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규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김누리(Nu-Ri Kim),권은경(Eun-kyoung Kwon),박정양(Jeong-Yang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경험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활용과 인식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이야기를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한 지 1~3년 된 신규문화예술교육사 5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총 10회기에 걸친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과정 경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에 대한 인식, 신규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경험에 관하여 반 구조화된 질문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예술가의 길이 아닌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 제도가 취업에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른 분야의 문화예술교육사들과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형성되길 바라고 있었다. 넷째,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는 경제적 불안감을 가지고 두 가지 이상의 일을 병행하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만으로 문화예술교육사로서 활동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활용이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방안 및 제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가 더 나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방향성을 발견하고 모색하는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경험과 인식에 관한 이야기를 신규 문화예술교육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활용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신규문화예술교육사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활용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가 올바른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길 바란다.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find meaning through their voices in various aspects of the use and percep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experienced in the field by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Methods Fiv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ho have obtained certificates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from July 2021 to October 2021 were interviewed in a total of 10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a semi- structured form. Results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attitude in that they could choose various paths, not the path of an artist. Second,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is effective for employment. Third, he hoped to create a community where he could communicate with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companies in other fields. Fourth,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ho works as a freelancer, has shown that there is a limit to working as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only with the qualification of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This can be seen as meaningful, and it is foun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requires measures and improvements to create stable jobs.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qualification system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in the right direc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및 인턴십 지원사업 개선 방안 연구

        김해경,이주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4 No.-

        The certification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have given from 2013. Unlike arts instructors, the working fields of arts and culture instructors ar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administra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s managers, regional experts, and planners.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has been running a curriculum and various related projects to foster arts and culture instructors. Recently,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has enforc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ternship Program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competenc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and revitaliz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raising awareness of the us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qualification systems for cultural institutions. In this study, intern culture and arts educato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nship support project for culture and arts educators reflected on the curriculum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As a result, we tri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and support project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ing curriculum and internship support projects. As a result of analyzing literature studies, interviews with personnel in charge of education at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motion Agency, and interviews with culture and arts educators, among the job competencies of culture and arts educators, the curriculum and internship support projects are focused on operational competency and teaching competency. Therefore, it turned out that there is a need to find a way for supplement to improve planning competency, analysis competency, and evaluation competency. The curriculum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with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instructors, case-oriented lectures, lectures focused on infants and children, and on-site practice filling in time. It was proposed to find training places to reconsider the quality of training and practice and to provide a guideline for practice. The lack of systematic education turned out to be a problem with the internship program. For the intern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the training programs provided by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should be more robustly operated, as well as securing time and budget for educating the interns provided by cultural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to make an effort to settle the system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by providing education about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to cultural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e internship program. 예술 분야에 국한하여 활동하는 예술 강사와 달리 문화예술교육사는 문화예술교육의 기획, 실행, 행정 등의 분야에서 관리자, 지역 전문가, 기획자로서 폭넓게 활동한다. 문화예술교육사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에 의해 2013년부터 배부된 국가 자격증을 지닌 자이다.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과 더불어 관련 사업을 운영하는 한국문화예 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 강화 및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문화시설 대상 문화예술교육사의 활용 및 자격 제도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하여 문화예술 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도 주관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더불어 이들의 본격적인 활동이 더욱 기대되는 가운데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과 인턴십 프로그램을 재점검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과 인턴십에서 보완할 점을 알아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담당자와 인턴십 지원사업에 참여 한 인턴 문화예술교육사를 인터뷰하였으며, 양성 교육과정과 인턴십 지원사업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양성 교육과정과 인턴십 지원사업 모두 운영 및 교수 역량에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나 기획, 분석, 평가 역량의 향상을 위한 보완책이 요구되었다. 양성 교육과정의 경우 교수자 전문성 부족, 사례 위주의 강의, 유·아동에 집중된 강의, 형식적 현장 실습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는데, 이의 보안 방법으로 문화예술 교육사 1급 자격과정의 개설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전문 교수자 양성과 실습의 질적 재고를 위한 실습처 발굴, 실습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의 경우 체계적 교육의 부재가 문제점으로 드러났는데, 이를 위해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인턴 문화예술교육사에게 제공하는 연수가 보다 내실 있게 운영되어야 하며,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기관에서 제공하는 인턴 교육 시간 및 예산이 확보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기관들을 대상으로 한국문화예 술교육진흥원 또는 광역 재단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하도록 노력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역량 강화 사업 (舊 인턴십 지원사업) 정착을 위한 기반 연구

        이주연,김해경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6 No.-

        The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has issued the certification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since 2013.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t had operated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ternship Support Project from 2019 to 2020. In 2021, the name of the Internship Support Project has been changed into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On-site Competency Reinforcement Project. The researchers judged that it is time to consider on-site capabilities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since the title has been changed from "Internship" to "on-site Capability," The researchers studied on the training curriculum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Internship Support Project in term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who participated the Internship Support Project in 2020. Since this is the subsequent study of the research mentioned ab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ship Support Project in terms of Arts and Culture Institutions in order to explore it from multiple perspectiv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s of 3 directors in the Arts and Culture Institutions, 6 themes had been derived; improving the understand of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strengthening managerial competenc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low planning competenc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conflicts between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arts and culture institutions, negative perception about the certifica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difficulty in operating the Internship Program. Based on the themes, researchers suggested the way to improve the training curriculum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Internship Program.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13년부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교부해왔다. 문화예술교육사의 기초적인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2019년부터 2020년까지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이 운영되었으며, 2021년부터는 변경된 명칭인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역량 강화 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인턴십’에 서 ‘현장 역량’으로 명칭이 변화된 지금 이 시점이 문화예술교육사들의 현장 역량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이 필요한 때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및 인턴십 지원사업에 대한 개선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2020년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에 참가한 인턴 문화예술교육사를 인터뷰한 선행연구(김해경, 이주연, 2021)의 후속연구로서,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역량 강화 사업의 개선 방안을 보다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2020년 문화예술교육사 인턴십 지원사업에 참가 한 기초문화재단 담당자들을 선별하여 인터뷰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역량 강화 사업의 정착 및 안정화를 위하여 사업을 담당하는 지역문화시설에서 개선이 요구되는 것은 무엇이며 기존의 인턴십 지원사업과 어떤 차별화를 꾀하고 새롭게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도 함께 점검하였다. 인터뷰 결과 6개의 주제어 (‘문화예술교육사의 현장 이해 강화’, ‘문화예술교육사의 행정 역량 강화’, ‘문화예술 교육사의 낮은 기획 역량’, ‘문화예술교육사와 기관의 갈등’,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증에 대한 낮은 인식’, ‘인턴십 지원사업 운영의 어려움’)를 도출할 수 있었다. 문화 예술교육사 현장 역량 강화 사업의 정착 및 안정화를 위하여 6개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이의 해결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개선 방안들이 요구되는 바이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정착을 위한 프로그램 체계화 방안 - 미술 및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

        이주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1 No.-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목의 변화를 맞이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정착을 위한 프로그램 체계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위하여 2015년 현재 문화예술교육사 10개 분야 중 가장 많은 분야를 개설하고 있는 3 개 양성기관(A, D, E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을 선정, 각 양성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미술 및 디자인 분야 교육과정의 ‘교수 역량’ 및 ‘예술 전문성’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각 양성기관별로 특색을 지닌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바, 미술 및 디자인대학의 교과목과는 구별되는 문화예술교육사 양성을 위한 핵심 사항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서 문화예술교육사 프로그램 체계화를 위한 방안으로 개정 교육과정의 ‘직무 역량’ 중 ‘교수 역량’ 교과목은 분야별 교육이 아닌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문화예술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며, ‘예술 전문성’은 분야별 세부 구분을 지양하고 통합․융합에 기초하여 구성해야 하고, 문화예술교육사의 개별 예술 전문성을 강화하고다양한 기회를 통해 개인의 예술 활동을 권장해야 하며, 교육과정 개정 요구와 의견수렴 시 대상 및 범위가 확대되어야 하고, 양성기관의 질적 제고를 위한 평가 시스템이마련되어야 하며, 문화예술교육사 분야별 구분의 적정성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고, 학력진입 장벽 완화에 따라 진입하는 이들을 위한 맞춤식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Efforts to enable the national-run arts & culture education initiative has been started quite a long ago in Korea. The provision of the support act of arts & culture education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would enhance the status and clarify the eligibility requirement of arts & culture education professionals. The training institutions selected every year have produced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with second-class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since 201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systematize programs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For this study, 3 institutions were selected in order to compare instructional competence and art specialty of programs in art and design areas. It was found that each institution run its programs in accordance with its characteristics, and the key considerations for educating preservic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distinguishing from art and design college programs. In conclusion, total 7 ideas for program inprovement were su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help researches on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ystem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 KCI등재

        문화재교육사와 문화예술교육사의 자질과 역량,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최종호 한국박물관학회 2013 博物館學報 Vol.- No.25

        이 연구는 문화융성의 시대에 필요한 문화재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의 특성 비교와 문화재교육사와 문화예술교육사의 자질과 역량, 자격제도 비교를 통해서 문화재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의 정책과 전략 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화재교육은 전통문화의 원형보전에 중점을 두고 문화재의 가치와 의미, 중요성을 배우고 익혀 대한민국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한국인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반 면에 문화예술교육은 다문화 가족을 포함한 한국인의 문화예술 창의혁신에 중점을 두고 문화예술을 통해서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다원주의, 문화권, 인권을 존중하는 조화로운 사회의 문화예술 향유와 문화융성 시대에 필요한 시민 역량을 배양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문화재교육사의 직종과 직무, 학력, 경력, 자질, 역량, 지식, 능력, 숙련이 문화예술교육강사의 직무 와 학력, 경력, 자격 요건과 일부 공통점도 있지만 직무와 전문지식, 수행능력, 숙련제도 측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문화재교육사 자격 제도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는 차별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화재교육사와 박물관교육사는 직무와 직종, 학력, 경력, 자질, 역량, 전문지식, 수행능 력, 숙련제도 측면에서 동일한 자격 요건이 요구되기 때문에 일원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화융성 시대에 요구되는 문화재교육과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전략의 궁극적 목표는 공동체의 삶 의 질 개선과 글로벌 사회의 문화향유라고 할 수 있다. 문화재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은 지속가능한 공 동체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할 뿐만 아니라 창조산업의 원천을 제공하고, 창조경제의 원동력을 제 공함으로써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정책과 전략을 입안하여 시행해야 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박유신 한국조형교육학회 2017 造形敎育 Vol.0 No.62

        Focusing on the job dut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this paper studies competency development details of educators and arts educators in Korea and overseas and suggests ways to develop their job-based competencies. This research first determines the job dut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n conducts basic research on the competenc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with reference to competencies demanded by arts educators and planners in Korea and overseas. First, competenc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were grouped into the arts expertise competency group, class instruction competency group, planning and research competency group, and general operations competency group based on the job dut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Then within each competency group, groups specific to knowledge, attitude, and functional competencies were determined and used to describe the group competencies proposed using detailed behavioral indicators. Detailed classification of competenc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may contribute to the overall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field. It may also contribute to the training curricula and class managemen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에 기반한 역량 탐색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외의 교육자 및예술교육자 역량 개발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사는 예술강사보다 폭넓은 개념이며, 그 직무에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사 고유의 역량을 정의하고 이에 기반하여 문화예술교사의 교육 및 선발, 평가 등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모델 개발에서 예술전문성 역량군, 문화예술교육 역량군, 예술교육 역량군, 기획 및연구 역량군, 일반업무역량군, 등으로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군을 나누고 이 역량군 내에 구체적인 행동 지표로 제시된 역량을 기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모델은 문화예술교육사의 전반적인 인재개발 및 관리에 도움을 줄 수있으며 이는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및 수업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와 박물관교육사

        정춘옥 한국박물관학회 2013 博物館學報 Vol.- No.25

        이 글은 올해부터 자격증 제도를 위한 교육 이수과정이 시작된 문화예술교육사와 기존의 박물관 교육사의 자격, 직무, 역량에 대해 제시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관계 법령에 따르면 앞으로 국?공 립 박물관에서는 1명 이상의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치하여야 하는데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에 따른 역량을 견주어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문화예술교육사의 도입배경을 보면 그동안 학교나 지역 문화시설과 같은 기관에서 프로그램 진행 을 위해 예술강사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 예술강사의 역량과 경력을 검증할 만한 자료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현재는 교육연수 이수경력과 교육경력, 그리고 민간자격증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제도는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가공인 자격증을 부 여하여 사회적 신뢰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사가 박물관에서 하게 될 업무는 기존의 박물관교육사와 거의 같다. 그런데 자격증을 위한 이수과목을 보면 총 48학점 720시간 중, 학교에서 예술 관련 분야(미술, 음악, 무용, 연극, 영화, 국악, 사진, 만화?애니메이션, 디자인, 공예)를 전공한 자는 30학점 450시간을 제외 받게 된다. 이 제도는 예술관련 분야를 전공한 자에게 유리한 제도이다. 따라서 많은 지원자는 예술관련 분야를 전공한 자가 될 것이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소지자들 이 박물관에 와서 일하게 될 경우 박물관에서 필요한 인문학 소양의 부족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 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적어도 위의 여러 기관 중 박물관에서 근무하기를 희망하는 문화예술 교육사 지망생들에게는 기존의 과목 외에 인문학 과목이 추가되길 바란다. 2급의 경우 이미 진행되고 있어 과목 추가가 어렵다면 아직 시작 전인 1급부터라도 추가함이 어떨까 제안해 본다.

      • KCI등재후보

        예술가인가 교육가인가?: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취득희망자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인설,박칠순,조효정 한국문화경제학회 2014 문화경제연구 Vol.17 No.2

        2012년 2월에 개정된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을 근거로,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제도가 집행된 지 2년이 지났다.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취득희망자들은 누구이고, 어떠한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자격증 취득을 희망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사로서 자신을 어떻게 정의내리고 있을까? 이 연구의 목적은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찾고자 하는데서 시도되었다. 즉, 정책목표 상에 명시된 것이 아닌 실제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이들이 ‘나는 누구이고,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에 대한 답을 통해 이들의 집단 정체성(collective identity)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n=172)들은 수도권의 한 문화예술교육원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생들로 구성되었으며, 현상학적 분석을 정교화 하기 위한 주요도구로 질문지법(questionnaire method)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분석틀로 제임스 마샤(James E. Marcia)의 정체성이론을 사용하였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희망자의 대다수는 정체성의 획득이 아닌 유예와 유실 사이에서 상당히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아직 문화예술교육사의 개념과 정체성이 취득희망자 사이에서조차 모호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양질의 양성과정과 함께 이들이 실제로 자격증 취득 후 진출할 수 있는 활로가 담보되어야만 문화예술교육사의 개념과 정체성 확립이 실질적으로 존립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 시사점이다. 이들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는 정책의 성공과 지속성 외에도 문화예술교육인력의 사회·경제적 의미를 탐구하는 기초연구로 활용 가능하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공예 교육 현황분석을 통한 방향성 모색

        서지민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0 조형디자인연구 Vol.23 No.4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in 2012, art and culture education has been more socially emphasized than before, and for better social credibility, various routes for training and certificate systems have been developed ever since. With the second certification issued in 2019, 18,486 applicants acquired national certificates for instructor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out of these people, 1,074 acquired certificates in the field of craft.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current situations on obtaining certificates for instructor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craft field and also looked closely into the curriculum as well as some problems found in the actual teaching field. I used statistics data given by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 Tourism and other organizations related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Also, I had close interviews with craft teachers working in the actual field after obtaining the instructors’ certificates for arts and education specifically in the craft field and examined the current conditions of craft education. Therefore, with above procedures, I suggest a future direction we need to promote in order for the problems to be solved. With above procedures mentioned, I examined the balance between the teaching training conditions and the art education being done in the actual teaching field, and through an analysis of related realistic problems often raised, I suggest a future direction we should promote. 2012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의 개정에 따라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및 문화예술교육 인력 양성 경로를 다양화하고 사회적 신뢰를 높이고자 문화예술교육사 국가 자격제도가 시행되었다. 2019년 제2차 교부 기준으로 18,466명의 인원이 문화예술교육사 국가 자격을 취득하였으며, 이들 중 공예 분야 취득자는 1,074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사 공예 분야의 취득 현황, 연구 현황, 교육과정 내의 교육과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교육 간 괴리 문제 등을 알아보았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예술교육사 관련 기관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또한, 공예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취득 후 현재 교육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육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시행하여 문화예술교육 공예 교육의 현 상황을 점검해보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과정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사 공예 분야의 양성 교육 현황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예 교육 간의 균형성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현실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의 분석을 통해 향후 발전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개편에 관한 제언 : ‘문화예술교육개론’을 중심으로

        이보림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for training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suitable for the post-COVID-19 era.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curriculum that prospective culture and arts educators will take,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ntent that needs to be dealt with in the post-COVID-19 era in terms of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digital use in art education, and divers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finally, a curriculum of introduction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flecting a new direction was propos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curriculum proposal in this paper suggested that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not only for preliminary culture and arts education but also for exist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teachers, and that it should be balanced in various arts fields, and that it should be linked smoothly with other subjects in the second-level curriculum. Among the five job competencies of the current second-class culture and arts education curriculum,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troduction" is an important subject that will be commonly completed by prospective culture and arts education history in all arts fields. Therefore, the reorganization of the 'Introduction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urse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virtuous cycle of cultivating the capabilities of preliminary culture and arts educators so that consumers and 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can experience a high level of culture and arts.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개편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예비 문화예술교육사들이 수강하게 되는 현 교육과정을 고찰하였으며, 앞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다루어질 필요성이 있는 교육내용의 특성에 대해 ‘문화예술교육의 융합적 특성, 문화예술교육에서의 디지털 활용, 문화예술교육의 다양성 고려’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새로운 방향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개론’의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상술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에서의 교육과정 제언은 연수 등의 프로그램 등을 통해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뿐만 아니라 기존 문화예술교육사들에게도 지속적으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고, 특정 예술 분야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닌 다채로운 예술 분야에 균형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2급 교육과정 내 다른 교과목들과의 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현재 운영되는 2급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직무역량 5개 교과목 중 ‘문화예술교육개론’은 모든 예술 분야의 예비 문화예술교육사가 공통적으로 이수하게 되는 중요한 교과목이다. 따라서 시대의 요구에 부응한 ‘문화예술교육개론’교과목 개편은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을 함양하여 문화예술교육 소비자 및 향유자에게 높은 수준의 문화예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선순환의 흐름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