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사 학계의 만주·만주국에 관한 집단기억 —만주 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신주백 만주학회 2019 만주연구 Vol.- No.28

        This paper traces the formation and change of Manchuria as a collective memory of Korean academia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o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This emotional space is remembered constituted within Korea’s national narrative of Manchuria’s history. In 1945, liberation and division subsumed Manchurian experiences within the sphere of an individual’s nostalgia. In the fierce system’s level competition with Korea-Japan talks and between the two Koreas, Manchuria became a space memorialized within memories of political rife and resistance between nations. The state restored and reconstructed Manchurian memory as collective memory, operating through meticulous selection and exclusion and based on principles related to anti-communism and anti-Japanese nationalism aimed at concrescence. However, in the late 1980s, the democratization of Korean society and the dissolution of the Cold War system at the global level resulted in a lack of uniformity and cracks in a unified Manchurian memory. The new gaze is one of hybridity, envisioning Manchuria of the past as a space of harmony. Anti-communism and anti-Japanese nationalism, however, remain active elements of recall in the national memory of Manchuria—an essential space in the anamnesis of national recollection of the Manchuria as a puppet state and the memory of Korea’s national division. 이 글은 해방 직후부터 21세기 들어서까지 한국사 학계가 품고 있는 집단기억으로서 만주기억의 형성 변화를 추적하였다. 한국인에게 만주는 민족사라는 서사구조에 의거하여 기억되고 있는 감성적 공간이다. 1945년 해방과 분단은 다양한 만주체험을 개인 차원의 鄕愁 수준에 머무르게 하였다. 한일회담과 남북한 사이의 치열한 체제경쟁 속에서 민족의 受難과 저항의 공간으로 만주를 기억되게 하였다. 국가는 반일민족주의와 반공민족주의에 입각하여 선택과 배제의 원리를 작동하며 집단기억으로서 만주기억을 복원하고 재구축하였다. 1980년대 후반 들어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세계적인 차원에서의 냉전체제가 해체되면서 획일적이고 단일화한 만주기억에 균열이 나타났다. 새로운 시선은 融合의 공간으로서 만주의 혼종성에 주목해 왔다. 그럼에도 만주기억에는 반공민족주의와 반일민족주의의가 여전히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다. 민족서사에서 만주지역은 선택적으로 소환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만주국이란 傀儡性과 한반도의 분단체제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朝鮮軍과 在滿朝鮮人의 治安問題(1919-1931)- 帝國의 運營方式 및 滿洲事變의 內在的 背景과 關聯하여 -

        신주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40 No.-

        This article studies on the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Warlord of Manchuria,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and the Japanese Governor General of Chosun through inquiring the Japanese Army's treatment for Korean in Manchuria. The Japanese Army didn't deny the principle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At that time, or 1920's,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s policy about China was to seek a benefit in cooperation with the USA. Meantime, there were Japanese's attack on the Kanto in the 1920 and the Mitsuya Protocol in the 1925. And these events had powerfully influence on actions of the Japanese Army. The former's caused a power of the Korean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to be weak, while the latter's lead the Japanese Army to concentrate on defence of frontier. Furthermore, two events continued that the Japanese Army was decreased a influence on the problems of Korean in Manchuria. The Japanese Army's behavior too affected to adjus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s policy on Korean in Manchuria. In other words, it assured that Japanese administration on colony was not only formed by Japan's command but also the colonial situations. And this mutual influence was inspired by operation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in Manchuria.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Army consisted to resolve the problems of Korean in Manchuria by means of a military strength. The attack on Kanto represented such a view, and thereafter the attitude of Japanese Army wasn't change, but too wasn't reverse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s policy. But in the latest 1920's the Japanese Army occupied with the region of Manchuria had risen it's power. And so it often happened that the Japanses Army ignored or surpassed the diplomatic policy. In the 1931, finally the Japanese Army occupied with the area of Manchuria decided arbitrarily attack on China.

      • KCI등재
      • KCI등재

        쟁점논단 : 한국에서 일본의 강제동원에 대한 연구 현황과 방향

        신주백 한일민족문제학회 2014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7 No.-

        强制動員の全體像を類型化すると人、物資、財政、企業、輸送、歷史 和解に區分することができる。現在、韓國での硏究では、人材動員、特に、 勞務動員と日本軍「慰安婦」硏究に重点を置いています。硏究が行われている 過程で、兵士勞務動員および滿州移民と關連付けられている新しい强制動員 事例が發見され、ひと動員のカテゴリ一の中でどのように位置づけなければなら ないの課題が殘っている。强制動員の歷史に關する硏究は帝國史と東アジア 史の中で位置づけなければならず、分斷の克服と地域協力の樺組みを作って いくの一部である必要がある。

      • KCI등재

        김성숙의 민족운동 전략과 정치이념의 특징 - ‘한국적’ 사회민주주의 이념의 역사적 형성 과정 初探

        신주백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firm Kim Seong-suk's national movement strategies and thoughts. Kim Seong-suk sought the Russian-style second-stage Bolshevik revolution and the Joseon-style second-stage revolution theory. From the expansion of the anti-Japanese democratic platform, the prospect of achieving the revolution through a rapid growth transformation process was revised. He laid out a strategy to build a non-capitalist society by gradually expanding and developing a united front between groups faithful to the principle of democratic rule. This was one of the stems from which the Korean social democratic ideology was formed. 이글은 김성숙이 1923년경 중국에서부터 1945년 귀국 때까지 주장하고 실천한 민족운동에 관한 특징적인 전략과 생각을 짚어보고, 사상적 좌표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김성숙은 애초 제1단계에서 제2단계로 급속히 성장 전화하는 과정을 거친 러시아식 2단계 볼세비키혁명과 다른 조선식 2단계 혁명론을 모색했다. 그는 중국국민당 좌파와 연대하며 국민혁명에 적극 참가함으로써 독립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려 했다. 그래서 우선 정당 형태의 민족혁명 지도조직을 중국 지역에서 결성하는데 노력했다. 하지만 장제스의 국민당 우파는 만주로까지 나아가지 않고 군대의 북진을 베이징에서 멈추었다. 국공합작도 끝냈고, 반공 탄압도 강행했다. 이에 자신의 생명까지 위태로웠다. 충격적인 경험을 한 김성숙은 침묵하며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다 1936년 조선민족해방동맹을 결성한 즈음부터 자신의 새로운 구상을 드러냈다. 김성숙은 반일민주강령을 폭넓게 적용하는 민족혁명을 구상했다. 1937년 중일전쟁은 이 강령을 더욱 폭넓게 적용하는 입장을 강화시켜 주었다. 그는 반일민주강령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독립을 획득하고 민주집권원칙에 따라 점차 민주주의 국가를 확립해 갈 수 있다며 조선혁명의 진행 과정이 급속하게 성장 전화해야 한다고 전망하지 않았다. 소비에트혁명노선과 명확히 거리를 둔 것이다. 김성숙은 조선혁명의 전략적 전망과 과정을 실현할 통일전선체로 민족구성원 간의 계급투쟁보다 합의를 중시하며 단일 민족혁명 정당론 대신 민주집권원칙에 충실한 단체본위의 통일전선체를 주장하였다. 그가 보기에 1940년 시점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적절한 민족적 연합전선체였다. 그는 해방 직후까지만 해도 한반도의 분할점령과 좌우구도의 형성 속에서 제기된 당면 과제조차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태도를 취했다. 김성숙은 1945년 해방이 될 때까지도 스스로 ‘공산주의자’임을 자처했지만, 러시아혁명 또는 코민테른의 혁명론과 달리, 독립 이후에도 민족문제를 중심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해 가는 비자본주의 사회를 꿈꾸었다. 그가 추구한 미래 사회는 ‘사회주의적 민족주의’ 사회였으며, 그것을 戰後 서유럽의 경험에서 본다면 사회민주주의 사회였다. 그의 사상은 ‘한국적’ 사회민주주의 이념이 형성되는 줄기의 하나였다.

      • KCI등재

        석고화한 기억의 재구성과 봉오동전투의 배경 —­1919, 20년 시점에 동만주지역의 운동공간에 대한 새로운 시선—

        신주백 만주학회 2018 만주연구 Vol.- No.2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Bongo- dong battle by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space and its activities. The starting point of the author is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he period called 1919, 20years in East-Manchuria-region was different before and after that, and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he ethnic movement at that time can not be seen even in a homogeneous and planar manner. The ethnic movement space of East-Manchuria-region can be divided into two. It is divided into two spaces in terms of the independent space of the independent army and the main activity system (civilian vs. military). Bongo-dong, which was the activity space of gunnmudodokbu(軍務都督府), was an “independence army base”. This point is different from the gypsy memories of the East-Manchuria-region as one of the ethnic movements. Bongo-dong had an independent military base that was not in Yŏn’gil-hyŏn and Hwaryong- hyŏn.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naturally explain why the battle took place in the Bongo-dong among the East-Manchuria-region adjacent to the Dooman river. 이 글은 운동 공간의 특성과 그에 따른 활동 양상에 주목함으로써 봉오동전투의 배경을 새롭게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필자의 출발점은 동만주지역의 1919,20년이란 시기가 그 이전이나 그 이후와도 달랐다는 문제의식이다. 또 그 시기 민족운동 내부의 움직임을 균질하고 평면적으로도 볼 수 없다는 문제의식이다. 동만주지역의 민족운동 공간은 독립군의 활동공간과 주요 활동 방식(민정 대 무장)에서 볼 때 두 개의 공간, 곧 연길현, 화룡현과 왕청현, 훈춘현으로 구분된다. 단체로 표현하면 대한국민회와 군무도독부, 북로군정서가 대표 조직이다. 군무도독부를 비롯해 북로독군부의 활동공간인 봉오동은 ‘독립군 기지’였다. 연길현과 화룡현에 없던 독립군 기지가 봉오동에는 있었다. 동만주지역의 민족운동을 하나로 보아온 석고화한 기억으로는 인지할 수 없는 현상이다. 새로운 시선으로 보아야 두만강과 인접한 동만주지역 가운데 봉오동에서 전투가 벌어진 이유를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