딜레마 -민중민주(PD)파 학생운동의 집합적 특성 연구

        고원 ( Won Ko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3 기억과 전망 Vol.0 No.29

        1980년대 초에서 1990년대 초까지 민족해방(NL)파와 함께 학생운동의 양대 세력을 형성했던 민중민주(PD)파 학생운동은 변혁운동의 전통적 관념, 노선, 방법들을 대체하는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고자 했다. 그들은 한국에서 자본주의의 고도의 발전 현상을 과학적 변혁운동이론의 틀 속에 담고자 했고, 정서적 인간관계에 기초한 학생운동의 불철저성을 과학적 이론에 입각한 토론과 논쟁 그리고 혁명적 전위주의에 기초한 조직시스템으로 바꿔내는 새로운 노선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럼에도 그들은 학생운동 개조의 과제를 역사 속에서 소멸해 가는 레닌주의의 혁명 전략을 통해 달성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끊임없는 자기모순에 직면하였다. ‘People Democracy(PD)’, one of the two dominant Korean student movements from the early 1980s to the early 1990s, criticized the traditional student movements for their ideology, strategy, and method and tried to rebuild a new revolutionary movement. PD attempted to include the South Korean capitalist development into its scientific revolutionary theory. PD also criticized existing students movements for their imperfection due to emotional human relation and transformed them into a new organization system based on scientific debates and a revolutionary avant-garde. Nonetheless, PD could not but face an endless self-contradiction because it had been pursuing the Leninist ideology and strategy, which had rapidly become extinct since the late 1980s.

      • KCI등재

        고정희의 여성주의적 전회와 여성신학의 영향

        안지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22 여성문학연구 Vol.57 No.-

        Author Goh Jeong-hee participated in the struggle for democracy against the dictatorship when she was a student at the Korean Theological University. In her works, she portrays this era as a severe period, comparing it to the Nazi period in Germany and the resistance of German theologians. Moreover, she also reflects on how she herself became exhausted while struggling against the dictatorship and explores methods for developing the spirit of “Su-yu-ri.” Goh developed minjung (meaning “the people”) theory and also developed a movement for “life” (살림) while also accepting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feminist theology under the influence of Ahn Byung-moo’s theology. Goh Jeong-hee also published an article related to feminist theology, which reviewed writings published in Christian Thought and Salim, in particular. Through this, the “motherly life culture” suggested by Goh as the last point of the women’s cultural movement revea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scussion of the “mother of the nation” as presented by the feminist theologian Park Soon-kyung at that time. 한국신학대학 재학 시절 독재정권에 맞선 민주화 투쟁에 동참했던 고정희는 이 시절을 나치에 저항한 독일 신학자들의 상황에 빗댈 만큼 엄혹한 것으로 그려낸다. 아울러 투쟁의 과정에서 지쳐갔던 당시의 모습을 성찰하며 ‘수유리’의 정신을 발전적으로 계승하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한국신학대학에 입학하기 전부터 안병무에게 관심을 지니고 있던 고정희는 그의 민중신학에 영향을 받아 민중론을 발전시켜갔다. 하지만 남성편향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80년대 민중운동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여성주의로 전회하였는데, 이는 안병무 사상과의 단절로보기는 어렵다. 안병무 역시 여성신학의 문제의식을 수용하면서 생명·살림 운동을 전개한 바 있기 때문이다. 고정희는 여성신학의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글을 발표하였는데, 특히 『기독교 사상』과 『살림』에 실린 글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고정희가 여성문화운동의 종착지점으로 제시한 “모성적 생명문화”가 여성신학자 박순경에 의해 주장된 ‘민족의 어머니’와 연관성을 지니는 한편으로, 김지하를 비판하며 “해방된 모성”을 주장한 고정희의 입장이 모성이데올로기 및 젠더이원론 극복과 관련됨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민중가요에 나타난 여성이미지의 활용과 의미 연구

        한영옥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female image in the protest songs. To search the meaning of female in society is exactly alike to know how the female’s image was used in the protest songs created and enjoyed by means of a social reform movement. We’ve investigated the data bank accumulated by our own joint research using the key words from the search program in the CD ‘female’, ‘liberation of females’, ‘love’ and ‘mother’ in the search for further examination of the main factors of protest songs. Furthermore protest songs applying the female image was not included in the above key words. However it was included in the research. Protest songs were usually sung during demon- strations therefore consideration is needed for the quality of the songs. However the lyrics as well as the social significance within the songs were more concentrated upon and analyzed. The epoch was linked to ‘females’ in social movements to explain their significance and we analyzed the application of the female image through concrete research. In the protest songs, female were usually the assistant of revolutions and raised awareness for the massacre, violence and pain caused by demonstrations. The female image undergoes a change through each decade however this article is based more upon the aspect and significance of the change. 이 논문은 민중가요에 나타난 ‘여성’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운동의 도구로서 창작되고 향유된 민중가요에는 여성의 이미지가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살피는 것은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의미를 살피는 것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팀의 공동연구로 축적된 민중가요 데이터베이스와 검색용 CD를 활용하여 ‘여성’, ‘여성해방’, ‘사랑’, ‘어머니’ 등의 주제어로 민중가요를 검색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외에도 위의 주제어로 검색되지는 않았으나 여성의 이미지를 활용한 민중가요들도 연구 범위에 포함시켰다. 민중가요가 시위 현장에서 가창된 노래이기 때문에 음악성과 시의적 사건에 대한 고려가 요구되지만 공동 연구주제의 성격상 음악적 분석보다는 사회적 의미와 가사의 내용적 의미에 집중하여 분석하였다. ‘여성’이 사회운동에서 어떤 의미였는지를 시대적 환경과 연결하여 설명하였고 구체적인 민중가요 분석을 통해 여성 이미지의 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민중가요에서 여성은 주로 혁명의 보조자로 드러나고 있었으며 시위 현장의 고통이나 혁명의 의지, 학살의 폭력성을 부각시키는 이미지로 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여성의 이미지는 시대적으로 변화하고 의식적 층위를 달리하는데 이 논문에서는 그 변화의 양상과 의미에도 주목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논문 : 해방기 기념시집 연구 -“해방”과 “3·1” 표상을 중심으로

        심선옥 ( Seon Ok Sh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4 No.-

        해방 직후에 발간된 기념시집들은 발간 주체인 각 문학단체들의 지형과 조직적 역량, 문학적 성취를 보여주는 지표로서 의미가 있다. 해방기념시집은 식민지시대를 수난의 공유 기억으로 재현하고, ‘님의 귀환’과 시조 형식을 통해 초월적 민족 정체성을 규정하였다. 민족 개념을 표상하는 기호들(‘조상’, ‘전통’, ‘계승’, ‘핏줄’ 등)은 순혈주의(純血主義)를 통해 민족 정체성이 계승, 보존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횃불은 계급혁명의 필연성과 그 실현을 주제로 하여, 식민지 시대 민중들의 삶을 귀환 서사와 가족 서사로 재현하였으며, 시의 현장성과 대중성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행사시와 낭독시를 부각시키고 있다. 삼일기념시집의 3. 1표상은 피와 꽃, 불의 상징을 통해 나타나며, 희생제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3. 1의 민중 주체성을 계승하여 해방기 새나라 건설의 주체로서 혁명적 민중의 형상을 창조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ymbols of ‘The Liberation and ‘3.1 Movement,’and their meanings shown in 3 collections of memorial poetry. The collections are The Liberation Memorial Poetry, A Torch-Liberation Memorial Poetry and 3.1 Memorial Poetic Work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age of the Liberation. Their distinctive features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ree points : the poetic attitudes to reflect the Colonial Age and commemorate the Liberation, the features to reconstruct the national identity in the Age of Liberation, and the poetic attempts to establish the new popualce subject. The Liberation Memorial Poetry turned out to be a collective sharing of the national trialsand to reconstruct the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realization of transcendental values. ATorch showed the poetic standpoint to regard the 8.15 Liberation as unfinished one inthe viewpoint of proletarian classes. It also represented the Colonial Age through realisticnarrative of the family and repatriation. 3.1 Memorial Poetic Works paid attention to the populace`s inclination for resistence and revolution. The symbolic and ritual meanings of the ‘blood,’ and ‘fire’ shown in the 3.1 Movement were succeeded to the shape of therevolutionary populace subject in the age of the Liberation.

      • KCI등재

        1980년대 중후반~90년대 초 北朝鮮産 역사지식의 유포와 한국사회·한국사 —北傀에서 北韓으로, 半쪽에서 全體로 시선의 전환

        신주백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20

        This paper examined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historical knowledge of North Korea is spread to Korean society. And I analyzed the meaning of Korean society’s response to it by focusing on the people history. The process by which North’s historical knowledge was introduced into Korean society and spreading was not a requirement of academia or publishing. In the course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influence of the NL camp was intertwined with the process of rapid expansion within the movement. Unlike the 1960s and 1970s, the North’s historical knowledge rapidly spread to public publications. It was different from the past in that it was part of social practice beyond individual intellectual curiosity. The group that actively responded here in the Korean history academic world was the new face researchers who folk scholars based on the Minjung theory as the subject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They critically accepted the North’s historical knowledge. It was caught in anti-communism and did not criticize or deny it unconditionally. From this time on, Korean society has begun to reveal the history of North Korea in Korean modern history partly. The historical approach of putting the whole of the Korean Peninsula into view is settled. Also, the term ‘North Korean puppetry(北傀)’ was not us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term ‘North Korea(北韓)’ was used more frequently. 이 글은 북조선의 역사지식이 한국사회에 유포되는 사회적 맥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에 대한 한국사 학계의 대응을 민중사학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의미를 되새겨 보았다. 북측의 역사지식이 한국사회에 유입되어 확산되는 과정은 학계나 출판계의 요구가 아니었다. 민주화운동의 과정에서 NL진영의 영향력이 운동권 내에서 급속히 확장되는 과정과 맞물려 있었다. 북측의 역사지식은 1960,70년대와 달리 공개 출판물로 급속히 유포되었다. 개인의 지적 호기심을 넘어 사회적 실천의 일환이었다는 점에서 과거와 달랐다. 한국사 학계에서 여기에 적극 반응한 그룹은 역사발전과 변혁의 주체로서 민중론에 입각하여 민중사학을 표방하던 신진 연구자들이었다. 그들은 북조선산 지식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였다. 반공이념에 사로잡혀 무조건 비판하거나 부정하지 않았다. 이즈음부터 한국사회는 한국현대사에서 북측의 역사를 부분적으로 담아내기 시작하였다. 남측만의 자족적인 시야에서 벗어나 한반도 전체를 시야에 넣는 역사적 접근이 정착하고, ‘北傀’라는 말을 가급적 사용하지 않고 ‘北韓’이란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새로운 접근방식의 정착과 변화는 한국인이 ‘북방’을 다시 상상하고 말할 수 있는 준비된 내적 토대였다. 역사학만이 아니라 한국사회가 우리 안의 식민주의를 극복하고 구조적으로 넘어서려는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