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미술교육의 이론적 토대

        박휴용(Park Hyu Yong),이승희(Lee Seong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4

        본격적인 다문화사회의 도래로 지난 20여 년간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다문화 교과교육 분야 중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해서도 이론적 및 실천적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다문화 미술교육을 위한 보다 실제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지기 위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개념과 이론적 토대 및 성격에 대한 검토와 이해, 그리고 방향 제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고는 다문화 미술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예술사회학에서, 실천의 대표적 사례를 사회참여예술로 보고, 그 이론적 근거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첫째, 예술사회학의 개념과 이론적 토대, 주요 관점을 정리하고, 예술사회학을 뒷받침하는 핵심적 이론 세 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사회참여예술의 개념과 성격을 논의함으로써 다문화 미술교육과의 연관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셋째, 다문화 미술교육의 변천과정과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접근(시각)들에 대해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핵심원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논의는 향후 다문화 미술교육 관련 여러 연구들을 위한 나침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dvent of multicultural society has invoked a great volume of research in the area of multicultural education. Nonetheless, the field of subject education has not been enough discussed and practiced, especially in the branch of art education. Having said this,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nd discuss the theoretical base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ociology of Art and Socially-Engaged Art. In doing so, this paper, first of all, discusses the concept and theoretical foundation of Sociology of Art, and suggests three major threads of theories supporting it. Second, this paper addresses the no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es of Socially-Engaged Art. Third and as the key point, this paper analyzes the historical transitions of and different approaches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pinpoints three kernel principles for the practice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is paper’s discussion may serve as conceptual guidance for future studies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

        심영옥,윤선미 한국조형교육학회 2010 造形敎育 Vol.0 No.36

        The children are taught to respect different cultures. Ethnocentrism is judging another culture by the standards of one’s own culture. But Contact with other cultures can change a culture. And we should respect other people's cultures, religions and custom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program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this study has very many educational value. It is also considered as the purpose of today's school education and has a thread of connection with the final goals of 7th education revised bill that makes students develop critical views on art and enjoy art culture along with keeping the intellectual, definitive, and psychological balances through a variety of art activities. This study is deepen one’s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That’s what I’m hoping to help the group understand, is the culture through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to revitalize multi-cultural art educations at the request of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Learning about other cultures is fun! So I want to expose the kids to as much art and culture as possible. 본 연구는 다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세계 여러 국가의 의식주나 전통미술, 축제 문화를 중심으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교육의 대표적인 교육적 의의를 말하자면, 다민족, 다국가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유사성을 발견함으로써 다른 국가의 문화를 존중하여 개방적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우리 문화에 대한 주체성 확립과 세계 문화에 대한 이해도도 향상되고 미적 감수성과 가치관 확립할 수도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다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도 방법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한 일이다. 그리고 다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수업을 통해 보다 높은 수준의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노력이 무엇보다 앞서야 한다. 최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의식이 확장되고 그 중요성을 많이 홍보하고 있지만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다문화 미술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실제로 미술수업에 적용한 사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술수업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의식주 문화’, ‘전통미술 문화’, ‘축제 문화’의 3개의 영역으로 제시하였는데, ‘의식주 문화’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의 의복문화와 음식문화, 주거문화의 특징을 이해하고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작품제작이 이루어졌다. 또한 ‘전통미술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아프리카의 전통문양의 특징을 알게 되었으며, 나아가 각 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문양에 대한 이해도 하게 되었다. ‘축제 문화’에서는 스페인의 축제 문화의 특징을 이해하면서 간접적으로 축제를 체험할 수 있는 미술 놀이 활동으로 미술에 대한 흥미도도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다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결과 몇 가지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재료에 대한 탐구활동을 통해 대부분의 학생들은 표현재료의 특징을 바르게 알고 표현함으로써 다문화 교육에 쉽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표현력이 향상되어 자기 작품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졌다. 또한 학생들은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재료 탐구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에서 벗어나 폭 넓은 사고를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둘째, 다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다 국가의 다양한 문화들을 존중하게 되고, 우리나라의 문화와 어떠한 유사성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스스로 이해하려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다민족에 대한 존중의식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글로벌 시대의 흐름에 대비한 교육으로 다문화 이해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미래 지향적이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넷째, 다문화 미술교육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타 국가의 다양한 문화의 참고자료를 통해 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이렇듯 학생의 흥미유발은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더 높은 수준의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 ...

      • KCI등재

        창의성과의 관계에 기초한 전통미술교육의 재 개념화를 위한 기초연구

        박진경(Park, Jinkyoung),김선아(Kim, Sunah) 한국미술교육학회 2014 美術敎育論叢 Vol.28 No.1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는 과거의 산물인 전통미술과 현대 문명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이는 전통미술이 과거에만 머물러 있어 현재 우리의 삶과 분리된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전통미술은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고 현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창의적인 변화의 근원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계속성의 관점에서 창의성에 기초한 전통미술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서 실천하기 위한 근거로서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반영된 전통미술과 창의성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파악하고자 제 1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두 용어의 변화 추이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전통미술과 창의성의 관계를 조망하고, 창의성에 기초한 전통미술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간과되어왔던 전통미술교육과 창의성의 연관성을 새롭게 조명하고, 실제적 삶의 변화를 위한 전통미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oday's society, in which we live. traditional art, considered to be the fruit of the past and modern civilization are in coexistence. Such refers that the traditional art does not stay in the past only being separated from our lives in the present. Therefore. the traditional ar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origin of creative change that suggests the connects the past and the future and suggests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in the pres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necessity of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creativity in the point of continuity and to analyze the art education course to establish a ground to practice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schools. To find out how the traditional art and the concept of creativity reflected on the national level education course, the change trends of the two terms from the 1st education course to 2009's revised education course are analyzed in focus. Based on the analysis, the relation of the traditional art and the creativity in the national level education course is forecasted and the direction for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creativity is proposed. This study holds the meaning for newly highligh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and the creativity that has been underestimated until now and proposing the direction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to change of the actual life.

      • KCI등재

        미술의 특징적 교육법에 대한 탐구

        김황기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ature pedagogies in the studio art of teacher’s college. Pedagogies found are threefold. First, studio art structures teaching toward student centered approaches with open-ended exploration. Second, studio art structures teaching toward teacher centered approaches in the guild system. Finally, studio art structures teaching toward body centered approaches using optique and haptic senses. Theses signature pedagogies of studio art are the outcomes of unique disciplinary practice and the nature of knowledge in the creative art. To adjust rapid transition education world, the signature pedagogies described must be refined and expanded. I suggest other components to be included for the signature pedagogies in the studio art. First, the concurrence of important concepts and principles in studio art must developed. Second, the concrete and practical things must be included in pedagogies in studio art. Third, the expanded model of training to include career self-management and enterprise creation, that is, entrepreneurship is required in studio art.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와 사범대의 미술실기 수업에서 활용되는 미술의 특징적 교육법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확인한 미술실기의 특징적 교육법은첫째, 열려있는 답을 탐구하여 학생 스스로가 개별적인 자신의 것을 찾도록 고무하는 교육법이다. 이 교육법 때문에 미술은 가르쳐 주지 않는다는 오명을 쓰고 있지만, 실제는 어느 어떤 학문보다도 학생중심적이고, 탐구중심이며, 상황중심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교육법이다. 둘째, 그럼에도, 스승에게 일대일로 배우는 도제식 교육법에 근거한다. 도제식 교육은 전통적인예술의 학습 방법이다. 도제식 교육은 효율성, 개별성이라는 장점과 함께 교사의 책임감을 촉구하는 장점 때문에 현재까지도 미술에서 활용되는 교육법이다. 셋째, 시각ㆍ촉각 등 신체의 감각을 활용하는 몸 중심 교육법이다. 이것이 미술적 활동이 지적인 것과 멀다는 것은 오개념를 형성하는 증거가 되었다. 그러나 제 2세대 인지과학에 의하면오히려 미술의 감각적이고, 은유적이며, 상상적인 것들과 무의식적인 작용은 모두 몸과 관련되고 이는 고등 사고의 기초가 된다(Lakoff & Johnson, 1999/2002). 미술실기에서 미술의 특징적 교육법을 탐구한 결과 드러난 위의 세 가지 교육법은 다른 학문이가지지 못한 개별적이고 특이한 것이다. 미술의 특징적 교육법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방법 다양한 시각으로 계속되어야 한다. 그것은 미술을 좀 더 잘 가르치는 방안을 찾는 작업임과 동시에 미술이 일반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독특한 영역을 밝히는 작업이 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의 상호작용적 특성에 기반한 미술교육의 확장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

        김시내(Kim, Si Nae),김형숙(Kim, Hyung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ossibilities for expanding the purpose, contents and method of art education focusing on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reflecting the emergence of new visual culture, the change of life and culture of youth, interaction and social media arts due to the spread of internet and social media. Prior to the implementation study, I analyzed the interactive media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such as participation, sharing, network, relationship, and community. These interactive characteristics are linked with theories of art education such as visual culture education, constructivist theory, discourse of contemporary art,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and tried to approach the goals and methodical principles of concrete social media art education. I intends to summarize the possibility of the expansion of art education through the interactive nature of social media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participatory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ntents of art education that reflects and embraces the visual culture phenomenon in social media,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as a critical and active ‘participative’ cultural producer is strengthened In the participatory environment. Second, by approaching from the shared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Students were able to get material and fresh ideas. And by exhibiting in this space, it becomes a platform for informal exhibition and critique.I can also suggest ways of creating digital era such as ‘mashup’ that accesses information and services with shared infinite materials and sources, recombines them in a new way, and creates a totally new format by connecting heterogeneous. Third, in terms of dialogue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art activities using social media create dialogue and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Social media can provide a platform for building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s a window to communication between school and home, I saw the possibility of mediating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nd improving their trust. There is an educational value that can accommodate contemporary discourses by positively reflecting the issues of contemporary art in art education centered on relations, dialogue, collaboration, and community with the aim of restoring relationship 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media. Fourth, social media in community characteristics provide a new relational platform for the digital community. Through the online approach based on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community mapping, I find the possibilitie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cooperation’, and ‘interaction’ based on online , we were abl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and lead the relationship and social practice among people. Fifth, network and cooperative characteristics extend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provide an environment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co-creation 본 연구는 인터넷망과 소셜미디어의 확산으로 인한 새로운 시각문화의 등장, 청소년들의 삶과 문화의 변화, 상호작용과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예술 현상들을 반영하며 소셜미디어의 상호작용적 특성에 기반 하여 미술교육의 목적, 내용과 방법의 확장 가능성을 탐색해 본 실행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교육적 필요성과 이론적 탐색, 이를 바탕으로 소셜미디어 미술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구체적인 목표와 방법적 원리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행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의 상호 작용적 특성에 기반한 미술교육이 기존의 미술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적 측면의 확장에 어떠한 방식으로 기여하는지 탐색하고, 미술과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그가능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소셜미디어의 상호작용적 매체 특성을 참여, 공유, 연결, 대화, 커뮤니티를 중심 으로 분석하고, 이를 중심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참여의 특성에 기반 하여, 참여적 환경에서 비판적이고 적극적인 ‘ 참여’적 문화생산자로서 역량강화라는 미술교육의 목적적 확장과 시각문화의 범주 확대로 소셜미디어 상의 시각문화 현상을 반영・ 수용하는 미술교육의 내용 확장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공유의 특성에서는 아이 디어와 발상을 위한 도구, 비공식적 전시와 크리틱을 위한 공간 활용, 매시업과 같은 디지털 시대의 창작법 등을 제안할 수 있다. 대화와 관계의 특성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관계성 형성과 소통의 회복을 목적으로, 관계와 대화, 협업, 커뮤 니티와 같은 현대미술의 이슈들을 미술교육에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동시대의 담론을 수용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 그리고 커뮤니티 매핑이라는 집단 지성에 기반 한 온라인 접근 방법을 통해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으로의 가능성을 엿보았다. 연결과 협력의 특성은 경험을 확장시키고, 협력학습과 공동창작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 KCI등재

        미술관 및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

        한미란 ( Han Mi Ran ),김유정 ( Kim Yoo J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이 미술관 및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유아교육 현장에서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31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학력, 전공,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미술관 이용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에서 다른 문화시설에 비해 미술관 이용에 대한 선호도가 낮았다. 셋째, 유아교사가 개인적으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로서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활용과 관련이 있었다. 넷째, 교사로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경우 대체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이용 경험이 없는 교사들도 필요성에 대해서는 상당 부분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유아교사로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연구가 부족한 국내의 상황에서, 유아교육에서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경험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art museum and art museum education and their practical usa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23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art muse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differed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status and the type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nded to visit art museum as field trips less than other cultural facilities. Third,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eachers linked to the practical use of the art museum education as a teacher. Forth, thos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the experiences of the art museum education with young children in their classes generally satisfied the program. Even the teachers who had not used the art museum education, they also felt the need of the art museum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is research provided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art museum program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ed some points to encourage the art museum education for the young children.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우리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Nicholas Houghton,고홍규(옮김)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과 교육 Vol.18 No.2

        논문은 오늘날 미술교육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 미술교육과정의 역사적 측면을 다룬다. 어떻게 현재 미술의 개념이 낭만주의와 계몽주의의 영향 아래 유럽에서 발생한 사회 체제에 의존하고 있는지 설명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60년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모더니즘에 의해 조절되고 방해되어 왔다. 미술교육과정은 기술을 가르치는 도제제도와 드로잉, 미학을 가르치는 아카데미의 혼합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단지 20세기에 모더니즘 미술만이 그 영향에서 벗어났고, 그것은 자기표현과 형식주의의 영향 때문이었다. 이 두 가지 영향은 미술 생산의 기계화된 방식을 옹호하고, 전통적인 위계를 전복시키는 아이디어와 이론을 강조하는 동시대 미술에 의해 도전을 받았다. 동시대 미술은 학과중심(discipline-based), 이슈기반(issue-based), 시각문화에 관한 학습, 그리고 렌즈기반의 미디어와 같은 기계적인 방식의 사용과 같이 중요한 미술교육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이제 미술교육의 핵심은 미술작품에 대해 설명하고, 맥락화하며, 이론화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되었다. 하지만 미술교육은 생각을 고무하고, 즐기며, 움직이는 것과 같이 미술이 할 수 있는 것들을 피하지 말고 받아들여야 할 필요가 있다.

      • 한국과 프랑스 미술교육 비교 연구

        송선영(Song Sun Young)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4 초등교육연구 Vol.- No.18

        미술 교육은 인간의 정서를 순화하고 삶의 질을 높이며 현대 사회에서 중요시 여기는 창의성과 상상력을 기른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교과목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미술교육의 문제는 입시제도나 수업환경의 열악함, 인식의 부족 등으로 인해 미술교육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발달에 아주 중요한 시기인 초등학교의 미술교육을 모든 교육의 기본이며 견인 수단으로 여기는 프랑스의 미술교육과 비교 연구함으로써, 국내 미술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프랑스 미술교육에 대한 객관적인 비교 분석을 통하여 장점은 받아들이고, 단점은 보완하여 한국 미술교육의 현실에 맞는 이론을 정립하여야 한다. 스스로가 창조자로써 나아가야할 방향을 정하고 그것을 목표로 재능을 키워나가도록 고양시켜주어야 할 것이며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스스로 찾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의미의 미술교육이라 할 것이다. Art education is an important course that refines human emotions and improves quality of life,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bring creativity and imagination which are considered significant in modern society. However, the current issue of Art Education in Korea is that it has not been performing the role of art education properly due to poor entrance system or learning environment and lack of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ture direction of national art education with the comparative study on art education of domestic elementary school which is a very important period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of French art education which is a basis and driving means of all education. Also, by conducting an objective analysis and research on art education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France, a theory of art education in Korea which fits the reality will need to be established, accepting the benefits and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Art education will need to present a better way to go as a creator, and provide students with a guidance to grow their talent. Helping them to find what they really need will be the true meaning of education.

      • 미술관 아카이브와 교육

        박상애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14 박물관교육연구 Vol.- No.11

        미술관 아카이브는 미술관의 기능 수행 과정에서 유기적으로 생성된 기록과 미술관의 미션에 맞추어 수집한 기록을 포함한다. 미술관 아카이브는 진본성, 계층성, 집합성을 지니고 있으며, 아카이브 본연의 가치인 정보적, 증거적, 본질적 가치 이외에도 예술적 가치를 지닌다. 미술관 아카이브는 저자성이 배제된 사료로서 미술관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실물로 전시에 활용되기도 한다. 미술관 학술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미술관 아카이브는 미술관 교육과 연계하여 교육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시연계 교육, 학교연계 교육, 전문성 강화 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교육 자료 및 교육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다. 아카이브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제작한 교육 자료는 사실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정확성을 확보한다. 또한 아카이브를 활용한 교과 과정의 개발은 미술관과 외부기관의 관계성 강화에 기여한다. 아카이브를 교육 콘텐츠로 활용한다면 일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아카이브의 개념, 의의, 활용을 알리는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아카이브의 표준과 개발에 대한 워크숍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에의 활용을 통해 아카이브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 정보적, 예술적 가치는 배가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김선아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과 교육 Vol.12 No.1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 상황의 특성을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의 이론을 토대로 다문화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량을 파악하여,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교육적, 정책적 대응방식을 고찰하고 미술교육의 역할을 조명하였다.다문화교육의 정착과 확산에 있어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미술교사의 역량이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함에 주목하여, 문화적으로 적절한 교육(culturally relevant pedagogy)의 개념을 중심으로 미술교사의 다문화적 역랑을 개발하기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담론을 확장하고 구체적인 실천 방향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한국의 다문화교육과 다문화미술교육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 그 안에서 미술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of art teachers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art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rapid shift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discusses about the responses and changes in terms of the education discourse and policy making. This study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art teachers' competency in enhancing and permeat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school settings. The concept of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has provided the framework for drawing the 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of multicultural art teacher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art teacher development. In association with the Korean multicultural situations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orie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multicultural art teacher education as the pivotal factor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