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뮤지컬 관객의 시장세분화 연구-국내 대학생 관객을 중심으로-

        김소영,신혜선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5

        This study tries to segment musical market to provide Korean musical marketers with marketing strategy implication. We focused university students who are known to form attractive market in the musical market through existing studies. For this research, we divided whole musical market using various variables such as musical audience’ demographic, lifestyle and purchasing behavior variables. Using mixture model, we could divided as four significant segments :'the type of musical mania', 'the type of musical preference', 'the type of musical medium' and the type of indifferent musical'. Each segment showed different musical purchase behaviors, lifestyle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lso we suggested marketing strategy to each segment. Our research result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 objectively musical market. 본 연구는 최근에 크게 성장하고 있는 뮤지컬 산업을 대상으로 뮤지컬의 주요 관객층인 대학생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시장별 특성을 파악하며, 각 세분시장별 마케팅전략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뮤지컬 기업의 마케터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ixture Model을 사용하여 시장을 세분화하였으며, 뮤지컬 세분시장 간 많은 유의한 세분화 변수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대학생 뮤지컬 관객은 크게 4 개의 세분시장(뮤지컬 선호형, 뮤지컬 매니아형, 뮤지컬 중간형, 뮤지컬 무관심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뮤지컬을 관람하는 대학생 관객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방법에 의해 시장을 세분화한 연구로서, 뮤지컬 관객에 대한 연구자들의 객관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는 학문적 의의와 함께 실무적으로는 뮤지컬 마케터들에게 시장세분화 등 소비자지향적인 마케팅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뮤지컬 대학생 시장에 대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통찰력과 기초적인 마케팅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실무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뮤지컬 <미스사이공>과 오페라 <나비부인>의 대본 비교를 통한 뮤지컬 콘텐츠의 장르적 특징 연구

        이승희(Lee, Seung-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2

        우리나라 뮤지컬 시장은 2001년 이후 꾸준히 성장해왔으며 2014년에는 3000억을 넘어서는 규모에 이르렀다. 하지만 한국창작뮤지컬은 적지 않은 편수를 차지할 뿐 작고 불안정한 수익구조를 보이고 있다. 뮤지컬은 장기공연과 높은 재 공연율로 수익성이 보장되는데 이를 위해 작품성과 함께 대중성이 요구된다. 이에 세계적인 제작 기류인 OSMU를 통해 적지 않은 창작뮤지컬이 제작되었지만 원작의 작품성과 대중성으로 제작 위험도만 낮출 뿐 제작편수에 비해 낮은 재 공연율을 보인다. 이에 필자는 뮤지컬의 장르적 특성을 고려한 각색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유사도가 높은 오페라 <나비부인>과 뮤지컬 <미스사이공>의 대본을 비교 분석하여 뮤지컬의 장르적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두 작품은 극과 음악의 결합이라는 공통점을 가짐과 동시에 작품의 주제, 인물구조와 인물행동, 그리고 극적구조에 있어 차이점을 보이는데 이를 통해 뮤지컬의 장르적 특성을 정리해보면 보편적 대중성, 함축적인 극적구조, 역동적인 극적진행으로 요약 할 수 있다. 한국창작뮤지컬은 아직 성장기에 있지만 장르적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인 각색을 통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인다면 드라마, K-POP를 이어 신 한류 문화예술 콘텐츠로서 당당히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The South Korean Musical market has been maturing steadily since 2001 and has reached a net value of over 30 billion KRW as of 2014. However, musicals composed and written in Korean, namely Korean musicals, occupy but a small and unsteady margin of profit in this total market. Any specific musical production ensures its profitability through fixed long-term performances as well as repeat performances; in order to do so, high theatrical quality and mass appeal are a necessity. Accordingly, a fair amount of Korean musicals have been produced through the worldwide production method of OSMU, but the factors shown to decrease production risk remain only through the theatrical quality and popularity of the original script, and there remain low performance reproductions compared to the amount of production investment. Hence, the author has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script adaptations that hav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musical theater, to contemplate the character of this very genre, by comparatively analyzing two scripts that are highly similar in nature, the opera <Madam Butterfly>, and the musical <Miss Saigon>. These two productions share the feature of being a combination of drama and music, while possessing contrasting subjects, character structures and behaviors, as well as differences in dramatic construction. Using the similarities and distinctions, one can summarize and organize them into universal popularity, implicit dramatic structure, and dynamic dramatic progress. Korean musical production is yet in its growth and maturation phase, but with professional adaptation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nature of the genre, Korean musicals are sure to find a firm place as a new Hallyu(Hanryu) cultural art form, among Television soap operas and dramas, and K-Pop. 우리나라 뮤지컬 시장은 2001년 이후 꾸준히 성장해왔으며 2014년에는 3000억을 넘어서는 규모에 이르렀다. 하지만 한국창작뮤지컬은 적지 않은 편수를 차지할 뿐 작고 불안정한 수익구조를 보이고 있다. 뮤지컬은 장기공연과 높은 재 공연율로 수익성이 보장되는데 이를 위해 작품성과 함께 대중성이 요구된다. 이에 세계적인 제작 기류인 OSMU를 통해 적지 않은 창작뮤지컬이 제작되었지만 원작의 작품성과 대중성으로 제작 위험도만 낮출 뿐 제작편수에 비해 낮은 재 공연율을 보인다. 이에 필자는 뮤지컬의 장르적 특성을 고려한 각색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유사도가 높은 오페라 <나비부인>과 뮤지컬 <미스사이공>의 대본을 비교 분석하여 뮤지컬의 장르적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두 작품은 극과 음악의 결합이라는 공통점을 가짐과 동시에 작품의 주제, 인물구조와 인물행동, 그리고 극적구조에 있어 차이점을 보이는데 이를 통해 뮤지컬의 장르적 특성을 정리해보면 보편적 대중성, 함축적인 극적구조, 역동적인 극적진행으로 요약 할 수 있다. 한국창작뮤지컬은 아직 성장기에 있지만 장르적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인 각색을 통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인다면 드라마, K-POP를 이어 신 한류 문화예술 콘텐츠로서 당당히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The South Korean Musical market has been maturing steadily since 2001 and has reached a net value of over 30 billion KRW as of 2014. However, musicals composed and written in Korean, namely Korean musicals, occupy but a small and unsteady margin of profit in this total market. Any specific musical production ensures its profitability through fixed long-term performances as well as repeat performances; in order to do so, high theatrical quality and mass appeal are a necessity. Accordingly, a fair amount of Korean musicals have been produced through the worldwide production method of OSMU, but the factors shown to decrease production risk remain only through the theatrical quality and popularity of the original script, and there remain low performance reproductions compared to the amount of production investment. Hence, the author has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script adaptations that hav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musical theater, to contemplate the character of this very genre, by comparatively analyzing two scripts that are highly similar in nature, the opera <Madam Butterfly>, and the musical <Miss Saigon>. These two productions share the feature of being a combination of drama and music, while possessing contrasting subjects, character structures and behaviors, as well as differences in dramatic construction. Using the similarities and distinctions, one can summarize and organize them into universal popularity, implicit dramatic structure, and dynamic dramatic progress. Korean musical production is yet in its growth and maturation phase, but with professional adaptation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nature of the genre, Korean musicals are sure to find a firm place as a new Hallyu(Hanryu) cultural art form, among Television soap operas and dramas, and K-Pop.

      • KCI등재

        국내·외 뮤지컬 어워즈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뮤지컬 안무의 발전방향 탐색

        신종철 한국무용학회 2022 한국무용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으로의 빠른 변화 속에서 한국창작 뮤지컬 안무영역의 현주소를 알아보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22년까지 브로드웨이의 토니상과 웨스트엔드의 올리비에상 그리고 한국의 뮤지컬 어워즈를 통한 안무 수상작품과 뮤지컬안무가들의 인터뷰자료를 토대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형 댄스 뮤지컬이 개발되어 안무의 중요도를 높여야 한다. 둘째, 한국창작 뮤지컬 안무 인력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브로드웨이와 웨스트엔드의 교류 및 한국창작 뮤지컬과 안무를 알려야 한다. 넷째, 영상과 기술의 융합적 개발에 적용할 뮤지컬 안무를 준비해야 한다. 현재 한국뮤지컬은 사회적 현상의 영향 속에서 다양한 작품 소재를 바탕으로 끊임없이 영역 확장 중이다. 이에 발맞춰 한국창작 뮤지컬 안무영역이 빠른 사회적 분위기를 감지하고 주체적으로 한발 앞서 예측하고 발전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

        한국 순정만화콘텐츠의 뮤지컬로의 매체 전환 연구

        하경진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3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6 No.-

        본 연구는 최근 뮤지컬산업계에 불고 있는 다양한 OSMU(One Source Multi Use)제작방식의 사례 중, 특히 출판만화를 활용한 공연매체전환에 대한 연구다. 먼저 만화콘텐츠가 뮤지컬로 전환하는데 있어 주목받는 이유를 각각의 매체의 특성에서 기인한다고 보는 것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만화콘텐츠는 시각적 스토리텔링 도구인 그림과 칸, 그리고 서사적 스토리텔링 도구인 대사와 인물 나레이션 및 해설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기 때문에 다른 문화콘텐츠와의 접목이 다른 매체보다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또 만화가 그 시장의 규모로 추정해 볼때 이미 만화 소비자로부터 기인한 ‘대중성’이 확보된 매체라는 점이 어떠한 공연 장르보다 ‘대중성’을 추구하는 뮤지컬 산업계에 매력적인 미디어믹스 방안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본 논고에서는 이러한 매체전환의 장점을 가진 만화콘텐츠 중 특히 ‘순정만화’가 뮤지컬화되는 현상에 주목하여 순정만화에 대한 사회적 통념들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특징들을 발견한다. 그 결과 순정만화의 일정한 조작적 정의를 얻고, 순정만화가 뮤지컬계의 러브콜을 받는 이유를 순정만화와 같이 뮤지컬의 주요관객층이 20~30대 여성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순정만화를 OSMU제작 방식으로 뮤지컬화 할 경우 흥행에 대한 높은 기대지평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로 얻은 조작적 정의를 활용하여 순정만화 「궁」이 뮤지컬 〈궁〉으로 재탄생 되었던 사례를 선택하여 각색과정에 있어 순정만화의 특징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접목되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뮤지컬 〈궁〉 이 원작만화의 장대한 에피소드들 중 일부분을 채택하여 변형·추가하는 방식을 택했다는 것을 분석하였으며, 이는 극 양식인 뮤지컬과 서사양식인 만화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판단하였다. 또 이러한 각색의 기준이 되는 것이 ‘갈등의 첨예화’임을 밝혀내고, 뮤지컬 서사의 특성인 ‘명백함’과 ‘익숙함’을 추구한 각색이었음을 밝혀내었다. 또 뮤지컬 〈궁〉의 각색과 성공요인 분석을 통해 뮤지컬 관객들에게 순정만화의 정서가 얼마큼의 소구력을 갖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원작의 힘을 떠나 뮤지컬 〈궁〉이 독립된 매체의 ‘창작뮤지컬’로서 자리를 굳건히 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인 각색의 보강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순정만화가 ‘창작뮤지컬의 새로운 소재개발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순정만화의 뮤지컬로의 각색’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This study is on the performance media shift using specially the published cartoons among cases of various O․S․M․U(One Source Multi Use) production methods. First, the point of departure of this study is on considering the reason for shifting cartoon contents into musical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a. Because the cartoon contents is a media that delivers message with visual storytelling tools, the drawing and columns, and narrative storytelling tools, the dialogue, narration, and commentary, it has a strong point of it being easier to graft with other culture contents, and considering the size of the market, the fact that it is a media that already secured ‘popular appeal’ due to the consumer of cartoons, it approached the musical industrial world as an attractive media mix method that pursues ‘popular appeal’ more than any other performance genre. This study paid special focus on the phenomenon of ‘pure love cartoon’ shifting into musical among various cartoon contents with such advantage of the media shift to review the social convention regarding the pure love cartoons and to find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is study obtained a consistent operational definition of pure love cartoons, and determined a reason for pure love cartoon receiving love calls from the musical world is because of high horizon of expectations on the box office success when pure love cartoon is shifted into musical with OSMU production method as a major stratum of musical audience is comprised of women in 20~30’s like the pure love cartoon. This study selected a case of how the pure love cartoon 「The Palace」is recreated into a musical to review how characteristics of pure love cartoon is being utilized and grafted during the dramatization proces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musical 〈The Palace〉 adopted part of extensive episodes of an original animation to choose a modification and addition method, and determined that it wa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a play style, the musical, and a narrating style, the cartoon.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at a standard of such dramatization is the ‘sharpening of conflict,’ and that it was a dramatization that pursued characteristics of musical narration, the ‘clarification’ and ‘familiarity.’ Also, through the dramatization of a musical 〈The Palace〉 and success factor analysis, this study verified how emotion of pure love cartoon has appealing power to the audience of musical. However, for a musical 〈The Palace〉, to establish its stance firmly as a ‘creative musical’ of an independent media apart from the influence of an original work, strengthening more professional dramatization is judged to be necessary, and at this point of how pure love cartoon is receiving attention as a ‘new material development market of the creative musical,’ this study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studies on the ‘dramatization of pure love cartoon into musical.’

      • KCI등재

        대극장 뮤지컬 포스터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비교연구

        임찬묵(Lim, Chanmoo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최근 2년간 대극장에서 공연된 뮤지컬의 포스터 디자인을 분석하여 한국의 시장 상황에 맞는 뮤지컬 마케팅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 뮤지컬시장은 현재 2000억 원 규모로 공연시장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작품마다 문화상품으로서 시장경쟁력을 찾기 위해 현업과 학계에서 계속되고 있다. 뮤지컬 마케팅에 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전통적인 마케팅믹스 요소인 7P(product, place, promotion, price, people, physical evidence, process)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promotion요소인 홍보 개념과 마케팅 개념을 크게 구분하지 않는 한국 뮤지컬 시장 현실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소비자들의 기호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뮤지컬 구매 행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경영 관점에서 뮤지컬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마케팅 방법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의 집합체인 포스터를 분석한다. 일정 규모 이상의 제작비를 가지고 다양한 마케팅 방법을 동원하고 있는 대극장 뮤지컬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작 방식에 따라 오리지널 뮤지컬, 라이선스 뮤지컬, 창작 뮤지컬로 분류하여 각기 다른 특징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뮤지컬 시장이 해외 유명 뮤지컬의 오리지널 공연이나 레플리카 라이선스 공연 중심에서 조금씩 탈피하면서 마케팅에서도 새로운 움직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외 작품을 들여올 때 한국 시장에 맞게 변형하는 논레플리카 라이선스 공연이 늘어나고, 창작 뮤지컬도 조금씩 성장함에 따라 제작자들이 작품의 자체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가지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만들고 유지하려는 브랜드경영 마인드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이를 위한 전문 인력도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poster designs for large scalemusicals that were performed in recent two years and seek to find directions formarketingmusicals that fit toKorean market. The size of themusicalmarket inKorea is estimated around 200 billionKoreanWonwhich is largest in size in performing arts sector. Due to the size of themarket, there are efforts in the field aswell as the academia in order tomake everymusicalmarket competitive.Most of the prior studies inmusicalmarketing focusedon traditional marketingmix, 7P(product, place, promotion, price, people, physical evidence, process). These studies are not directly applicable in Koreanmusicalmarket which does not separate the concept of promotionandmarketingandcannot fullyexplainthepurchaseprocess ofmusical performancewhichconsumer’s taste is the keydecision factor. Therefore, in this study, I researched ways to market musicals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taste of the consumers. In order to do so, I analyzed the poster of musical which is the aggregation of the design factors that consists brand identity. I analyzed large scale musicals only since they have the budge to operate different types of marketing and I categorize musicals into original, license and newly-created musicals and analyze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fter the analysis I identified different attempts of marketing as themarket hasmoved fromoriginal or replica licensemusicals. The producers aremaking every efforts in order to growa brand identity asmore foreignmusicals are produced in forms of non-replica license performance in order to fit the needs of theKoreanmarket andmore newly-created musicals are produced.However, I couldnot identify a producerwith a long termbrand strategy andthemarket lacks professionalswho have such competency. 본 연구는 최근 2년간 대극장에서 공연된 뮤지컬의 포스터 디자인을 분석하여 한국의 시장 상황에 맞는 뮤지컬 마케팅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 뮤지컬시장은 현재 2000억 원 규모로 공연시장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작품마다 문화상품으로서 시장경쟁력을 찾기 위해 현업과 학계에서 계속되고 있다. 뮤지컬 마케팅에 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전통적인 마케팅믹스 요소인 7P(product, place, promotion, price, people, physical evidence, process)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promotion요소인 홍보 개념과 마케팅 개념을 크게 구분하지 않는 한국 뮤지컬 시장 현실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소비자들의 기호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뮤지컬 구매 행위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경영 관점에서 뮤지컬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마케팅 방법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의 집합체인 포스터를 분석한다. 일정 규모 이상의 제작비를 가지고 다양한 마케팅 방법을 동원하고 있는 대극장 뮤지컬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작 방식에 따라 오리지널 뮤지컬, 라이선스 뮤지컬, 창작 뮤지컬로 분류하여 각기 다른 특징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뮤지컬 시장이 해외 유명 뮤지컬의 오리지널 공연이나 레플리카 라이선스 공연 중심에서 조금씩 탈피하면서 마케팅에서도 새로운 움직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외 작품을 들여올 때 한국 시장에 맞게 변형하는 논레플리카 라이선스 공연이 늘어나고, 창작 뮤지컬도 조금씩 성장함에 따라 제작자들이 작품의 자체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가지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만들고 유지하려는 브랜드경영 마인드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이를 위한 전문 인력도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poster designs for large scalemusicals that were performed in recent two years and seek to find directions formarketingmusicals that fit toKorean market. The size of themusicalmarket inKorea is estimated around 200 billionKoreanWonwhich is largest in size in performing arts sector. Due to the size of themarket, there are efforts in the field aswell as the academia in order tomake everymusicalmarket competitive.Most of the prior studies inmusicalmarketing focusedon traditional marketingmix, 7P(product, place, promotion, price, people, physical evidence, process). These studies are not directly applicable in Koreanmusicalmarket which does not separate the concept of promotionandmarketingandcannot fullyexplainthepurchaseprocess ofmusical performancewhichconsumer’s taste is the keydecision factor. Therefore, in this study, I researched ways to market musicals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taste of the consumers. In order to do so, I analyzed the poster of musical which is the aggregation of the design factors that consists brand identity. I analyzed large scale musicals only since they have the budge to operate different types of marketing and I categorize musicals into original, license and newly-created musicals and analyze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fter the analysis I identified different attempts of marketing as themarket hasmoved fromoriginal or replica licensemusicals. The producers aremaking every efforts in order to growa brand identity asmore foreignmusicals are produced in forms of non-replica license performance in order to fit the needs of theKoreanmarket andmore newly-created musicals are produced.However, I couldnot identify a producerwith a long termbrand strategy andthemarket lacks professionalswho have such competency.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에서의 뮤지컬 영화 수용 양상 연구

        안재석 한국영화학회 2019 영화연구 Vol.0 No.82

        Musical film is a genre that was born with the introduction of talkie, or sound film. Following the success of The Jazz Singer (1927), the world’s first talkie and musical film, Hollywood studios began to churn out films based on music and dance. By the early 1930s, more than 150 musical films were produced and it has a full-fledged genre since 1933, leading the golden age of Hollywood studio system in the 1930s and 1940s. However, the era of sound films in Joseon was not the era of musical films. Although sound films began to be shown in Joseon in 1930 and the first Joseon-language sound film was made in 1935, musical films did not settle into mainstream genre in both screening and production. At that time, Joseon was the Japanese occupation that has been subordinated in entire culture and film industry by Japan. Yet why couldn’t musical films become mainstream genre in Joseon, which has been more exciting than any other nation and has enjoyed a play culture. This paper has its primary purpose in solving these questions.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and historicalize the attempts and efforts of unknown and unrecognized Joseon filmmakers toward musical films. For this purpose, First I looked at the process of musical films shaping and evolving as a genre, going through various forms during the age of Hollywood studio system. And I studied how musical films were introduced and accepted into theaters in Joseon, and how Joseon filmmakers created the musical moment of Joseon films, based on the newspaper and magazine materials of that time and various preceding research. 뮤지컬 영화는 토키(talkie), 즉 발성(發聲)영화가 도입되면서 탄생한 장르이다. 세계 최초의 발성영화이자 뮤지컬 영화인 <재즈 싱어(The Jazz Singer)>(1927)의성공 이후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은 앞다투어 음악(노래)과 춤을 기반으로 한 영화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는데, 1930년대 초반까지만 150여 편에 이르는 뮤지컬 영화가 제작되었고 1933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장르로서의 틀을 갖추고 1930∼1940 년대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하지만 조선의 발성영화 시대는 뮤지컬 영화의 시대가 아니었다. 1930년부터조선에서도 발성영화가 대중 상영되기 시작했고 1935년에는 최초의 조선어 발성영화도 만들어졌지만, 뮤지컬 영화는 상영에서도 제작에서도 주류 장르로 정착하지 못했다. 당시 조선이 문화와 영화산업 전반이 일본에 종속되어 있던 일제강점기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 어떤 민족보다도 흥(興)이 많고 탈놀이, 꼭두각시놀음, 판소리, 남사당놀이 같은 연희 문화를 즐겨왔던 조선에서 왜 뮤지컬 영화는 주류 장르가 될 수 없었을까? 본 논문은 바로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해보는 데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혹은 인정받지 못했던 조선 영화인들의뮤지컬 영화를 향한 시도와 노력을 발굴하고 역사화하려는 목적도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 시기 다양한 양식을 거치며 뮤지컬 영화가 장르로서의 틀을 갖추고 발전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당대 신문, 잡지 자료와 일제강점기 조선의 가극/악극, 외국영화의 수입-배급-상영, 발성영화의 제작 등을 다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들 뮤지컬 영화가 조선의 극장가에 어떻게 소개되고수용되었는지, 그리고 조선 영화인들은 어떤 방식으로 조선영화의 뮤지컬적 순간을 만들어냈는지 고찰해보았다.

      • KCI등재

        한국 창작뮤지컬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뮤지컬 「김종욱 찾기」를 중심으로-

        김설화 ( Xuehua J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는 중국 내 수용된 한국 창작뮤지컬의 수용현황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작품으로서는 최초로 논-레플리카(Non-replica) 방식 즉 라이선스 형태로 중국에 수용된 작품인 창작 뮤지컬 「김종욱 찾기」의 대본에 대한 분석, 작품이 중국에 수용되면서 변화한 부분, 그리고 중국 내에서의 수용현황 및 의의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 창작뮤지컬의 수용 특성 및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한국 창작뮤지컬의 성공적인 중국 수용 원인을 외적인 요인과 내적인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외적인 원인 부분에서는 한국 문화가 동아시아 문화권의 ‘동질성’을 바탕으로 중국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간다는 측면, 그리고 한국 문화가 동아시아 내의 ‘중심지’로서 서양 뮤지컬과는 또 다른 방식으로 뮤지컬 산업의 거점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한국 창작뮤지컬이 중국 뮤지컬 시장에 미친 영향을 통해 결과적으로 중국에 수용된 한국 창작뮤지컬이 중국의 뮤지컬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present state of Korean creative musical accepted in Chin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cript of Finding Kim Jong-wook, which was the first Korean creative musical accepted in China in the form of non-replica, namely, in the form of a license agreement, changes when this work was accepted in China, and the present state of acceptance in China and its significance.This study classified successful acceptance factors of Korean creative musical in China into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by analyzing acceptanc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Korean creative musical in China. Especially, in terms of external factor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Korean culture has been approaching the Chinese public in a familiar way, based on ‘homogeneity’ of the East Asian cultural sphere and has been forming a stronghold of the musical industry in a different way from Western musicals, as a ‘center’ in East Asia.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Korean creative musical accepted in China is having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nese musical industry.

      • KCI등재

        뮤지컬 명성황후에 나타난 음악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명성황후 시해 사건을 중심으로-

        문선아 ( Sun Ah Mo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1 No.-

        뮤지컬 명성황후는 명성황후 시해사건 100주년을 맞이하여 이 문열의 『여우사냥』을 원작으로 하여 제작되었고 1995년 예술의 전당에서 초연을 시작으로 1997년 뉴욕 브로드웨이 공연, L.A, 런던, 토론토 등의 해외에서 공연되었으며 한국을 대표하는 창작 뮤지컬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다. 이러한 명성으로 인해 그동안 여러 분야에 있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뮤지컬 명성황후가 실제 역사 속에서 명성황후의 시해사건과 얼마나 연관성을 가지며 그것들을 뮤지컬 속에서 잘풀어내고 있는지 또한 그것들을 음악적으로 잘 그려내고 있는지 명성황후 시해사건과 관련된 주요 곡들을 분석해 보았다. 명성황후 곡 중에 이와 관련된 곡은 이또오가 명성황후를 제거하기 위해 미우라를 소개하고 천황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1막의 마지막 장면인 ‘정한회의’, 2막의 미우라와 낭인들의 명성황후 암살과 작전을 선포하고 천황을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을 맹세하며 ‘여우사냥’ 의식을 거행하는 장면에서 나오는 곡인 ‘이 술이 식으면’ 그리고 명성황후가 미우라와 낭인들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 장면에서 나오는 곡인 ‘홍계훈의 최후, 왕비마마 들짐승에 쫓기시네/왕비를 찾아라 여우를 죽여라’이다. 이렇게 총 3장면의 곡들을 골라 음악을 분석하고 가사와 음악과 장면과의 관계를 통해 역사적으로 중요한 명성황후 시해 사건을 어떻게 재조명했는지 알아보았다. 명성황후 시해 사건과 관련된 주요 곡들을 분석하면서 아쉬웠던 부분들은 세계가 인정하는 초대형 우리나라 창작 뮤지컬인 이작품에서 음악적으로 한국적 색채가 적다는 것이다. 전통음악을 통한 효과를 거의 볼 수 없었다. 물론 뮤지컬 명성황후 작품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무과시험이나 수태굿, 그리고 양이와의 전투장면, 고종의 어전회의에서는 국악기의 사용이나 장단, 5음음계 등 전통적인 색채를 가지고 있으며 민족주의적인 사상을 고취하기 위한 전통음악의 사용이 엿보여 한국적인 색채를 잘 표현한 부분도 없진 않다. 하지만 명성황후 시해사건과 관련된 주요 곡들은 서구 뮤지컬 음악의 반주 형태인 2관편성의 음악으로 이루어져있다. 만약 이또오, 미우라, 낭인들의 등장에서는 일본의 색깔이 짙은 음악을 사용한다든지, 명성황후 시해 장면에서는 국악기과 일본악기들을 사용하여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한 극적효과를 보여주는 것이 맞는 것은 아닐지 고려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뮤지컬 명성황후가 전 세계적으로 공연되어지고 앞으로 우리나라를 더욱 알리는 역할을 함에 있어서 우리의 색채와 일본의 색채를 음악적으로 극명하게 대립 시켜 역사적인 사실을 더욱 살려주고 회전 무대의 활용과 함께 극적 효과를 주는 점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역사적 고증의 철저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뮤지컬 명성황후와 관련된 논문을 쓰면서 자료에 수집 확보에 대한 한계점을 느꼈다. 뮤지컬에서 음악은 다른 요소들과 함께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한다. 물론 초연 이후에 조금씩 음악에 수정, 보완이 되기도 하지만 철저한 음악 분석을 위해서 그리고 더 나아가 뮤지컬의 발전을 위해 자료 수집에 대한 어려움은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라 생각한다. Musical is the crown jewel of all performing arts with its ever increasing popularity. From plot, music, fancy stage setting to make-up, musical encompasses various artistic genres. Among them, music and plot are crucial in increasing its quality as an artistic genre. Commemorating the 100th year of the assassination of the Empress Myeongseong, the musical was produced based on the novel, ‘Fox Hunting’ by Mun-Yol Lee. It debuted in 1995 at the Seoul Arts Center in Korea and continued its run outside of Korea first in New York Broadway in 1997, L.A., London and Toronto after that, establishing its foothold as a Korea’s representative original musical. Thanks to such fam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it in various areas. However, more researches are required regarding its music. In the study, it is to analyze how much the musical is related with the historical event and to analyze its main songs related with the event to know how well it describes the event in the musical and musically. In the study, total of four songs were selected and their music, lyrics and scenes were analyzed to know their relations and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historically important event was reviewed. The first song is ‘Meeting on Japan``s chosun policy’ from the last scene of the act 1 in which Ito introduces Miura to assassinate the Empress Myeongsong and they swear loyalty to the Japanese Emperor. The second and the third songs are ‘By the Time This Drink Gets Cold’. This song is from the act 2 in which Miura and killers conspire the assassination under the name of “Fox Hunting” and swear loyalty to the Japanese Emperor and conducted the ceremony. The last song is ‘Last of General Hong / The Queen is Hunted Dow / Find the Queen, kill the Fox’ from the scene in which the Empress is killed by Miura and killers. It was most regrettable that the worldly-renowned and mega-sized Korean original musical lacks Korean traditional color, musically. There was almost no Korean traditional musical effect. There are few parts which show Korean traditional color well by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rhythms and pentatonic scale. They include the scenes of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exorcism for child-bearing, battles with westerners and the conference before the King Kojong. And such scenes use Korean traditional music to instill nationalism. The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rather than using western style orchestra, music with thicker Japanese colors are used for the scenes in which Ito, Miura and killers appear. In addition, using Korean and Japanese musical instruments should be considered to show more dramatic effects for the scene of the assassination of the Empress Myeongsong. The musical will be performed worldwide and therefore, will promote Korea’s international status. Therefore, it could be recommended to contrast Korean color and Japanese one more dramatically in music to highlight the historical fact and to use revolving stage to give more dramatic effects. Moreover, more tho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is required. In addition, it was not easy to collect data in writing the thesis regarding the musical. Music is very important along with other elements in musical. Songs are generally revised after its debut for better performance. However, for more thorough music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production; it should become easier to collect data. The musical the Last Empress is a frontiersman of the Korean original musical and is significant that it opened the way to the world stage for Korean original musica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DIMF)의 지속적 발전방안 연구

        오동욱 한국지역문화학회 2017 지역과 문화 Vol.4 No.4

        본 연구는 2007년부터 지속적으로 개최되고 있는 뮤지컬 종합축제인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뮤지컬시장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의 운영현황과 SWOT 분석을 토대로 새로운 개선 전략과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속적 발전을 위한 방안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의 전문화이다. 이를 위해 상임 프로그래머 체제를 도입하고, 창작뮤지컬 및 신인 인재 발굴을 지원하는 창작메카로 브랜딩할 수 있어야한다. 둘째, 재정의 안정화이다. 이를 위해 뮤지컬 전용공연장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기업 멤버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 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 마인드 교육을 꾸준히 실시하는 등 메세나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야 한다. 셋째, 해외교류 및 아트마켓 강화이다. 해외 유명 뮤지컬페스티벌과 우정축제룰 체결하고 특화된 아트마켓 기능을 가진 축제로 성장해야 한다. 이를 통해 11회째를 수행한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이 축제 효용성을 증대시키고 월드클래스 축제로 도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