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다문화교육사 양성 프로그램 연구

        이미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문화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gram of Mast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based on the Constructiv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selected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program of Mast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as teaching- learning principles of the constructivism. They consist of teachers, student, and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Second, we development ten subject as to culture, education,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ethodology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ommunity, and more. Third, we developed a syllabus for understanding this curriculum. The period of this program is about four months in Inha-ha Continuing Education Eenter. 이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다문화교육사 양성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주의의 교수-학습 원리를 근거로 다문화교육사 양성과정의 이론적 토대를 정하였다.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는 교수자, 학습자 그리고 학습환경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둘째, ‘문화’, ‘교육’ ‘,다문화교육의 이해’, ‘다문화교육방법론’, ‘다문화교육과 지역사회’ 등의 10개의 교육 과정을 선정하였다. 셋째, 교육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구성주의 교수․학습 과정이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실라버스를 개발하였다. 실라버스의 개발 원칙은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인 교수자 원칙, 학습자 원칙 그리고 학습환경 원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개발한 실라버스는 ‘지구촌 문화탐방 1 - 한국의 자연지리’인데, 팀별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반성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문화교육사 양성과정 운영을 통한 기대효과를 살펴보면,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재개발 활용과 개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지역 내 다른 평생교육과 연계 운영이 가능하다.

      • KCI등재

        구성주의 의미의 탐색에 대한 소고: 구성주의의 재조명

        강은경 ( Kang Eun Ky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初等 數學敎育 Vol.21 No.3

        수학교육학에서 구성주의는 학습이론에 있어서 핵심적인 이론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구성주의에 대한 이해와 적용은 학습자 중심 수학 교수에 있어서 중요하다. 그러나 일부 초등 교사와 예비 초등 교사들은 구성주의를 편협한 시각으로 이해하고 있다. 구성주의가 수학을 흥미롭게 만드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론으로 여기고, 수학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게임을 만드는 것이 그 예이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유형의 구성주의, 급진적 구성주의, 비고츠키의 사회적 문화적 발달이론, 사회적 구성이론**, 사회적 구성주의가 각기 주장하는 바를 고찰하고 비교하여 구성주의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논문의 말미에 구성주의가 수학 교육에 시사하는 점이 논의 되었다. In the current era of mathematics education, constructivism is a core theory of learning. For teachers, understanding and applying constructivism to their teaching practices are crucial for student centered teaching. However, some mathematics educators understand Constructivism in a different way. For example, some future teachers view Constructivism as making mathematics ‘fun’ by creating game without considering conceptual understanding. In this paper, the original articles of Constructivism were revisited and investigated to understand and to search for their meanings. Also several types and sources of Constructivism were identified; Radical Constructivism, Vygotsky’s social-cultural theory of development, Social Constructionism, and Social Constructivism. This paper investigated arguments of the several types of Constructivism and discussed their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teaching.

      • 협동학습을 활용한 수학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최충옥(Choi, Chung-Ok),정은진(Jeong, Eun-Jin)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3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을 활용한 중등수학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문화적 다양성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변화 조사를 통한 프로그램 효과검정을 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랭은 4차시 분량의 협동학습을 활용한 남ㆍ북한 수학용어 차이와 다문화가정 관련 통계학습활동으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효과검정을 위해 실험집단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한 뒤 설문지를 이용한 집단 간 사전ㆍ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문화적 다양성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와 프로그램 실시경험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활성화방안은 민족지학적 수학과 구성주의적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ㆍ자료개발ㆍ적용에 있다. 둘째, 협동학습방법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이 학생들의 참여와 학습효과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셋째, 다문화교육은 학생중심의 참여수업과 ICT 등의 다양한 교육자료 활용수업이 효과적이다. 넷째, 일반학생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이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보다 부정적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교사의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다문화교육 실현의 중요변수는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과 실천의지이므로 교사대상의 다문화전문가양성교육이 확대 실시되어야 한다. 여섯째, 각 교과별 다문화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리자의 다문화교육 필요성 인식과 다문화적 환경조성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 This research shows the efficacy of school mathematics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anging perceptions regarding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gram developed consisted of four hours of cooperative learning in North-South Korean language differences and statistics regarding multicultural people.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from this experiment. 1) promo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mathematics is dependent on the researc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structive curriculum and Ethnomathematics. 2) mathod of cooperative learning is essential to multicultural education. 3) student-oriented participatory learning and class materials like ICT are effective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a teacher's efforts are necessary to change the views of ordinary students who perceive multicultural people more negatively than cultural diversity. 4) professional education for teachers is crucial since the competence and dedication of the teacher is the keystone to multicultural education. 5) To expand multicultural education to different subjects requires an environment that supports such and an understanding of the need for this education by those who manage it.

      • KCI등재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의 의미와 구성주의적 학습 환경과의 관련성 탐구

        설연경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4

        This study started from the utility of culture and arts activity in the field of education which recently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Lately, there have been some cases using culture and arts activity for education, but it has been done while the definition of the term or concept is still being ambiguous. Though the meaning or purpose is the same, the terms are used differently. Therefore, this study set the term of ‘culture and arts activity-based education’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meaning and analyzed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lso, the paper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s activity-based education and constructivism and found their similarities from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aspects. Based on the result of examining their relationship and common characteristics, the study extracted a point that the culture and arts activity used in culture and arts activity-based education is not the art activity simply focused on function but the activity internalizing the ‘concept’ including education. With the premise on that activity,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constructivistic education environment providing knowledge integration and reinterpretation, exchange among learners, and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The culture and arts activity-based education intermingled with the constructivistic education environment will be able to provide learners with richer learning experiences. 본 연구는 최근에 주목 받고 있는 문화예술활동의 활용에 관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즉, 비예술교과의 학습을 위해 문화예술활동을 활용하는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의 개념적 의미와 특징, 그리고 이론적 배경으로서 ‘구성주의(constructivism)’와의 관련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현재 교육을 위하여 문화예술활동을 활용한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으나, 그 용어와 개념 정의가 모호한 가운데 진행되고 있어 의미와 목적은 서로 같으나 표현된 용어는 서로 다른 경우가 많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이라는 용어로 그 의미를 대표하여 공통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과 구성주의와의 관련성을 탐구하여 인지적·정서적·실천적 측면에서 유사성을 발견하였다. 공통적 특징과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문화예술활동기반 교육에서의 문화예술활동은 단순한 기능위주의 예능활동이 아닌 비예술교과의 교육 내용이 담긴 ‘개념’이 내재되어 있는 활동이라는 점을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활동이 전제되었을 때에 비로소 구성주의적 교육환경과 연계가 될 수 있다. 구성주의적 학습환경과 맞물리는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은 지식의 통합과 재해석, 학습자 상호간의 교류와 자신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풍부한 학습환경은 학습자로 하여금 다각적인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 KCI등재후보

        문화역량 모델을 위한 학제적 접근 : 구성주의 인식론과 기호학을 중심으로

        박여성 한국문화교육학회 200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4 No.2

        With drastic decomposition of traditional social structures, the acquisition of competencies, wherever we work, is getting more significant role in individual as well as in vocational lives. So, in this paper we outline an trans-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 key-competency related researches, based on constructivist epistemology and cultural semiotics. It deals with the stratificational structures of cultural competency- modellings, their logical demands for modelling, and the sustainability of competencies as well as the action indices. This descriptive apparatus should include the hierarchy of cultural competencies, the media-competency and literacy applied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ese syncretisms in the research of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obviou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re to be systematically described and explained by the equally syncretistic discipline of metatheory which reformulates the relevant contributions of related sciences and connects them into a unified framework, i.e. into the Cultural Semiotics. 1990년대 이후 전통적인 사회구조가 급격히 해체되면서, 계획되지도 않고 예견될 수도 없는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행위하는 능력, 즉 역량(Kompetenz)의 습득은 개인은 물론이고 기업의 생존에도 더욱 중요해진다. 부단히 변화하는 노동환경에서 행위능력을 갖춘 역량인(Kompetenzmensch)을 확보하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이익에 부합하기 위해 스스로를 조직하는 평생학습이 요청되는 시점에서 유럽연합(EU)은 1996년을 "평생학습의 해"(Jahr des lebenslangen Lernens)로 선포했고 사민당(SPD)과 녹색연합당(Bündnis 90/Die Grünen)의 위임을 받아 독일연방의회도 2000년 5월 "만인을 위한 평생학습"을 천명했다. 이때 학습문화와 역량발달에 관한 기술모델이 세계화 과정 속에서 제기되는 '역량'(Competencies)의 학제적 연구에 부응하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독일어권에서 제안된 교육학의 역량모델을 구성주의 시각에서 진단하고1) 역량 일반을 문화, 예술 및 매체 차원에서 조명하는 기호학적 모델의 단서를 고민해 보았다.

      • KCI등재

        Strategic Function of Culture and East Asian Regional Cultural Identity

        이동신 한중사회과학학회 2012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0 No.4

        지속적인 세계경제의 통합과정에서 상이한 국가와 문화간에 상존하는갈등과 정체성 연구는 많은 학문적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21세기아시아 태평양지역이 세계경제의 중심이 됨에 따라 전지구적 차원은물론 동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은 자국의 경제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사활이 걸린 경쟁을 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특히 한ㆍ중ㆍ일 간에도 자유무역지대 형성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런 지역통합과정에서 문화의 전략적 기능은 한ㆍ중ㆍ일 삼국의 자유무역지대 창출에 공헌함은물론 실질적인 국가이익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즉 삼국간의 문화적 동질성이 증가하면 할수록 자유무역지대의 성공 가능성은 점점 커질 것이고, 장애물은 점점 더 줄어들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구성주의적 철학 기초와 외교정책결정과정에서 문화적인식에 근거하여 한ㆍ중ㆍ일간 지역협력과정에서 공통인식을 창출하기위한 문화의 역할, 동북아지역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한 인식으로서 문화, 국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문화, 그리고 정체성뿐만 아니라 국가정책ㆍ전략구축을 위한 인식으로서 문화를 재해석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 관심의 중심에 있는 동북아 지역의 한ㆍ중ㆍ일 3국을 선정하여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유교적 문화의 전략적 가치를 탐색해봄과 동시 동지역내의 문화적 갈등과 문화의 근대적 진화를 분석하여 한ㆍ중ㆍ일 3국의 자유무역지대 형성을 위한 문화적 토대를 재해석하고 문화의 전략적 기능과 문화적 정체성을 연계하여 지역통합협상의 기초를 분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기획논문 : 구성주의 이론에 기반한 다문화교육사 양성 프로그램 연구

        이미정 ( Mi Ju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문화연구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다문화교육사 양성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주의의 교수-학습 원리를 근거로 다문화교육사 양성과정의 이론적 토대를 정하였다.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는 교수자, 학습자 그리고 학습환경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둘째, ‘문화’, ‘교육’, ‘다문화교육의 이해’, ‘다문화교육방법론’, ‘다문화교육과 지역사회’ 등의 10개의 교육 과정을 선정하였다. 셋째, 교육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구성주교수?의 교수-학습 원리인 교수자 원칙, 학습자 원칙 그리고 학습환경 원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개발한 실라버스는 ``지구촌 문화탐방 1 - 한국의 자연지리’인데, 팀별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반성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문화교육사 양성과정 운영을 통한 기대효과를 살펴보면,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재개발 활용과 개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지역 내 다른 평생교육과 연계 운영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gram of Mast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based on the Constructiv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selected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program of Mast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as teaching- learning principles of the constructivism. They consist of teachers, student, and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Second, we development ten subject as to culture, education,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ethodology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ommunity, and more. Third, we developed a syllabus for understanding this curriculum. The period of this program is about four months in Inha-ha Continuing Education Eenter.

      • KCI등재

        기획 주제 : 구성주의와 독서 ; 지식 구성과 다문화 문식성 교육

        박윤경 ( Yun Kyoung Park ) 한국독서학회 2007 독서연구 Vol.0 No.18

        우리 사회의 다양성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 다양성의 심화는 지식 구성과 관련된 오래된 문제를 새롭게 제기하고 있다. 사회 구성주의자들은 사회적지식이 실체에 대한 객관적인 반영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구성된 것임을 지적한 바 있다. 지식 구성의 문제는 학교 교육과 관련하여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한다. 하나는 어떻게 학생들에게 사회를 보는 다양한 관점을 제공할 것인가의 문제이며, 다른 하나는 어떻게 학생들이 지식의 사회 구성적 특성을 이해하도록 도울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는 학교 교실에서 학생들이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수용하는 것을 돕는 일과 연관된다. 학생들이 사회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필자는 이 글에서 다문화 도서를 활용한 다문화 문식성 교육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많은 경험 연구에 따르면, 다문화 도서를 활용한 다문화 문식성 교육은 소수집단 학생들의 읽기 및 쓰기 능력과 같은 학업 성취뿐만 아니라 문화적 자긍심을 높여주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학생들이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문화의 가치를 인식하고 수용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다문화 도서의 활용이 곧 교육적 효과를 담보하는 것으로 아니므로, 다문화 도서를 다문화적으로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다문화 도서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교육적으로 적절한 다문화 도서를 선정하는 일과 다문화 문식성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역할 수행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제기된다. Our society is becoming more diverse. The social diversity newly pose old problems on the knowledge construction. Social constructivist says that knowledge is socially constructed. Knowledge as social construction raises two questions of our school education ; One is for our students how to present the diverse perspectives in our society, and the other is how to help to understand the knowledge construction. In this study I suggested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using multicultural literature as a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y for students to appreciate and understand the social diversity in our classroom. Many researchers have reported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literature-based literacy education in many aspects : Increasing minority group students` self-esteem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s and promoting all students` appreciation and respect for the values and contributions of diverse cultures. But merely using multicultural literature is not sufficient. More important is to use it in multiculturl ways. And how to select right multicultural literature and how to help for teacher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ir classroom are also remain problems.

      • KCI등재

        〈과학문화 발전 프로그램〉을 위한 철학적 기초로서의 비판적 구성주의

        임병갑(Lim Byoung-Kap) 한국과학기술학회 2001 과학기술학연구 Vol.1 No.2

        과학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그러한 프로그램은 과학하는 방법에 대한 과학철학적 이해를 기초로 삼아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그 동안 과학철학사상 가장 두드러진 학파들을 1) ‘규범적’ 과학철학, 2) ‘역사적’ 과학철학, 3) ‘자연화된’ 과학철학의 세 가지로 정리한 다음, 각각의 입장들을 하나로 통합해낼 수 있는 입장을 〈비판적 구성주의〉로 명명 제안한다. 그리고 비판적 구성주의는 지금까지의 ‘과학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적-규범적 이해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바탕 위에 성립된 입장으로서 ‘과학학’이라는 간학문적 접근을 매개할 수 있는 과학학 방법론의 기초로 가장 적당하다는 주장과 그 근거를 제시한다, 아울러 ‘비판적 구성주의’에 기초한 과학문화 발전 프로그램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과학문화 발전 프로그램’의 철학적 기초로서 적절한 이유를 제시한다. We need to establish a systematic and consistent program in order to enhance 'science culture.' Such a program cannot be obtained without understanding the methods of doing science, with which the philosophers of science have been concerned. I divid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s of doing science into three as follows: 1) the 'normative' philosophy of science, 2) the 'historical' philosophy of science and 3) the 'naturalized' philosophy of science. Based upon the classification, I propose the 'critical constructionism' and explicate its theses. I then argue that critical constructionism can incorporate the strengths of the above schools of philosophies of science. Considering the cross-disciplinary nature of the science studies, it is claimed that critical constructionism alone can mediate and facilitate the collaborative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science culture because of its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f the methods of doing science.

      • KCI등재후보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을 적용한 다문화교육 학습지도안 작성의 실제

        심양섭 한국이민정책학회 2017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2 No.1

        이 글은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을 적용하여 다문화교육의 학습지도안을 실제로 작성하여 보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다문화교육에서는 교수자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전통적인 교수-학습 원리보다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지식을 함께 구성해 가는 구성주의 교 수-학습 원리가 더 효과적이다. 학습지도안을 작성함에 있어서 학습자는 다문화이해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의 수강생으로 상정하였으며, 교수-학습의 주제는 ‘문화란 무엇인가’이다. 문화의 기본개 념을 수강생들이 올바로 파악할 때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공존과 상생의 다문화시대를 열어 가는 데 더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학습지도안 중 팀별 활동에서는 중국동포, 중국인, 미국, 베트남, 태 국, 필리핀, 일본 등 주요 7개 국내 체류 외국인 집단을 분담하여 각각의 문화를 조사하여 발표토록 하였다. 이에 대한 상호토론이 이뤄지도록 하여 다른 문화의 장점과 국가사회적 기여를 이해하게 하였다. In this article I worked out a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ing plan by making use of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is more effective than the conventional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because while in the latter a teacher unilaterally provides learners with knowledges, in the former a teacher and learners go together to construct new knowledges fit for this age. In my teaching plan learners are students who enrolled on the cour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lecturer training program. Learning topic is “What is 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lecturers can respect different cultures and contribute to opening a multicultural age of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by comprehending the basic concept of culture. In my teaching plan learners are divided into seven groups which represents seven largest groups among foreigners in South Korea: Chinese Korean; Chinese; American; Vietnamese; Thais; Pilipino; Japanese. Each group studie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thnic group and presents the result of the study. Then through mutual discussion learners can understand the strength of other cultures and their positive roles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