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쁘리마코바 따띠아나(Primakova Tatiana)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1 No.-

        러시아에서 한국학의 영역은 비교적 긴 역사를 갖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주로 한국학이라는 큰 영역내에서만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러시아 내에서의 한국학 영역 중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만을 분리하여 논의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러시아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첫째,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교수법 등을 간략하게 서술하고 러시아에서의 교수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고등 교육 기관(대학)에서 한국어 교수법과 교육과정 및 졸업생들의 취업 상황 등 한국어 교육 전반을 살펴보았다. 특히, 필자는 한국어 교사 교육에 관심을 두고 검토하였다. 셋째, 러시아의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연구 현황을 살펴보는데, 러시아 및 한국에서 발표된 석ㆍ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field of Korean Studies has a comparatively long history in Russia and Korean Educatio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KFL) in Russia has always been an integral part and has been discussed within the broad framework of Korean Studies. The goal of the present article is ro separate 'TKFL' from the broad term of Korean Studies in Russia. In order to provide a well rounded description of the TKFL in Russia today, the author does the following. First, she provides a brief description of the Modern Korean education history and describes the tradition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s in Russia. Second, she depicts the present situation in the field of TKFL i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cluding the teaching approach, textbooks used, and the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for new graduates. The autho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Korean teacher development education in Russia. Third, she provides a list of the PhD and Master's theses in the field of TKFL published in Russia and Korea. Forth, she defines the challenges to TKFL in contemporary Russia. In the conclusion, some possible solutions to the defined challenges are offered.

      •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영희(Lee YoungHee)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세계한국어문학 Vol.5 No.-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은 여성 결혼이민자와 그 자녀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이중언어교육, 자녀를 위한 학습 한국어교육이 주를 이룬다.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재는 8종 13권이 개발되었고,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교재는 8종 38권이 개발되었다. 연구 논문은 2003년 이후 2010년 현재 152편이 발표되었는데, 학위논문이 70편, 학술지 논문이 82편이었으며, 2008~2009년에 연구의 71%가 이루어졌다. 주제별로는 다문화 가정 한국어교육의 내용학적 연구인 교수-학습 분야가 가장 많았으며, 2009년부터 웹 기반, 평가 등으로 다양화되었다. 향후 과제로 일곱 가지를 제안하였는데, 다문화 정책 및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비롯해서, 고급 한국어 수준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해서는 이중언어교원 자격 부여를 비롯한 취업한국어교육 및 검정고시 한국어 등 보다 실질적인 과정이 고안되어야 함 등을 주장하였다.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교육과 함께 유아원, 유치원에서부터 초 · 중 · 고등학교까지 한국어 능력을 체계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과 청소년들 대상의 흥미로운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is survey alms to review the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ggests research task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usually focuses on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nd children who are part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is study reviewed 13 books across 8 categories currently available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nd 38 books across 8 categories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erms of the research trend, there were 152 papers published during 2003~2010, and among those were 70 dissertations and 82 academic journals. 71% of this research was published during 2008~2009. Analyzed by subject, most focused on research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 subjects of research have become diversified since 2009. This paper suggests 7 casks, including; enriching the substance of multi-cultural policy,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fostering bilingual teachers progra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ith high level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job-Korean and the state certificate examination-Korean, etc.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paper suggests that bilingual education and a systematic curriculum aimed at improving those children’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is necessary. Als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s for teenagers is needed.

      • [기조강연] 세계 속의 한국어학과 다언어교육의 본질

        박영순(Park Youngsun) 세계한국어문학회 2010 세계한국어문학 Vol.3 No.-

        본 논문은 세계 속의 한국어문학과 다문화주의라는 주제로 기획되었다. 특히 이 논문은 세계 속의 한국어문학과 한국어교육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다문화사회에서의 이중/다중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살펴보았다. 한국어는 1990년대부터 급신장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과 한국어교육이 2010년 현재 약 70개국에서 약 750여 개의 대학에서 한국어문학과를 운영하거나 한국어강좌를 개설하고 있는 세계 10대 언어에 포함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주요국가 주요대학의 한국어문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한국학 발전을 위해 필요한 일이 무엇인지, 어떤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한국사회가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로 변화되어감에 따라 다문화주의의 본질을 살펴보고, 그 실현방법인 이중/다중 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사례를 통해 한국 내의 다언어교육의 가능성과 교육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for the discussion on the multiculturalism which became the major academic and social topic recently. This study aims to show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studies, especially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iterature, in the World. And then discuss on the theories of bi/multilingual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ies such as United States.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on world-wide is continually raising since 1990's. As of 2010, Korean language is ranked 9th among 6 thousand languages in the world. This rank could be calculated from the facts, that Korean Language was included in the SAT from 1997 as 9th language, also in PCT official language also as 9th 1n 2007. Korean language is being taught as a foreign language at about 750 universities in 70 countries as well as about of hundred high schools in the world. There are more than one and half million foreigners live in Korea. Among them, more 20% are married Koreans and have children. Therefore Korea is considered to be multicultural society. Accordingly bilingual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homes is needed and demanding in present Korea. Of course, bilingual education must be very useful and profitable for Korean native children also. Thus the way of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searched as early as possible. The immersion program is considered to be one way of bilingual education both for minority students and majority students in Korea.

      • 한국학으로서 현대시문학의 세계성

        이민호(Lee MinHo)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세계한국어문학 Vol.6 No.-

        한국문학의 세계성을 강조하면 할수록 한국문학의 정체성은 모호하다. 본고는 세계화가 동질화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를 인정하며 다양성을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현대시문학의 세계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세계성을 제고하는 방법으로 번역문제를 언급하여 세계성의 본질과 직접적 관계가 없음을 밝혔다. 번역은 원작을 본질로 해서 번역작 역시 원작의 연관으로 간주하여 한국시문학의 민족문학의 범주를 벗어나 세계인과 삶의 연관을 맺을 수 있는 고리를 찾아야 한다. 요즘 풍미하고 있는'동아시아담론' 역시 세계성의 층위에서 정당성을 확보하고 있는 지 살펴보아야 한다. 현대시문학의 세계성을'동아시아담론'에서 구하는 것은 민족주의 착종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민족문학의 강조는 세계성과 상충된다. 과거지향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남들과 함께 하는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학문으로서 한국학을 추구해야 한다. 융합과 소통의 논리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현대시문학 연구에서도'보편적(universal) 독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김종삼과 신동엽의 시를 대상으로 융합과 소통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이 두 시인은 모두 한국의 민족현실과 한국전쟁의 트라우마로 제한적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김종삼의 보편적 인식에 바탕을 둔 코스모폴리타니즘은 세계인의 보편적 휴머니즘과 융합하며 소통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신동엽은 식민지 근대의 착취로부터 벗어나려는 전지구적 유토피아를 추구함으로써 개별적이지만 평화의 보편적 가치를 확산시키고 있다. 궁극적으로 세계화시대에 한국인문학은 개방과 고립의 이중적 경향을 탈피하고 지역학의 경계를 넘는 시문학연구가 절실하다. The more globality of Korean literature is emphasized, the more ambiguous the identity of Korean literature gets. This thesis examines modern Korean poetry with a view that globalization does not mean homogenization but means pursuit of diversity with recognition of differences. First, as for the issue of translation as a way of enhancing the globality, I make it clear that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ion and the essence of globalization. Translation should go beyond literal translation of original works and should provide a link which can connect Korean poetry with people using other languages. Also, it should be examined if the'East Asian discourse' that is in vogue currently can be justified in the light of globality. The emphasis on national literature comes into conflict with the idea of globality. We should give up past-oriented views and pursue Korean Studies as an open and progressive discipline, which is the notion of fusion and communication. In that sense,'universal' comprehension is required in the study of modern Korean poetry.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fus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poems of Kim long-sam and Sihn Dong-yup. Both of them are rated as poets always associated with dark realities of the country and traumas of the Korean war. However, Kim long-sam's cosmopolitanism based on universal recognition blends and communicates well with universal humanism. Likewise, Sihn Dong-yup spread the value of universal peace by pursuing a global utopia trying to escape from the colonial exploitation. Ultimately,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t is required that the study of Korean poetry should give up the notions of openness and isolation and go beyond the boundaries of local studies.

      •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영희(Lee Younghee)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1 No.-

        이 연구는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하위 영역인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외교관이라는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특정 언어 영역을 강조하여 평가한다는 점에서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으로서의 특징을 지닌다.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은 정규과정 보다는 비정규과정이 많았으며, 일대일 개인 수업 등 소규모 수업의 형태가 많으므로, 이러한 특수성을 고려하여 교수요목과 교재를 개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언어권을 대상으로 현직 주한 외교관들의 요구 분석이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이 시급한데, 이에는 학습자 특성, 수업 규모 한국어 사용 환경, 업무 수행 등을 고려해야 한다. 말하기 능력이 강조되는 외교관의 업무 특성과 관련하여, 외교관을 위한 ‘전화 한국어’, ‘연설 한국어’, ‘협상 한국어’, ‘토론 한국어’, ‘통역 한국어’ 등의 실용적인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사용역 분석에 따른 외교 전문 어휘 및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고빈도 외교 전문 어휘와 외교 수사적 고정 표현 등을 말뭉치와 담화분석에서 추출하여, 어휘집이나 사전(온라인 포함)의 형태로 제시한다. 넷째,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교사에 대한 교육 자료가 개발되어야 한다. 직업 목적 학습자에게 유용한 내용 중심 교수법에서 한국어 교사들은 언어 지식뿐만 아니라, 전문가에 준하는 내용적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외교관을 위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 외교통상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urvey aims to review the sta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diplomats and suggest research tasks for it. The evaluation 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diplomats emphasizes particular functions required for their jobs. From this point, it has the characteristic as specific purposes. Regarding Korean language program for diplomats, there are more non-regular programs than regular programs. This paper discusses 5 tas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diplomats. First, needs analysis targeting current diplomats should be required. Second,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r specific purposes is needed. This paper suggests several textbooks such as telephone Korean, public speaking Korean, negotiation Korean, discussion Korean, interpreting Korean etc. Third, the list of diplomatic professional vocabulary and expression is needed on the basis of register analysis and corpus. If they will be provided lexicon or dictionary (including on-line) with translation and example sentences, learners can use it repeatedly for their study. Forth, educational materials for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teach Korean with CBI(Content Based Instruction). Fifth,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support for research on reaching Korean for diplomats.

      • 한국어 인사 표현의 유형과 특징

        문금현(Moon Keumhyun)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1 No.-

        본고에서는 한국어 화용 표현 중에서 우리나라의 역사나 문화, 그리고 민족성이 반영된 고정적인 인사 표현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한국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고정적인 인사 표현의 유형을 상황별, 내용별로 분류하여 한국어 인사 표현의 특징을 드러낸 목록을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남녀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유형별 인사 표현에 나타난 세대별, 성별 사용 양상과 특징을 밝혔다. 4장에서 한국어 인사 표현에 나타난 특징이 영어, 중국어, 일본어 인사 표현에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 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어와 다른 나라의 인사 표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첫째, 한국어에는 영어처럼 시간대별로 따로 인사가 있지 않으며, 식사 여부를 묻는 인사 표현이 다른 나라에서는 빈번하게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둘째, 집을 나설 때 자주 사용하는 ‘다녀오겠습니다.’가 영어권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셋째, 한국인들이 만났을 때 쓰는 ‘수고하십니다.’라든가 ‘잘 부탁드립니다.’라는 인사가 영어에는 없다. 넷째, 한국인들이 일을 마친 후에 쓰는 ‘수고하셨습니다.’라는 표현을 영어에서는 오직 일과 관련 되어 있는 아랫사람에게만 사용한다. 다섯째, 한국인들은 음식을 먹기 전후에 ‘잘 먹겠습니다, 잘 먹었습니다.’와 같은 인사 표현을 하는 데 이것 역시 영어에는 없다. 여섯째, 한국어의 인사 표현은 상대방에 대한 개인적인 질문을 많이 하는데 다른 나라는 그렇지 않다. 일곱째, 한국어의 인사 표현에는 날씨 관련 인사말이 흔치 않은 반면에 영어의 경우는 날씨에 관한 인사 표현이 많다. 결국 한국어 인사 표현은 영어와는 차이가 많은 편이고, 중국어, 일본어와 비슷한 점이 많은데 특히 일본어와 비슷한 점이 더 많다고 하겠다.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ical types of greeting expressions, reflecting Korean history, culture and racial characteristics, often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in diverse discourse settings: situations and contexts. This paper considers sociolinguistic features and language culture of Korean greeting expressions in each type based on generation and gender differences. The greeting expressions of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were compared with Korean greeting expressions. Furthermore Korean greeting expressions were examined by the features of each greeting expression more in a detailed wa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Korean semantic and sociolinguistic research materials, besides, it can also be used as an educational resource for Korean pragmatics.

      • 연변에서의 이중언어 사용 실태와 한국어 교육

        마금선(Jin Shan Ma)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1 No.-

        이중언어 사용자란 아동 초기부터 두 개의 언어 환경에 노출되고 두 언어를 동시에 습득하는 화자를 가리킨다. 중국과 같은 다민족 국가에서 소수민족의 이중언어 사용은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인 삶에 최대한 참여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중국 정부는 언어정책을 헌법으로 명시하여 소수민족들에게 법적 보장을 주고 있다. 중국 길림성에 있는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중국 최대의 조선족 집거지로서 중화 인민공화국 건립 초기부터 중국 정부의 언어정책 아래 이중언어 교육을 실행하였고 일상생활에서도 이중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오랜 시간동안 중국 문화 속에서 삶을 영위해 오면서 아직까지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변의 한국어는 이주 당시의 언어를 보존함과 동시에 북한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와는 음운, 억양, 어휘, 문법 등의 면에서 다소 이질성을 갖고 있다. 본고에서는 연변의 이중언어 사용 실태를 발화 환경과 대상, 연령, 지역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연변에서의 모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계속 유지하고 발전시키며 민족어를 정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함을 다시 한 번 되짚어 보았다. Korean Ethnic bilingual speakers has been naturally exposed to two languages and culture. The usage of two languages is a very natural phenomena and also necessary for the people who lives in China. Chinese government need minority races' active participation for Chinese society so they respect minority races' language and culture. Many ethnic Korean has been lived at YoeonByon area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y strongly maintain their language and culture in China. But there exist differences at phonology, intonation, vocabulary, grammar, etc compared to south Korean language. This paper will examine current analysis of language usage at YoeonByon and compares differences between languages and considers efficient educational system. This paper will suggest how to maintain ethnic Korean language but not to isolated from main society.

      • 협동학습을 통한 다문화 가정의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 :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를 대상으로

        어수진(Eo SuJin)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세계한국어문학 Vol.5 No.-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를 분리하여 바라보는 시각이 아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양방향적인 관계로 인식하여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높이고 의사소통의 활성화와 한국어 능력 함양을 위해 협동학습을 통한 한국어 교육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장에서는 다문화 가정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였고, 2장에서는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따른 유아의 발달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고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 관계에서도 상호작용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한국어교육에서도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협동학습 이론을 제시하고 그 이론을 살펴보고 협동학습이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의 한국어교육에서의 필요성을 밝혔다. 3장에서는 국적, 연령과 관계없이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외국 여성으로 서울과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비영리 목적의 한국어 강좌를 개설한 센터에서 수강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6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의 협동학습을 통한 한국어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3장의 설문 분석 결과와 4장의 교육 원리와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의 협동학습을 통한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metho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o improve linguistic, interactive and communicative skills among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not separate, two-way relations. In chapter 1, problems related to multi-culture families and proper solutions, 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chapter 2, prior studies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based on the interactions between mom and her child are discussed 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nteractions between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are mentioned. In chapter 3, a questionnaire survey is conducted with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In chapter 4,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done in the previous chapter,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cooperative learning between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are put forth starting with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etween the two parties followed by models of teaching in class, composed largely of pre-class, in-class and post-class activities. In chapter 5,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in chapter 3 and educational principles and teaching model mentioned in chapter 4, sample lesson plans are suggest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etween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 한국어 교수 방법에 대한 고찰

        김경령(Kim Kyungryung) 세계한국어문학회 2010 세계한국어문학 Vol.4 No.-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이론과 현장 적용 실험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언어 교수이론을 발표해왔다. 한국어 교육계에서는 1980년대나 되어서야 외국의 교수법에 대한 소개가 몇몇 논문을 토대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단기간 내 수많은 언어 교수 이론들이 국내에 소개되기 시작하였고 부분적으로 한국어 교수법으로 응용, 전환되어 받아들여지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발표되어 온 외국의 교수 이론에 대한 소개와 함께 한국어 교수법에 어떻게 전환되고 응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언어교수법 중 문법번역식교수법, 청화식교수법, 침묵식교수법, 전신 반응교수법, 다중지능접근법, 직접식교수법, 협동학습법, 총체적접근법, 내용중심접근법과 의사소통접근법 등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한국어 교수법으로서도 접목 및 응용이 가능한지 등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외국어 교수이론을 무분별하게 수용하기보다 표준적이고 독자적인 한국어 교수 학습 모형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은 학계와 현장에 있는 모든 한국어 교사들이 절실히 느끼는 과제이다. 언어 교수법과 교재 개발, 교과 과정은 상호 보완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 다양한 학습자 변인에 대한 연구와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세분화된 교수법 개발, 효율적으로 교수법이 실행되기 위한 교과 과정 개발 등에 대한 문헌 및 실험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various kinds of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and material development. Various kinds of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which introduced at foreign language education area. Around 1980, these various kinds of teaching methodology begin to introduce and influence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a. Some of them worked efficiently while others did not. This study explains various kinds of teaching method or approaches like grammar translation method, audiolingual method, the silent way, total physical response, the direct method, content based instruction, community language learning, Multiple intelligence, whole approach an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This study examines the applicability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rea with a critical point of view.

      • 개화기 한국어 학습서 『日韓會話』에 대한 일고찰 : 그 성립 과정과 한국어 교재로서의 구성을 중심으로

        박기영(Park Keeyoung)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1 No.-

        본고의 목적은 1894년 일본에서 간행된 한국어 학습서인 『日韓會話』에 대해 그 성립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재로서의 구성상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고의 주장은 크게 두 가지이다. 우선 『日韓會話』가 한국인과 일본인에 의해 부산 지역에서 그 본문이 작성되었을 것이라는 기존의 주장에 대해 본고는 오히려 인천 지역에서 본문이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 근거로서 학습서 본문의 내용이 주로 인천과 서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점과 본 학습서의 한국어가 체계적이고 일관된 방언형 표기를 보여주지 않으며 기존의 주장 가운데 일부 논거는 일본인 모어 화자의 오류로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아울러 『日韓會話』 교재의 특징을 비슷한 시기에 간행된 『日韓英三國對話』와 『日韓通話』와의 비교를 통해 검토해 보았다. 검토 결과 『日韓會話』는 다른 두 학습서와 마찬가지로 이전의 대표적인 한국어 학습서인 『交隣須知』의 영향 아래 있으면서도 당시의 필요에 따라 숫자나 도량형과 관계된 어휘들을 추가하였으며 ‘주제별 단어와 문장’의 교재 구성에 있어서도 다른 학습서보다 더 체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Nit-Kan-Kai-Wa(1894), Korean Textbook for Japanese learner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publication process and organization of the book This paper raises two key points. First, The Korean Textbook Nit-Kan-Kai-Wa may have been written in Inchon Area not Busan Area. There are two evidences. One is the content of Nit-Kan-Kai-Wa in which the main geographical background of conversation written is Inchon and Seoul. The other is Korean language itself included in The Korean Textbook Nit-Kan-Kai-Wa doesn't show any conclusive evidence that includes some dialectal feature. The Korean language of Nit-Kan-Kai-Wa seems to be Jungbu Dialect. Second, Nit-Kan-Kai-Wa puts more stress on colloquial communication. We can confirm this by investigating the preface of Nit-Kan-Kai-Wa. It includes four items and three of them are about pronunc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