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적 경계를 넘다

        김필영(Kim, Phil-Yeong)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인간 Vol.5 No.1

        여러 가지 이유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들이 동일한 사회 내에서 살아가야 하는 ‘다문화’ 현상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현실에 직면하여 문화적 ‘타자’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많은 사회 집단들이 문화적 ‘타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의 통합과 평화로운 상호공존을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그 성과는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 이유는 아마도 문화적 ‘타자’ 이해 가 생각보다 쉽지 않으며, ‘타자‘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보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우세한 까닭일 것이다. 문화적 ‘타자’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두 가지 연구방법이 최근 문화에 대한 연구성과로 확립되었다. 그것은 문화의 ‘구성적’ 성격과 문화적 경계를 넘은 ‘경계인’의 경험에 주목하는 것이다. 우선 문화적 ‘타자’가 관찰자에 의해 어떠한 배경에서 어떤 목적으로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문화적 ‘타자’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해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우리’와 ‘그들’ 사이의 ‘문화적 경계선을 넘는’ 경험을 통해서 문화적으로 ‘경계인’이 된 관찰자의 시선을 통해 문화적 ‘타자’의 이미지를 새로이 점검해 보는 것이다. 이렇듯 문화적 ‘타자’ 이해에 새로운 두 가지 연구 성과를 적용하는데 가장 적합해 보이는 대상 중의 하나가 바로 문화적 경계선을 넘나든 기독교 선교사들이다. 본고는 16세기 아메리카의 에스파냐의 선교사 라스 카사스(Bartolomé de Las Casas, 1474-1566)의 아메리카 원주민 인식을 바야돌리드 논쟁(1550-1551)을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유럽과 아메리카를 넘나든 문화적 ‘경계인’으로서 경험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으로 아메리카 ‘원주민 노예주’에서 아메리카 ‘원주민 변호인’으로 변신했던 그가 가졌던 아메리카 원주민 상(像)에서 보이는 ‘문화적 월경’ 모습을 찾아보았다. 바야돌리드 논쟁에서 아메리카 원주민을 ‘타고난 노예’이자 ‘야만인’으로 인식하는 세풀베다에 반해 라스 카사스는 인종 및 종교와 문화에 상관없이 ‘신 앞에 모든 인간이 평등하다’는 기독교적 인식 위에서 원주민의 인권을 지지하고, 그들의 주권과 평등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분명히 ‘문화적 경계를 넘었다’고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그가 문화적 경계를 넘을 수 있게 해준 기독교적 신념이 다른 한편으로는 그가 또 다른 문화적 경계를 넘는데 장애로 작동했다. 타자, 즉 아메리카 원주민의 문화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 보다는 이들이 궁극적으로는 ‘평화적인 선교’를 통해 ‘기독교화’ 되어야할 대상, 즉 ‘서구화’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하는데 있어서 의심의 여지가 없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16세기 에스파냐제국의 당시 상황에서 라스 카사스가 그러한 견해를 개진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는 그가 16세기에 어떤 면에서는 ‘매우 높은’ 문화적 경계를 넘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The needs for understandings of cultural ‘others’ cannot be overemphasized for our ‘multicultural’ reality today in which many groups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have to live together in the same society for various reasons. It is a long way to go for many group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to achieve a social integration and live together in peace. It is not an easy job because negative images of the cultural ‘other’ prevail over positive ones. There are two new ways to research culture to help to understand the cultural ‘other’ better: the constructive character of culture and the attention to experiences of people who went beyond cultural border. First, it can be tried to reduce the negative images of cultural ‘other’ by observing how it can be constructed under what situation for what. Second, it can be tried to think about the images of the cultural ‘other’ again in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that went beyond cultural border. It seems to be the Christian missionary to be the most appropriate object to apply this two research methods. This study wants to draw an attention to the perception of Native American by Bartolomé de Las Casas (1474-1566), the Spanish missionary in America in the sixteenth century. He was first an encomendero, an owner of Native American slaves. After he regretted his life as such, he became a defender of them. There was a controversy in Valladolid in 1550-1551 to discuss the character of them, whether they were uncivilized, and propagation of Christianity to them.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traces of his going beyond cultural border in the defense for them in it. While Las Casas remained in his cultural border by convincing that the Indios in America had to be christianized, but he went beyond cultural border by positioning Indios to the Spanish, the Europeans, equal by believing “All man are equal before God” and requesting the Spanish to respect the culture of Indios and to missionize them by peaceful methods.

      • SSCISCIESCOPUSKCI등재

        한국과 미국 여대생의 월경전후기 불편감, 월경에 대한 태도, 성역할 수용도의 횡문화적 차이에 관한 연구

        홍경자,박영숙,김정은,김혜원 한국간호과학회 1998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5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transcultural differences on perimenstrual discomforts, menstrual attitudes and sex role acceptanc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2557 nursing students were selected from 13 universities all around Korea, and 4 universities in the eastern, western, and middle areas of the United Stat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MDQ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by Moos), the MAQ(Menstrual Attitude Questionnaire), and the Sex Role Acceptance Scale, the subjects answered the MDQ for three points (premenstrual, menstrual, intermenstrual based on their recollections) between July, 1996 and April, 1997.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 of menarche, duration of menstruation, and menstrual cycle between the Koreans and the Americans. 2. As for sex role acceptance, Americans more frequently denied the traditional female role than did Korean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five categories of menstrual attitude (menstruation is a phenomena that weakens women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menstruation is a bothersome phenomena, menstruation is a natural phenomena, menstruation onset is a predictable phenomena, and menstruation is a phenomena that does not influence womens' behaviors non is expected to). 4. For the menstrual discomfort sco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all six categories of the MDQ(pain, attention deficit, behavioral changes, AMS response, water retention, and negative emotion) for the three points (premenstrual, menstrual, intermenstrual period). 5. The most common complaints for the Korean women were pain during the perimenstrual period and fatigue during the intermenstrual period. In contrast, for the Americans the most common complaint was negative emotions during the perimenstrual period, but less pain than the Koreans, and a similarity to Koreans during the intermenstrual period. 6. Regularity of the menstrual cyc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of menarche, menstrual cycle, and duration of menstruation. 7 Fo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of Perimenstrual discomforts, menstrual attitudes, and sex role acceptanc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for both group as follows : First, the MA category "menstruation is a bothering phenomen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x role acceptance, second, the MA category "menstruation is a phenomena that weakens the women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A category "menstruation onset is a predictable phenomena." For the further research, it is recommended that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perimenstrual discomforts, be developed and qualitative research to demonstrate the cultural differences as the feminism view point be done.

      • KCI등재후보

        일본 라디오와 TV의 전파 월경과 문화의 접경

        한승우,김현주 (재)한국연구원 2022 한국연구 Vol.- No.10

        ’ 전파(電波, radio wave)’는 하나의 국가에 의해 주도되고, 자신들의 영토 안에서 송출되는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섬세한 조절이 불가능하고 변형된 기기를 통한 수신까지 모두차단시킬 수 없는 전파의 특성 때문에, 국경을 넘거나 문화권 및 이데올로기적 권역을 침범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부산’은 한국에서 전파가 국경을 넘어 침투를 거듭하는 특수한 월경 지역이면서, 은밀하게 문화가 유입되고 유통되는 공간이었다. 일제 강점기를거친 한반도에서 일본은 항상 금지의 대상이었지만, 라디오 전파를 통해 수신된 그들의음악은 꾸준히 국경을 넘나들었다. 전파를 통해 유입된 J-POP의 밝고 세련된 이미지는 1980년대 후반 한국의 댄스음악 탄생에 큰 자양분이 되었다. 이 무렵, 라디오를 이용해 ‘듣는’ 것으로부터, TV라는 매체를통해 ‘보는’ 것으로의 대전환이 일어나면서 화려한 춤과 리듬감 넘치는 ‘신세대 댄스가요’가 탄생된다. 대중가요의 폭발적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음악적, 산업적 기반을갖추지 못했던 한국 대중음악 생산자들은 일본 음악의 모방이나 표절로 상황을 쉽게 모면하려 했으나, 상당수의 신세대 댄스 가수가 표절에 연루되는 결과만을 낳게 된다. 일련의 시련을 거치면서 한국 대중음악은 일본의 댄스음악의 영향에서 벗어나 고유의 독창적인 색깔을 찾아 진화하고 발전할 방법들을 모색하였고, 그 결과 K-POP이라는 특수한 장르를 탄생시켰다. K-POP의 성공은 전파를 통해 수입된 타문화가 ‘소비-모방-정착’의 단계를 거치면서,‘초국가적(혹은 초문화적) 스타일 구축’이라는 일종의 문화적 융합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가될 수 있다. 일본 및 서구의 영향으로부터 시작된 한국의 댄스음악이 K-POP이라는 독창적이고 새로운 장르로 성장하고, 그것이 다시 세계인들에게 다가가는 선순환의 모범이된 것이다. 본 연구는 전파(電波)에 의해 전파(傳播)된 일본 문화의 흐름과 K-POP의 연관성을 내밀하게 분석하면서, 문화 접경과 융합의 현상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이동하는 국적, 월경하는 주체, 경계적 문화자본-한국내 재일조선인 3세의 정체성 정치와 문화실천

        김예림 상허학회 2009 상허학보 Vol.25 No.-

        This paper analyses the meaning of the transnational cultural practice of young Jaeil Joseonin(Zainich Korean, Koreans in Japan). I focus on the structure of identification and self-consciousness the of 3rd generation of Jaeil Joseonin in the ‘Post Cold War’ age in which various transnational experiences are increasing at the level of everyday life. This paper surveys the motive of the change of nationality and border crossing migration as well as bi-cultural capital and the forms of affective labor of young generation depending on in-depth, qualitative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under which not only young generation but also their ancestors have been lived need to be historicized and recontextualized considering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the possibilities of agency and social institution. 이 연구는 한국에서 활동하는 재일 조선인 3세의 탈국경적 문화 실천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식민화와 냉전이라는 역사적 국면을 통과하면서 탈국경적 경험이 일상화되고 있는 오늘날, 재일 조선인 3세의 자기 의식과 정체성 정치가 어떤 방식으로 구축되고 있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조선적, 조선학교 출신 재일조선인 가운데 한국에서 문화활동을 하는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참여관찰을 진행하였다. 특히 초점을 맞춘 것은 국적 이동과 탈국경적 이동의 문제 그리고 이들의 노동 형태 및 문화자본 운용 양상으로, 궁극적으로 트랜스내셔널리즘과 국가의 관계, 이에 절합하는 주체의 다면적 자기기술의 문화정치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에 대한 규명을 통해 재일 조선인이라는 경계적 정체성 구성의 역사적․현재적 맥락, 이들의 문화 실천이 갖는 의미, 국경을 넘는 이동을 유도하는 주체의 욕망과 현실적 제도 사이의 복합적인 관계를 고찰하였다.

      • KCI등재
      • 異文化理解の倫理にむけて

        Inagasigemi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09 다문화와 평화 Vol.3 No.1

        異文化理解の裏側には、誤解が多々存在する。通常、その誤解を解消する ことが異文化理解であると解釈される場合が多い。コミュニケーション理 論などは、それを前提として議論を展開している。だが翻訳の現場から外 交交渉にいたるまで、利害を異にする当事者の間では、共通言語を介し て、その背後に異なる理解が対峙している。そのことなる理解の接点には いかなる現象が発生するのか。それを物理学ならばポテンシャルの相違に 由来する放電現象、化学ならば化学反応として、さらに気象学のモデルに よれば、異なる大気圧の気団が衝突する前線に発生する気象現象として解 読することも可能だろう。本論は、異文化接触の媒介者的地位に注目し、 異文化接触の気象学を提唱するための前提となる議論を総括する試みであ る。

      • KCI등재

        Beyond Cultural Border : German Missionary in Korea, Koreanologist in Germany, André Eckardt (1884-1974)

        김필영 한국독일사학회 2019 독일연구 Vol.- No.40

        In the age of globalization, cultural contacts are increasing among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t seems demanding to overcome the idea that ‘culture’ is a homogenized and separate unit. Even so, a mono-cultural category and a separated cultural tradition coexist in many people’s minds as ever. How does personal border crossing experience affect these cultural understandings?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and transcultural interactions or hybrid cultures through intercultural contacts in case of André Eckardt (1884-1974). Eckardt’s experience beyond the cultural border for the first time as a German missionary in Korea and as a scholar of Korean Studies in Germany later led him from the stage of perceiving Korean culture on the basis of his self-culture, the German culture to the stage of focusing on the interaction of the two cultures. Eckardt as a missionary in Korea had a dichotomous thinking and searched for contrasts and comparisons of the two cultures. However, he also paid attention to ‘cultural hybridity’ in cultures. Eckardt as a Koreanologist in Germany crossed ‘really’ national and cultural borders and demonstrated intercultural and transcultural interactions with the changes of his research foci from ‘unilateral’ to ‘mutual’ and ‘hybrid.’ He became a mediator of the two cultures in his life working as a German missionary in Korea and Koreanologist in Germany. As see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were derived from personal case of Eckardt, the national and cultural borders seem to be ‘mobile’ and ‘variable’. That is, there is always movement beyond the borders wherever and whenever the encounters occur. When more people cross national and cultural borders and their experiences are spreaded into a wider world, we can certainly expect discrimination, exclusion, and racism that resulted from the national and cultural borders will disappear some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