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몸짓언어 교육의 목표에 관한 이론적 고찰

        유동엽(Yoo, Dong-Yup)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敎育論叢 Vol.55 No.3

        몸짓언어의 교육은 국어교육, 그중에서도 화법교육(듣기․말하기 교육)에서 중요한 교육 내용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화법교육의 목표, 목적,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이 명확하지 않듯이, 몸짓언어 교육의 목표, 목적,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 등에 관한 논의도 학계(學界)에서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있다. 그 결과로 손짓과 몸짓, 표정 등의 일부 현상에 관해 일회성으로 관심이 환기될 뿐, 몸짓언어교육의 체계적인 확립은 요원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몸짓언어 교육의 목표에 관해 이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몸짓언어 교육의 초석을 놓는 데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몸짓언어 교육의 목표에 관해 환원론적으로 접근하였고, 3장에서는 기호론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작적으로 진술한 몸짓언어 교육의 목표 진술이 몸짓언어 교육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몸짓언어 교육 연구자 간의 소통성을 높이는 데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The Education of Non-verbal communication is regarded as an important education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in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listening & speaking education). However, discussions or researches about the goal, purposes, objectiv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are not fully publicized among researchers. As a result, there is a one-time interest in some phenomena such as beckons, movements, facial expressions and so on.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is an urgent tas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by theoretically examining the educational obj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For this ends, this study approaches the obj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through reductionist perspective in chapter 2, and through semiotic perspective in chapter 3. I hope this study to extend the scope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 KCI등재

        비언어문화로서 러시아 몸짓 언어 연구

        김태진 ( Taejin Kim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4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8 No.1

        본 논문은 러시아인들의 의사소통과정에서 러시아의 비언어적 수단으로서 자주 사용되는 몸짓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인간은 의사소통을 통해 인간적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킨다. 의사소통은 아주 미시적 의미로는 자신과의 내부 의사소통부터 크게는 자신의 외부 대상과 의사소통을 한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의사소통은 사람들 사이의 거리 준수와 몸짓 언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언어 표현에는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으로 구분되는데 언어적 방법은 사실적인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되며, 사람의 감정과 느낌은 언어적 방법 보다는 몸짓 언어와 같은 비언어적 방법으로 더 잘 전달된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가 상대방의 감정을 알아내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상대의 감정을 감지하려고 하는 신체 활동이 일어나며, 비언어적 신호의 이해가 없다면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게 되어 이는 결국 사회적 인간관계의 실패로 귀결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언어는 사람의 감정이나 태도를 표정이나, 손짓, 몸짓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비언어적 수단이다. 문법적인 체계가 없기 때문에 문법적 체계가 존재하는 수어와는 전혀 다른 언어라고 볼 수 있다. 몸짓에는 의식적 몸짓과 무의식적 몸짓이 있다고 한다. 양자 모두를 통해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고 읽을 수 있다. 언어적 수단 없이 일부 몸짓만으로도 정보 전달이 가능하며, 몸짓과 언어적 수단이 함께 동반하게 되면 더 강력한 의사소통 수단이 될 수 있다. 국가마다 문화와 언어적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몸짓 언어 또한 국가별로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몸짓은 명료하게 그 의미가 드러나는 것들이 있지만 같은 몸짓이지만 국가별로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국가의 최소한의 몸짓 언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몸짓 언어에는 중요한 핵심 요소들이 있는데 눈빛, 얼굴 표정, 손짓, 몸짓이다. 몸짓 언어의 힘이 대화자의 감정을 잘 이해하고, 대화자와 그 감정을 잘 연결해서 대화의 신뢰감을 형성하는데 있다. 몸짓과 언어적 요소가 동시에 적절하게 사용될 때 의사 전달의 의미가 더욱 명확해지고 의미 또한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이 핵심 요소들은 몸짓 언어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В данной статье подчеркивается важность языка жестов, который часто используется как неверб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русского общения. Люди поддерживают и развивают человеческие отнош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общения. Говорят, что общение варьируется от внутреннего общения с самим собой в очень микроскопическом смысле до общения с внешними объектами самого себя. В этом процессе большая часть общения происходит посредством соблюдения дистанции между людьми и языка жестов. Вербальные выражения делятся на вербальные выражения и невербальные выражения. Вербальный метод используется для передачи факт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и говорят, что эмоции и чувства человека более эффективно передаются с помощью невербальных методов, то есть языка жестов, чем вербальных методов. Поэтому возникает физическая активность, при которой мы неосознанно пытаемся обнаружить эмоции другого человека, и если нет понимания невербальных сигналов, высока вероятность того, что общение не будет происходить гладко, что в конечном итоге может привести к сбою социаль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отношения. Это может быть. Язык жестов — важный язык, который передает эмоции или отношение человека через мимику, жесты рук и язык тела. Поскольку у него нет грам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его можно рассматривать как язык, совершенно отличный от жестовых языков, у которых есть грам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Говорят, что в жестах есть сознательные и неосознанные жесты. Вы можете выражать свои чувства и мысли обоими способами. Информацию можно передать с помощью лишь некоторых жестов без вербальных средств, а когда жесты и вербальные средства объединяются вместе, она может стать более мощным средством коммуникации. Поскольку в каждой стране существует разная культурная и языковая среда, язык жестов также может отличаться от страны к стране. Однако, хотя существуют определенные жесты, значения которых четко раскрыты, один и тот же жест может использоваться с совершенно разными значениями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страны. Вот почему необходимо понимать минимальный язык жестов других стран. Существуют важные основные элементы языка жестов: глаза, мимика, жесты рук и язык тела. Сила языка жестов заключается в понимании эмоций собеседника, связывании этих эмоций с собеседником и создании доверия в разговоре. Эти ключевые элементы очень важны для понимания языка жестов, потому что, когда жесты и языковые элементы используются правильно одновременно, смысл общения становится более ясным, и это значение также может быть расширено.

      • 10~18개월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영아의 기질이 영아의 몸짓언어(Baby Sign)에 미치는 영향

        안경숙,신애선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영아교사 성인애착과 영아 기질, 영아 몸짓언어의 관계 및 영아의 몸짓언어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 J시의 27곳의 가정어린이집과 영아전담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10~18개월 영아와 그 담임교사 92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 성인애착은 영아의 몸짓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아교사 성인애착 유형별로 살펴보면,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지시적 몸짓언어, 관습적 몸짓언어, 표상적 몸짓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몸짓언어와 기질의 하위요인 중 적응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아 기질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접근-회피는 관습적 몸짓언어와 정적 상관관계를, 적응성은 지시적 몸짓언어, 표상적 몸짓언어와 부적 상관관계를, 반응강도는 지시적 몸짓언어, 표상적 몸짓언어와 정적 상관관계를, 기분은 지시적 몸짓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 성인애착과 영아 기질이 영아 몸짓언어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중 불안애착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지시적 몸짓언어와 관습적 몸짓언어에 대해서는 영아교사 성인애착 중 불안애착이, 표상적 몸짓언어에 대해서는 영아 기질의 반응강도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의 몸짓언어 발달을 위한 영아교사의 심리적 요인과 영아의 내적 요인에 대한 탐색과 영향력을 밝혀 영아와 상호작용하는 영아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영아교사의 애착 및 영아의 몸짓(gesture)과 영아 언어발달 간의 관계

        신애선 한국보육학회 2017 한국보육학회지 Vol.17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attachment or infant gesture and infant language development.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infants aged between 18 and 24 months and their 84 teachers of 63 home day care centers and infant day care centers in J city, Jeollabuk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attachment and infant language development. Looking at the types of infant teacher attachment showed that positive emotion, contact-seeking, self-sacrifice genialities, approach-seeking, solidarity, and expect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protec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eptive language, and only indifferenc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receptive language. Second, of sub-factors of infant gesture, directive gestur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receptive language, and customary and representational gestur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expressive languag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effects of infant teacher attachment and infant gesture on infant language development, contact-seeking had the largest effect. Looking at the types of infant language development showed that contact-seeking had the largest effect on receptive language, and solidarity had the largest effect on expressive languag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fant teacher attachment had larger effects on infant language development than infant gestu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materials to improve communicative abilities of infant teachers interacting with infants for infant language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 애착 및 영아의 몸짓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 가정어린이집과 영아전담어린이집에 63곳에 재원 중인 18~24개월 영아와 그 담임교사 84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 애착은 영아의 언어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아교사 애착 유형별로 는 긍정적정서, 접촉추구, 자기희생적온정, 근접추구, 결속, 기대감 모두 수용언어,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보호는 수용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냉담만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 몸짓의 하위요인 중 지시적몸짓은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관습적몸짓과 표상적몸짓은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애착과 영아 몸짓이 영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체언어에 대해서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영아 언어 유형별로는 수용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표현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결속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아 언어발달에는 영아의 몸짓보다 영아교사의 애착이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교사와 영아의 애착관계의 중요성을 통해 영아의 언어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피지컬 씨어터(Physical Theater) 작품에 나타난 몸짓언어 분석

        양은숙 ( Yang Eun-soo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7 한국무용연구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피지컬 씨어터 작품에 나타난 몸짓언어를 에크먼과 프리슨이 제시한 4가지 유형을 통해 분석하는 것에 있다. 즉, 피지컬 씨어터의 몸짓언어를 설명하기 위해 에크먼과 프리슨(Ekman& Friesen)이 말하고 있는 4가지 몸짓언어를 적용하여, 이를 바탕으로 국내 피지컬 씨어터 단체의 대표작품을 선정한 후 상호텍스트성 방법을 활용하여 예증하려한다. 그 결과 첫째, 몸의 요약언어는 장황한 상황을 하나의 몸짓으로 압축하여 보여주는 것으로 디지털적인 몸짓을 만들어 관객에게 정보제공 역할을 한다. 둘째, 몸의 구어언어는 상호보완적이다. 언어적 표현으로 부족한 몸짓의 부분을 구어언어로 보충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몸의 접촉언어는 접촉으로 발생되는 몸짓으로 규정화되어있던 몸짓이 아닌 상대방과 소품의 접촉으로 새롭게 표현되고 있다. 넷째, 몸의 표현 언어는 내가 아닌 극중 인물 속의 다양한 감정을 통해 새로운 몸짓언어로 만들어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시도와 다양한 변화를 도모하고 있는 공연예술 속 몸의 중요성을 알아보는데 도움 될 것이라 사료되며, 피지컬 씨어터의 몸짓언어를 해석 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goal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body language presented in domestic physical theatre productions on the basis of the four types of the body language classified by Ekman & Friesen. In brief first, the summary language of the body means to show a lengthy situation concisely by means of a brief gesture and offers information to an audience in the form of a digitally expressed gesture. Second, the spoken language of the body is complementary. The spoken language can complement the body language that may not be enough in terms of conveying the story. Third, the touch language of the body is being more broadly interpreted from only body language created by touch to the touch with a counterpart and a prop. Fourth, the expression language of the body is being created as a new body language through various feelings experienced not by me but by my character in a performance. The study is thought to help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body in the preforming arts to seek a new attempt and various changes and suggests a methodological illustration to be able to interpret the body language of the physical theatre.

      • KCI등재

        문법형성단계 2-3세 아동의 세부 몸짓 사용 비율의 변화 - 사상적 몸짓을 중심으로 -

        안소정,방희정,이순행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1

        본 연구는 몸짓 발달의 유형을 세분화하여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몸짓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 세부 몸짓 중 사상적 몸짓 사용이 아동의 언어발달과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3세 아동과 엄마 40쌍을 대상으로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25분간 관찰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몸짓은 지시적 몸짓과 표상적 몸짓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지시적 몸짓은 다시 도구적 몸짓과 가리키기로 세분하였으며, 표상적 몸짓은 관습적 몸짓과 사상적 몸짓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발화는 MLU-M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월령 증가에 따른 몸짓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시적 몸짓의 세부 유형 중 하나인 도구적 몸짓은 월령에 따라 사용 비율이 유의미하게 낮아졌으나, 가리키기는 몸짓 중 가장 높게 사용되었다. 표상적 몸짓의 세부 유형을 살펴본 결과, 관습적 몸짓은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비율이 점차 낮아졌으나, 사상적 몸짓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아동의 언어발달과 사상적 몸짓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언어가 발달할수록 사상적 몸짓 사용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월령을 통제하고 나서 발화능력 자체가 사상적 몸짓 사용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알아본 결과, 언어발달이 단독적으로 사상적 몸짓 사용의 1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몸짓의 세부 분류를 통해 2-3세 아동의 몸짓 사용 변화에 대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사상적 몸짓은 다른 몸짓과 다르게 월령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알아내었다. 또한 월령을 통제하고도 언어발달 정도가 사상적 몸짓 사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월령보다 언어발달 정도가 사상적 몸짓 사용 비율에 더 많은 설명량을 가진다는 결과를 통해 사상적 몸짓과 언어발달의 강력한 관계를 입증해주었다.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change in the ratio of gesture utilization by categorizing children by age regarding 24 to 27 months old children through accurate detailed categorization of ges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strumental gestures and conventional gestures decreased as the age of children increased, and such gestures were used the most frequently among group 1 group. Pointin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regarding age, but it was the most frequent gestures. The utilization of iconic gestures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they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among group 4. Second, the change of the frequency of utilization of iconic gestures according to language development was significant, and language development explains the frequency of iconic gestures better than the sole factor of age. This research significantly explains the change in gesture utilization of children by accurate detailed categorization of gestures and strongly sup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iconic gestures and language development.

      •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몸짓언어가 음성해설(audio description) 텍스트로 번역되는 양상과 전략 분석

        서수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21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학술대회 Vol.2021 No.07

        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시각정보인 몸짓언어를 시각장애인 이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음성해설(audio description: AD) 텍스트 번역 시 나타 난 양상과 번역전략을 살펴보고 AD 교육자료로 사용될 가능성을 알아본다. 청각 정보와 시각정보로 구성된 드라마에서 등장인물의 몸짓언어는 주로 시각정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각장애인 이용자의 이해는 현저히 떨어진다. 본 연구자는 이를 주목하고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몸짓언어를 아가일(Argyle)의 몸짓언어 분 류인 상징(emblems),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s), 감정 몸짓(emotional gestures)을 바탕으로 분류한 후, 젠코스카(Jankowska)와 자브로카(Zabrocka)의 AD 번역전략인 직역, 명시화, 일반화, 생략, 통합전략을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드라마에 나타난 몸짓언어는 ‘오케이 사인’, ‘건배’ 등으로 대표되는 상징이 60%로 가장 많았고, AD 번역전략으로는 ‘엄지와 검지 끝을 둥글게 말아 붙인다’ 등과 같은 직접묘사 인 직역과 두 개 이상의 전략을 사용한 통합전략이 비교적 많이 사용되었다. 음 성(화면)해설 방송의 질적 제고 목소리가 높아지는 현재, 본 연구의 AD 몸짓 언 어 분류와 AD 번역전략은 음성해설사 양성을 위한 교육자료로 충분히 활용가치 가 높아 보인다.

      • KCI등재후보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의미강화 양상 연구

        안인숙 국어문학회 2013 국어문학 Vol.54 No.-

        커뮤니케이션의 발전에 따라 언어적 의사소통과 더불어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대부분 그 활용이나 기능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본고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의미론적 관점에서 화자의 발화 이전의 의사 원형과의 관계 속에서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원형이론을 적용하여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을 오감을 통한 인식의 구간별로 분석하고 차이점도 제시해보았다. 특히 한국어에 발달되어 있는 의태어 속에 함축되어 있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요소를 중심으로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의미확장을 통해 원래 화자가 의도했던 의사원형에 가까워지는 강화원리를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semantic derivation on nonverbal communication. Recent research show that non-verbal communication is very important in communication. But the most of the study is focus in the usage and function of it.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semantic derivation and reinforcement is the main emphasis in non-verbal expression of communication. For this study, prototype theory is applied as a methodology in study. In the field of non-verbal communication, the inner expression of speaker is taken as a prototype, and the non-verbal expression, as a type of semantic derivation. Prototype theory is applied to the body language. Through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semantic element between the verbal communica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the trait of non-verbal communication have been applied to body language system. The more the reinforce of meaning of expression. The more the original prototype of inner expression is cleared.

      • KCI등재

        신체언어와 문화의 상관성

        김인택 우리말학회 2009 우리말연구 Vol.24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공동체에서 실현되는 신체언어와 한 국 문화와의 관련성을 밝히는 데 있다. 신체언어는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 중의 하나로 인간의 신체를 통해서 나 타나는 의사 표시의 한 형식이다. 신체언어의 상위범주인 비언어적 의사 소통 행위는 ‘비구조성, 비분절성과 총체성, 의미단위의 개체성, 상황의 존성, 문화의존성, 시각의존성과 가시성’이라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비 언어적 행위는 대체로 문화의존적인 경향을 지닌다. 신체언어의 특성은 상위범주인 비언어적 행위의 특성에 ‘언어대체성, 언어표현에 대한 보완 성, 함축성’이 더해진다. 신체언어의 종류는 신체언어를 생성하는 신체부 위에 따라 ‘표정, 시선, 몸짓, 자세, 상징’이 있다. 이러한 신체언어들의 문화의존도는 아래와 같이 보일 수 있다.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노래극 활동이 영아의 몸짓 언어와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남윤희,김금주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4 복지상담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노래극 활동이 영아의 몸짓 언어와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W시에 위치한 물리적?인적환경 조건이 유사한 2곳의 어린이집 에 재원중인 만 1세반 4학급의 영아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분류하고, 이중 실험집단을 대상으 로 그림책을 활용한 노래극 활동을 진행하였다. 연구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몸짓 언어와 어휘력에 대 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노래극 활동은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언어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몸짓언어 전체와 지시적 몸짓, 관습적 몸짓, 표상적 몸짓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났으며, 그 하위구인으로는 건네주기, 고개 끄덕이기, 손 흔들기, 쌓기, 숟가락 이용 먹이기, 푸기 등 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노래극 활동은 영아의 어휘력 발달 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언어와 음악의 통합적 접근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노래극 활동은 영아의 몸짓언어와 어휘력 발달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활동으로 영아 를 위한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effects that theater play activities that use nursery rhyme books with images have on the development of gestures and vocabulary in young children. The study subjects were children of age one and a half enrolled in four classes at two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Wonju City, Korea. The two child care centers were similar in terms of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singing theater activities that used nursery rhyme books with images.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tudy effects, a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on the gesture and vocabulary of the children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fter which ANCOVA was conducted using the pre-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as a common variable. The stud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nging theater activities that use nursery rhymes with imag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gesture and language among young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gesture, indicative gesture, habitual gesture and superficial gesture, as well as in the sub-categories of handing over items, nodding, waving, piling objects, feeding and lifting items. Second, singing theater activities using nursery rhymes with imag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among young children. Based on such findings, this paper argues that singing theater activities using nursery rhymes with image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gestures and vocabulary by applying an approach that integrates language and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