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신은 더 많이 가지고 싶은가 아니면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이 가지고 싶은가?

        윤태웅(Yun, Tai-Woo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9 No.2

        본 연구의 연구1에서 물질적 소비와 경험적 소비가 소비자의 행복감에 있어서 차이를 만드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최근의 구매로 인한 행복감과 오래전 구매로 인한 행복감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만약에 차이가 난다면 과거의 구매 기억이 더 아름답게 보이는지를 시간적으로 최근에 구매한 물질적/경험적 구매와 시간적으로 먼 과거에 구매한 물질적/경험적 구매를 비교함으로써 알아보았다. 그리고 구매 유형(물질적 구매/경험적 구매)과 구매 시기(최근의 구매/오래 전 구매), 그리고 물질주의 성향이 서로 어떻게 소비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2에서는 물질적 구매/경험적 구매를 포함한 개인적 특성, 물질적 소유, 경험적 특성이 상대적 민감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연구1에서 다룬 물질적 구매와 경험적 구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완적 설명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경험적 구매가 물질적 구매에 비해서 피험자의 행복감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매 시기도 또한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매 유형, 구매 시기, 물질주의 간에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물질적 구매/경험적 구매를 포함한 개인적 특성, 물질적 소유, 경험적 특성이 상대적 민감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경험적 특성(휴가 기간, 휴가 장소, 근로 시간)은 절대적 수준에 더 민감한 것을 알 수 있고 개인적 특성(외모, 지능)과 물질적 소유(자동차 소유 대수, 방 개수)는 상대적 위치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밝히고 있다. In study 1, this study examines if there is a difference in happiness between material purchases and experiential purchases. Further, if there is a difference in happiness depending on when purchases are made does more happiness come from purchases made long ago compared to the recent purchase? In addition to the main effects potential interaction effects are examined among type of purchase (material vs. experiential), time of purchase (during previous school break vs. whole life), materialism. In study 2, inher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beauty and IQ, material possesions,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are assessed for their sensitivity to positional concerns. Findings on the sensitivity to positional concerns would provide insights to why material vs experiential purchase differ in happiness. Results of the study 1 and 2 suggest that experiential purchase makes people happier than material purchases. In addition, time of purchase influences how we feel happiness after purchase.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s among type of purchase, time of purchase and materialism. When it comes to positional concerns it was found that inher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beauty and IQ are positional. Also, material possessions such as car ownership and number of rooms in house are positional relative to experienal characteristics such as vacation length, vacation location and working hours that are more absolute.

      • KCI등재

        물질적 상상력에 기반한 맑은 물의 이미지 연구 - 가스통 바슐라르의 이론을 중심으로 -

        정호정,김지혜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aterial image of water which can be extended beyond the boundary of visual image and to express it through the medium of ceram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the material imagination of water which lead us go further from stereotype and piecemeal image of water that has dominated in our culture and thinking. Water itself does not have particular form of existence. Influenced by its external environment, water creates various forms. These are visual images produced from the external form of the object. However, there exists material image of water that can be appreciated deeper than the figurative image. The material image is led by the material imagination and revealed based on materiality of the object. French philosopher, Gaston Bachelard(1884-1962), stated that the human imagination is basically materialistic; that we understand the object by material not by form. His material imagination theory tells us to project our mental shape and lives through water so that we could rediscover it within our imagination. The material images of water is vibrant and lively, which at the same time could be a medium to discover imagination of new image. Consequently, the process provides us vision of new imagination which is novel to contemporary life and society. 본 연구는 보편적인 시각 이미지의 영역 너머로 확장될 수 있는 물의 물질적 이미지들을 찾고 이를 도자라는 매체를 통하여 구현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우리 문화와 사고 안에지배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물에 대한 고정관념과 단편적인 이미지로부터 더 나아가 새로운 이미지를 그릴 수 있도록 하는 물의 물질적 상상력의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물은 고정된 형태가 없는 유동적 물질로 존재하는 장소에 따라 그 형태가 변화한다. 이는사물의 외적 형태를 대상으로 하여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형상적 이미지로 설명된다. 그러나이 형상적 이미지보다 더 깊은 곳으로부터 인식될 수 있는 물질적인 이미지가 존재한다. 이러한 물질적 이미지는 물질적 상상력에 의해 이끌어지는 것으로 이미지 대상의 물질성을 바탕으로 발현된다. 프랑스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1884-1962)는 인간의 상상력이 근본적으로 물질적이라고 하며 우리에게 이미지를 제공해 주는 대상을 형태로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물질로 파악하였다.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 이론은 물을 통해 우리 자신의정신적 모습과 우리의 삶을 투영하고 이를 우리의 상상 속에서 재발견해야 한다고 하는 것이다. 물의 물질적 이미지는 활기차고 살아있으며, 다양하고 새로운 이미지의 상상력을 발견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것은 우리를 새로운 상상의 세계로 나아가게 할뿐만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과 사회에 대해 새로운 이미지를 그리는 상상력의 가능성을 조망하게될 것이다.

      • KCI등재

        인도 수행전통에서 물질적 소유의 의미

        이거룡(Lee Geo-Lyong) 한국인도학회 2007 印度硏究 Vol.12 No.2

        불교든 기독교든, 종교는 삶이 고통이라는 자각에서 출발한다. 삶이 고통이라는 자각은 흔히 물질적인 빈곤에서 일어나기 쉽다. 그러나 오히려 물질적인 풍요로부터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불교를 포함한 인도종교전통에서 종교적인 삶의 출발은 후자의 경우에 가깝다. 이에 비하여 기독교 등의 서양 종교는 전자에 가깝다. 이와 같이 인도종교는 물질적인 풍요와 밀접한 관련을 지니며, 물질적인 풍요에서 일어나는 현실에 대한 절망을 자양분으로 자라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 무소유를 계(戒) 또는 서(誓)로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이 점은 특히 불교와 자이나교 그리고 요가 등의 수행전통에서 현저하다. 널리 알려진 것처럼, 자이나교는 무소유를 5대서(大誓) 중의 하나로 들고 있으며, 부(富, artha)를 인생의 4가지 목표 중 하나로 삼는 정통 힌두교학파인 요가학파에서는 또한 무소유를 금계(禁戒, yama) 중의 하나로 꼽는다. 본 논문에서는 인도종교 특히 물질의 풍요와 함께 흥하는 수행전통에서 무소유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지금 이 시대의 물질적인 풍요와 수행문화의 함수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인도종교의 수행전통에서 물질적인 소유에 대한 입장은 흔히 ‘무소유’라는 서원 또는 계율의 형태로 드러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불교, 자이나교, 요가전통에서 무소유 개념이 지니는 의미, 둘째, 고대인도의 수행자들의 삶 속에 나타난 무소유 정신, 셋째, 오늘 우리에게 무소유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material possession in Indian Buddhism, Jainism and Yoga school, which may be regarded as typical traditions of self-discipline throughout the history of Indian religions. The origin and prosperity of Indian religious traditions in general is closely related to a society where material abundance is made remarkable progress. Nevertheless, Indian religions, especially Buddhism, Jainism, and the Yoga system of Patanjali prescribe no-possession in their precepts. 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abundance and no-possession is examined with regard to those religious traditions. No-possession in the 'having nothing' is, from the external appearance, similar to poverty. But it is quite different from poverty in a general sense. It is obvious from the ancient Indian scriptures that disciples of the Buddha and Mah?vira, most of whom were of high standing, spontaneously renounced their material resources, wealth, family, social status, and so forth, as the Buddha or Mah?vira himself. Having abandoned material possessions of the world, through concentration on meditation and mental cultivation, they eagerly dedicate their life to spiritual ideal human beings ever cherished. Religious renouncement is much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poverty in that it is "not able to have' but 'do not want to have.' In Hindu religious traditions, the idea of no-possession, that is, "do not want to have", is realized through "giving up something available." The most important message, in my opinion, that Indian philosophy presents to modern society, is the teaching of renunciation. "How do we give up?" and "What should we give up?" These questions will become decisive for the happiness of an individual or a society in the future. Of course, here renunciation does not mean a pessimistic idea. When one gives up something obtainable voluntarily, his or her renunciation has meaning on the way of spiritual enhancement. Just giving up something unreachable to us has no meaning. Giving up something that is within our reach is meaningful to us.

      • KCI등재

        특집논문2 : 중세 후기의 “열리는 성모상”과 그리스도교 신앙의 물질적 상상력

        안연희 ( An,Youn He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4 종교문화비평 Vol.25 No.25

        이 글은 중세 후기의 “열리는 성모상(Vierge ouvrante)”의 형태와 구조를 살펴보고 그 의미작용을 분석함으로써, 중세 그리스도교의 신앙의 감각적 표현과 역동적인 물질적 상상력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열리는 성모상”은 겉보기에는 중세의 전형적인 성모자상과 흡사하지만, 성모의 몸에 수직으로 난 양문을 열면 그 내부에 삼위일체 도상이나 동정녀 마리아의 생애 서사, 수난 모티브 등이 배치되어 있는 이중 구조의 성모상이다.대략 중세 성모신심을 배경으로 13세기부터 서북부 유럽 각지에서 꾸준히 만들어지다18세기 무렵 공식적으로 금지되었다.이러한 성모상에 대한 연구는 주로 내부 주제에 따라 형태를 분류하고 그 상징적 의미나 도상학적 기획을 파악하는 것에 집중되어 왔다. 크게 삼위일체형과 서사형(혹은 성모의 생애 형)으로 분류되는데, 특히 삼위일체형은 유독 주목을 받았다. 일단 삼위일체 교리의 시각적 재현처럼 보이기에, 오히려 그 교리를 부정확하게 함축할 여지가 있다는 비판을 받았던 것이다. 그러나 성모신심이 발달한 중세 후기에 문제가 된 것은 성모의 몸이 삼위일체 전체를 품을 수 있다는 관념 자체보다 오히려 그것이 독특한 이미지로 구현될 때의 효과였다.“열리는 성모상”의 특징은 내부 주제만큼이나 독특한 형태와 구조에서 발견되며, 바로 그 부분에서 중세 그리스도교 신앙의 감각적 차원과 물질적 상상력을 파악할 수 있다. 열리는 성모상은 첫째, 그리스도의 성스러운 물질, 즉 성체와의 밀접한 연관 속에서 발달한 그리스도교 성상의 일부로서, 중세 그리스도교의 물질관과 물질에 대한 양가적 인식을 구원과 연결시키는 종교적 상상력을 보여준다. 둘째,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문으로서의(이자) 마리아의 몸(Mary as doors)과 내부의 핵심 주제를 담고 있는 용기로서 의(이자) 마리아의 몸(Mary as containers)을 물질적으로 전시하고 형태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셋째, 이러한 성모상은 공식적인 의례보다는 사적인 심심의 장에서 주로 활용된 것으로 보이며, 내부를 열고 응시하는 과정에 예배자가 성상에 접촉하여 문을 여는 적극적인 행위가 필요하므로, 신심의 시각적, 촉각적 차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열리는 성모상”의 물질적 형태와 구조는 영원히 닫힌 문이자 구원의 열린 문이라는 마리아 상징의 이중성과 연결되고, 생성되고 부패되는 물질이 바로 그 변화의 성질을 통해 신적 구원의 장소가 되고 매개가 되는 것을 드러냄으로써, 중세 그리스도교 신앙이 가진 물질적 상상력과 교리적 표현을 넘어선 감각적 신심의 차원을 보여준다. 중세의 열리는 성모상은 물질과 마리아의 몸이 교환되고 구조적으로 동작가능성을 내포한 ‘움직이는 성물’로서 무감각하고 고정된 조각상의 개념에 도전하고 ‘움직이는 물체’라는 신적인 성격에 근접한다. 우리에게 내부와 외부의 물질적 현존과 공존을 보여주고, 움직이지 않는 사물에 활동을 불어넣으며 신적인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그것은 육체성의 소거를 추구하는 관념적 기획이 아니라, 철저히 물질성으로 환원되는 육체성과 교감하고 상호작용하는 중세 그리스도교의 물질적 상상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research the distinctive form, structures, and patterns of the so-called “Vierge ouvrante” as an evidence of the religious senses, and analyse its construction of religious meaning, and finally illuminate the religious sensations, the intimate and multisensory piety, and the dynamic material imagination of late Medieval Christianity. The “Vierge ouvrante”(Opening Mary or Triptych Virgin), is type of Marian statue in which the body of the Virgin is constructed by doors that open up and reveal an image of The Trinity or the iconography of the Life of The Virgin and/or the Passion of Christ. These statues are told to have been produced in various places of Western and Northern Europe during the late Medieval periods and have been officially banned in about eighteen centuries. They are classified two types, that is Trinity figures and narrative figures according to its interior programs. The latter type has become the focus of attention as well as criticism, because of not only its dogmatic manifestations but its dubious implications. But Taking account of the ardent devotion to Virgin Mary of late medieval periods, what was more problematic might be not its dogmatic ideas (holy Mary as the chamber of whole Trinity) but the sensory effect of image itself. If examining “Vierge ouvrante” in terms with its material form and structure as well as its interior motives, we are able to comprehend the sensory dimension and material imagination of Medieval Christianity. First, the Vierge ouvrante, as one of sacred images of Christianity which had been developed in close relation with holy matter(host), shows the Medieval Christianity’s view of matter and its religious imagination connecting ambivalent concerns about materiality with Christian soteriology. Second, the statues express a full nexus of ideas about the Virgin-the Virgin as an open door to salvation and as a closed door of inviolate purity- as well as ideas about the door and the body as markers of crucial boundaries. Third, this door-hinged form might played a role in the construction of meaning. The tactile process of touching the statue and the positive action of opening the Virgin’s body suggests that this sculpture might have been used in the fields of private and intimate piety more than official ritual, and shows that it would have made use of the complicate mechanism of optic and haptic piety. In short, the material form and structure of “Vierge ouvrate” exemplifies the material imagination and sensory dimension of christian piety, by displaying that matter can become both the locus of salvation and the medium of it through the very changeable quality in spite of its generated and corrupted attribute, and embodying the duality of Marian symbol as eternally closed door and blessedly opened door of salvation in the opening sculpture.

      • KCI등재

        ‘물질적 전회’와 그에 대한 불만

        황정아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2 개념과 소통 Vol.- No.29

        The ‘material turn’ emerged as a reaction to the ‘linguistic turn’ which exerted a major influence in the realm of discourse throughout the 20th century. The material turn comprises a variety of theories, such as new materialism, speculative realism, object-oriented-ontology, and actor-network theory, all of which share as their primary purpose escaping from the ‘prison-house’ of language and epistemology, or what is often called ‘correlationism.’ This purpose requires an ontological reorientation, which, in turn, entails a new understanding of the vitality, power, and agency of nonhuman materials/ objects/things as expressed by the notion of a ‘flat ontology.’ With this understanding, humans turn out to have always existed in networks with non-humans, and have thus never been independent subjects, so that anthropocentrism has become a shared theoretical target. There ar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theories, One prominent difference concerns how to characterize materiality or objectness: whether things exist primarily as (individual) substance or in relation. Another point in dispute refers to Marxist historical and dialectical materialism, which for some is a hidden theoretical target of the material turn. Thus, theories of the material turn frequently criticize Marxist materialism as being confined to an anthropocentric subject-object dualism, whereas Marxists seek to refute this charge through a revised elucidation of the concept of totality. Proponents of the material turn claim enhanced political potential to cope with urgent issues and challenges in the material world, but it is unclear whether any of these theories can offer more plausible solutions for today’s most serious and pressing material crises, a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capitalism. 20세기 전반에 걸쳐 학계의 표준으로 영향력을 미친 ‘언어적 전회’에 정면으로 대립하며 등장한 ‘물질적 전회’는 신유물론, 사변적 실재론, 객체지향존재론,행위자-네트워크 이론 등 여러 이론들을 포괄하는 흐름이지만 언어와 인식의 ‘감옥’ 곧 ‘상관주의’ 에서 벗어날 것을 주장하는 기본 취지를 공유한다. 이런 공통의 문제의식은 물질, 사물, 실재, 객체 등 존재론적 주제로 새롭게 정향하도록 이끄는데, 여기에는 그간 주목받지 못한 물질(객체·사물·실제)의 생기와 역량과 행위자성을 발견하는 작업이 수반된다. ‘평평한 존재론’을 근거로 비인간 물질은 인간과 동등한 존재론적 위상을 갖는것으로 간주되고, 인간중심주의가 주요 표적이 되어 인간은 독립적 주체이기는커녕언제나비인간과의네트워크속에존재해왔음이 강조된다.다른 한편물질의성격과 역량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규정하는가, 특히 개별적인 실체인가 관계인가 하는 점을둘러싸고 이들 이론의 내부적 차이가 뚜렷하고 반대편 입장은 종종 ‘환원주의’로 비판받는다. 물질적 전회를 둘러싼 또 하나의 쟁점은 그 이론들이 숨은 표적으로 삼고있는 마르크스주의적 유물론과의 차이와 관련된다. 물질적 전회 이론들은 마르크스주의를 여전히 인간중심주의적인 주객 이원론에 머물러 있다고 비판하는 반면,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적 유물론 또는 변증법적 유물론을 옹호하는 편에서는 물질적 전회이론들의 마르크스주의 비판이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특히 ‘총체성’ 개념에대한새로운이해를통해반박한다. 물질적전회이론들은 변화하는물질세계의여러도전과 과제에 대응할 정치적 잠재력을 가졌다고 주장하지만, 기후 위기와 자본주의등 현재 우리가 직면한 가장 절박한 물질적 위기에 이 이론들이 더 적절한 정치적 답을 제시한다고 확신하기는 어렵다.

      • KCI등재

        경제적 궁핍 청소년의 우울-불안이 학교생활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물질적․정서적 지원의 조절효과

        송해선,백용매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2

        본 연구는 가정의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우울불안이 학교생활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물질적․정서적 지원이 학교생활 부적응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경남의 시지역에 거주하는 고등학생들 중 가정환경 인식조사에서 가정형편이 “매우 어려운 편이다”와 “어려운 편이다”라고 응답한 학생 27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우울불안은 학교생활 부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질적․정서적 지원의 조절효과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쳤다. 즉, 남․녀 모두 우울불안이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쳤지만, 남학생의 경우 물질적․정서적 지원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여학생에서만 물질적․정서적 지원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우울불안 감소를 위한 개입이 필요하고, 물질적․정서적 지원은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을 중심으로 할 때 더 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moderating effects of material and emo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anxiety and the school maladjustment in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economically poor. Questionnaire methods were employed. The analysing data were gather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from 273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cities of Gyeongsangnam-do. The SPSS 15.0 program was used in analyzing the data.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anxiety had direct effect on the maladjustment of both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econd, result of this study showed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onded differently to moderating effects of material and emo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 anxiety and the school maladjustment.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material and emotional support didn't have direct moderating effects while female students di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for decreasing depression-anxiety is needed to adapt in school life and material/emotional support is more effective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성과 비인간의 이야기하는 몸

        박신현(Shinhyun Park) 한국비평이론학회 2023 비평과이론 Vol.28 No.1

        신유물론 생태비평은 물질의 텍스트성에 주의를 기울이며, 자연과 문화의 상호작용을 물질적 서사로서 읽고 추적한다. 이에 따르면 모든 물질은 이야기가 된 물질이고, 모든 몸은 살아있는 텍스트이다. 모든 존재는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며 그 형성의 역사를 집적한다. 물질적 몸은 사회적 물리적 경험에 대한 기억을 체화하고 여전히 진행 중인 생성의 과정을 침전한다. 물질의 서사는 비언어적 방식으로 전달되므로 인간 해석자와 물질적 텍스트성 사이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본고는 물질의 서사적 행위성과 인간의 창조성이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차원의 현실로 ‘공동창발’ 하는 양상을, 즉 물질과 몸의 이야기가 인간적 상상력의 개입을 통해 해석되고 번역되는 가운데 인간과 비인간, 현실과 텍스트의 창조적인 공동생성이 이뤄지는 과정을 탐색한다. 이 서사에서 해석하는 사람과 해석되는 물질은 내부-작용 속에서 함께 창발한다. 따라서 본고는 해석과 번역이 인식적 실천에 머물지 않고 현실의 변별적 생성에 참여하는 존재론적인 수행임을 논증하고, 리쾨르와 데리다의 번역론을 참조해 번역이 존재의 조건이자 과제이며, 물질의 이야기에는 번역 불가능한 잔여가 있음을 확인한다. 먼저 돌의 서사적 행위성과 이를 대표하는 화석을 고찰하고, 여성 화석채집가 메리 애닝의 어룡 화석 발굴과 규명 과정을 통해 화석의 서사가 메리와 과학자들의 창조적 해석과 번역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생산하는 양상을 살핀다. 또한 버지니아 울프의 「병듦에 대하여」와 아네마리 몰의 『바디 멀티플』, 그리고 스타인그래버의 『모성혁명』을 논거로 해석과 번역은 물질적-담론적인 의료실천이자 몸의 생성에 참여하는 존재론적인 수행임을 살피고 여성의 몸의 이야기를 적극적이고 세심하게 번역해야할 과제를 상기한다. Material ecocriticism heeds matter as a text, and traces natural-cultural interactions by reading them as material narratives. According to this, all bodies are living texts that recount stories. All material bodies embody their memory of social and physical experiences, integrating their ongoing process of becoming. The intra-actions between human interpreter and material textuality are significant since material narratives are conveyed in nonlinguistic ways.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 narrative agency of matter and human creativity, intra-acting, coemerge in new levels of reality, that is, how the stories of matter and bodies are interpreted and translated with the intervention of human imagination, so that human and nonhuman, reality and text are creatively becoming together. In this narrative, the interpreter and the interpreted emerge together, in intra-ac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ranslation is not simply epistemological practice but ontological performance which is part of the differential constitution of reality, and translation is the condition and task of all beings, although there is the untranslatable in the story of matter, referring to Ricoeur and Derrida. First, it examines how fossil collector Mary Anning discovers the fossil of an ichthyosaur, which, intra-acting with the interpretation of Anning and geologists, produces new meanings. Second, by reading Woolf’s “On Being Ill” and Mol’s The Body Multiple, it maintains that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re material-discursive medical practice and ontological performance which participate in bodily production, and the narratives of female bodies should be actively and carefully translated.

      • ‘물의 신화’와 상상력에 관한 연구

        유제상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5

        There are three Bachelard's theories of the imagination - the theory of the four elements, phenomenology of image and his archetype theories. These three aspects, rather than acting individually, are organically linked together. He thought that the human imagination is 'Material'. So he was classified as four kinds of imagination, water, fire, air and soil. Based on the previous post, L'EAU et les RÊVES has been well documented 'Materialistic Imagination'. Imagery of Water was the materialization of the human unconscious through the water. It makes us come out of the chain, expands our thinking. Theory of the imagination can be found through the myths. The myth has described coupled with the male and female, the birth of life. It is linked to communication, the problem of human nature. Today, the media is responsible for the communication, but it has lost its original meaning. Creativity, based on imagination will offer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obstacles. This is true even in the future of human culture. Materialistic Imagination seeks its purpose in an open mind. The open mind will lead us out of the frame.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의 상상력 이론은 4원소론, 이미지의 현상학, 원형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3가지 국면은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인 하나’로 얽혀져 있다. 그는 인간의 상상력을 근본적으로 물질적이라고 생각하면서 물, 불, 공기, 흙으로 분류했다. 4원소를 기초로 한 물질의 상상력에 대한 바슐라르의 생각이 가장 뚜렷하고 계시적으로 나타난 것은 『물과 꿈』에서이다. 물의 물질적 상상력은 인간의 무의식의 세계가 근원적으로 물에 의해 물질화된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물질적 상상력은 결국 우리가 지니고 있던 인식의 틀을 벗어나, 물질과 현상의 근원인 원소의 힘을 빌려 자유로운 사고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였다. 프로이트는 신화를 '인간의 마음 깊숙한 곳에 잠재해 있는 무의식적인 욕망이 설화적으로 표현된 것‘이라 한 바 있다. 따라서 바슐라르의 4원소 가운데 물은 어떤 이미지를 갖는지, 그것이 상상력과 어떻게 연계되어’ 복합적인 상징‘으로 나아가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선 ’물의 신화‘를 분석해야 한다. 물과 흙이 분리되면서 세상이 창조되었으며, 천상의 물은 대지의 풍요를 가져다주는 상징이었다. 하늘에서 지상으로 떨어지는 물은 생명의 씨앗이며, 남성이 여성에게 주는 생명의 선물로 간주되었다. 천지창조와 관련된 신화에 있어서의 이러한 탄생의 순간은 그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위의 특징을 고스란히 지니고 있다. 이렇듯 사람의 고유한 정신세계 속에서 현현한 일련의 역동적인 움직임은 결국 상상력의 주체인 인간의 문제를 회구(懷舊)한다. 물이 지니는 복합적인 이미지와 상상력, 그리고 그 상상력이 내포한 소통의 의미는 결국 인간을 창의성의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다. 열린 생각이 불러오는 소통은 물질적 상상력이 추구하고자 했던 본연의 목적과 합치하여 우리를 경직된 사고의 틀 밖으로 인도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그리스도교의 성물의 신학과 물질의 종교

        안연희 한국평화종교학회 2019 평화와 종교 Vol.0 No.7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theology of ‘Holy Matter’, noticing the limitations of research trends centered on notions, ideologies, and subjective meanings, and focusing on the materiality of religion or ‘material turn’ of religious studies. I first looked at the concept of Christian ‘holy matter’, centering on the divine body(hostia) in Christian Eucharist, and then, referring to Bynum’s study of Christian materiality, and examined Christian doctrine and theology of holy matter,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edieval Christian devotional lif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Christian soteriology centering on the concept of incarnation, the theology of creation, and the theology of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works not only for man, but also for the soteriology of material that converts corruptive material into salvational material. And that the salvation of such material is the code of salvation of the whole human being as a material being as well as spiritual being. Thus, Christianity forms a paradoxical meeting point between material and spirituality through the theology of holy matter. Therefore, the theology of the holy matter of Christianity and its associated phenomena can be better understood by recent religious studies by ‘material turn’. It is because the attitude of religion research that sees matter and religion as conflicting dichotomies, or only regards material culture as a secondary product of religion, can not grasp medieval religions as a whole. In addition, the case of medieval Christian holy matter will be an interesting example of revitalizing the direction of new religious studies to capture and adequately describe the phenomenon of religion, in which spirituality and materiality as human phenomena can not be separated. 이 글은 그리스도교의 성물의 신학이 종교학의 ‘물질적 전환’ 및 ‘물질의 종교’에 대한 최근연구동향에 시사하는 바에 주목한다. 먼저 성체성사를 중심으로 그리스도교의 ‘성물’의 개념을 검토하고, 그리스도교의 물질성(Christian materiality)에 대한 바이넘(Caroline W. Bynum)의 연구를 통해, 중세 그리스도교의 신심생활의 중요한 요소였던 성물의 그리스도교 신학적 근거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창조, 육화, 부활의 신학이 보여주는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이 인간의 구원뿐 아니라, 타락의 물질을 구원의 물질로 변환시키는 물질의 구원론으로도 작동하고 있으며, 그러한 물질의 구원이 다시 물질적 존재로서의 인간 전체의 구원론의 코드가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물질과 영성이 역설적으로 만나는 지점을 보여주는 그리스도교 성물의 신학의 의미는 ‘물질적 전환’을 주장하는 최근 종교연구를 통해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물질과 종교의 대립시키는 이분법적 틀, 혹은 물질적인 종교문화를 부차적으로만 여기는 관점으로는 중세 그리스도교의 역동적이고 다양한 신심생활을 온전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중세 그리스도교 성물의 사례는 역으로도 종교현상의 불가피한 구조 안에서 인간적 현상으로서 영성과 물질성이 분리될 수 없는 현장을 포착하고 기술하려는 새로운 종교연구의 방향에 활기를 불어넣는 흥미로운 사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물질적/존재론적 전환의 관점에서 생태시민(성)을 다시 사유하기

        김병연 한국지역지리학회 202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8 No.1

        In this material/ontological turn,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such as new materialism, agent-network theory, and assemblag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tology of ecological citizenship, community, and ethics of reciprocity in a heterogeneously constructed world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e ontology of ecological citizens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y are porous but resistant, pluralistic, and connected with numerous more-than-human beings. Ecological citizen recognizes the ‘ethics of relationship’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human-non-human differences existing in the world. In addition, the community inhabited by living beings is understood as a ‘common world’ as an assemblage in which ‘vibrant entanglement between humans and others beyond human beings’ takes place. In this aspect, ecological citizenship education makes students recognize themselves as beings who are constantly being entangled with other beings in a common world/sociomaterial assemblage that can be said to be a community of ecological citizens. Through this, ecological citizenship education will be able to play a role as a ‘more-than-human pedagogy’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thico-onto-epistemological’ competencies that students can respond to and take responsibility for as one of the heterogeneous members of the common world. 본 연구는 물질적/존재론적 전환 속에서, 신유물론, 행위자-연결망 이론, 아상블라주와 같은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인간과 비인간의 이질적으로 구성된 세계 속에서 생태시민의 존재론, 공동체, 상호 관계의 윤리가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를 탐구한다. 생태시민의 존재는 다공성이지만 저항력이 있고 다원적이며 수많은 인간-너머의 존재들과 연결되어 있다는 이해에 기반한다. 생태시민은 세계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인간-비인간들의 차이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관계의 윤리’를 인식하며 또한살아있는 존재들이 거주하는 공동체를 ‘인간과 인간-너머의 타자들과의 활기찬 결합’이 이루어지는 아상블라주로서의 ‘공동의세계’로 이해한다. 이러한 측측면에서 생태시민성 교육은 생태 시민의 공동체라고 할 수 있는 공동의 세계/사회물질적 아상블라주 속에서 학생들이 끊임없이 다른 존재들과의 얽힘 속에 함께 되어가는 존재로서 자신을 인식하도록 만든다. 이를 통하여생태시민성 교육은 학생들이 공동 세계의 이질적 구성원의 하나로서 그 세계에 대하여 반응하고 책임질 수 있는 ‘윤리적-존재론적-인식론적’ 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인간-너머의 페다고지’로서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