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文科 問題中心學習法의 理論과 實踐

        백광호,공민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9 漢字 漢文敎育 Vol.46 No.-

        이 연구는 타 교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여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이론화를 모색하고, 중학교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실천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을 일반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중등학교 한문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이 현장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지만, 명확한 이론으로 정립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법에 대한 타 교과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이라는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고심하였다. 그래서 한문과에 맞게 구안한 교수・학습 방법을 수업에 적용하고,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는 예비 한문교사들이나 현장 교사들에게 일정 수준의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그룹별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공동체 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한문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활용한 사례가 다양해지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문제중심학습법을 한문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한문과에 적합한 문제 상황 개발이 중요하므로, 이 논문을 통해 문제중심학습법에 맞는 다양한 문제가 현장 교사에 의해 개발되고 학계에 소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other subjects, to explor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to introduce Problem-Based Learning practices in Chinese Classics class in the middle school, and to generaliz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vide a way to do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looking for a way to utiliz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Chinese Classics class in the middle school.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other subjects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 sought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learners were able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hinese Classics class. In addition, group activities enabled student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ty competence. These resul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urriculum competence emphasized in the Revised 2015 Chinese Classics Curriculum, so I expect that field case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will be diversified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 KCI등재

        문제중심 성서학습이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개념 명료성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조윤옥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0

        본 논문은 문제중심 성서학습이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개념 명료성 및 인간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결과를 기초로 해서 앞으로 기독교 대학에서 대학생들에게 어떻게 성서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 할 것인지에 대한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시에 소재하고 있는 H대학의 기독교교양과목인 성서과목을 수강 신청한 대학생 81명이다. 이들에게 문제중심 성서학습을 12주 동안 주2회 전체학습과 주1회 자율학습으로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에 하나님 이미지 척도와 자기개념 명료성 척도 및 인간관계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하나님 이미지는 하나님 이미지 전체와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기개념 명료성은 자기개념 명료성 전체와 하위영역 중 자기 확신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인간관계는 인간관계 전체와 하위영역인 민감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제중심 성서학습을 실시한 전․후에 하나님 이미지, 자기개념 명료성, 인간관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선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문제중심학습 이후 세 개의 척도 간에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세 가지 중 어느 하나의 변화가 또 다른 것의 변화를 가져오는데 역동적으로 작용하면서 서로 상관관계의 변화를 일으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하나님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게 됨으로서, 자기정체성에 대한 불명확성으로 갈등을 겪는 대학생들이 내가 누구인가에 대한 자기개념이 더 명료해졌고, 이는 나아가 타인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인간관계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제중심 성서학습이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 자기개념 명료성 및 인간관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 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primarily to examine the effect of Problem-Based Bible Learning(PBL) on the Image of God, Self-Concept Clarity and Human Relationship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them with practical information and support to effectively follow bible lecture courses in a Christian universit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81 university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course of "contemporary people and the Bible" as a Christian liberal arts subject in the H-university located at Daejeon city. The students were given two formal classes and one autonomic class every week during totally 12 weeks under the PBL. Before and after the PBL a paired t-test was practiced on the basis of three checklists composed of the Image of God, Self-Concept Clarity and Human Relationship. As a result it was recognized that for the Image of God the total score and the scores of all sub-categories reveal difference of significance, while for Self-Concept Clarity the total score and the score of sub-categories of Self-Confirmation differ significantly, and for Human Relationship the total score and a sub-category score of Sensitivity show difference of significance. Before and after practicing PBL,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know relations between each two categories of Gods Image, Self-Concept Clarity and Human Relationship, and the result shows that each two categorie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particularly, after the PBL. It was recognized that any change within one category among three mutually related ones, eventually triggers change in correlations with other categories. It means that the students struggling with an uncertainty of self-identity, once obtaining the positive image of God through the PBL, make clear of Self-Concept as to "who I am", and further influence positively on the improvement of Human Relationship by treating others in a considerable and respectful way. Therefore the PBL will positively enhance the Image of God, Self-Concept Clarity and Human Relationship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후보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활동 활성화 방안: 초등사회과 수업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김다원(Kim Da Wo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9 사회과수업연구 Vol.7 No.1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모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래서 문제중심학습은 2015개정교육과정에서도 긴요하게 적용되기를 요구받고 있는 교수학습 모형이다. 특히, 사회과교육은 민주시민성 함양을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자기주도적 학습력 함양 교육의 필요성을 더 많이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이를 이끌어낼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의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기주도적 학습 및 문제중심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을 위한 학습전략을 분석하였고, 문제중심학습의 일반적인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을 위해 학습동기, 메타 인지전략 활용, 상호작용 활성화, 자기성찰 등 4가지 학습전략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전략적 학습요소들은 문제중심학습의 각 단계에 특화되어 적용된다기 보다는 전 단계에서 유기적으로 연계 적용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제발견 및 문제정의 단계에서는 학습자주도적 문제발견과 문제정의가 이뤄져서 이후 학습에 대한 학습동기가 촉발되도록 하는 것과 문제해결 계획 및 탐색 활동 단계에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학습자원을 검토, 관리하면서 자신의 경험 및 지식과 연계하여 조직화된 전략을 설계하도록 하는 과정이 자기주도적 문제중심학습을 수행하는 데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Problem-based learning is recognized as a model tha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education linked to the learner s real life. Therefore, problem-based learning leads us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 s thinking power and the learner 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s is why problem-based learning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teaching-learning model today. Especially,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democratic citizenship and the inquiry learning is applied as the main learning method. So,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uggests a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that can lead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do this, I analyzed the learning strategies for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explored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process of problem-based learning by reviewing previous problem-based learning studies. I suggested a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for self-directed learning by applying four strategies,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on, interaction, and self-reflection.

      • KCI등재후보

        정황학습과 비교분석을 통한 문제중심학습의 이해

        김종백 안암교육학회 2004 한국교육학연구 Vol.10 No.2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은 문제중심학습을 이해하고 그것을 다른 학습모형, 특히 정황학습모형(anchored instruction)과 비교하는 것이다. 문제중심학습은 본래 보건과학 분야에서 의대생을 교육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비록 몇몇 연구들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 연구결과를 나타냈지만, 문제중심수업은 다양한 인지적·정서적 측정에서 효과가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세 가지 학습모형 즉, 정황학습, 사례-중심학습 및 프로젝트중심학습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러한 학습모형은 모두 학습의 주요한 매개체로서 "실제적" 문제와 협동 학습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론적 입장은 유사하지만, 문제중심학습과 정황학습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점이 발견되어 왔다. 첫째, 정황학습의 문제는 문제중심학습보다 잘-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정황학습에서의 문제 영역은 문제중심학습보다 제한되어있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에서 문제는 학생들에게 갭을 채우도록 하기 위해서 불완전한 지식을 주는 문제들로 구성되지만, 정황학습의 사례들은 모든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상황별로 묶어두었다. 셋째, 정황학습에서의 문제는 보통시각적 형태로 제시되지만, 문제중심에서의 문제는 복합적 형태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이들 학습모형은 각각 표방하고 있는 철학적 지향점은 유사하나 그것을 운용하는 측면에서 두 학습 모형 간에 차이가 있음을 이 논문에서 밝히고자했다.

      • KCI등재

        문제중심 학습방법을 적용한 임상실습교육의 만족도, 자율성, 성취종기와의 관계 -모아임상실습을 중심으로-

        백경선 ( Kyoung Seon Baek ),송애리 ( Ae Ri Song ),김영희 ( Yeong Hie Kim ),김태경 ( Yae Kyung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학생들이 실제 임상 상황의 맥락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기존의 지식과 경험을 반영 하고 이로 인해 사고력과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간호학생들의 성취동기,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질적인 임상실습 교육의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은 실제적인 문제에서 학습이 시작하게 되며,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문제는 자신이 실제 임상세계에서 경험하는 문제이어야 한대 따라서, 모아임상실습을 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실제 임상사례에 바탕을 둔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간호과 2학년 학생의 모아임상실습시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임상실습을 시행하기전에 사전에 교과목을 통하여 문제중심학습 에 대한 학습방법의 지식을 습득하였으며,이 방법을 통하여 이론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다. 이러한 사전경험으로 학생들은 새로운 학습법으로 인한 시간소요나 혼란을 줄일 수 있었으며, 임상실습을 통하여 시나리오의 사례를 실제로 경험하면서 보다 역동적으로 실습에 임하고, 지식 습득 및 문제해결에 대한 높은 흥미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는 3.34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반족도를 연구한 Kim과 Oh(2000) 의 연구결과 인 2.96점과 Park과 Lee (2002)의 2.86점 보다 높은 점수이다. 또한, 임상실습만족도의 하부영역 중 ``임상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3.49)가 타 하부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Park과 Lee(2002)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환경영역의 점수(3.11)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반되는 결과이다. 실제 본 연구대상자들은 임상실습지도 (3.46), 환경(3.31) 평가(3.23) 및 시간 (3.16) 등과 같은 임상실습의 외부적인 부분이 다소 열악한 상황에서도 실습의 내용적인 면에서는 만족하고 있었으며, 이는 현재 우리나라 간호대학 임상실습의 환경이 주로 수동적인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문제 중심학습법이 학생들의 능동적인 학습태도와 학습 동기 유발 및 흥미를 상승시킨 효과로 볼 수 있다. 자율성(Autonomy)이란 의미는 자기- 규율, 자기·결정, 자기·통치 및 독립성이란 용어로 오늘날 전문직 자율성의 개념은 간호 전문직 내에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현 시대의 간호사는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과 종합적인 결정 능력이 요구되는 복잡한 간호현장에서 중요시되는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교육에서부터 자율성을 신장시켜 주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Shin, 1996). 본 연구 대상자의 자율성은 평균 3.83점으로 Kim (1998)의 4년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3·53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본 연구가 간호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해가는 자율적 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향상시킨 결과로 이해 되어진다. 간호사는 대상차의 건강과 관련된 요구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는 지식의 소유자이며, 대상자를 위한 이타적인 가치관을 소유한 전문가로써 간호사 자신 뿐만 아니라 대상자에 대한 존중을 기본적인 소양으로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이에 간호사의 진정한 자율성은 대상자에 대한 존중에서부터 나온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지율성 하부영역에서 ``타인에 대한 존중`` 이 4.15점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이 단순히 이론적인 지식의 실제 적용을 넘어 대상자를 존중하고 대상자의 요구를 사정하여 적합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기회로 간호전문가로써의 기본 자질을 함양할 수 기회를 제공 한것으로 보인다. 성취동기는 어떤 훌륭한 일을 이루어보겠다는 내적 의욕으로 과업을 성취해나가는 과정에서 만족하는 성취의욕이며 후천적으로 학습되고 습득되며 육성된다. 간호학생들의 성취동기는 학업수행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성취동기는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본 요소로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과 학생들의 성취 동기는 3.83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Park과 Lee (2002) 의 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취동기는 이론학습과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나타났지만, 실제 임상실습시에도 높은 성취동기는 임상실습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 중심학습법은 학습의 동기유발을 통하여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며,이를 통하며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유발 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취동기, 자율성과 임상실습 만족도를 살펴보며 성취동기,자. 성이 학과만족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취동기와 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결국 학과에 대한 만족도는 학업성취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Park, 1992), 본 연구에서도 학과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취동기가 높게 조사되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습시기에서 임상실습만족도 중 ``임상실습내용`` (t=2.219, P<0.35)과 자율성 중 ``타인에 대한 존중``(t=3.133, P<.005)이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교수업을 한후 실습`` 을 하는 실습이 ``실습 후 학교수업``을 하는 경우보다 임상실습에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한 후 실습을 할 경우 실습에 조금 더 자신 감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임상실습의 시기는 이론 강의가 이루이진 후 시행 되는 현재의 간호교육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성취동기, 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가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중심 학습법을 임상실습에 적용한 본 연구대상자들의 성취 동기와 임상실습만족도간의 상관관계는 r=.476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Jang(2000)의 연구에서 성취동기와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가 순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 같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성취동기가 높을수록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어떠한 일을 잘 이루어 내겠다는 욕구가 내재 화되어 있는 사람은 임상교육에서도 그 욕구가 작용하여 성공적으로 그 일을 끝마치려는 행동을 보이고 그 결과 좋은 교육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서도 Park(2003)의 연구와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도 자율성 과 임상실습만족도가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328), 자율성과 성취동기도 유의한 상관 관계 (r=.468)를 보였다. 성취동기는 후천적 학습에 의해 더욱 강화되므로 단시간의 훈련으로 높일 수 있으며 지능과 관계없이 육성될 수 있는 좋은학습 신장도구이므로, 현장실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성취동기를 높일 수 있는 교육학습법이 요구되어진다. 문제중심학습법은 임상의 실제 사례를 통하여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을 통한 자율성 증대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다양하고 급변해 가는 임상현장 에 적합한 간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수학습법이다. 이론 강의시 사용되는 문제중심학습법은 실무와 떨어진 교육환경에서의 적용이라는 한계점을 여전히 수반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이론적인 지식의 습득에 대한 접근을 달리하는 방법으로만 적용되어 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현장에서 실습을 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해 봄으로써 이론 강의의 적용에서 오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주어진 사례를 직접 임상실습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학습과정이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성취동기와 자율성을 증가시켰고, 이는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실습교육을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수행하도록 유도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학습의 질적인 향상을 위하여서는 학생들의 성취동기 및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학습법으로 문제중심 학습법이 기존의 이론강의뿐만 아니라 임상실 습교육에서도 학생들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며 자율성을 강화시킨다는 점에서 간호학생을 위한 임상실습 의 학습법으로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ith PBL-based clinical practice, their autonomy, achievement motivation and what affected them in those regards in an attempt to lay the groundwork for providing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clinical practice.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8 nursing sophomores at J college who participated in PBL-based clinical practice. Results: They got a mean of 3.34, 3.83 and 3.83 i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inical practice,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respectively.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the satisfaction level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motivation of choosing the major and time for undergoing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ho decided to major in nursing at their own option(3.6l) were most contented with practice teaching(F=6.356, p<.0l), and those who underwent the clinical practice after taking lessons(3.82) were most pleased with the content of the clinical practice (t=2.129, p<.05).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autonom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volving ag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time for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ho were at the age of 22(3.92) valued themselves the most(F=3.003, P<.05). And those who found their major satisfactory (4.28) and undergo the clinical practice after taking lessons(4.37) respected others the most(F=3.l33, p<.0l). As to 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who were contented with their major(4.00) excelled the others who weren``t in that aspect(F6.038, p<.0l).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inical practic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utonomy (r=.328, p<.0l) and achievement motivation(r.476, p<.01). Conclusions: The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nursing students expressed the satisfaction with the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e older students who were 22 years old were more autonomous, and those who took part in the clinical practice after receiving theoretical instruction were more autonomous and more pleased with the practice. The students who found their major more satisfactory surpassed the others in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level,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are some suggestions: In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getting a profound grasp of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geared toward nursing students. The development of modules for PBL-based nurs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was required. How to provide PBL-based theoretical education to nursing students should be studied.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 설계 및 운영 사례연구 : 국제기업문화의 이해 교과목을 중심으로

        김미영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6

        이 연구는 실무교육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문제중심학습(PBL) 교수법을 국제기업문화의 이해라는 교과목에 적용함으로써 학습효과를 확인하고 대학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의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B대학 국제비서학과에서 개설한 ‘국제기업문화의 이해’라는 교과목을 수강한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2차의 사례 문제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였으며 수업 중 교수와의 면담을 통해 교수자는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학습자들은 제시된 사례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별활동을 하였으며, 조별활동이 끝난 후 조별 발표와 함께 한글보고서, 발표자료 및 조별활동일지를 제출하였고 개인별로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수업이 끝난 후에는 수업평가지를 제출하였다. 사례분석결과 성찰일지를 통해 학습자들이 지식함양, 자기주도학습 능력, 실무능력, 협동능력, 정보수집 및 통합능력의 향상을 학습효과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별활동 중의 의견조정 및 조원 간 시간조정, 과제수행에 많은 시간의 소요와 일부 조원의 비적극적 참여를 단점으로 나타났다. 수업평가지 분석을 통해서 학습자들은 문제중심학습의 유용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의 난이도 및 조 구성 방식의 인식에 있어서는 유용성이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개입에 많은 도움을 받았으며 교수자의 피드백 내용, 제공시기 및 방법의 적절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자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강의수업에 익숙한 학습자들이 문제중심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case study applied the blended learning of PBL(Problem Based Learning) with classroom instruction into secretary education. Among 35 students enrolled in this course, 27 students were major in secretarial studies and 8 students were double major in secretarial studies. PBL was implemented with two learning issues (problems). Students submitted group activity diaries, reflective journals, and the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 at the end of semester.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e educational effect of improvement in knowledge cul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practical skills, collaboration skills, and ability to integrate information gathering. On the other hand, coordinated group activities, time-consuming activities, and insincere group members were proposed as disadvantages of the PBL class. Through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 students showed the usefulness of PBL in higher recognition respectively. But the difficulty of the problem and group configurations were showed in lower recognition than usefulness or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role of professor as a facilitator was very important. Finally, the improvements and limitations of this case study were addre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다중지능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과 평가 - 중학교 가정과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

        최성연,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lesson plans applying to the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learning strategy, focused on the unit 'Nutrition & Meal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from the 72 middle school students in Chongju after implementing the instruction.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SPSS/WIN 12.0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he objectives of practical problem-based 'Nutrition & Meals'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 strategy wer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nutrition and health in an adolescent period and to develop good eating habits. The Practical Problem was 'What should I do for good eating habits?' and the learning contents were healthy life, the kinds and functions of nutriments, food pyramid and a food guide.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progressed by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cluding 8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 strategy. The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practical problem solving model. 6 periods of lesson plans and worksheets were developed. Second, the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learning strategy were evaluated to increase students' positive learning attitudes, motivation, and good eating habi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가정교과의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eller의 수업 설계 과정에 따라 수업을 정의하고, 수업을 설계하며,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수업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업 정의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의 목표와 내용 단어를 추출하여 학습목표를 설정하였고, 실천적 문제를 규정하였다. 둘째, 식생활 교육내용의 연계성 연구를 토대로 하여 12종 교과서의 학습 내용을 분석하여 선행조직자로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셋째, 12종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다중지능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수업 설계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존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과정에 개념이해 과정을 추가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설계하였다. 둘째, Armstrong과 그의 공동연구자들이 제시한 다중지능 교수ㆍ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차시별로 8가지 지능을 모두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한 다중지능 교수ㆍ학습 방법을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과정에 투입하였다. 교수ㆍ학습 과정안 개발 단계에서는 교수ㆍ학습 자료와 참고자료를 선정하여 총 6차시의 교수ㆍ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수업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한 4, 5차시의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청주시 소재 중학교 1학년 남ㆍ여 2개 학급 72명에게 2시간씩 시연한 후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의 다중지능 교수·학습 방법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목표는 ‘청소년기 영양과 건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균형 잡힌 식사습관을 실천할 수 있다’이다. 실천적 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고, 학습 내용은 건강한 생활, 영양소의 종류 및 기능, 청소년의 영양 문제, 식품 구성탑, 식사 구성안이며, 학습 활동은 8가지 다중지능 영역을 골고루 포함한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법으로 진행된다. 둘째, 개발한 교수ㆍ학습 과정안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흐름에 따라서 도입(생각열기, 지난 수업 내용 확인, 학습목표 제시), 전개(실천문제 규정, 개념 이해, 사회ㆍ문화적 맥락 이해, 목표 설정 및 대안 탐색, 대안 실행 결과 예측, 수업 내용 정리 및 생각 넓히기), 정리(성취확인학습, 적용 및 일반화 유도, 과제 제시 및 차시 예고)로 진행되도록 하였다. 이 수업 과정에 차시별로 8가지 다중지능을 모두 활용한 교수ㆍ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환경에 따라 활동 선택이 가능하게 하였다. 개발된 활동은 언어지능 활용 방법 10개, 논리수학지능 활용방법 7개, 시각공간지능 활용 방법 9개, 음악지능 활용 방법 10개, 신체운동지능 활용 방법 6개, 대인관계지능 활용 방법 10개, 개인내적지능 활용 방법 7개, 자연탐구 지능 활용 방법 6개로, 총 65개이다. 셋째, 다중지능 교수ㆍ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평가 결과, 적극적 수업 태도를 함양하고, 학습 동기 유발, 학습내용 이해, 학습내용 암기, 실제 생활에 적용, 그리고 바람직한 식생활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 ...

      •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초등학교 현장 적용 가능성 탐색

        임정훈(Leem Junghoo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7 韓國敎育論壇 Vol.6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문제’를 개발하고, 그 문제를 적용하여 면대면과 온라인 학습을 혼합한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을 실제로 학교 교육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부천시 소재 S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약 4주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 6학년 교과를 중심으로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고, 그에 따라 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문재중심학습 전략을 수립한 뒤, 학습 계획서와 지도안 작성, 온라인 학습을 위한 커뮤니티 사이트 개설, 문제중심학습 실행, 성찰 노트와 만족도 검사, 개별 심층 면접의 과정을 거쳐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는 문제중심학습에 적합한 문제로 확인되었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 검사 및 개별 면접 결과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현장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후 연구를 위하여 온라인 활동에 대한 사전 훈련, 교사들의 다양한 문제 개발을 위한 노력, 협동 및 협력, 온라인 토론 기회의 제공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oblem' appropriate for problem-based learning and to investigate applicability of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on 42 students of the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Researcher developed 'problem' for problem-based learning with textbooks for the 6th grade, established strategies based on blended learning strategy. Next, researcher implement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using community site for on-line learning. After finishing instruction, researcher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by analyzing satisfaction questionnaire, individual interviews, and reflection no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validated as a appropriate problem for problem based learning. Second, total satisfaction score was 3.81. General satisfaction score was 3.84, and satisfaction score about education effect was 3.79. Third, according to individual interview and reflection notes, stude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each other, utilized information resources effectively, and kept learning motivation during offline and online learning. Furthermore, they kept trying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for cooperative learning in offline and online environ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can be implemented usefully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For better instruction, pre training as to learner roles for problem-based learning, reorganizing curriculum to reduce student's learning load, providing opportunities of communication, cooperative learning, online discussion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교회학교 교사교육을 위한 문제중심 학습법의 사용-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문제중심 학습법의 효과에 대한 한국 교회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이수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7 No.-

        There is a hunger for effective teacher equipping programs for adultvolunteer teachers in the educational ministry of today’s churches. Inaddition, these programs for volunteer teachers need to be well-suitedfor adult learners and relevant to their real-life situations. The purpose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oblem-BasedLearning (PBL) in volunteer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a church inSouth Korea. A grounded theory study was utilized in order to comparechurc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traditionalLecture-Based Learning (LBL) and PBL upon their learning process. InSpring 2011,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participated in a volunteerteacher training program (total 8 weeks) primarily designed using LBL( week 1 t hrough 4 ) and PBL approaches ( week 5 through 8 ). T his studyutilized observations by the researcher, open-ended surveys, andinterviews to collect data from the church school teachers in a KoreanPresbyterian church in Anyang,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through the procedures of a grounded theory study. Based on the datacollect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makehypotheses that described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PBL and theirPBL experiences. First, PBL can shift the center of learning from the teachers to thelearners in a Korean church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Second,the participants of PBL will yearn to apply the PBL approaches in theirown teaching contexts. Third, the unfamiliarity of PBL can be adifficulty to implement for a Korean church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in Korea. Also, PBL seems to require more time to complete thetraining session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pedagogies. 한국 교회의 수적, 질적 감소와 주일학교 교육의 침체에 대한 원인을 여러 가지에서 찾을 수 있으나 많은 전문가들은 교회 주일학교 교사들이 충분하고 효과적인 훈련을 받지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교회의 교육사역을 위해 효과적으로 교사들을 교육하는 것에 대한 갈망은 어느 교회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성인교사교육 프로그램들은 성인 학습자로서의 그들의 특성과 그들의 상황과 잘 어울리는 것이어야 한다. 이질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한 지역교회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문제 중심 학습법(Problem-based Learning)의 효과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제중심 학습법만의 효과가 무엇인지 보다 분명하게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강의중심 교수법과 문제중심 학습법에 참여한 교사들이 각 교수법의 효과를 어떻게 다르게 인식했는지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총 8주짜리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들은 처음 4주(1주-4주) 동안은 강의중심 교수법을 통해 교육을 받았고, 그 다음 4주(5주-8주)의 기간에는 문제중심 학습법을 통해 교육을 받았다. 교육을 하는 동안 연구자는 참여자들의 반응을 관찰했고, 연구가 마친 후 간단한 설문조사를 했다. 또한 20명의 교사들을 심도 있게 인터뷰 했고, 나중에 분석한 데이터를 가지고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한국 주일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의하면,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습자들의 배움의 과정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옴을 발견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교수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학습에 가장 주요한 행위자가 되도록 하였다. 그들은 주어진 문제중심 학습법의 프로젝트를 그들 스스로 계획하고, 관리하고 시행해나갔고, 그 결과 다양한 소스로부터 배울 수 있었다. 이러한 모든 학습과정은 귀납적으로 이루어졌고, 학습자들 자신이 그들의 배움의 출발점이었다. 또한 이러한 학습 과정에 있어서의 극적인 변화는 참여자들의 배움에 큰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들을 산출하였다. 학습에 대한 그들의 태도도 보다 긍정적으로 바뀌었고, 자신들이 배운 것을 각자의 가르침의 사역의 현장에 접목하고 적용하려 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된 데이터에 근거해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문제중심 학습법은 학습의 중심을 교사에서 학생으로 전환시켰다. 둘째, 문제중심 학습법에 참여한 교사들은 자신들의 교육 사역에 이 교수법을 적용하고 싶어 했다. 셋째, 그러나 문제중심 학습법에 대한 참여자들의 낯설음은 향후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될 수도 있고 또한 문제중심 학습법은 훈련과정을 마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요구했다.

      • KCI등재후보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

        김익수,류창열,문대영 대한공업교육학회 200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 model of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of the special subject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technical high schools For the study, various literature researches were reviewed intensively about problem solving process, problem -based learning, and learning principals. The process of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was composed with planning, executing, testing and evaluating. In this practical skill instruction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the teacher serves as a coach or guide for students' learning. As a facilitator, the teacher challenges, questions, and stimulates the students in their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study. In this process, students represent problem by thinking aloud, assuming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earning, having self-directed study as well as doing cooperative study, and as a result, education changes move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와 산업 현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수업의 새로운 접근을 위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일, 학습, 삶이 상호연관 되는 질 높은 실기 수업을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고등학교에 적합한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의 실기수업에 적합한 문제해결 과정에 관한 국내․외 관련 문헌을 분석․고찰하고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관한 국내․외 관련 문헌을 분석․고찰하여 이를 근거로 공업계고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생들이 실생활의 비 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업 형태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과정, 즉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쳐 학생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형태를 의미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에서 교사는 문제의 설계, 문제해결을 촉진하는 질문과 언어적 개입이 요구되며, 힌트와 조력을 하는 코치 역할과 Think Aloud을 이용한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인지적 모델링 역할이 요구된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문제 중심 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습동기 유발 및 자기 주도적 학습과 협동적 학습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