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부모교육지도사의 다문화가정 방문지도 경험의 의미 탐색

        봉진영(Bong, jinyoung),권경숙(Kwon, kyungsook)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 중 부모교육지도사들이 다문화가정을 방문하여 서비스를 실천하면서 겪는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문화가정 방문교육 서비스를 실천하고 있는 부모교육지도사들과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지도사들은 다문화가정방문 경험에서 희망을 여는 노력과 실천으로 기쁨과 보람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다문화가정의 결혼이주민 여성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에 대한 변화를 위해 노력하려는 의지를 보일 때나 희망을 주는 존재로서 느껴질 때 부모교육지도사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여졌다. 둘째, 부모교육지도사들은 다문화가정의 결혼이주민 여성이 가족 구성원 및 친구, 세상과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통로가 되어줄 뿐 만 아니라 답답함을 토로하고 이해해 줄 수 있는 공감의 대상으로서 존재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의 가족구성원과 결혼이주여성 간의 중재 역할을 통해 불통의 간격을 좁히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소통의 통로가 됨으로써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 사회에서 자신감 있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부모교육지도사들의 역할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신속한 적응에 도움이 되는 일이라 생각된다. 셋째, 다문화가정 부모교육지도사들은 방문지도 경험을 통해서 다문화가정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고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부모교육지도사들은 결혼이주여성들은 어렵고 힘들고 약한 존재로 그들을 도와야 한다는 마음에서 출발하였지만 방문지도를 하면서 우리도 누군가에게는 다문화가족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일방적으로 가르쳐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 우리가 배워야 하는 존재로 결혼이주여성을 인식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meanings parent education trainers, among visit instruct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mpart on their experiences from providing services during home visits to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parent education trainers who are practicing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training were interviewed for data collection. Findings drawn from the collected data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 education trainers feel happy and proud about their effort and practice in providing hope to their clients through their home visiting experiences to multicultural families. Parent education trainers find their role meaningful when they feel they are giving hope to their clients or when married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show the will to make efforts to change their lives with confid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 education trainers want to serve as channel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help them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their family members, friends and the world, and also be empathetic and understanding listeners to whom their clients can reveal their frustrations. Parent education trainers believe that their role of helping married immigrant women confidently adapt to the Korean society through playing the part of mediators between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becoming a communication channel that reduces communication gap and fosters understanding among the memb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beneficial for their clients' quick adapt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parent education traine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find it meaningful that their perception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and married immigrant women positively changed through their home visiting experiences. In other words, parent education trainers began their practice with the approach that they should help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difficult, hard to deal with, and weak, However, through home visiting, they were able to realize that they themselves could be seen as multicultural families by others and that they should change the way they think about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people that must be unilaterally taught to people from whom we should learn.

      • KCI등재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방현희(Bang, Hyunhee),이미정(Lee, Mij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역할을 탐색하고, 그들의 역할 수행의 전문성 증대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여 방문교육지도사를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기초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방문교육지도사들의 역할과 교육에 대한 인식을 그들의 활동경험에 의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경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은 업무의 특성상 다문화적 역량이 요구되므로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수용성 등의 다문화적 효능감을 바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둘째, 방문교육지도사는 교사로서의 역할과 함께 멘토(mentor)로서의 역할을 한다. 셋째, 방문교육지도사를 위한 교육에 대해서는 현실성 없고 실무활용도가 낮은 교육인 경우가 많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교육내용에 관해서 상담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보수교육에 대해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체계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방문교육지도사의 교육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은 다문화적 효능감을 기반으로 이행되어야 하므로 이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과 교재의 개발을 제안한다. 교사로서의 전문성 증대 위하여 전문영역의 교차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각적으로 확장된 사례연구를 통한 현장경험의 공유를 공식화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교육을 위한 전문 강사 풀(pool)의 마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education experience through investigating the role that recognized by multi-cultural families' home educators and confirming their recognition for education that is being implemented to expand professionalism. To approach the purpose, researcher pursued an investigation through the depth interviews to multicultural families' home educators based on documentary research. And the researcher graspe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role and education's experience of home educators through their activity experience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about the role of home seducators. First,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m has to be based on multicultural self-efficacy lik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receptive and so on. It is because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is required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Second, the home educators' role has to be played not only as a teacher but also as a mentor. Third, there were perceptions that the education for home educators is lack of practical use and reality in numerous cases. Further more, researcher suggests the cross training in expertise field to solve the role ambiguity and the formulation on sharing the local experience through the multilateral expanded case stud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s follows proposed for education of the home educators. The role and the education for home educator is based on multicultural self-efficacy. In this regard, the proposal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materials. Further more, researcher suggests the cross training in expertise field to solve the role ambiguity and the formulation on sharing the local experience through the multilateral expanded case study. Therefore the pool of expert instructo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has to be instituted for education of home visiting educators.

      • KCI등재후보

        청소년지도사의 다문화교육 이해와 태도에 관한 연구

        임한나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6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5 No.1

        As the number of adolescents with various backgrounds rapidly increase, the society is paying more attention to education intended to help adaptation of multicultural youth to the Korean society. Especially from the macroscopic point of view, the role of youth workers who teach adolescents in training, exchange, volunteer, and art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y became more important. This study examined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 to multiculture education environment, role of multicultur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youth activities, of youth workers. For the study, 265 youth workers working in a youth institution or organiz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sub-domains in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 to multicultur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the author discussed requirements for youth workers and institutional support that are necessary for multiculture education, and proposed policy that will enable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public to provide an opportunity and practical support for multiculture education to youth workers. 다양한 배경을 지닌 청소년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다문화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교육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특히, 청소년들의 교육활동 범위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역사회 내에서 청소년활동을 통하여 수련활동, 교류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예술활동 등을 지도하는 청소년지도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지도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문화교육 환경에 대한 이해와 태도’, ‘다문화교육 역할에 대한 이해와 태도’, ‘다문화 청소년활동에 대한 이해와 태도’, ‘다문화 활동과정에 대한 이해와 태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기관 및 단체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사 26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청소년지도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태도에 대한 분석 결과 청소년지도사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위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교육과 관련하여 청소년지도사에게 필요한 요건 및 제도적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청소년지도사에게 다문화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이 함께하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고, 청소년지도사를 위한 실용적인 다문화교육 지원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다문화가정 방문 한국어교육지도사를 위한 보수교육 방안 연구

        이진경 ( Jin Kyoung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본 연구는 다문화 전문 인력인 한국어교육지도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재교육 내용과 방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진행 중인 다문화방문지도사를 위한 보수교육 현황을 살펴보았고, 현직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교육지도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다. 그 결과 교육 현장에 맞지 않는 보수교육의 문제점들을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방문교육의 특수성과 한국어교육지도사의 요구를 고려한 보수교육 내용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주자 언어권 및 학습 환경을 고려한 교육 내용 필요, 경력 연차별 교육은 한국어교육지도사의 연차별 요구분석 필요, 결혼이민자출신 지도사들에 대한 분리교육도 필요와 같이 한국어교육지도사의 상황에 맞도록 교육 내용을 선택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보수교육 요구 분석 통해 3년차 이상의 한국어교육지도사를 위한 교육 내용 필요, 5년차 이상의 한국어교육지도사의 활용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전문가 및 경력자를 활용한 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의 워크숍 및 포럼을 통해 교육적 현안 문제 해결 방법, ‘포럼 및 사례 발표, 의견 수렴’ 등의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오프라인 교육 방식으로 운영하여 실질적인 보수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study thd substantial reeducation measures and contents to raise ability of korean instructor teachers as multi-culture professional specialist. For the sake of this research. study the continue education present condition for multi-culture visiting teacher of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and have a interview with 6 current korean instructor teachers of multi-culture Family support center. Consequently, I find out problems of the continue education and propose the measures and contents of continue education based on the distinctiveness of visiting education and the demanding of korean instructor teachers. This study propose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content based on student language and studying circumstance and introduction of education analysis based on teacher`s career and optional education content accord with korean visiting teacher`s circumstance. Through the requirement analysis of continue education. propose the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contents for over third-year korean teacher and propose application plan of over fifth-year korean teacher. In addition through the workshop and forum of professional and experienced persons at multi-culture family support center. I propose making solution about educational present problem and making program about forum, case presentation and acceptance of an opinion etc. and the measure to substantial continue education by off-line education method.

      • KCI등재

        다문화가정 방문 한국어교육지도사를 위한 보수교육 방안 연구

        이진경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This research study thd substantial reeducation measures and contents to raise ability of korean instructor teachers as multi-culture professional specialist. For the sake of this research. study the continue education present condition for multi-culture visiting teacher of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and have a interview with 6 current korean instructor teachers of multi-culture Family support center. Consequently, I find out problems of the continue education and propose the measures and contents of continue education based on the distinctiveness of visiting education and the demanding of korean instructor teachers. This study propose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content based on student language and studying circumstance and introduction of education analysis based on teacher’s career and optional education content accord with korean visiting teacher’s circumstance. Through the requirement analysis of continue education. propose the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contents for over third-year korean teacher and propose application plan of over fifth-year korean teacher. In addition through the workshop and forum of professional and experienced persons at multi-culture family support center. I propose making solution about educational present problem and making program about forum, case presentation and acceptance of an opinion etc. and the measure to substantial continue education by off-line education method. 본 연구는 다문화 전문 인력인 한국어교육지도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재교육 내용과 방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진행 중인 다문화방문지도사를 위한 보수교육 현황을 살펴보았고, 현직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교육지도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다. 그 결과 교육 현장에 맞지 않는 보수교육의 문제점들을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방문교육의 특수성과 한국어교육지도사의 요구를 고려한 보수교육 내용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주자 언어권 및 학습 환경을 고려한 교육 내용 필요, 경력 연차별 교육은 한국어교육지도사의 연차별 요구분석 필요, 결혼이민자출신 지도사들에 대한 분리교육도 필요와 같이 한국어교육지도사의 상황에 맞도록 교육 내용을 선택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보수교육 요구 분석 통해 3년차 이상의 한국어교육지도사를 위한 교육 내용 필요, 5년차 이상의 한국어교육지도사의 활용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전문가 및 경력자를 활용한 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의 워크숍 및 포럼을 통해 교육적 현안 문제 해결 방법, ‘포럼 및 사례 발표, 의견 수렴’ 등의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오프라인 교육 방식으로 운영하여 실질적인 보수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전자지도의 활용방안 -결혼이주여성의 맥락적 한계 극복을 위한 'e-사회문화지도'설계-

        정영애,김형수,Jung, Young-Ae,Kim, Hyeong-Soo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11

        이글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국내 적응을 위한 교육용 코스웨어 개발과 이의 구현을 위한 'e-사회문화지도(e-ASC)' 설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여기에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사회 구성원으로서 가치관과 태도의 수용 및 사회적 기여 기회의 제공 등과 같은 교육 요소들이 고려되고 있다. 전자문화지도는 3차원의 공간을 통해 이주민과 내국인 모두에게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동질성을 공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유용하다.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하여 이 글에서 제안하고 있는 'e-사회문화지도'는 다문화인구의 맥락적 경험에 근거한 특정 사건을 중심으로 모국에서 경험한 맥락적 한계를 극복하고 비교문화적 접근을 통해 이주사회에 적응을 위한 능동적인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e-사회문화지도'는 이주민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용 툴로 활용될 것은 물론, 결혼이주여성들이 모국에서 맥락적으로 습득한 한국 사회의 사회 문화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르게 전달하고 그들의 사회적응을 돕는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study on an 'e-Atlas of Society & Culture(e-ASC)', to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al courseware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to adapt Korean society. The 'e-ASC' can help cultural adaptation,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people's common values and behaviors and can likewise provide opportunities to contribute to Korean society,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living in Korea. E-cultural map is a useful tool for providing educational experiences and sharing a sociocultural homogeneity, using three dimensional space, for both immigrants and residents. The 'e-Atlas of Society & Culture', suggested in this paper, using the notion of an E-cultural map, has a strong point. That is to say, the immigrants have contextual limitations about Korea and Korean culture, caused by some particular events in their motherland. This atlas provides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is contextual limitations and to help understand and adapt to Korean society for these immigrants. This 'e-Atlas of Society & Culture' can be an efficient educational tool for immigrants and can help marriage immigrant women understand and adapt Korean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They might have contextual limitations about these phenomena in their motherland.

      • KCI등재후보

        일본 전통·문화교육의 교육과정과 지도 실제 -「동경 교육위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천호성 한국일본교육학회 2008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전통 · 문화 교육의 교육과정과 지도 사례의 검토를 통해 글로벌 시 대에 한국의 전통 · 문화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사회 · 경제의 글로벌화가 급속하게 진전되는 현재의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지속적인 발전 을 담보하고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역할과 기여를 위해서는 세계로부터 신뢰받고 존경받을 수 있는 한국인을 육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각 단계에서 학생들에게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이나 문화에 대한 철저한 교육을 통해 지역이나 국가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시키고, 한국인으로서 애착을 갖게 함과 동시에, 세계의 다양한 전통이나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나 자질을 육성하는 교육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산업사회로의 발전을 도모하는 가운데 전통 · 문화 교육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시 행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검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 두 가지를 한국 전통 · 문화 교육의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첫째, 한국의 전통 · 문화 교육은 학생들에게 한국인으로서 자긍심과 정체성을 함양하는데 초 점을 두고, 우리 문화를 국제사회에 발신 가능하도록 능력과 지질을 육성하여야 한다. 둘째, 한국의 전통 · 문화 교육을 지도할 때에는 지역자원을 활용한 협력과 연대를 통해 프로 그램을 다변화 하고, 체험을 중시하는 학습이 진행되도록 구성하고 실행에 옮기는 것이 필요하 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학생 지도에 나타난 타자윤리

        조현희(Cho, H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With a growing demographic diversity, an increasing influx of postmodernism has contributed to created and continued conversation and scholarship regarding an ethics of difference in South Korea. This study unravels how the ethics of difference is embedded in teachers’ perceptions of and interactions with culturally marginalized students. Through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34 exemplary mulicultural education cases selected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Cent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ver three years (2014-2016), this study illuminates that the teachers’ guiding strategies for culturally marginalized students were dependent upon their beliefs toward universalism, toleration, or recognition. Each ethics of difference was incorporated into racing to the mainstream; engaging the students with a tourist curriculum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s; or making the students’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more cental in the overall process of teaching and guiding, respectivel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eacher education were also provided. 국내 인구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타자 혹은 타집단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할 것인지에 관한 학문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학생에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어떠한 타자윤리관에 기반하고 있으며, 교사들이 가진 타자윤 리관이 다문화가정학생을 지도하는 데 어떠한 모습으로 구현되는지 실제 다문화가정학생을 지도한 교사들의 사례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3년간교육부와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주관으로 이루어진 다문화교육 우수사례 공모전에 당선된 34개 사례의 수기들을 질적 내용분석의 방법과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학생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한국인중심주의와 탈한국인중심주의, 그리고 결핍지향관점와 차이지향관점 사이에서 보편주의(universialism), 관 용(tolerance), 인정(recognition)의 윤리관으로 구별되어 나타났으며, 각 윤리관에서의 다문화생활지도는 ‘따라잡기식 교육’, ‘여행자 교육과 개별화 교육’, ‘문화적 정체성 계발을 중심으로 한 총체적인 교육’이라는 모습으로 구현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 들을 바탕으로 향후 다문화 교사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문화어를 통한 한국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박영순(Park YoungSoon)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세계한국어문학 Vol.6 No.-

        이 글은 한국어교육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문화교육을 해야 하며, 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언어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적 요소 즉 문화어를 찾아 교육해야 함을 주장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언어는 문화를 생성하며, 반대로 문화가 언어에 투영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언어와 문화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현대의 언어교육에서는 문화교육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이 화두가 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문화교육의 내용이나 방법 면에서는 아직도 전범이 될 만한 연구나 이론이 별로 없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첫째로 문화는 워낙 광범위하고 복잡하여 간단명료하게 설명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둘째로, 문화를 보는 관점에 따라 그 내용도 달라지고, 문화학습 목적이나 학습자 변인에 따라 교육방법도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어교육으로서의 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는데,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체계적인 문화교육 내용이나 설득력 있는 교수학습 방안이 제시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화교육 내용 선정의 기준과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여 선행연구와 본연구의 차별성을 보이고자 한다. 그러나 광범위한 문화 전체를 한국어교육에서 다룰 수도 없으려니와 본고에서 다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교육을 위한 문화만을 다루되, 그 중에서도 언어와 문화의 접점을 이루고 있는 문화어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의 특징, 한국문화의 정체성, 한국의 생활 특성, 한국의 독특한 풍속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여기서 문화어란 단어의 의미가 단순히 문자적 의미에 그치지 않고, 그 의미가 곧 한국의 문화를 나타내는 단어를 말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전통적인 한국문화를 나타내면서도 현재까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단어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문화교육방법에서는 목적에 맞게 교육하기, 문화유형에 맞게 교육하기, 과제학습을 통한 교육 등 12가지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교육 평가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재에 대한 문화교육 평가, 학습자의 문화인지도 평가, 문화교수법 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끝으로 앞으로도 이 분야에 대한 현장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rgue that Korean culture must be included in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ince there are so many instances in which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background is necessary to capture the intended meaning of a sentence or a discourse of Korean. Of course this kind of phenomenon is not Korean-particular, but language in general. Therefore the key cultural words of a Language must be listed and the meanings of such words should be explained by linguists at least to some extent to help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discusses about the aims, contents, methodology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In order to help the student who study Korean as a second or a foreign language, the overall language-related Korean cultural elements are described such as Korean idealogical symbols such as symbolic favorites, values, institutional ident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etc., Finally Linguistic identifications of Korean language in terms of phonolog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Korean culture.

      • KCI등재

        다문화가정 방문교육지도사의 관계맺기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신혜정,최수안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5

        This study is a narrative study conducted to in-depth explore the ‘relationship building’ experience of visiting education instructors in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two women who have worked as visiting education instructors for the first generation at the A Multicultural Family Center in Incheon for more than 12 yea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ur in-depth interviews from January to March 2022.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a visiting education instructor was derived as ‘building a joint relationship with a multicultural family center and colleagues’, ‘building a coexistence relationship with married migrant women’, and ‘building an inclus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o support visiting education instructors to form and strengthen a community of practice, conduct a full-scale survey on the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of visiting education instructors, and expand the area of conservative education to cultivate relationship-oriented capabilities.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policies and programs based on relationship building between solidarity, coexistence, and inclusion are necessary to move toward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uilding experience of visiting education instructor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mov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of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방문교육지도사의 ‘관계맺기’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된 내러티브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인천시 소재 A 다문화가족센터에서 1 세대 방문교육지도사로 12년 이상 근무한 2명의 여성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1월부터 3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방문교육지도사의 관계맺기 경험은 ‘다문화가족센터 및 동료와의 연대적 관계맺기’, ‘결혼이주여성과의 공존의관계맺기’, ‘다문화가족 아동과의 포용적 관계맺기’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따라, 방문교육지도사의 실천공동체 형성과 강화를 위한 지원,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갈등과 심리적 소진에 대한 지원, 방문교육지도사의 관계지향적 역량 함양을 위한 보수교육 영역확대를 제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에서 공존과 소통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연대, 공존, 포용의 관계맺기에 기반한 정책 및 프로그램이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방문교육지도사의 관계맺기 경험에 대한 이해의 폭을넓히고, 공존과 소통의 다문화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