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니멀리즘 조형의 동양 선(禪)사상적 해석

        황윤정,장동련,김동빈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1

        Minimalism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methods of expression in today's age. In order to interpret the expansion of minimalis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oncept of minimalism which is being discussed in art. Minimalism can be perceived as, 'reduction', which is returning an object to its most basic property, 'essence', which is a state of being independent of any perception and subjectivity from others, and 'physicality', which is emphasizing the property of the object itself. The key concept of the Seon ideology can be summarized into 3 parts. They are: 'Hwaguangdingjin (和光同塵)', which is mingling with the world by hiding one's true talent or knowledge, 'Jikishi ninshin (直指人心)', which is not thinking or analyzing but following one's heart, 'Kyunsungsungbul (見性成佛)', which is reflecting one's fundamental Buddhism, that is, acquiring Nirvana or the status of Buddha. After the 20th-century Seon ideology was introduced into Western society.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minimalism and the Seon ideology,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here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were attempted to be interpret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Seon ideology is as follow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Eastern Seon ideology can be propo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interpretation of Western minimalism. Furthermor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t meaning in which, it can suggest that in future, Eastern ideas can be an important step in interpreting Western formative ideology. 미니멀리즘은 오늘날 시대를 대표하는 표현형식 중 하나이다. 간결함과 단순함을 표방한 미니멀리즘은 음악건축패션 등 여러 영역을 포괄하며 예술적 작업들을 양산하고 있고 상품이미지에도 접목되어 대중적 조형 언어로 확장되고 있다. 이와 같은 미니멀리즘의 확산성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예술에서 논의되고 있는 미니멀리즘의 개념을 근원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미니멀리즘은 사물의 가장 본원적 속성으로 돌아가는 ‘환원성(Reduction)’, 타자의 인식이나 주관이 개입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상태인 ‘즉자성(Literalism)’, 사물 그 자체의 성질을 강조한 ‘즉물성(Objectivity)’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념을 기반으로 미니멀리즘은 회화적 재현에서 벗어나 사물 자체를 예술작품의 소재로 등장시키며 서양의 문화와 예술의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게 되었다. 그리고 이와 대응하여 살펴볼 수 있는 동양의 이념이 바로 선(禪)사상이다. 선사상의 핵심개념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성인의 비범함을 누그러트리고 세상과 함께 어울리는 ‘화광동진(和光同塵)’, 생각하거나 분석하지 말고 자기 마음으로 직접 파악하는 ‘직지인심(直指人心)’, 자신의 본질적 불성을 바라보는 ‘견성성불(見性成佛)’이 바로 그것이다. 선사상은 중국에서 5세기부터 발전한 대승불교의 한 사상으로 한국일본 등지로 전파되었고 20세기 이후 선사상은 서구사회에도 소개되었고 간소함을 추구하는 선사상은 ‘젠 스타일(Zenstyle)’이라는 미학적 용어로 새로운 국면을 맞으며 미니멀리즘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게 되었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미니멀리즘과 선사상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미니멀리즘의 개념적 특징들은 선사상의 관점에서 해석을 시도하였고 해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의 가장 기본적 속성으로 회귀하는 미니멀리즘의 ‘환원성’은 평범한 모습으로 세상과 함께 어울리고자 하는 선사상의 ‘화광동진’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관람자 스스로가 작품을 해석하도록 만든 미니멀리즘의 ‘즉자성’은 자기 마음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는 선사상의 ‘직지인심’의 사상과 연결할 수 있다. 셋째, 사물 그 자체의 성질을 강조한 미니멀리즘의 ‘물성’은 내면의 본질적 성정을 파악하는 선사상의 ‘견성성불’의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서양의 미니멀리즘의 해석에 있어서 동양의 선사상이 새로운 이론적 기반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향후 서양의 조형이념의 해석에 있어 동양 사상이 중요한 발판이 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 미디어에 나타난 디자인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송만용 ( Manyong S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4

        본 소고에서는 현대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에 나타나는 단순성과 간결성 그리고 무채색의 사용 이러한 특징을 디자인 미니멀리즘(Design-Minimalism)이라 규정하고 디자인미니멀적 양상과 특징들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본소고의 목적으로 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기존연구에서 사용하는 ‘확장된 미니멀리즘’이 아니라 디지털적 상황 하에서 디자인미니멀리즘Design-Minimalism)으로 규정하고 그 특징을 ‘형태적 단순성’, ‘색채적 무채색’ 그리고 ‘표면적 투명성’으로 나누어 고찰해보았다. 그리하여 디자인 미니멀리즘의 기원은 미스 반 데 로에(Ludwig Mies van der Rohe)가 ‘보다 적은 것이 보다 많은 것이다Less is more’라는 바우하우스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대표적인 제품은 독일 브라운사(Braun)사와 수석 디자이너 디터 람스(Dieter Rams)와 애플의 조나단 아이브(Jonathan Paul Ive)의 디자인에서 디자인미니멀적 형태와 특징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미니멀리즘은 단순히 형태적 단순성과 단색의 장르가 아니었다. 미니멀리즘이 표현의 과잉을 추구하였던 추상표현주의에 반하여 물체(질)의 본질에로 이르려는 환원주의를 따랐으며 이러한 물질적 특성이 극단에 이르른 것이 기하학적단순성이었다면. 디자인미니멀리즘은 오히려 바우하우스의 전통, 즉 장식을 제거하다보니 기하학적 형태에 도달한 것이었다. 또한 색채적 관점에서 보면, 미니멀리즘에서 색채를 절제한 것은 작품안과 밖의 경계를 허물기 위한 전략으로 물체(질)에 이르다보니 그 물체가 갖고 있는 색을 사용한 것이다. 반면 디자인미니멀리즘에서는 미디어의 내부의 다양한 기능을 은폐하기 위해 외부을 극단적인 단색으로 이르게 된 것으로 보인다. 물론 여기에는 재료적으로 메탈과 알루미늄을 사용하였고 이것은 곧 만족감과 미래적 이미지와 디자인 선도의 이미지를 던져주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미니멀리즘에서는 작품 내부를 외부와 경계지을 수 있는 틀이라는 물질적 특성을 제거함으로서 시선을 외부로 확장시켰다면 디자인미니멀리즘에서는 내부를 보여줌으로 인하여 빛에 의한 효과를 끌어들인, 즉 투명성이 있다. 즉“투명한 재료는 시간과 시점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며 불필요한 것은 배제하고 중요한 것을 강조하기도 한다. 투명한 재료의 특성에 따른 작업방법과구조적 특성의 노출이라는 디자인 원칙의 확립은 현대 디자인이 새로운 제시”였으며 터치스크린은 미니멀리즘과 마찬가지로 관람자 중심의 시간성과 연극성으로 감상되어 진다면 디자인미디어의 미디어표피는 사용자와 미디어간의 상호작용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디자인미니멀리스트들은 미니멀리스트과 마찬가지로 서구의 근대화·산업화 과정에서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미학을 꿈꾸었던 아방가르드의 이상이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현상보다는 본질을, 결과보다는 원인을, 외면보다는 내면을 중시했던 그들은, 절제된 형식과 간결한 조형 언어를 통해 이상적인 유토피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초기 디자이너의 꿈을 현재화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디자인미니멀리즘은 ``Less is More`` 미스 반 데 로에(Ludwig Mies van der Rohe)의 바우하우스 정신을 잇는 또 하나의 디자인 경향이면서 현대 디지털 미디어의 다양성을 시각적 통일성을 주는 경향이라는 결론을 얻을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Design-Minimalism in Dieter Rams & Jonathan Paul Ive``s Design. Additionally, Concepy of Design-Minimalism owing to Ludwig Mies van der Rohe``s idea of Less is more’ in Bauhaus. this study sought to suggest several ways to improve restaurant service quality and thus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by examining touch points between customers and service providers and evaluating time efficiencies of services. The finding from this research were firstly, By conducting direct observations and face-to-face interviews, we identified all touch points of the services between customers and service providers and examined how many service providers serve each customer.

      • KCI등재

        미니멀리즘 음악의 수렴하고 발산하는 정의들에 관한 고찰

        이민희 한국서양음악학회 2017 서양음악학 Vol.20 No.1

        This paper presents the definition of 'minimalist music' in two contrasting ways. 'A convergent definition' places minimalist music in a particular context based on 'political, social, aesthetic, and musical' conditions that describe the early minimalist music. On the other hand, 'a divergent definition' refers to various kinds of minimalist music that only partially satisfy the aforementioned four conditions or are difficult to categorize. Then,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s why these two definitions of minimalist music can co-exist. This phenomenon arises from the fundamental problem that 'language' cannot dictate a specific object clearly, and is also triggered by the fact that 'minimalist music' has changed so rapidly, and that the term 'minimal' is an adjective with ambiguous meanings. In addition,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se two different definitions of minimalist music affected the acceptance of minimalist music. Especially, the meaning of 'minimalist music' exists as a dichotomous concep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and the convergent definition is central. As a result, this paper regards the unique way in which the term 'minimalist music' functions as a characteristic of the genre itself. Based on previous discussions, this paper defines 'minimalist music' as follows. Minimalist music is a kind of music that induces listeners to imagine its extremely minimalistic origin in the process of its reception. Minimalist music is a kind of music that is related to a desire to view its musical elements as 'minimal.' 본 논문은 첫째, 현재 학계와 대중에 의해 통용되는 다양한 지식을 바탕으로 미니멀리즘음악에 관한 서로 대조되는 두 가지 방식의 정의를 이끌어냈다. ‘수렴하는’ 정의는 초기 미니멀리즘 음악을 설명하는 정치적 · 사회적 · 미학적 조건 및 음악외적 형태를 바탕으로 미니멀리즘 음악을 특정 맥락에 위치시킨 것이다. 한편 ‘발산하는’ 정의는 변화하고 발전된 미니멀리즘 음악을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서, 앞서 언급했던 네 가지 조건을 부분적으로만 충족시키거나 이런 조건으로 범주화되지 않는 다양한 음악을 미니멀리즘 음악으로 정의하는 방식이다. 둘째, 본 논문은 이런 두 가지 방식의 정의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원인을 고찰했다. 이런 현상은 언어가 특정 대상을 명확하게 지시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에서 비롯되며, 이단어가 지칭하는 음악이 너무도 급격하게 변해왔고, ‘미니멀’이라는 용어가 형용사이며 애매모호한 뜻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유발되었다. 셋째, 본 논문은 이런 두 가지 방식의 정의가 미니멀리즘 음악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우선 미니멀리즘 음악의 의미는 수렴하고 그리고 발산하는 이분법적인 개념으로 존재하며, 수렴이 발산을 억압하는 형태로 표상된다. 그리고 청자는 단어 내부에 작동하는 이런 역학관계에 의해 미니멀리즘 음악을 받아들일 때 ‘수렴하는 상(像)’을 이 음악 경험 이전에 전제한다. 다만 이런 억압의 구도가 항상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방식으로 활용되는 것은아니며, 사례에 따라 미니멀리즘 음악의 대중 소통가능성으로 나타나기도, 때로는 미니멀리즘 음악에 대한 경시로 나타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미니멀리즘 음악이라는 기표가 독특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이러한상황 자체가 미니멀리즘 음악 고유의 특성이라 보았다. 또한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일련의 논의를 바탕으로 미니멀리즘 음악을 다음과 같이 정의 내렸다. 미니멀리즘 음악이란, 이 음악이 수용되는 과정에서 그 기원인 극도로 미니멀한 형태를 계속해서 상상하도록 유도되는 음악이다. 또한 미니멀리즘 음악이란, 그 안에 포함된 특정 음악 요소를 미니멀한 무언가로 보고자하는 욕망과 관계되어 있는 음악이다.

      • KCI등재

        미니멀리즘 순수성 연구 -댄 플래빈 작품의 순수성 중심으로-

        권오길,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Minimalist work is not dependent on its artist and exists as the identity of pure object itself, giving meaning to the instant perception experienced by viewers. Through study of minimalism criticism and the purity of minimalism - a purity of things, nonrelational purity, and a purity of presence – one can see the anonymity, succession, and fine artistic expandability of a minimalist work that exists with no meaning due to the absence of artist concept. (Method)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modernist painting and minimalism, the expansion and locality of sculpture, and the influence of minimalism on contemporary art based on a theoretical critique of minimalism. We investigated purity as elucidated in a “proposal” from artist Dan Flavin, presented specific purity, and examined the cases matching each section. The final chapter of our study summarizes discussion and presents a summary of the implications of our study on purity as proposed by Dan Flavin.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work of artists who fall under the category of minimalism and exhibit purity in the vein of the works of Dan Flavin. Purity as discussed in this study is confined in scope to works of minimalis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purity in the minimalism of Dan Flavin exhibits such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as anonymity, thingness, and inhumanity. The works use light and color to strongly express purity, and the purity of presence (relationship with the viewers) expresses the present and spatiality together, which are further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and minimalistic purity found through analyses of minimalism in the works of Dan Flavin, one of the most prominent minimalist artists. Minimalistic purity was found to embody the composition perceived by viewers as a pure object not embedded with symbols and signs, breaking the link with modernism. In particular, the purity of presence in minimalism shows how objects that lost their usability have both spatial expandability and specificity of location and how fine art form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place and expands into the realm of architectu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its presentation of purity inherent in minimalist work and the purity of Dan Flavin's proposal.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reate an opportunity to further examine the purity of minimalism, one that shifts the emphasis in a work of art from the artist (proposal of art) to viewers (contemplation of art). (연구배경 및 목적) 미니멀리즘의 작품은 작가에게 종속되지 않고 순수한 사물 자체가 가지는 독자성으로 존재하며, 관람자가 작품과 마주한 상황에서 경험하는 즉각적 인식에 의미를 부여한다. 미니멀리즘의 비평과 미니멀리즘이 가지고 있는 순수성-사물의 순수성, 작가와 비관계로서의 순수성, 현전의 순수성 연구를 통해 작가의 개념이 부재하여 어떤 의미도 없이 존재하는 미니멀리즘 작품이 가지고 있는 미술의 확장성을 알 수 있다. (연구방법) 미니멀리즘과 관련된 이론적 비평 연구를 통해 모더니즘 회화와 미니멀리즘의 차이, 조각의 확장과 장소성, 미니멀리즘이 현대 미술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댄 플래빈의 제안(proposal)으로서의 순수성을 연구하여 구체적인 순수성을 제시하고 각 항에 맞는 사례를 살펴본다. 마지막 장에서는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여 댄 플래빈의 제안(proposal)으로서의 순수성 연구의 의의를 정리한다. 연구범위는 미니멀리즘에 포함되는 작가의 작품과 댄 플래빈의 작품으로 순수성을 제시하며 논의되는 순수성은 미니멀리즘의 작품 범위로 한정한다. (결과) 작품 분석의 결과 댄 플래빈 작품이 가지고 있는 순수성은 미니멀리즘의 특성, 순수성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니멀리즘 특성 중에서 익명성, 사물성, 비인간성은 댄 플래빈의 모든 작품에서 표출되었다. 빛과 색의 도구로서의 순수성, 현전의 순수성(관람자와의 관계)이 강한 작품은 미니멀리즘의 특성인 현전성과 공간성이 모두 표출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미니멀리즘과 미니멀리즘 대표 작가인 댄 플래빈 작품 분석에서 나타나는 미니멀리즘의 특성과 미니멀리즘의 순수성과의 관계를 알 수 있었고 미니멀리즘의 순수성이 미니멀리즘 순수성의 특성 방식으로 미니멀리즘 작품과 댄 플래빈 작품에서 표출됨을 알 수 있었다. 미니멀리즘의 현전의 순수성은 사물의 유용성을 상실한 사물이 어떻게 공간으로의 확장, 장소 특정성을 가지게 되는 지를 보여주며 미술이 장소와 유기적 관계를 맺고 건축의 영역으로까지 확장되는데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순수성과 댄 플래빈의 제안(proposal)의 순수성을 제시함에 의의를 갖으며 작가-예술의 제안-에게서 관람자-예술의 완성-에게 전이되어 나타나는 미니멀리즘의 순수성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현대 웨딩드레스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의 조형적 특성 연구 : 1996년부터 2010년 '마이웨딩' 잡지를 중심으로

        김혜전,정성혜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1 No.4

        1990년대 후반에 확산된 미니멀리즘은 복식에서 인체의 본질을 추구하는 내적의미 면에서 신체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패션 트렌드로서의 미니멀리즘은 그 시대적 조류와 부합하여 다양한 스타일로 표현되어왔다. 그러나 웨딩드레스에서의 미니멀리즘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므로 웨딩드레스에도 패션 트렌드로서의 미니멀스타일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나타나면 어떤 스타일과 형태로 나타나는지, 또한 어떤 변화가 있는지「마이웨딩」잡지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객관성을 위해 미니멀리즘적 요소에 해당하는 용어들로 설명되어진 전신‧전면 웨딩드레스 에디토리얼 사진을 수집하여 미니멀리즘 웨딩드레스에 나타난 디자인 구성요소의 변화를 분석하여 미니멀리즘 웨딩드레스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미니멀리즘 웨딩드레스의 조형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루엣 축소화이다. 실루엣 형태에서는 X-라인이 현저히 줄어들었고, H-라인의 등장과 2000년 이후 보편화된 머메이드라인을 포함하는 시드라인은 웨딩드레스 전반적 실루엣으로 자리하고 있다. 소매형태는 퍼프에서 셋인으로 나타나면서 그조차 점점 줄어 슬리브리스가 전반적 형태로 자리 잡았다. 둘째, 실루엣 길이의 축소화이다. 상의 길이의 축소로 2000년대엔 베어 탑이 일반화되었고, 하의 길이 축소의 미니드레스 출현이 잦아졌다. 셋째, 재질에 의한 최소화로 미니멀리즘의 특수 오브제의 물질성이다. 밀착과 투명한 재질에 의한 인체의 외곽선을 표현한 시스루 형태의 드레스로 나타났다. 넷째, 무장식·디테일의 축소화이다. 미니멀리즘의 단순성으로 장식을 절제하여 1990년대는 작은 리본, 단추, 트리밍, 코사지 등이 포인트로 나타나기도 하고 장식이 사라진 드레스가 빈번해졌다.

      • KCI등재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도가(道家)의 ‘도(道)’ 미학을 중심으로-

        양정원(Yang, Jung Won),이미숙(Lee, Mi Su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 목적은 탈현대적 가치를 갖는 도가사상의 ‘도(道)’ 미학에 주목하여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내재되어 있는 미의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 및 관련 서적을 중심으로 문헌 고찰을 통해 서양 미니멀리즘과 이와 연관성을 갖는 ‘도’ 미학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도가적 미니멀리즘 미의식을 도출한 후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의 미의식을 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2008년 이후부터 2021년까지 중국문화에 노출되어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은 중국계디자이너들이 전통적 미의식을 통해서 미니멀리즘으로 재해석한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양 미니멀리즘과 상응하는 연관성을 갖는 ‘도’ 미학을 허(虛), 무위자연(無爲自然), 유(遊), 유무상생(有無相生) 등의 미적 개념으로 대별하여 조형적 특성 및 미적 가치를 살펴본 후 도출된 도가적 미니멀리즘의 미의식은 ‘비움의 허무미’, ‘미완의 약졸미’, ‘일기적 공간미’, ‘변증적 상생미’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내재된 미의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의 미니멀리즘의 ‘단순성’은 자연의 ‘본질추구’라는 특성을 내포한 ‘허’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허의 미니멀리즘적 단순성’에서 도출된 ‘비움의 허무미’는 무정형이며 일체의 꾸밈이 없는 직선형 실루엣의 간결한 형식으로 표출된다. 둘째, 미니멀리즘의 ‘환원성’은 ‘자연적 본질로의 회귀’라는 특성을 내포한 ‘무위자연’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무위자연의 미니멀리즘적 환원성’에서 도출된 ‘미완의 약졸미’는 인위적 흔적을 덜어내고 자연의 본성 그대로를 전시하기 위해 천연재료의 본형을 살리려는 방법으로 표출된다. 셋째, 미니멀리즘의 ‘상황성’은 ‘절대 자유의 공간 추구’의 특성을 내포한 ‘유’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유의 미니멀리즘적 상황성’에서 도출된 ‘일기적 공간미’는 비구조적 풍성한 실루엣, 천연의 질감을 갖는 소재 등을 통해 표출된다. 넷째, 미니멀리즘의 ‘전체성’은 ‘유무대립의 관계가 상생하여 강렬한 어울림’을 내포한 ‘유무상생’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유무상생의 미니멀리즘적 전체성’에서 도출된 ‘변증적 상생미’는 비대칭, 비균제적 조화를 통해 표출된다. 이상으로 자연주의적 색채가 강한 도가적 미의식은 환경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패션 디자인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Chinese minimalism fash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Do’ aesthetics of the Taoism, which has post-modern values. As a research metho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books, Western minimalism and its related ‘Do’ aesthetics were examined,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aoist minimalism was derived based on this, and the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inese minimalism fashion was analyzed. The scope of the study was targeted at works that were exposed to Chinese culture from 2008 to 2021 and reinterpreted as minimalism by Chinese designers who were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with a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aoist minimalism, which was derived after examin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by dividing the aesthetics of ‘Do’, which has a corresponding connection with Western minimalism, into aesthetic concepts such as ‘Heo’, ‘Muwi-jayeon’, ‘Yu’, ‘Yumusangsaeng’, appeared as ‘Empty Heomu beauty’ and ‘Unfinished Yakzol beauty’, ‘Ilgijeok Space beauty’, ‘Dialectic Win-win beauty’.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Chinese minimalism fash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implicity’ of Western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Heo’ which implies the ‘pursuit of the essence’ of nature, the ‘Empty Heo-mu beauty’ derived from ‘Heo’s minimalistic simplicity’ is expressed in a concise form of a straight silhouette without any amorphous ornamentation. Second, the ‘reduction’ of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Muwi-jayeon’,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return to the essence of nature’ and ‘Unfinished Yakzol beauty’ derived from ‘minimalistic reducibility of Muwi-jayeon’ is expressed as a way to remove artificial traces and reveal nature. Third, the ‘situationality’ of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Yu’,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bsolute freedom space pursuit’, and the ‘Ilgijeok Space beauty’ derived from ‘minimalistic situationality of Yu’, is expressed through unstructured silhouettes and natural textures. Fourth, the ‘wholeness’ of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Yumusangsaeng’ that implies ‘intense harmony due to the coexistence of relationships’, and ‘Dialectic Win-win beauty’ derived from the ‘Yumusangsaeng’ of the aesthetics of the ‘existence-free coexistence’ is expressed through asymmetric and non-uniform harmony. As mentioned above, the Taoist aesthetic with strong naturalistic color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 considering the environment.

      • KCI등재

        1960-70년대 서부 미니멀리즘 회화 작업의 지역성: ‘라이트 앤 스페이스 (Light & Space)’ 작가들을 중심으로

        김성우 한국미술이론학회 2022 미술이론과 현장 Vol.- No.3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race West Coast minimalists’ works of art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ir locality. West Coast minimalism is an art movement formed independently by ‘Light & Space’ artists from the Los Angeles area. This art movement shares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New York minimalism, especially extrinsic aspects, though Los Angeles artists were able to develop their unique artistic style based on locality of Los Angeles. This thesis discusses West Coast minimalism’s locality by focusing on their paintings. Although Los Angeles artists had been imitating Abstract Expressionism from New York in the mid-20th century, they initiated West Coast minimalism through non-traditional works such as shaped canvas and hard edge. Later, West Coast minimalism’s concern for painting converged with Pop Art, then created Finish Fetish. Finish Fetish was Los Angeles Pop art with a locality based on Los Angeles car culture. Furthermore, West Coast minimalism’s constant interest in painting resulted in the return of painting from objects and installations by Los Angeles artists in the 1970s. 본 연구는 1960-70년대 서부 미니멀리즘의 작업 경향에서 드러난 지역성을 통해 이들의독자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서부 미니멀리즘은 로스앤젤레스 화단이 주체적으로 형성한 예술 운동이라는 의의가 있다. 서부 미니멀리즘은 동시대 뉴욕 미니멀리즘과 유사성을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로스앤젤레스의 지역성에 기반한 독자성을 형성하였다. 이들의 독자성이 구축되는과정은 회화 매체를 주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뉴욕 미니멀리즘과 구별되는 주요한 지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부 미니멀리즘의 지역성이 특히 이들의 회화 작업에서 드러났음에 주목한다. 20세기 중반 기존 추상표현주의를 모방하던 로스앤젤레스 화단은 셰이프트 캔버스 및 하드 엣지형태의 비(非)-전통적 회화 작업을 통해 서부 미니멀리즘을 발단시켰다. 이후 서부 미니멀리즘은동시대 팝아트와 맞물려 피니쉬 페티쉬(Finish Fetish)로 이어졌다. 이때 피니쉬 페티쉬는 로스앤젤레스 자동차 문화라는 지역성을 바탕으로 로스앤젤레스 팝아트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하였다. 또한, 서부 미니멀리즘의 회화에 대한 지속적 관심은 1970년대 오브제 및 공간 작업으로 전환한 일부 작가들의 회화로의 복귀로도 나타난다. 회화의 복귀는 3차원 형태의 작업으로 총체적으로 전환한 뉴욕 미니멀리즘과 비교되는 서부 미니멀리즘의 특징이다.

      • KCI등재

        마틴 스미스(Martin Smith) 작품의 미니멀리즘적 표현과 조형성 연구

        이반디 한국도자학회 2018 한국도자학연구 Vol.15 No.2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minimalist expressions in British minimalist Ceramic Artist Martin Smith's works. Martin Smith's works maintain minimalist and architectural forms, starting with those by Raku burning to works by Red Ware. In addition, they have kept the craft identity of ceramics, keeping the form of a vessel. Thus,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minimalism of ceramics appearing in Martin Smith's works based on simplicity, repetitiveness and architectural quality that can be seen in the minimalist style of modern art. The minimalism of ceramics shows some difference from the minimalist style of fine arts.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traditional materials of ceramics are clay and glaze, which is a material limitation to show the style of fine arts as it i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e essence of minimalism, ‘reduction to things’ with ceramics. This is because, as compared to the minimalism of ceramics that presented industrial materials as they were, ‘ceramics’ are already the outcome of the plasticity of clay and glaze. Thus, it is noted that the minimalism of ceramics borrows just a part of the minimalist style of fine arts. Martin Smith’s works produc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imalism of ceramics, can be classified broadly into three stages. His earlier works showed the objective abstraction of minimalism, expressing the grid pattern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soot and glaze shown in the characteristics of Raku. His later works that used Red Ware with the shape of a building as a motif can be divided into vessel works of expression through the linear and architectural structure and the works that show the contrast of color between Red Ware and Metal Foil through the juxtaposition with metal materials. This Martin Smith's experimental formative language deviated from the traditional form of ceramics, but finally, it was concretized as the minimalism of ceramics and showed the expanded concept and expression of contemporary ceramic art. 본 연구는 영국의 미니멀리즘 도예가 마틴 스미스(Martin Smith)의 작품에 드러난 미니멀리즘적 표현에 관한 고찰이다. 마틴 스미스의 작품은 라쿠(Raku)소성에 의한 작품에서 출발하여레드웨어(Red Ware)에 의한 작품들까지 미니멀리즘적이며 건축적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용기(vessel)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도자의 공예적 주체성을 지켜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 미술의 미니멀리즘 양식에서 볼 수 있는 간결성, 반복성, 건축성을 바탕으로 마틴 스미스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도자 미니멀리즘의 조형언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도자의 미니멀리즘은 순수미술의 미니멀리즘 양식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도자의 주된 재료가 점토와 유약이라는 제한적인 부분이 순수미술의 양식을 차용하기에는 재료적 한계가 있고, 미니멀리즘의 본질인‘사물로의 환원’을 도자로써 표현하기에 무리가 따른다. 미술품을 특정한‘사물’로 규정하고 산업용 재료를 그대로 제시하였던 순수미술의 미니멀리즘에비해‘도자’는 이미 점토와 유약의 소성결과이기 때문에 미니멀리즘을 구성하는 근본적 형식에 위배된다. 이에 도자의 미니멀리즘은 순수미술의 미니멀리즘 특성 중 일부분만을 차용하여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자 미니멀리즘의 특성을 바탕으로 제작된 마틴 스미스의 작품은 크게 세 단계로분류할 수 있다. 초기의 작품에서는 라쿠소성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검은 그을음과 유약의 대비를 통해 그리드(Grid) 문양을 표현하며 미니멀리즘의 객관적 추상성을 보여주었고, 이후 레드웨어(Red Ware)를 사용한 작품들에서는 건축물의 형상을 모티브 하여 직선적이고 건축적 구조를 통해표현한 용기작품, 그리고 금속 재료와의 병치를 통해 레드웨어와 금속박(箔)의 색상대비를 나타내는 작품들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마틴 스미스의 실험적인 조형언어가 도자의 전통적 형식에서는 벗어나지만 결국 도자 미니멀리즘으로 구체화 되어 현대도예의 확장된 개념과 표현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해외 향수 용기 디자인의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강용원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1 No.65

        현재 사회는 다양한 정세성과 복잡하고 다양한 삶 의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이를 크게 분류하면 심플 하고 간소한 삶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즘과 웅장함과 거대함, 지나친 장식을 추구하는 맥시멀리즘이 함께 공존한다. 이러한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은 향수 용기디자인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 자인 분야에서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미니멀리 즘과 맥시멀리즘이 해외 향수 브랜드에 어떠한 특징 을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면서 조형적 특징을 분 류하고 향수 용기디자인의 트렌드에 대하여 연구하고 자 한다. 해외 향수 브랜드 선정은 가장 최근 자료인 향수 2019년 향수 브랜드 평판 1-6위로 한정지어 진행하였고 향수에 적용된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 의 특징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설문조사 방식은 2020년 11월 1일부터 12일 까지 12일 동안 온라인을 통해 20대 여대생 총 123명을 설문조사하였으며 그 중 유효한 108명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향수 브랜드 평판 1-3위인 샤넬, 조말론, 딥디크는 미니멀리즘에 가까 우며, 4-6위인 불가리, 구찌, 랑방은 맥시멀리즘에 가까운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향수 용기 디자인에 적용된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은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 특징이다. 현 시대는 미니멀리즘과 맥시 멀리즘의 공존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향수 용기디자인 에도 적용되면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향수 용기디자 인에 적용된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특징은 변화 차이를 구분 짓는 것에 대해서 한정적이다. 이처럼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특징이 향수 용기 디자인 에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수 용기 디자인의 개선방안을 모 색하고 경쟁력 있는 차별화된 디자인 개발에 기초자 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Currently, society coexists with minimalism, which pursues a simple and simple life in a complex and colorful environment, and Maximism, which pursues grandeur and grandeur, and excessive decoration. These minimalism and maximalism are also appearing in perfume container design.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classif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study the trend of perfume container design by analyzing what features minimalism and maximalism, which are closely related in the field of design, are showing in foreign perfume brands. The selection of foreign perfume brands was limited to 1st to 6th place in perfume brand reputation in 2019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conducting surveys on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and maximalism applied to perfumes. A total of 123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ere surveyed online for 12 days from November 1st to 12th, 2020 and analyzed based on a survey of 108 of them. In conclusion, Chanel, Jo Malone and Diptyque, ranked 1st and 3rd in perfume brand reputation, are close to minimalism, while Bulgari, Gucci and Langbang, ranked 4th and 6th, have shown near-maximalism. Also, the minimalism and maximalism applied to the perfume container design are characterized by the lack of clarity of distinction. The present era is manifested by the coexistence of minimalism and maximalism and the application of perfume container design. Also,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and maximalism applied to perfume container design are limited to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 between changes. So we looked at what features of minimalism and maximalism have come to be in the design of perfume container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find ways to improve the design of perfume containers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competitive differentiated designs.

      • KCI등재

        1980년대 현대도예의 미니멀리즘 태동에 관한 연구- 거트 랩의 작품을 중심으로 -

        이성은,김승욱 한국도자학회 2017 한국도자학연구 Vol.14 No.3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minimalism on contemporary ceramic art through the artworks of Dutch ceramist, Geert Lap. In the late of 1960s, Minimalism, which pursues minimum formative expression except for subjective emotion and contents, appeared as a resistance of abstract expressionism and maximization of formalism. About that time, the appearance of minimalism mainly influenced the field of fine art, but there was few attention on the minimalism in the 1980s ceramic art as it sought the exquisite handcraft value and expressionistic tradition. Despite its background, Geert Lap appeared as a typical ceramist who adhe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through making mechanical artworks by a firm plan with no contingency or material expression of ceramics. The minimalism of contemporary ceramics was disregarded by abstract expressionism that seeks the craft tradition and personality. On the other hand, Geert lap showed impersonality of minimalism through attempting industrial expressions with handwork. In addition, it represented anti-traditional inclination that expresses formativeness of minimalism by concentrating on the very simple geometric form with no decorative tradition. In summary, the art work of Geert Lap showed non-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craft by accepting minimalism of modern ceramics that was disregarded at that time, and showed the different phenomena with classic development of minimalism as it involved craft characteristic that uses hand skills and function on the background of materialized fine art minimalism. The importance of this paper is on the extension of discourse in ceramic art beyond the traditional view and reinvention of the value and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ceramics newly begun in the 1980s. 본 연구는 네덜란드 도예가 거트 랩(Geert Lap)의 작품을 통해 현대도예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의 특성과 성향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1960년대 후반, 추상표현주의의 대항이자 모더니즘 형식주의의 극대화로써 주관적인 감정과 내용을 배제하고 최소한의 형태적 표현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즘이 등장하였다. 당시 미니멀리즘의 등장은 순수예술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지만 1980년대 도자예술은 표현주의적인 전통과 정교한 수공예적 가치의 추구로 인해 미니멀리즘을 주목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거트 랩은 도예의 재료적 표현이나 우연성을 배제하고 철저한 계획을 통해 공장에서 생산된 듯한 기계적인 작품을 손으로 제작하여 미니멀리즘의 특성을 받아들인 대표적인 도예가로 평가되고 있다. 현대도예의 미니멀리즘은 인격성과 공예적 전통을 추구하는 추상 표현주의에 의해 외면되었지만, 거트 랩은 오히려산업적 표현을 시도하여 수작업을 통해 미니멀리즘의 비인격성을 드러내었다. 또한 공예의 오랜 장식적 전통을 수용하지 않고 매우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에 집중함으로써 미니멀리즘의조형성을 나타내는 반(反) 전통적 성향을 보였다. 즉, 거트 랩의 작품은 당시 각광받지 못한 현대 도예의 미니멀리즘을 수용하여 공예의 비(非)전통적 특성을 보여주었고, 반면 사물화 되어가는 현대미술의 미니멀리즘 배경 속에서 그의 작품은 기능성과 손기술을 이용하는 공예성을 내포함으로써 미니멀리즘의 전형적 전개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거트 랩의 작품을 통해 1980년대에 새롭게 태동한 현대도예의 미니멀리즘 특성과 가치를 재조명하고 전통적 관점을 넘어 도자예술의 담론을 확장하는데 의의가 있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