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적 배경 차이에 따른 뉴스가치 비교 분석

        홍병기(Hong,Byeong-G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신문의 1면은 그날의 가장 중요한 뉴스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신문사가 기사 선택과정에서 어떠한 가치관을 우선하는가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이다. 언론사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치 중에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분석은 국가나 문화, 언어 가 다른 이질적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언론인들간의 뉴스가치의 비교에 유용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토양이 다른 에디터들이 다양한 기사 소재를 놓고 톱뉴스로 다루는 과정에서 어떤 기준에 따라 기사 선택에 나서며, 그 차이는 지면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주목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외국 언론인들이 제작에 다수 참여하고 있는 국내 영자신문 중에서 미국인 에디터들이 주도적으로 기사 선정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Korea JoongAng Daily의 편집회의에 대한 참여관찰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미국인 에디터들은 한국언론인들과는 상이한 뉴스가치를 기준으로 기사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에 비해 부서별 균형(balance)을 중시해 다양한 기사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대통령 선거과정을 다룬 보도에서도 한국언론인들은 하나의 사안에 대해 여러 개의 기사를 별도로 작성해 전체 현실을 설명하는 조합식 구성(mosaic style)을 선호하는데 비해 미국 언론인들은 다양한 관련 요소를 하나의 기사에 최대한 통합, 포괄해 제시하는 통합적 기사(integrated story)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정한 사회적인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도 미국인 에디터들은 문제를 불러오게 만드는 사회적 상황이나 시스템에 대해 주목하는 한국특유의 종합적인 사고방식 대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분석적 사고방식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뉴스를 바라봤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한국 언론이 제시하고 있는 기사 가치 중에서 특히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들과 갈등을 빚거나 낮은 평가를 내리는 유형들로는 추가적인 사실(fact)가 제시되지 않아 내용의 발전(development)이 없거나 기사의 의미나 배경이 담겨 있지 않은 기사 , 의견이 담겨있는 주관적인 기사나 주장의 근거나 출처(attribution)가 없는 기사, 인간적인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재미’가 없는 기사들이 꼽혔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앞으로 문화적 배경이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에서 우리와 상이한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문화산업으로서의 한국 언론의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ery first page of the newspaper is a space where the most important news of the day is published on, and thus, it shows what each newspaper company values the most. Among theoretical models on how media selects certain article, there is a ‘gate-keeping theory’ under which mass media selects certain items through its traditional way. This theory is evaluated in a way that it explains complex and various structures of mass media. Among individual values that influence gate-keeping courses, analysis on ‘cultural background’ is a useful and theoretical base that compares news values selected by journalist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th different nationality, culture and language. In this research, how editor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values choose articles, especially on what standards, and how those articles turn out on papers. For this research, I, as an observer, participated in an editor meeting of Korea JoongAng Daily (KJD), a domestic English newspaper where American editors select Korean news articles and pick out headlines. In result, American editors choose their articles on their own standards which tend to be different from Korean journalists. American editors tend to put various types of stories on the front page, meaning not just articles from a politics department, but also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departments as well. So they are trying to balance out the number of articles so that each department gets to publish an article on the front pag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Korean journalists preferred a mosaic style where various types of articles on one particular item while American journalists preferred an integrated story where a number of different items are integrated in one big article. When big news breaks in, American journalists tend to put out an article that is more like an analysis, presenting solutions to the problem, instead of focusing on social circumstances or systems that caused the problem. Here are types of articles that are evaluated to have not much news values by American journalists: an article that has already been reported but has no additional facts, an article with no meaning and backgrounds, an article with subjective opinions, an article with no sources, and an article that raises no human interest. 신문의 1면은 그날의 가장 중요한 뉴스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신문사가 기사 선택과정에서 어떠한 가치관을 우선하는가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공간이다. 언론사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사결정 구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치 중에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분석은 국가나 문화, 언어 가 다른 이질적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언론인들간의 뉴스가치의 비교에 유용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토양이 다른 에디터들이 다양한 기사 소재를 놓고 톱뉴스로 다루는 과정에서 어떤 기준에 따라 기사 선택에 나서며, 그 차이는 지면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주목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외국 언론인들이 제작에 다수 참여하고 있는 국내 영자신문 중에서 미국인 에디터들이 주도적으로 기사 선정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Korea JoongAng Daily의 편집회의에 대한 참여관찰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미국인 에디터들은 한국언론인들과는 상이한 뉴스가치를 기준으로 기사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에 비해 부서별 균형(balance)을 중시해 다양한 기사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대통령 선거과정을 다룬 보도에서도 한국언론인들은 하나의 사안에 대해 여러 개의 기사를 별도로 작성해 전체 현실을 설명하는 조합식 구성(mosaic style)을 선호하는데 비해 미국 언론인들은 다양한 관련 요소를 하나의 기사에 최대한 통합, 포괄해 제시하는 통합적 기사(integrated story)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정한 사회적인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에도 미국인 에디터들은 문제를 불러오게 만드는 사회적 상황이나 시스템에 대해 주목하는 한국특유의 종합적인 사고방식 대신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분석적 사고방식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뉴스를 바라봤다. 미국인 에디터들이 한국 언론이 제시하고 있는 기사 가치 중에서 특히 기사 선택과정에서 한국 언론인들과 갈등을 빚거나 낮은 평가를 내리는 유형들로는 추가적인 사실(fact)가 제시되지 않아 내용의 발전(development)이 없거나 기사의 의미나 배경이 담겨 있지 않은 기사 , 의견이 담겨있는 주관적인 기사나 주장의 근거나 출처(attribution)가 없는 기사, 인간적인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재미’가 없는 기사들이 꼽혔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앞으로 문화적 배경이 다른 문화권과의 교류에서 우리와 상이한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문화산업으로서의 한국 언론의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데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ery first page of the newspaper is a space where the most important news of the day is published on, and thus, it shows what each newspaper company values the most. Among theoretical models on how media selects certain article, there is a ‘gate-keeping theory’ under which mass media selects certain items through its traditional way. This theory is evaluated in a way that it explains complex and various structures of mass media. Among individual values that influence gate-keeping courses, analysis on ‘cultural background’ is a useful and theoretical base that compares news values selected by journalist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th different nationality, culture and language. In this research, how editor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values choose articles, especially on what standards, and how those articles turn out on papers. For this research, I, as an observer, participated in an editor meeting of Korea JoongAng Daily (KJD), a domestic English newspaper where American editors select Korean news articles and pick out headlines. In result, American editors choose their articles on their own standards which tend to be different from Korean journalists. American editors tend to put various types of stories on the front page, meaning not just articles from a politics department, but also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departments as well. So they are trying to balance out the number of articles so that each department gets to publish an article on the front pag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Korean journalists preferred a mosaic style where various types of articles on one particular item while American journalists preferred an integrated story where a number of different items are integrated in one big article. When big news breaks in, American journalists tend to put out an article that is more like an analysis, presenting solutions to the problem, instead of focusing on social circumstances or systems that caused the problem. Here are types of articles that are evaluated to have not much news values by American journalists: an article that has already been reported but has no additional facts, an article with no meaning and backgrounds, an article with subjective opinions, an article with no sources, and an article that raises no human interest.

      • KCI등재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설화 교육 연구 – 국내 대학 교양 학부의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김혜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학 Vol.15 No.2

        이 연구는 국내 대학 교양 학부에 재학 중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화 교육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의 양상을 살펴본 후, 문화적 문식력을 향상할 수 있는 설화 교수· 학습 방법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적 문식력을 목표 문화의 사회 구성원들이 보편적으로 인정하고 공유한 지식과 가치를 이해하 고 해석하는 능력으로 정의할 때 과거에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전승 되면서 목표 문화의 관념, 가치, 제도, 행위, 산물을 반영하고 있는 설 화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을 향상하는 데 유용한 교육 제제 이다. 한편,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화적 문식력의 양상은 학습자들이 수행한 감상문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유형화하였다.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들이 설화 교수· 학습 과정에서 보인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자는 자문화와 목표 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을 기반으로 목표 문화를 해 석하였다. 둘째, 학습자는 목표 문화와 자문화(home culture) 간의 상 호 텍스트적 지식을 활용하여 문화 간 비교를 수행하였다. 셋째, 학습 자는 목표 문화에 대해 비판적·성찰적 태도를 견지하면서 가치 태도 를 형성하였다.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설화 교수·학습 방법은 지식과 가치의 이 해, 지식과 가치의 비교, 지식과 가치의 평가 등 세 단계로 설계하였으 며, 강독과 질의응답, 상호 텍스트성을 활용한 문화 간 비교, 토론과 쓰 기 활동 등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으로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설화 교육에 반영된 문화 적 문식력의 양상을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설화 교수· 학습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데 있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5–2.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ay in: 1) conducting education in Korean folktale on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enrolled in schools of liberal arts at South Korean universities and examining the subsequent changes in the learners’ literacy in Korean culture; and 2) devising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lktale that can improve learners’ cultural literacy. If and when cultural literacy is defined as an ability to understand and to interpret the knowledge and values universally acknowledged and shared by members of the target culture, folktale, which are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reflect the ideas, values, institutions, actions, and products of the target culture, are useful educational materials for improving the cultural literac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Meanwhile, patterns in Korean language learners’ cultural literacy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into diverse types by analyzing reports written by the learners in response. The patterns exhibited by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processes of teaching and learning folktale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interpreted the target culture based on their background knowledge of both the home culture and the target culture. Second, the learners conducted cross–cultural comparisons by making use of their intertextual knowledge of both the target culture and the home culture. Third, the learners formed value attitudes while maintaining critical and introspective attitudes toward the target culture.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lktale to improve cultural literacy were designed in three stages: understanding knowledge and values; comparing knowledge and values; and evaluating knowledge and values. They were then presented concretely as: lectures and question and answer sessions; cross–cultural comparisons making use of intertextuality; and learner–centered learning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s and compos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examining patterns of cultural literacy reflected in education in folktale conducted on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based on them, concretely presenting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lktale.(Sungkyunkwan university)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읽기 능력에 대한 사례 연구

        서혁 ( Hyuk Suh ),박지윤 ( Ji Yoon Park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6 No.-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사회문화적 배경이 읽기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사례연구와 관련된 것이다. 다문화가정의 주요 구성원(어머니와 그 자녀)에 대한 관찰, 분석, 심층 면담을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의 어머니는 한국어 능력이 크게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대체로 자녀의 교육에 관여를 하고 싶지만, 자신의 한국어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아 자녀의 교육을 돌볼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읽기 지도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들은 일정 부분 그 어머니의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어휘에 있어서 어휘의 양이 부족한 것도 있으나, 고유어, 동음이의어, 관용 표현 등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한국의 문화를 알아야 이해할 수 있는 관용 표현에 대해서 어려워하고 있었다. 한 단락 수준의 중심내용 파악과 관련하여서는 대체로 "화재+평언" 형태의 거시명제 구성에는 큰 어려움이 없었으나, 개인적인 관심에 따라 생략 가능한 세부 정보들이 추가되고, 오히려 필수적인 구체적 정보는 생략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급증하는 다문화시대 속에서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그들에 맞는 교육을 통해 읽기를 잘 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비록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제한적인 사례연구이긴 하나,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겪는 읽기에서의 어려움을 파악하였고 어머니의 사회·문화적 변인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에 대한 국어교육 관련 연구와 관련하여 어휘력, 독해력, 읽기 능력과 사회·문화적 배경 등을 중심으로 한 국어 이해 표현 능력에 대한 좀 더 광범위한 조사가 요구된다. 또한 전술한 "험프티 덤프티 갭"에서와 같이 사회문화적 문식성의 기저에 해당하는 사회문화적 지식은 모어 화자의 수준에 동일하게 도달하기 어려운 측면이 존재한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읽기 지도에서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하면서 다문화 문식성 교육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n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reading abilitie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 We had an interview with 8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their parents. Most of the parents had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in Korean, so they had a great limitation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s studying. The students had some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due to the lack of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in particular Korean vocabulary, proper words, homonym and idioms. The students generally accomplished to wite a summary in the form of "Topic and Comments", but sometimes they had mistakes such as omitting main points or adding unnecessary detail informations. We observed some student`s lack of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during their reading texts, we named it as "Humpty-Dumpty Gap" in this paper. The gap is an obvious obstacle in reading comprehension. So when teachers try to teach reading for the student, they need a careful intention regarding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 KCI등재

        재중 중국인 고급학습자의 한국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 양상 연구

        왕효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3 국어교육연구 Vol.51 No.-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cultural reading of Korean contemporary novels by advanced Chinese learners in China in order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An analysis of reading patterns reveals that, first, learners can discover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Korea as well as the product culture, performance culture, and viewpoint culture in the text. Therefore, the genre of novel is suitable for intercultural reading instruction because it covers a wide range of cultures. Second, learners approach unfamiliar other cultures through intercultural comparison based on the familiar self-culture. In this process, learners also relativize their own culture. However, this approach is not effective when faced with an overly heterogeneous other culture or when there is no relevant culture in the learners’ self-culture. Therefore, teacher intervention and advance examination of the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of culture in novel and learners' self-culture intercultural reading education are necessary. Third, through interactional communication, learners can adjust their personal meanings again. Ultimately learners develop a text with accepted meanings while diverse insights exist. Therefore, activities that facilitate su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readers are important at this stage.

      • KCI등재

        이주배경 청소년의 생활세계와 사회참여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신난희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9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ctual world of migrant youth's life-world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xt in which they work.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intensive interviews, FGI methods, and life history collection methods were u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migrant youth differed depending on the overall condition required to grow into a personal being. They didn't violate the general rules of society or cause accidents, but they were deeply embedded in the pain and atrophy of their migrant background. They had deeper ties with peer groups in a similar position than public institutions and teachers. To the migrant background youth, part-time jobs were counted for a large part of their lives. They enjoyed the independence and freedom of pseudo-adults through part-time jobs, SNS, and media, and endured the vacancy of insufficient nurture and support. Migrant background parent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youth'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owever, it is urgent to establish an educational community network between home-school-community (including migrant background-based civic groups) regarding the limitations of migrant parents as individuals and the total difficulties faced by the migrant background youth. At the same time, a new educational philosophy paradigm that does not exclusively target or instrument migrant background families and youth should be built, and critical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itizen youth. 본 논문은 이주배경 청소년의 생활세계와 사회참여활동의 실제를 살펴보고 이에 작동하는 문화적 맥락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에는 문헌조사, 집중 인터뷰, FGI 방법, 생애사 수집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분석에 의하면, 이주배경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은 인격적 존재로 성장하는 데 요구되는 총체적 조건이 어떤 상태인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들은 드러나게사회의 일반 규칙을 어기거나 사고를 일으키지 않지만, 마음에 이주배경으로 인한 아픔과 위축을 깊이 담고 있었다. 이들은 공적 제도나 교사보다비슷한 처지의 또래집단과 더 깊은 유대관계를 맺었다. 이주배경 청소년에게서 아르바이트는 생활의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들은 SNS, 미디어, 아르바이트 등을 통하여 의사 성인의 독립성과 자유를 향유며 충분하지 못한양육과 지지의 공허함을 견뎠다. 이주배경 부모의 사회참여활동은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과 능동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개인으로 이주배경 부모가 겪는 한계와 이주배경 청소년이 겪는 총체적 어려움에 대하여 가정-학교-지역사회(이주배경 시민단체 포함) 간의 교육공동체 네트워크 구축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이주배경 가정 및 청소년을 배타적으로 대상화하거나 도구화하지 않는 새로운 교육철학 패러다임의 구축, 시민청소년 관점에 기반 한 비판적 사회참여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 KCI등재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배경과 사회ㆍ문화적 자원의 다중상호작용방식

        김현주(Kim Hyunju)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6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교육고용패널 1차년도와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일반계 고등학생 790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배경변수 이외에 사회ㆍ문화적 자본에 해당하는 변수들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인지를 탐색하였다. 학업성취와 관련된 변수들로는 개인적 변수, 가족배경번수, 가정과 가정외의 사회ㆍ문화적 자원 변수들을 고려하였다.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여전히 가족 배경변수­아버지의 학력과 직업-가 중요하며, 가정의 사회ㆍ문화적 자원 변수인 사교육비와 부모의 관심도가 이들 변수와 상호작용하여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으로 기여함을 발견하였다. 가족외 환경에 존재하는 사회ㆍ문화적 자원 변수로 간주된 동아리활동이 오히려 학업성취도에는 부정적임을 발견하였다. 신호감지분석(signal detection analysis) 방법에 의해 개인변수, 가족변수, 사회ㆍ문화적 변수의 다중상호작용 방식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사교육비와 부모의 관심도는 개인변수나 가족변수의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임이 발견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personal, familial and socio-cultural variable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data used for the study were the first and second KEEP(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data. The sample was consisted of 790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milial background variables, especially father’s education and professional occupation, were still very important factor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Among socio-cultural capital factors, private tutors and parents' concern for the children positively interacted with familial background factors. Unexpectedly time spent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ich were considered as social capital outside the family context,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academic performance. Based on the signal detection analysis, private tutors and parental concerns for the children alleviated the negative effects of familial background.

      • KCI등재

        <춘향전> 교육을 통한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양상 연구-중국인 한국어 교육 전공자를 대상으로-

        김혜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8 새국어교육 Vol.0 No.116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ltural literacy of advanced Korean learners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classical novel, Chunhyangjeon.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set the ultimate objective as the enhancement of cultural literacy, considered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devised the content and methodology. The content was set on the background knowledge on the living culture and societal norms, as well as the value conflicts of the characters reflected in Chunhyangjeon. In regards to the methodology, the teacher and learners had Q&A sessions and discussions, watched movies and wrote reports. The aspects displayed by the advanced Korean learners through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Chunhyangjeon were as follows. First, learners understood the traditional customs of Korean culture through prior knowledge on the target culture. Second, learners interpreted the target culture based on their background knowledge on their own cultures. Third, learners made judgments on the value-based behaviors of each individual. Fourth, learners made judgments on the value of the target culture through their individual value perception. 이 연구는 <춘향전> 교육을 통해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춘향전> 교육은 교수․학습 계획, 내용, 방법의 세 단계로 구안하여 실행하였다. 교수․학습 계획 단계에서는 문화적 문식력의 향상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설정하고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구안하였다. 교수․학습 내용은 <춘향전>에 반영된 배경지식으로서의 생활 문화, 사회의 가치 규범과 인물의 가치 갈등을 중심으로 초점화하고, 교수․학습 방법은 교사와 학습자 간의 질의응답 및 토론, 영화 매체의 활용, 감상문 쓰기로 하였다.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 <춘향전> 교수․학습 과정에서 보인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 문화에 대한 선지식을 활용해서 한국 문화의 전통 관습을 이해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자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에 기반을 두고 목표 문화를 해석하였다. 셋째, 개인의 가치 행위 방식에 대해 판단하였다. 넷째, 학습자 개인의 가치 인식을 통해 목표 문화의 가치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 KCI등재

        미국 형사절차상 문화항변과 우리 형사절차에 있어서의 적용여부

        박흥식(Heungsik Park)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32 No.1

        우리 사회가 다문화사회인가 하는 문제는 단언하기 어렵다 하더라도 이미 많은 결혼이민자와 외국인노동자들이 국내에 체류하고 있고 이들과 관련된 다수의 범죄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죄명도 다양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이민자들이나 외국인들의 범죄는 자라온 문화환경이나 교육과정 등이 우리나라의 그것과 동일하다고 할 수 없고 따라서 이들의 범죄를 다룸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화적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할 것인가의 문제가 제기되는데 그것이 바로 문화항변(Cultural Defense)의 인정여부에 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이나 캐나다와 같은 문화적 다양성이 활발한 다문화국가의 경우 오래전부터 이러한 문제에 대한 검토가 있어 왔으나, 아직 우리 형법은 이와 관련된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할 뿐 아니라, 이러한 사건에 대한 판례도 축적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문화항변과 관련된 판례에 대하여 그 사실관계 및 판결이유 등에 대하여 세밀히 살펴보고, 우리나라 형법체계상 이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적용한다면 어떤 범위에서 할 것인지에 대하여 보기로 한다. 형법이 지향하는 형사절차는 피고인의 책임에 부합하는 처벌인 개별책임의 원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회 구성원들이 자신의 법이 도덕적으로 올바른 가치를 구현한다고 믿을 수 있을 때 사회는 그 구성원들을 쉽게 법에 복종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른 문화환경에서 자라고 교육 받은 사람들은 그들의 문화규범에 따른 법규범에 익숙할 뿐 아니라, 그러한 자신들의 도덕적 의무감을 가지게 된다고 할 수 있으므로 주류사회의 법규범이 그들의 문화나 도덕규범에 반하는 경우 자신들의 문화규범과 상충되는 법규범에 대한 순응이 더욱 어렵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주류 문화규범에 기초하여 입법화된 법률규범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경우 오히려 사회적 갈등과 법제도의 경시현상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민자나 외국인 개인의 문화적 배경이 형사절차에 고려되어야 더 공정하고 정당한 사법체계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우리 형사절차에 있어서도 문화항변의 제도적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While it is uncertain whether Korea is a multicultural society perse, it is undeniable that Korea today is home to many migrant laborers and transnational spouses and that varying types of crimes and criminal statutes related to multiculturalism have arisen as a result. Precisely in this context, in which immigrants cannot be assumed to share the cultural and/or educational backgrounds of the majority in Korea, I raise the issue of cultural defense.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have dealt with the cultural defense question since long ago. In contrast, the Korean criminal legal system has yet to have any regulation or precedents on this matter. Therefore, in this paper, I examine (1) the cultural defense cas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ir surrounding discourses,(2) the appropriateness of importing the jurisprudence of cultural defense to the Korean criminal legal system, and (3) the scop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defense.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is premised upon retribution, under which the guilty is punished pursuant to his culpability so that the society can affirm its moral values as reflected in its laws. Naturally, individuals who grew up in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may face additional challenges when their internalized societal moral values are indirect contradiction to the majority’s (here, Korea’s). Given this context, I argue that disregarding immigrants’ fundamentally different moral values and indiscriminately applying the majority’s laws on them may result in majority’s under valuing of the law. Thus, I aver that cultural and educational backgrounds of immigrants must be considered in their cases in order for a fairer and more just criminal justice system. Finally, I conclude that the cultural defense doctrine must be implemented in Korea.

      • KCI등재

        광고 사운드의 이론적 고찰과 문화적 함의

        정승혜(Sung Hye Chu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3 No.2

        복잡해진 미디어 환경 속에서 광고 제작자들은 범람하는 광고에 지쳐있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새로운 광고기법이 끊임없이 개발하고 있다. 광고의 모든 요소는 다양한 전략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사운드(sound) 또한 예외는 아니다. 특히 광고 배경음악의 기능이 점점 더 확대됨에 따라 그 문화적 함의를 살펴볼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아도르노의 대중음악론을 광고 배경음악에 적용하여 문화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론이 적용되는 광고물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광고 사운드에 대한 종합적인 기초 연구가 흔치 않음을 감안하여 광고사운드의 유형인 음성언어, 효과음 및 음악에 대한 기본적인 고찰도 병행하였다. 그 결과, 배경음악은 표준화, 가(假)개체화, 플러깅, 원자적 청취, 파편화 등의 함의를 지닌 채 현대의 대중문화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Advertisers are continually developing new advertising strategies to draw consumers who are tired of a flood of advertising in the complexifying media circumstances. Every part of advertising is used as a means of various strategies and sound is no exception. Especially, as the role of background music is becoming important, it is needed to explore its cultural implicat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ltural implication of background music based on Adorno`s theory of music and carries out casandnalysis of advertisements. In additthe ra fundamental study on advertising sound inctsding dialogue, a cuent sound and music is made since few studies on advertising sound have been conducted. As a result, background music brings about the issues such as standardization, pseudo-individualism, plugging, atomic listening, and fragmentation which are taking strong root within modern culture.

      • KCI등재

        중국의 한국어 문법 사전 용례에 대한 언어문화 분석 -≪ 한국어실용어법사전(韓國語실用語法詞典) ≫의 용례를 중심으로-

        이화숙 ( Hwasook Yi ) 한국민족연구원 2015 민족연구 Vol.0 No.64

        이 글의 목적은 중국에서 편찬한 한국어 문법 학습 사전, ≪韓國語실用語法詞典≫ 에 수록된 용례를 언어문화라는 관점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韓國語실用語法詞典≫에는 910여 개의 조사와 어미, 접사 등의 문법 형태가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다. 표제어에는 단어와 구 그리고 문장 형태의 용례가 제시되어 있는데, 문장의 형태로 제시된 용례는 약 4,612이다. 특히 문장으로 제시되어 있는 용례 중에는 특수한 정치 사회 문화적인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있다. 이 글에서는 ≪韓國語실用語法詞典≫의 용례 중에서 중국 조선족의 사회 문화적인 장면을 반영하는 용례를 구분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韓國語실用語法詞典≫은 중국의 조선족 연구자에 의해 집필되었다. 사전이 집필자의 언어 직관과 문화적 배경에 영향을 받는 만큼, ≪韓國語실用語法詞典≫에는 조선족 사회의 문화적 배경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韓國語실用語法詞典≫의 용례에 대한 언어문화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과거 중국에서 조선족 사회가 형성되는 데에는 기반이 되었던 농경문화가 용례를 통해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개혁개방 이후 활발히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경제적인 면모도 용례에 반영되어 있었다. 이 밖에 북한에서 사용하는 문화어의 영향으로 보이는 용례들이 있었는데 전쟁과 전투 혹은 통일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고 있었다. ≪韓國語실用語法詞典≫의 용례는 한국어로 기술되어 있지만, 그 내용은 중국 조선족 사회의 문화와제도를 표현한 것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 글은 중국에서 발간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반영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amples of Korean grammar dictionary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published in China in the perspective of language culture.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contains entries in grammar forms of about 910 particles, affixes, and so on. Entrie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words, phrases, and sentences. Examples in the sentence form are about 4,612. Expecially, some examples presented in the sentence form reflect specific political, socio-cultural contents. The study analyzed the examples reflected the socio-cultural scenes of Korean Chinese from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is written by the Korean Chinese researcher in China. A dictionary is reflected by author``s language perspective and cultural background, so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is reflected by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Korean Chinese. The analysis result of language culture on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are as in the following. At first, it is reflected in the examples of the agriculture based on forming Korean Chinese society in China. After China``s economic reform, actively growing China``s economic aspects are reflected in the examples. Besides, there are some examples influenced by cultural words using in North Korea which are reflected the contents on the war, the battle and the unification.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are written in Korean, but the contents are reflected the culture and the system of Korean Chinese in China. This study expects to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reflec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 published in China, as well as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