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 개발

        이한규,이용환 한국농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적 문제해결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틀을 개발하고, 평가틀의 하위 평가영역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구명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의 개발은 ‘구안 단계’, ‘타당화 단계’, 그리고 ‘분석 단계’의 세 가지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먼저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의 구안 단계에서는 기술적 문제해결력의 개념 정의와 함께 기술적 문제해결력의 개념 구조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술적 문제해결력을 기술적 문제공간의 특성에 근거하여 기술적 지식체계인 기술의 내용 토대 위에서 다루어야 할 기술적 문제 상황을 문제해결 과정과 절차에 의하여 해결해 나갈 때 계발되는 일련의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기술적 문제해결력의 개념적 구조를 기술의 내용체계, 기술적 문제상황, 그리고 기술적 문제해결과정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개념적 구조에 근거하여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의 차원은 내용(재료, 구조, 동력, 제어, 생명), 상황(발명, 설계, 고장수리, 절차), 그리고 과정(문제의 이해, 계획, 실행, 결과)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의 초안에 대한 타당화를 위해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교수 및 연구원, 교사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3개의 평가차원, 13개의 평가영역, 그리고 과정 평가차원의 4개 평가영역 아래에 10개의 평가항목과 28의 평가지표로 구성된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을 개발하였다.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의 평가영역 중 상황 평가차원의 평가영역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발명, 설계, 절차, 고장수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내용 평가차원의 평가영역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제조, 통신, 수송, 건설, 생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정 평가차원의 평가영역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문제인식, 실행, 탐색, 그리고 평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urported to develop an assessment framework fo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to investigate relative weight about subordinate assessment domains of the assessment framework. The process of assessment framework development in this study was broken into three phases: draft development, validation, and analysis. the first step in the draft phase was to establish a concept definition and a conceptual structure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capability. In this study,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capability was defined as capability used for solving problem in technological problem context, and a conceptual structure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capability was established by content system of technology, technological problem context,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process. Based on this conceptual structure, the assessment framework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capability was comprised of three dimensions: content(manufacturing, communication, transportation, construction and life), context(invention, design, procedure, and troubleshooting), and process(problem's awareness, inquiry, execution, and assessment). The finally confirmed assessment framework consisted of 3 assessment dimensions and 13 assessment domains. Process assessment dimension consisted of 4 assessment domains, 10 assessment specifications, and 28 assessment indicators. As a result of estimating relative weight about assessment domains, the weight appreciated by the whole panel was ordered as follows: (1) 'invention', 'design', 'procedure', and 'troubleshooting' in the assessment domains of context assessment dimension. (2) 'manufacturing', 'communication', 'transportation', 'construction' and 'life' in the assessment domains of content assessment dimension. (3) 'problem's awareness', 'execution', 'inquiry', and 'assessment' in the assessment domains of process assessment dimension.

      • KCI등재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에 대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 비교 분석

        박진선,김동진,박세열,황현숙,박국태,Park, Jin-Sun,Kim, Dong-Jin,Park, Se-Yeol,Hwang, Hyun-Sook,Park, Kuk-Tae 대한화학회 2011 대한화학회지 Vol.55 No.6

        이 연구는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에 대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배경 요인에 따른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을 비교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개념과 수리 문제 해결력 검사지를 개발하여,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배경 요인에 따른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을 비교하고, 기억 보유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어떠한 개념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인지수준에서 개념 문제 해결력이 수리 문제 해결력보다 높았으며, 구체적 조작기와 과도기의 중학생들의 경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에 대한 기억 보유 효과 비교에서 형식적 조작기 중학생들은 기억 보유 효과가 있었다. 중학생들의 배경 요인에 따른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 비교에서 사교육을 받은 중학생들과 받지 않은 중학생들 사이의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과학 활동 경험과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에서는 과학 활동 경험이 있고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중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중학생들보다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중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거시적인 현상을 단순히 기억하여 과학적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므로 중학생들의 비과학적인 개념을 사전에 파악하여 이를 과학적인 개념으로 바꿀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nceptual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bility on Boyle's law and Charles's law according to cognitive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middle school 1st grade student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items of conceptual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developed. and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cognitive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as compared. The long-term memory effect in conceptual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cognitive levels was investigated, and problem solving process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item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eptual problem solving ability was higher than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bility in all cognitive level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rete operational period and transitional period students. In comparison of the long-term memory effect in conceptual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bility, formal operational period students had the long-term memory effec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ceptual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private educa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experiences of the scientific activities and hopes to related scientific careers. From results of analysis of problem solving process, it is known that the students had a tendency to just remember macroscopic phenomena and to solve the problems without understanding the concepts. Therefor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s necessary to replace unscientific concepts by the scientific concepts through identifying students's unscientific concepts in advance.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 분석

        이종연 ( Jong Yeon Lee ),구양미 ( Yang Mi Koo ),남민우 ( M. Nam ),박상훈 ( S. Park ),김병수 ( B. Kim ),박도인 ( D. Park ),서정희 ( J. Seo ),고범석 ( B. Go ),진석언 ( Suk Un J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 사회과 영역지식, 메타인지, 학습동기, ICT활용능력 수준이 사회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최종적인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개선 및 효과적인 운영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마포구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5개 학급이었다. 5학년 3개 반에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온·오프 연계 버전이 적용되었고, 2개 반에는 오프라인 버전이 적용되었다. 학기 시작 전,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 모두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와 사회과 영역지식 검사를 받았다. 온·오프 연계 그룹 학생들은 메타인지, 학습동기, ICT활용능력 수준을 조사하는 설문지에 응답했고, 오프라인 그룹 학생들은 메타인지, 학습동기 수준을 조사하는 설문지에 응답했다. 조사가 끝난 후,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 5학년 2학기 사회과 수업을 진행하였고 모든 수업을 완료한 후,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와 학업성취도 검사를 받았다. 처치그룹별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오프 연계 버전을 운영하였을 경우, 학습자들의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영역지식이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에 공통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과 기초지식이 많을수록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높았고 학업성취도도 높았다. 오프라인 버전을 운영하였을 경우, 학습자들의 영역지식 수준은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에 공통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메타인지 수준은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준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선 사회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수업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버전에 관계없이 학습자의 영역지식 수준을 증진시키는 방안에 주력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온·오프 연계 버전 적용 시 학습자의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영역지식 수준을 고려하는 운영방안 또는 교과과정 차별화 방안과, 오프라인 버전 적용 시 학습자의 영역지식과 메타인지 수준을 고려하는 운영방안 또는 교과과정 차별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arners variables such as entry-leve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domain-knowledge,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the level of ICT use on learners` fina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learning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after running Creative Thinker Program. Creative Thinker Program was composed of 9 units reorganized by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 unique online support system was developed to assist teacher`s and students` six step activities in each unit. Five 5th grade classes from a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treatment groups, on- & off-line blended treatment group and off-line treatment group. On- & off-line blended treatment meant that the online support system was fully utilized. Off-line treatment meant that most options of the system were substituted by printed material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oth students` entry-leve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domain knowledg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fina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when running on- & off-line blended version of Creative Thinker Program. In case of off-line version, students` domain knowledg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fina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Also students` level of meta-cognition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fina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학생의 융합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수업모형 탐색

        박주경 ( Park Ju Kyung ),오영열 ( Oh Young Youl ),임희정 ( Ihm Hee Jeong ),강옥려 ( Kang Ock Ryeo ),김광수 ( Kim Kwang Soo ),문성환 ( Moon Seong Hwan ),이윤형 ( Lee Yoon Hy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변화하는 사회는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에 시도되어 온 융합인재교육과 문제해결 학습은 자체가 가진 의미와 강점에도 불구하고 서로 독립된 영역으로 다루어짐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적용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실천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실생활에서 겪는 여러 형태의 문제 상황을 교과의 다양한 지식과 기술로 융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함양하기 위한 수업모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융합인재교육과 문제해결 학습의 개념을 바탕으로 초등교육에서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정의하고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함양시키는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융합인재교육과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융합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수업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융합적 문제해결력은 실생활의 문제해결에 목적을 두고 범교과적 지식과 개념, 기능의 융합을 통해 학습자 개인 및 집단이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생성하여 최적의 해결책을 선택하고 검증하며 성찰하는 능력으로 정의되었다.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함양하기 위한 수업은 실제성과 교과 내용 사이의 연결성이 강조된 문제를 제시하고, 수업 과정에서 맥락과 실천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며, 학습자의 능동성과 협력적 태도가 요구되는 특징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탐색한 초등학생의 융합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수업이 가진 함의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teaching model to improve STEAM-based problem-solving abilities that can be solved by the convergence of various types of problem situation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eal life. To this end, first, based on the concepts of STEAM education and problem-solving, we define STEAM-based problem-solving ability in elementary education and reviewed prior research related to education programs that improve STEAM-based problem-solving ability. Also, a teaching model was proposed to improve the STEAM-based problem-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EAM-based problem-solving ability defined as the ability that individual and group learners creatively create alternatives for problem-solving to make, select, verify and reflect through using the convergence of knowledge, concepts, and skills. Lessons to improve STEAM-based problem-solving skills include problems that emphasize the connection between practicality and subject content, and the context and practice are constantly emphasized in the process of instruction, and the learner’s active and cooperative attitude is also required in the whole class.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teaching model for improving the STEAM-based problem-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lored in this study, we expect that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children’s education with the STEAM-based problem-solving ability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력, 일상적 창의성,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정찬우 ( Chan Woo Ju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논총 Vol.35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일상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문제해결력, 일상적 창의성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와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의 남·여대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 하였으며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긍정과 부정, 양극단의 성격을 포함하고 있는 사회적 문제해결력은 긍정적 문제해결력과 부정적 문제해결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문제해결력, 일상적 창의성, 심리적 안녕감은 모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문제해결력과 일상적 창의성,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는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문제해결력과 일상적 창의성,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문제해결력, 일상적 창의성, 심리적 안녕감으로 가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긍정적 문제해결력은 심리적 안녕감으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보다 일상적 창의성을 경유하여 심리적 안녕감으로 가는 간접 경로가 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일상적 창의성은 긍정적 문제해결력과 심리적 안녕감의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논의될 수 있다. 부정적 문제해결력은 심리적 안녕감으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가 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일상적 창의성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특히 긍정적 문제해결력보다 부정적 문제해결력이 심리적 안녕감으로 가는 직접효과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심리적 안녕감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relationship and path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everyday creativity,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 In this study, total of 284 students from University in Daejeon were asked to respond to survey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cale, Everyday creativity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statistical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was Path-Analysis by Amos 20.0 program.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has two extreme aspects has been analysed into pos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neg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os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everyday creativ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among neg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everyday creativity,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results from path-analysis revealed that the path of the pos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everyday creativity, psychological well-being is significant but path of the neg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everyday creativity is not a significant. The neg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directl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most significantly. And the research model didn`t show goodness of fit but the last modified model was showed its better goodness of fit.

      • KCI등재

        유아의 실행기능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이경진 ( Lee Kyoungin ),이지현 ( Lee Jeehyu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실행기능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만5세 유아 307명으로, 유아의 실행기능과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검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실행기능과 수학적 문제해결력 간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실행기능은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적 문제해결력 전체에서 억제는 30.6%, 전환 22.1%, 작업기억은 1.6%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수학내용 영역별 문제해결력에 끼치는 실행기능의 영향력 크기는 기하(53.0%), 대수(44.4%), 수와 연산(33.7%), 통계(25.7%), 측정(9.5%) 영역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수와 연산 영역 문제해결력에 영향력을 가장 많이 끼치고 있는 것은 억제가 32.3%, 대수 영역 문제해결력에서는 전환이 27.2%, 기하 영역 문제해결력에서는 전환 45.9%, 측정 영역 문제해결력에서는 억제 7.6%, 통계 영역 문제해결력에서는 작업기억 10.8%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실행기능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aim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s on their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The subjects were 307 children age 5 whos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executive function were measur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their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Second,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ir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of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inhibition affected 30.6%, shifting 22.1%, and working memory 1.6%. These results indicate that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 KCI등재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 특성 분석- 과학성취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혜숙,함은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ich students and school characteristics could affect student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PS), comparing with science achievement in PISA 2015. The data included a total of 5,581 Korean students from 168 schools, and 2-level models were constructed including student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classroom and school experienc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variance between schools in total variance was 21.7% for CPS and 25.1% for science achievement. Second, CPS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and less dependent on parent’s social economic status. Third, while attitude towards relationship and collaboration did not predict CPS, students’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CPS. Achievement motivation positively predicted science achievement but not CPS. Fourth, teachers’ adoptive teaching strategies positively affected both CPS and science achievement while teachers’ unfairness negatively affected both outcomes. Finally, school-level teachers’ unfairness and negative school climat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CPS and science achievement. Further research ques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 were 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PISA 2015 한국 자료를 중심으로 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끼치는 학생 개인 및 학교 특성을 파악하되, 과학성취도와 비교하여 그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68개 학교에 재학 중인 5,581명의 한국 학생들의 응답 자료를 2수준 다층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분산에서 학교 간 분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협력적 문제해결력 21.7%, 과학성취도 25.1%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 변인과 관련하여 협력적 문제해결력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고, 과학성취도와 비교하여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의 영향에 덜 민감했다. 셋째, 협력 관련 태도 변인은 학생 및 학교 특성을 통제한 최종 모형에서 고유한 설명력이 없었으며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성취동기는 과학성취도를 정적으로 예측하나,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수업 특성의 경우, 교사의 적응적 교수전략은 협력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성취도를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교사의 학생 차별은 두 역량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학교 평균 교사의 학생 차별과 학교 평균 부정적 학생문화는 학생 개인 수준의 인식을 통제한 후에도, 두 역량을 모두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협력적 문제해결력과 관련된 향후 연구과제와 이를 위한 학교 교육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순식,서정희,황소희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3

        문제해결력은 21세기를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21st Century Skills) 또는 생애 능력(Life Competency) 중 핵심 역량이며, 2009년부터 적용되는 개정교육과정에서도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첨단 디지털 사회에서 대안 교과서로 제안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의 영향력을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측면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 사용과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 경험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 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디지털교과서와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을 독립변수로 선정하고 두 개의 독립 변수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지 판단하고자 이원 분산분석과 학생 면담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집단이 사용하지 않은 집단보다 문제해결력이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을 처치한 것이 처치하지 않은 것보다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교과서 사용과 문제해결력 신장 수업 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교수 설계에서 교사들의 교수행위에 대한 고려가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Problem solving competency has always been a prime issue in education, and it is defined as core skills of a life competency or as 21st century skills that students need to successfully learn.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scope and impact of digital textbooks on students’ competencies. This study also examines meaningful differences brought about using digital textbooks and taking lessons specifically adapted to improve 5th grade students’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dopted and a performance-based measurement tool for problem solving competency was developed and appli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lasses using digital textbooks achieved higher scores in problem solving competency. Also, a lesson that was specifically adapted with the aim to improve students’ problem solv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achievement. Moreover, there was reciprocal influence between using digital textbooks and adapting instructions to impro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conclusion, the effect of digital textbooks should be discussed further while also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eachers’ instructional strategies.

      • KCI등재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수업 구성 방안 - 사회과를 중심으로 -

        정태호(Jeong, Tae-ho)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1

        Since the OECD’s DeSeCo project, there is growing interest incompetency through projects such as ATC21S and Education2030. In this regard, PISA 2015 and ATC21S emphasizecollaborativeproblemsolving , which is essential for a changing society, as well a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studies competence and many of its skills. However, it has been neglected because of a lack of discussion on the topic and the difficulty in handling it in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of PISA 2015 and ATC21S, which are representative global education projects related to the existing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presented shared problem awareness, goals, collaborative skills, and cognitive abilities as component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terms of contents and methods of evaluation,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of individuals and group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teacher who took the class, and suggested a plan to evaluate the use of collaborative skills occurring in class, or to utilize the results of the class or presentation.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examples presented in US textbooks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related classes, the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class, to help it develop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the social studies field, were specified. 최근 OECD의 DeSeCo 프로젝트 이후 ATC21S, Education2030 등의 프로젝트를 통해 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PISA 2015와 ATC21S에서는 특히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강조하고 있다. 협력적 문제해결력은 변화하는 사회에 꼭 필요한 능력이며, 사회과 역량과 관련성이 높고, 사회과의 기능과 많은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논의가 부족하고 교실 수업에서 다루기 어렵다는 이유로 소홀하게 취급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협력적 문제해결력과 관련된 대표적인 글로벌 교육 프로젝트인 PISA 2015와 ATC21S의 연구를 분석하여,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구성 요소로 공유된 문제의식이나 목표, 협력 기능, 인지적 능력을 제시하였다. 평가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는 수업을 실천하는 교사의 의도에 따라 개인의 협력적 문제해결력과 집단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중 한 곳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 과정 중 발생하는 협력 기능의 사용을 평가하거나, 수업 후 산출물 또는 발표 결과를 활용하는 평가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협력적 문제해결력 관련 수업과 미국 교과서에 제시된 사례를 분석하여 사회과에서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는 수업을 구성하기 위한 수업 목표 및 내용, 방법, 평가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 KCI등재

        협력적 문제해결력 교수·학습 및 평가를 위한 PISA와 ATC21S의 특징 비교 분석

        박혜영(Park, Hye Young),임해미(Rim, Haem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본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연구하고 있는 대표적 역량 교육 프로젝트인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와 ATC21S(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실 상황 에서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최근역량 교육과 관련하여 주목되고 있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은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문제해결력 강조와 프로젝트형 수업 등으로 인해 새로운 교육 아이디어로 인식되지는 않은 채, 당위적이고 추상적인 형태로 우리 교육에 존재해왔다. 따라서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지, 어떻게 교수·학습되고 평가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 논의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 적 문제해결력을 평가하는 최초의 대규모 국제 평가인 PISA와 ‘가르칠 수 있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지향하는 ATC21S의 구에 주목하여 협력적 문제해결력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의 대한 방향을 구체적으로 탐색한다.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Korean education system.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some features of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CPS) assessment in PISA and ATC21S. Currently, there are growing interests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relevant to Key competencies as 21st century skills. However, in fact, it seemed that CPS was not a new educational idea in Korea. This was because CPS has been already addressed in several subject curriculum and implemented by the project based approach without a well-defined CPS concept. Consequently, educational stake holders have curiosity about what elements are involved in CPS competencies and how to teach, learn and assess CPS competencies. From the analysis of CPS in PISA and ATC21S, this study seek for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CPS in Korean classro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