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plying Dynamic Assessment to Language Learning - A Case Study of a Heritage Language Classroom

        Park Hyu-Yong(박휴용)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8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5 No.1

          This study investigates a teacher"s practice regarding how Dynamic Assessment (Dixon-Krauss, 1996) is realized in his evaluative activities in a language classroom. First of all, the study pinpoints eight properties of dynamic assessment, and operationally defines and classifies the teacher"s evaluative activities into 6 categories: prior knowledge check, assignment review, task comprehension check, task customization, instance quiz, and achievement check.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s how the teacher"s evaluative activities are worked out for a small group of children who are learning their heritage language (Korean). The effectiveness and potentiality of dynamic assessment for a language classroom organized by special purpos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인공지능 윤리의 주요 쟁점과 필수 고려사항

        박휴용(Hyu-Yong Park)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6

        최근 인공지능이 급속도로 발전해나감에 따라 지난 10여 년간 학계와 산업계에선 수많은 윤리적 지침들과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었지만, 그러한 윤리적 지침들이 현실 세계에 적용되기에 얼마나 타당하고 실제적인지에 대한 많은 논란과 문제제기가 이어져 왔다. 본고는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한 핵심 가설인 ‘인공지능이 윤리적 주체가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바탕으로 다섯 가지 연구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i) 인공지능 윤리의 개발과정의 문제점과 논점은 무엇인가?, ii) 인공지능 윤리지침은 타당성과 적절한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있는가?, iii) 인공지능 윤리지침은 현실적으로 얼마나 실천가능한가?, iv) 인공지능 윤리 교육의 대상과 내용적 구조는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v) 인공지능 윤리 교육을 위한 실천적 고려사항은 무엇인가? 본고의 논의의 핵심사항은 첫째, 기존의 인공지능 윤리지침은 피상성, 모호성, 편향성을 가지고 있고, 현실 세계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인공지능 윤리의 세 가지 윤리철학적 배경들(덕윤리, 의무론, 공리주의) 중에서 인공지능 개발자, 알고리즘, 사용자의 모든 특성을 반영하기에 용이한 공리주의적 철학이 향후 인공지능 윤리의 방향성이 될 것이고, 그것이 ‘윤리적 인공지능’의 특성에도 부합하다는 것이다. 셋째, 윤리적 지침들 자체(이론적 측면)와 실제 효과성(실천적 측면) 간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을 단순한 도구(명시적 대리자)가 아니라 윤리적 주체(실질적 대리자)로서의 역할을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인공지능이 점차 고도화, 편재화되어가고 인공지능에의 의존성이 높아지는 미래 사회에서 인공지능의 윤리적 역할과 책임을 이해하는데 핵심이라는 것이다. 본고의 이러한 관점은 인공지능 윤리의 미래 방향성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논의를 촉발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numerous ethical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henceforth, AI) have been developed though there are still many contentions and criticisms on the validity and practicality of AI ethics. To address this issue, this paper proposed five kernel research questions on the ethical issues of AI, based on the author’s seminal hypothesis, ‘can AI be an ethical subject?’. They are as follows: i) What are the problems and discrepancies in the development phases of AI ethics, ii) How much is AI ethics valid and on what theoretical basis does it stand on?, iii) Are the ethical guidelines practical in the real world?, iv) Who is the target of AI ethics development and how is the content structure of AI Ethics like? Finally, v) what are the practical considerations of AI ethics education and development? The major conclusive arguments of this paper are: first, current ethical guidelines are superficial, ambiguous, and biased in many aspects so that they can hardly represent the diverse socio-cultural conditions and backgrounds. Second, utilitarianism, rather than virtue or deontological ethics, would be most suitable philosophical basis since it can balance an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r, the algorithm, and the user. Third,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AI should be an ethical subject, rather than an explicit proxy of ethics. This paper argued that developing ‘ethical AI’ should be the eventual goal of AI ethics in responding the sheer changes of a future society. This paper’s discussion may open the room for arguments in the area of AI studies.

      • KCI등재

        다문화미술교육의 이론적 토대

        박휴용(Park Hyu Yong),이승희(Lee Seong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4

        본격적인 다문화사회의 도래로 지난 20여 년간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다문화 교과교육 분야 중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해서도 이론적 및 실천적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다문화 미술교육을 위한 보다 실제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지기 위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개념과 이론적 토대 및 성격에 대한 검토와 이해, 그리고 방향 제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고는 다문화 미술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예술사회학에서, 실천의 대표적 사례를 사회참여예술로 보고, 그 이론적 근거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첫째, 예술사회학의 개념과 이론적 토대, 주요 관점을 정리하고, 예술사회학을 뒷받침하는 핵심적 이론 세 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사회참여예술의 개념과 성격을 논의함으로써 다문화 미술교육과의 연관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셋째, 다문화 미술교육의 변천과정과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접근(시각)들에 대해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핵심원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논의는 향후 다문화 미술교육 관련 여러 연구들을 위한 나침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dvent of multicultural society has invoked a great volume of research in the area of multicultural education. Nonetheless, the field of subject education has not been enough discussed and practiced, especially in the branch of art education. Having said this,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nd discuss the theoretical base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ociology of Art and Socially-Engaged Art. In doing so, this paper, first of all, discusses the concept and theoretical foundation of Sociology of Art, and suggests three major threads of theories supporting it. Second, this paper addresses the no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es of Socially-Engaged Art. Third and as the key point, this paper analyzes the historical transitions of and different approaches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pinpoints three kernel principles for the practice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is paper’s discussion may serve as conceptual guidance for future studies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의 학교교육의 변화와 교사전문성의 방향

        박휴용 ( Park Hyu-y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2

        본고는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포스트휴먼적 교육환경과 학습자의 등장이 학교교육의 성격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 교사의 역할이 어떻게 변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포스트휴먼 시대의 학교교육의 성격은 어떻게 달라지는가와 그에 따른 교사전문성의 역할과 방향은 무엇인가―를 설정하였는데, 첫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 본고는 포스트휴머니즘의 개념과 성격을 정리하였고, 포스트휴먼적 학교교육의 변화를 세 가지 측면―지식의 성격, 학습자의 존재론적 성격, 그리고 학습 원리의 변화―에서 논의하였다. 이어서 두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본고는, 포스트휴먼적 교사가 세 가지 주요한 역할-네트워크 시스템적, 뉴미디어적, 그리고 사이버네틱스적 교사-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였고, 포스트휴먼적 교실에서 교사의 위상이 어떻게 자리매김하게 될지를 세 가지 시나리오―인간과 기계의 완전 융합, 인간 교사의 주도성, 그리고 적절한 역할 분담―차원에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트휴먼적 교사전문성의 방향을 세 가지 핵심 요인-기술문해력, 사물접근성, 그리고 평가전문성-의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기술문명 중심으로 급변하게 될 미래의 교실 환경에서 교사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연구 및 논의의 토대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flect upon the changes of the nature of school learning facing the emergence of posthuman conditions and to discuss how teacher professionality could properly respond to them. For this, this study sets out with two research questions: how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learning change and what the roles and directions of teacher professionality should be. The first question is addressed by explaining, first of all, the notion and theoretical strands of posthumanism and then by discussing the changes of posthuman schooling, in terms of the nature of knowledge,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learners, and posthuman learning principles. The second question is addressed by emphasizing three roles of posthuman teachers―network system, new media, and cybernetics―and by analyzing three scenarios of teachers’ positioning in posthuman classroom―i.e. complete merge, human teacher leading, or division of responsibility.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ree kernel requirements of posthuman teachers, which are technology literacy, affordance to materials, and professionalism in assessment. It is expected that these considerations could broaden the space of discussion for posthuman education.

      • KCI등재

        저출산으로 인한 부모자원의 집중이 교육격차에 미치는 영향

        박휴용 ( Hyu Yong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최근의 지속적인 저출산경향이 적은 자녀에 대한 교육투자의 집중으로 교육양극화 현상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양극화와 저출산의 관련성에 대한 논의를, 이 주제와 관련된 이론들 및 기존 연구결과들에 대한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시 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의 요인들에 대한 분석 및 정리, 둘째, 자녀수와 교육투자에 관한 이론적 모형에 대한 논의, 셋째, 부모자원의 차이가 실제적 교육투자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저출산 유발 요인들이 가치관 변화나 경제적 곤란뿐만 아니라 자녀양육 및 교육에 대한 부담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특히 부모의 학력, 소득,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참여) 정도, 그리고 교육비 투자로 나타나는 부모자원의 차이가 저출산으로 인해 소수의 자녀들에게 더욱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 사회의 저출산 문제와 교육격차 문제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 한다. Recently Korean society experiences intensifying social polarization and education gap. This paper posited these phenomena make Korean parents hesitate to have more children, which induces continuing low fertility rate in Korean society. To examine this argument, this paper reviewed the causes of low fertility in Korean society in terms of how they are related to the burden of raising and educating children. This paper then pinpointed the parental resources.which are represented by the factors of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educational support, and educational expenditureare the most critical factors determining their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Finally, this paper argued that such centralization of parental resource would expedite education gap in Korea. The inquiry and arguments of this paper may trigger follow-up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bling size and education gap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비판적 다문화교육론

        박휴용 ( Hyu Yong Par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2

        본고는 제국과 다중이라는 두 가지 핵심어를 통한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다문화주의를 바라보고, 그 실천적 방안으로써 비판적 다문화교육론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이해로써 첫째, 다문화사회와 제국주의의 역사적 관련성을 논의하고, 둘째, Negri(2004)가 제시한 다중의 개념을 바탕으로 다문화사회의 사회구성과 민주주의의 실현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셋째, 다문화사회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다문화주의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에 대한 비판적 재고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비판적 다문화교육론에서는 다중 사회에 기반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첫째, 다문화교육이 다루어야 하는 핵심적인 논점들인 차이와 편견, 자유와 평등, 그리고 정체성과 소속감 문제에 대한 비판적 재인식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둘째, 다문화교육의 내용범주, 다문화교육에서 다루는 문화 개념 및 노동 교육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의 방법론에 관해 다문화교실의 다양성, 교육적 형평성, 그리고 교사의 역할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지금까지의 다문화주의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학계와 교육계의 이해가 비판적으로 재검토되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wo-fold: A critical discussion on multiculturalism and the suggestion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this paper discusses multicultur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Theory, based largely on two key words, i.e., Empire and Multitude. In doing so, this paper juxtaposes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history of imperialism and introduces Negri`s (2004) argument on Multitude. In addition, this paper critically comments on the various viewpoints of our society on multiculturalism. Second, this paper suggests the direction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by discussing 1) the core iss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g., difference & prejudice, freedom & equality, and identity & belongings, 2) some critical viewpoints regarding the content,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the roles of teachers for employ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will provide a new paradigmatic viewpoint on the hitherto understanding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인지자본주의 시대의 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휴용(Park Hyu 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2

        최근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자본주의적 생산관계를 물질 노동보다는 비물질(아이디어, 지식, 정보 등)적 인지적 노동에 크게 의존하는 구조로 변화시켰다. 더욱이 최근의 저출산의 지속과 경쟁의 심화는 노동력의 양적 팽창보다는 질적 수월성에 더 큰 사회적 관심이 쏠리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인지자본주의가 신자유주의와 시장중심주의에 의해 주도되면서, 지식과 인적자원, 그리고 교육문제에 어떤 변화를 초래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인지자본주의의 배경과 ‘노동의 인지화’에 대해 논의하고, 인지자본주의로 인한 학교교육의 변화양상을 자본화, 사유화, 그리고 시장화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아울러 본고는, 인지자본주의가 실제적으로 국가적 교육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사례에 대한 분석으로써 최근 사회적 주목을 받고 있는 지식기반경제론, 창조경제론, 그리고 핀란드식 교육모델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기점으로 인지자본주의의 성격과 학교교육의 역할에 대한 보다 진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Recently the sheer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changed the core elements of capitalistic development, from materials and physical labour to immaterial cognitive labours, such as ideas, knowledge, or information, which is called cognitive capitalism. In the critiques of neo-liberal and market-oriented educational ideology, this paper critically discusses how such cognitive capitalism misleads the direction of discourses on the role of school knowledge, human capital, and higher education. First of all, this paper briefly epitomizes concept of cognitive capitalism and its viewpoint on labour and knowledge. Then this paper argues about how cognitive capitalism triggered the capitalization, privatization, and marketization of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juxtaposes the educational discourses, the Knowledge-based Economy, the Creative Economy, and the North European models, as the abused examples of cognitive capitalism.

      • KCI등재

        핵심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휴용(Park, Hyu-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4

        본 논문은 OE CD 국가들 을 중심으로 널리 적용 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육의 본질과 성격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 연구이 다. 이 논의를 위해 , 본고는 역량기반교육의 기원과 기본 원리를 검토하고, 특히 이 접근법이 직업훈련의 한 형태에서 출발했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본 고의 주장을 실제 접근법들 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확인하기 위해, 본고는 잘 알려진 다섯 개의 접근법즉, OECD 의 DeSeCo , 유럽연합의 Key Compe tences in Europe, 그리고 미국의 세 가지 역량기반 접근법들(21세기 학습을 위한 협력, 21세기 기술의 교수 및 평가, 공통핵심국가수준) 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한국에서 개발 중인 핵심역량교육과 비교하였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본고는 이 역량기반교 육접근법이 갖고 있는 이론적 한계와 실천적 위험성을 인식론적, 이념적,그리고 실천적 문제의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역량기반교육의 본질을 잘 이해함으로써 한국의 공교육체제에 보다 성공적으로 적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discuss the n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models that are widely adopted among the OECD countries. For the analysis and discussion, this paper reviews the origins and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and pinpoints that this model is originated from a vocational training model. To make th is argument clear, this paper com pares and analyzes 5 well-known competence-based education models, which are OECD’s DeSeCo, EU’s Key Competence s in Europe, and th ree U.S. models (The Partnership for the 21C Learning, The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Century Skills, and The Common Core National Standards and Tests). Based on this analysis, the Korean model, the Core Competence for National Curriculum is also reviewed.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pinpointed the theoretical limitations and practical pitfalls of the models, in terms of epistemological, ideological, and implemental problems. This paper’s discussion may help u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Competence -based Edu cation and to successfully apply it to the public school system in Korea.

      • KCI등재

        비판적 사고의 기본 원리, 성격, 그리고 대안적 이론에 대한 인식론적 재고찰

        박휴용(Park, Hyu-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2

        본고는 비판적 사고의 인식론적 기반에 대한 재고찰을 통해 비판적 사고에 대한 이해와 연구의 폭을 넓히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비판적 사고에 대한 이론들 및 연구결과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바탕으로, 비판적 사고의 원리와 성격을 분석하고, 비판적 사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한 어떤 대안 이론적 접근들이 있는지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고의 구체적인 논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 사고의 핵심 원리로 간주되는 이성적 사고의 본질이 무엇인지 밝히고, 비판적 사고에 대한 네 가지 대조적 관점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둘째, 비판적 사고에 대한 기존 학자들의 정의와 그 정의들이 토대한 세 가지 이론적 입장들-이성적 능력론, 기술적 수행론, 정서적 성향론-이 갖는 인식론적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셋째, 비판적 사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한 세 가지 대안적 관점들-상위 인지적 사고로서의 접근, 과학적 사고로서의 접근, 그리고 시스템적 사고로서의 접근-을 소개함으로써 비판적 사고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비판적 사고의 본질과 성격, 그리고 기존의 이론적 관점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향후 비판적 사고의 연구를 위한 인식론적 지평을 확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evaluate the basic principles, characteristics, and theoretical approaches of critical thinking. To do this, based on the meta-analysis of previous theories and research findings on critical thinking, this paper discusse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n and epistemological underpinnings of the notion, critical thinking. The three major points of discussions are as follow: First, this paper revisited the nature of reasoning(or reasonable thinking) as considered the kernel of critical thinking and analyzed it in terms of four contrasting perspectives on critical thinking; Second, this paper analyzed eighteen representative definitions of critical thinking and categorized them into three theoretical approaches to critical thinking-i.e, cognitive competence, behavioral performance, and affectional disposition-to review them critically; Third, this paper also provided three alternative approaches as for the new theories of critical thinking-i.e, meta-cognitive thinking, scientific thinking, and systems thinking.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could broaden academic understanding on critical thinking and suggest more integrative ideas for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