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연현상 중 물결을 형상화한 창작 업스타일 디자인 연구

        강수정(Su-Jeong Kang),박기원(Ki-Won Park),김진숙(Jin-Sook Kim) 한국뷰티산업학회 2023 뷰티산업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수많은 자연현상 중에서 일렁이는 물결의 모습을 관찰하여 물결의 리듬을 자연스럽고 절제된 곡선이나 자유롭고 변화가 많은 유연한 곡선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물결의 유기적인 이미지를 바다와 관련된 율동감, 반복적인 리듬감, 점이성, 선의 흐름 등으로 구체화하였다. 작품의 제작과정은 물결의 형태를 고려하여 선과 면을 사용한 업스타일의 다양한 기법을 중심으로 물결이 가진 형태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헤어 컬러를 사용하지 않아 모발 자체만으로 물결의 이미지를 표현하였으며 시각적으로 안정감의 효과를 더해 주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다양한 물결의 형태를 가진 창작 업스타일을 제작하였다. 창작 업스타일과 물결을 연결하는 과정에 있어서 물결의 움직임 선을 형상화하여 업스타일의 물결모양을 조형적으로 디자인하였고, 업스타일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지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작품을 통한 다양한 시도는 자연에서 느끼고 교감할 수 있는 심리적, 정서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낸 조형적 형상은 형태의 새로운 시도라고 볼 수 있으며 다양한 연구의 방향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tried to express the rhythm of the wave as a natural and restrained curve or a free and flexible curve with many changes by observing the wave shape among numerous natural phenomen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terialize the organic image of the wave into a sense of rhythm related to the sea, a sense of repetitive rhythm, gradience, and the flow of lines.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work freely expressed the movement of the shape of the wave, focusing on the roll technique using lines and planes,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wave. As hair color was not used, the image of wave was expressed only with the hair itself, and the effect of visual stability was added. Through this process, creative styles with various wave forms were produc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creative up-style and the wave, the wave shape of the up-style was designed in a formative way by shaping the wave movement line, and it was produced in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up-style was stably fixed. In conclusion, various attempts through the works of this study can fee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that can be felt and communicated in nature. The formative shape shown in this study can be seen as a new attempt at form, and it is expected that various research directions can be found.

      • KCI등재후보

        미래물결과 인간혁명 -선진국 도약을 위한 한국의 과제-

        배규한 ( Kyuhan Bae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28 No.1

        이 글은 먼저 사회변동이론의 발달 과정을 역사적으로 개관한 후, 1980년대 후반 이후 독점적 지위를 누리게 된 과학기술적 사회변동론의 형성과정과 핵심내용을 살펴본다. 이어서 토플러가 제시한 “제3물결” 론의 연장선상에서, 향후 20여 년간 인류사회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킬 “제4물결”은 디지털기술에 의한 “디지털혁명”이라고 전망한다. 그리고 디지털혁명 이후 인류문명을 새로운 차원으로 바꾸게 될 제5물결은 어디에서 올 것인지 탐구한다. 여러 학자들의 미래전망을 바탕으로, 머지않아 파국과 도약의 기로에 서게 될 인류문명의 위기를 극복하고 오히려 한 단계 도약시킬 핵심적 요인은 “인간”이라고 분석한다. 미래의 새 물결은 테크놀로지가 아니라 인간의 지적 능력과 가치관에서 일어날 것이며, “제5물결”은 “인간혁명”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리고 한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제5물결을 세계에 앞서 일으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제5물결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인간형인 “하이퍼 휴먼”이 나와야 함을 밝히고, 이들의 특성을 제시하며, 이를 위해 1차적 사회화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대행자인 학교를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사회변동 추세에 부응하며 청소년들의 가치관과 행동양식에 적합한 미래의 교육제도를 창안해 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교육혁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국민의식에 대한 자성적 시민운동을 제안한다. This paper reviews historically the development process of various theories on social change, examines how the technological theory was formed and rated 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social change theories, and analyzes what the core contents of the technological theory are. Extending the discussion of “the third wave” which Alvin Toffler initiated, this paper prospects that “the fourth wave” will be “digital revolution” which will bring forth revolutionary changes of human society for about twenty years from now on. Then it explores out of what factor “the fifth wave” rises. Based on researches of many futuristics scholars, this paper contends that the critical factor for the fifth wave will be human being. It means that the new wave in future rises from values and intellectual abilities of human being, and that the fifth wave will be “human revolution.” The author proposes that Korea initiates the fifth wave. This paper clarifies the characteristics of “hyper human” who will be able to initiate the fifth wave, and emphasizes the need of educational innovation in order to bring up hyper human. It contends th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of Korea must be innovated to meet the needs of new trends of social changes and new generations. Finally, it proposes a reflective social movement in order to arouse a public response for hyper human and educational innovation.

      • KCI등재후보

        21세기 성령운동 연구

        김광열(Kim, Kwang-Yul) 개혁신학회 2011 개혁논총 Vol.17 No.-

        20세기 이후로 기독교회 안에서 3가지의 주요 성령운동이 나타났다. 첫 번째 운동은 오순절운동으로서 제1의 물결이라고 부른다면, 두 번째 운동은 은사운동으로서 제2의 물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1세기가 시작되면서 등장한 제3의 물결을 들 수 있다. 이 세 가지 운동들은“제2의 축복”의 신학적 흐름 속에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성격을 지니지만, 제3의 물결은 방언의 은사나 성령세례를 융통성 있게 주장하므로, 앞 선 운동들의 약점을 보완하려 한다. 그러나 복음주의 안에서의 성령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 제3의 물결은 예언의 은사나 계시(직통 계시)를 강조한다. 특히 제3의 물결의 주요 신학자라고 할 수 있는 피터 와그너는 21세기가“제2의 사도시대”라고 주장하면서, 오늘날 세워지는 사도나 예언자들을 통해서 하나님은 직통계시를 내려주신다고 가르친다. 그러나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볼 때, 그러한 가르침은 비성경적이므로 받을 수 없다. 전통적인 개혁신학자들의 공통적인 가르침은 성경만이 유일한 그리고 최종적인 하나님의 계시라는 것이다. 성경의 최종성과 충족성의 원리에 근거하여 신자의 삶과 구원을 위해 또 다른 계시나 예언은 주어질 필요가 없다고 본다. 성령님의 감화 감동의 역사는 기록된 계시말씀인 성경과 함께, 성경을 통해서 충족하게 주어지고 있는 것이다. There took place three major Holy Spirit movements from twenty century to twenty one century. The first one is Pentecostal movement, which is called “first wave.” The second one is charismatic movement which is called “second wave.” As 21 Century begins, the third wave appears. There are some continuities among these three. Ye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general, all those three belong to the “2nd blessing theology” with kind of different emphasis. However, the third wave movement tried to overcome some weakness in the precedent movements. We may find some theological emphasis on the gift of prophecy, direct revelation from God in the third wave movement. Furthermore, Peter wagner, a representative theologian of third wave movement argued for “New Apostolic period.” Thus new apostolic church become the major point in the third wave movement.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we can not allow the concept of “new apostolic period” as well as the concept that the gift of prophecy or direct revelation from God continues in today’s church. Because the reformed faith confirm that the sufficiency and finality of the Scripture as the only, final revelation of God. The Bible is the only and sufficient sources and revelation of God for the life and salvation of the believer.

      • KCI등재

        고휘도 발광다이오드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물결파 투영장치 교재 개발 연구

        박준일,주영구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8 No.2

        A ripple tank experiment is an effective experiment that is illustrated in textbooks to explain wave motion. However, existing ripple tanks suffer from low-contrast wave images because they use a large incandescent light bulb as a light source. In addition, the vibration of the motor used for wave generation distorts the ripple mark, making a classroom experiment more difficult. The authors designed a new ripple tank using high-brightness light-emitting diodes and an electromagnet controlled by using a micro-controller in order to improve the contrast of the wave image and the control of wave generation. The developed ripple tank and the new teaching material were applied in a high school class. The survey results from the students indicate that compared to the existing ripple tank experiment, the new equipment results in improved learning and attention drawing. 현재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파동 현상을 설명하기위해 물결파 실험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물결파 투영장치는 백열등을 광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투영된 상이 선명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모터 진동으로 인해 파형이 일그러지고 흔들려 실제 파동현상을 관찰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점광원에 가까운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와 파동의 발생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물결파 투영장치를 제작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투입하여 그 교육 효과를 분석하였다. 새로 개발된 물결파 투영장치는 기존 장치에 비해 파형이 선명해 지고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 짐으로써, 실험의 정확도와 시각적 효과가 개선되었다. 또한 설문 조사를 통해 학생들이 느끼는 학습 효과 및 흥미 유발 요소가 더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바다물결 모형의 합성 및 GPU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이동민,이성기,Lee, Dong-Min,Lee, Sung-Ke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4 No.7

        컴퓨터 그래픽스로 재현되는 많은 자연현상 중의 하나인 바다는 주변 환경에 의해 계속해서 움직이며 복잡한 형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그 규모가 거대하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계산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GPU를 연산유닛으로 활용하여 무한히 넓은 바다표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빠르게 시뮬레이션하고 사실적으로 렌더링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Gerstner 모델에 의해 2차원 투사 격자에서 생성된 저해상도의 메쉬로 바다의 전체적인 구조와 큰 물결을 표현하고, 스펙트럼 모델에 의해 2차원 균일격자에서 생성된 높이 맵과 법선 맵을 사용하여 작은 물결과 자세한 수면의 모습을 표현한다. 전체 과정이 GPU에 의해 처리되기 때문에 CPU자원을 다른 연산에 양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메모리와 그래픽스 하드웨어 사이에 기하정보(geometry data)의 이동이 없어 보다 빠른 렌더링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방법은 컴퓨터 게임과 같이 계산량이 많고 빠른 처리가 요구되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 활용 가능성이 크다. Among many other CG generated natural scenes, the representation of ocean surfaces is one of the most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problem because of its large extent and complex surface movement. We present a hybrid method to represent and animate unbound deep-water ocean surfaces by utilizing graphics processor as both simulation and rendering core. Our technique is mainly based on spectral approaches that generate a high-detailed height field using Fourier transform on a 2D regular grid. Additionally, we incorporate Gerstner model and generate low-detailed height field on a 2D projected grid in order to represent large waves and main structure of ocean surface. There is no interruption between CPU and GPU, and no need to transfer simulation results from the system memory to graphics hardware because the entire simulation and rending processes are done on graphics processor. As a result we can synthesize and render realistic water surfaces in real-time. Proposed techniques are readily adoptable to real-time applications such as computer games that have heavy work load on CPU but still demand plausible natural scenes.

      • KCI등재

        특집. 물결 21 코퍼스: 공유와 확산 : 물결21 코퍼스: 공개 웹 자원 및 활용 도구

        최재웅 ( Jae Woong Choe ),이도길 ( Do Gil Le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4 No.-

        <물결21 코퍼스>는 2000년도 이후에 발간된 국내 4대 일간지의 신문 기사를 정제한 자원으로, 2014년도 현재 6억 어절 규모의 방대한 말뭉치이다. 이러한 자원을 이제 웹 등을 통해 공개하기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개와 관련한 기본방침과 취지를 논하고 말뭉치의 정제 과정, 특징, 세부 공개 내용 등을 기술한다. 또한 실제 웹 접속 화면의 관련 기능들을 항목별로 설명하면서 공개된 웹 사이트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고려된 여러 활용 방법들을 소개한다. 이러한 규모의 정제된 한국어 자원이 공개되어 연구에 활용된 예가 없다는 점과, 또한 다양한 관점에서 시대의 흐름을 조망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라는 점이 이번 <물결21> 자원 공개의 가장 큰 의의라 할 수 있고, 이는 추후 다양한 형태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four major Korean daily newspapers in Korea beginning from 2000, and currently contains six hundred million Korean phrases or ‘eojeols’. It was recently decided to make the resource public through the web-based application tools so that scholars from various disciplines could access them for their own research. This paper discusses in detail the purposes and objectives of making the resources public, and describes the processes of refinement of the corpus, its characteristics, and the scope of the materials that are open for access. This paper also introduces various specific web-based search methods that are made available: concordances, monthly and yearly time-series analyses, collocation, and others. The most significant aspect of this now public resource is that ‘Trends 21 Corpus’ is the largest corpus by far among the Korean resources currently available, and thus is no doubt a very valuable asset not only for various researches in linguistics but also for many other research fields like sociology, political science, economics, and cultural studies. It is hoped that this newly available public resource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rends of the Korean society as they are reflected in the newspapers.

      • KCI등재

        영적 전쟁에 관한 개혁주의 입장에서의 평가-전략적 차원의 영적 전쟁(Strategic-Level Spiritual Warfare)을 중심으로

        배춘섭 ( Choonsup Bae ) 한국개혁신학회 2016 한국개혁신학 Vol.51 No.-

        본 논문은 ``전략적 차원의 영적 전쟁``의 신학적 쟁점들을 개혁주의 입장에서의 평가하기 위함이다. 소위 ``제 3의 물결``은 오순절과 은사주의 운동을 계승한 성령운동이다. 이전의 두 물결처럼, 제 3의 물결(the third wave)은 성령의 은사를 수반하여 기적활동과 사단과의 능력대결을 통한 승리주의로서의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지향한다. 그러나 제 3의 물결에서 주장되는 "SLSW"는 선교학적 측면에서 반드시 재고해야 할 신학적 쟁점들이 있다. SLSW의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SLSW의 약점은 선교학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나타난다. 첫째는 성경해석이 매우 상황적이다. 둘째는 너무 개인의 능력대결에 치중한 나머지, "선포된 복음의 능력"(power of Kerygma)을 축소시킨다. 셋째, 비기독교적 세계관의 요소들이 다분하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SLSW의 신학적 쟁점에 관한 평가에서 ``사단의 정체``, ``귀신들림``, ``땅 밟기``와 ``귀신축사``의 개념들은 의심할 여지없이 성경적 관점에서 용납 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SLSW으로서 능력대결에 참여하는 것을 전적으로 지지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개혁신학의 관점에서의 영적 전쟁은 성경의 권위를 인정하며 하나님께서 선교 사역들의 유일한 주권자가 되신다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를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ological arguments regarding the ``Strategic-level Spiritual Warfare``(SLSW) from a perspective of the Reformed Theology. The so-called ``the third wave`` is a spiritual movement,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Pentecostal and Charismatic movements. As the first two waves do, the third wave also pursues an expansion of the kingdom of God based on the triumphalism through miracle activities and ability competitions against divisions with the spiritual gifts of the Holy Spirit. However, the SLSW proposed in the third wave carries some theological arguments that must be reviewed for their missiological aspects. In spite of some positive aspects of SLSW, fatal weaknesses of it is still found from various aspects of missiology. Firstly, its interpretation on the Bible is too contextual. Secondly, the weight is put so much on the ability competition of individuals that the power of Kerygma is underweighted. Thirdly, there are too much non-Christian elements involved. The conclusion of above evaluation on the theological arguments in SLSW is that the concepts of ``territorial spirits``, ``demon-possession``, ``pray-walks`` and ``exorcism`` will not be, without any question, tolerated from a biblical perspective. Thus, this study does not entirely support participating power encounter as SLSW. In fact, it acknowledges authority of the Bible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and emphasizes "Missio Dei," in which God becomes the unique sovereign in mission works.

      • KCI등재

        서발턴, ‘인민’의 재구성, 그리고 21세기 라틴아메리카 포스트신자유주의

        박정원(Jungwon Park) 한국비평이론학회 2017 비평과이론 Vol.22 No.3

        포스트신자유주의는 지난 30여 년간 정치, 경제, 문화 등 사회 전 분야에서 주도적 이념과 원리로 작동해온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초래한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위기의식이자, 동시에 이를 극복하려는 새로운 흐름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시장개방과 미국의 정치·군사적 압력이 야기한 불평등과 빈곤, 폭력 속에서 체제의 변두리로 내몰린 라틴아메리카는 국가의 적극적 개입을 통한 변화를 요구해왔다. 그리고 그 기대는 좌파를 표방하는 정치세력이 대부분의 국가에서 집권에 성공하는 소위 ‘분홍빛 물결’의 흐름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라틴아메리카의 ‘분홍빛 물결’을 가능하게 한 서발턴과 국가의 절합을 포스트서발턴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1990년대와 달리 라틴아메리카의 서발턴 사회운동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방식으로 전개된다. 이를 위해 반차베스 쿠데타 과정에서 베네수엘라의 도심을 가로지르는 오토바이 택시운전사들과 안데스 지역에서 원주민운동의 재정치 화 과정 및 수막 카우사이 사상을 고찰한다. 서발턴과 국가의 연계는 주변적 주체를 공적영역으로 전면화함으로써 기존의 시민사회에 균열을 가져올 뿐 아니라 ‘인 민’의 개념을 확장시킨다. 그 결과 ‘분홍빛 물결’은 주체와 공동체, 민주주의에 관한 기존의 상식을 재구성하는 동시에, 급진적 상상력을 통해 신자유주의를 넘어서려는 글로벌 사우스의 문제의식과 기획에 모델을 제공한다. Postneoliberalism is a new political, economic and ideological project from the ‘Global South’ that has been deeply affected by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for the last three decades. In particular, Latin America was in search of radical social change through the re-location of the State. And the so-called Pink Tide began with the appearance of many left wing governments in the continent. This essay attempts to offer a re-reading of Pink Tide from the post-subalternist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unexpected, but powerful articulation between the subaltern and the State. Unlike in the 1990’s, the subaltern social movement in the 21 st century entered into a new dimension in which, for instance, the taxi-bikers in Venezuela joined the street protests to rescue the president from the intent of promoting coup against Chávez and the Andean indigenous movement changed the national Constitution to envision the ideal of sumak kawsay. This articulation not only dismantles the current notion of civil society, but also leads to the democratization of the idea of ‘people.’ As a result, Pink Tide gives a discursive and epistemological contribution to the rebuilding of ‘common sense’ on the subject, community and democracy, and thus to the creation of new ‘Global South’ projects.

      • KCI등재후보

        주택가격 순환주기의 지역 간 관계 분석

        권순신,최성호 한국감정원 2019 부동산분석 Vol.5 No.2

        The Korean government is implementing regionally segmented housing market regulation.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regulation on specific regions, research on regional ripple effects in housing market should be preceded. We analyze the ripple effects by using regional housing price business cycles. While most of previous studies in Korea used Hodrick-Prescott(HP) filter to extract cyclical components, we use Christiano-Fitzgerald(CF) filter instead. Cross correlation analysis suggests that the capital area’s housing price business cycle precedes the housing price business cycles of 5 metropolitan cities and other provinces. Granger causality test supports this result, and also suggests that all the regional housing price business cycles of the three regions Granger-cause one another. According to VAR analysis, however, 5 metropolitan cities and other provinces do not cause each other but drift independently. We try to explain these relations among regional housing price business cycles by means of housing demand and supply, GDP and housing mortgage.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regional housing price business cycles and the business cycles of other variables shows that there is hierarchical sensitivity to GDP and housing mortgage balance among those regions. Therefore, we narrowly conclude that the ripple effects on the three regions might exist not just because of market expectation, but because of regional differences in sensitivity to market fundamentals. 특정 지역에 대한 정부의 주택시장 규제가 잇달아 적용됨에 따라 주택시장에 대한 정책효과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특정 지역에 대한 규제 영향을 알기 위해서는 주택시장의 지역 간 물결효과(ripple effect)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본고는 지역별 주택매매가격 경기순환을 활용해 이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국내 선행 연구는 주택매매가격의 경기순환을 추출하기 위해 HP필터 방법론을 사용하였지만, HP필터에 대한 문제점을 짚은 외국 연구들을 참고해 본고는 CF필터로 주택매매가격 경기순환을 추출하였다. 교차상관관계 분석 결과, 수도권의 주택매매가격 경기순환이 5개광역시와 기타지방을 선행하는 것으로 유추했는데 그레인저 인과관계 분석으로 지역 간 주택매매가격이 그레인저 인과함을 확인해 이 같은 해석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그레인저 인과관계 분석 결과 수도권과 5개광역시, 기타지방 모두서로를 인과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VAR모형으로 상세 분석한 결과, 실질적으로는 5개광역시와 기타지방 간주택경기 순환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물결효과를 충격반응함수로 살펴보면 수도권에 가해진 충격에 대해 기타지방과 5개광역시에 양(+)의 영향을 주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본고는 이 같은 물결효과를 주택의수요와 공급, 거시경제 그리고 금융시장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해 지역별로 경제변수들의 경기순환과 주택가격의 경기순환을 회귀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GDP와 주택담보대출 변화에 대한 지역별 민감도가 위계적으로 나타났고, 이에 물결효과가 단순히 기대심리만은 아닌 시장근본요인에 대한 지역별 민감도 차이 때문에 나타날 수 있다는 결과를 제한적으로 제시했다.

      • KCI등재

        미국-영국 선교사와 외교관이 주도한 근대한국학 전문화와 시스템 만들기, 1900-1940년: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Korean Branch 분석을 중심으로

        육영수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1

        The article aims to reappraise the characteristics and legacy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RASKB) and its official Journal,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in the historiography of modern Korean studies. By analysing its membership, interpreting the contents/subject-matters, and examining the new mode of writing strategies of the Transactions published from 1900 to 1940, the author is very convinced that both RASKB and Transactions had played a critical and indispensable role in professionalizing and systematizing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e Transactions, a forum dominated by British and American missionaries and diplomats, demonstrates the maturity of modern Korean studie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us standing at the apex of “the First Wave of Modern Korean Studies.” Imperial Japanese scholars imitated and appropriated the Western-made First Wave and had established “the First and Half Wave of Modern Korean Studies” for the purpose of legitimizing colonialization of Korea. And “the Second Wave of Modern Korean Studies” during the 1930s, which emphasized the Korean Studies by Koreans and for Koreans, was to a certain degree the extended and reinvented outcome founded on the previous two Waves. The author concludes that modern Korean studies is a hybrid (re)production of multiple nationalities and that transnational perspectives would shed an alternative light to disclose non-nationalist and post-colonial peculiarities of ‘Knowledge/Power’ usually known as ‘the discourse on Korea.’ 이 글은 영국왕립아세아학회 한국지부와 그 학술지가 1900-1940년 사이에 한국학 담론 창출과 전문화에 기여한 성과와 영향력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창기에 한국학을 주도했던 프랑스 선교사들이 퇴조하고 영국과 미국 선교사들이 한국학 담론을 지배했다. 둘째, 코리안 리포지터리 · 코리아 리뷰 와 비교하면 트랜잭션 은 참고문헌을 밝히고 이미지 자료를 활용하는 등 좀 더 전문적이며 체계적인 학문적 포럼이었다. 셋째, 생태환경사와 같은 새로운 주제를 발굴하고 미래 한국학 학자를 키우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담당했다. 필자는 근대한국학의 계보를 객관적·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지식 네트워크의 트랜스내셔널 뒤엉킴에 특별히 주목할 것을 요청한다. 서양선교사들이 19세기말을 전후로 발명·국제화하고 20세기 초반에 심화했던 한국학의 제1의 물결, 일본제국이 한국의 식민지 통치를 정당화하고 피지배자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구하려는 의도로 재생산한 한국학의 제1.5 물결, 그 사이 공간에서 등장한 한국인의,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을 위한 한국학의 제2물결―이런 세 갈래 물결이 부딪히고 뒤섞이며 서로를 밀고 당기며 상승하여 한국학의 역동적인 무늬와 다양한 색채를 만들었다고 필자는 강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