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통의료관광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최찬호 동북아관광학회 2011 동북아관광연구 Vol.7 No.3

        서양의료의 한계로 인해 전통의료를 보완대체의료로 인정하려는 제도적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어 전통의료개발이 세계의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여기에 경제성장으로 인한 삶의 질의 변화로 인해 여행이 보편화되면서 전통의료와 여행을 접목시킨 목적형관광이 새로운 유형의 관광유형으로 대두되고 있다. 풍부한 전통의료를 보존 ․ 계승 ․ 발전시키고 있는 국가들은 민 ․ 관차원에서 의료를 관광과 연계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전략수립에 진력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제도적 차원 에서 전통의료를 관광상품화 하려는 노력이 부족하고,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이 낮다. 다행히 최근, 정부는 ‘한의약육성발전계획’ 등을 통해 전통의학의 과학화 ․ 세계화를 달성하려는 노력을 보임으로써 늦게나마 의료관광산업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경쟁국에 비해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활성화 방안이 구체화되어 있지 못하여 신의료시장 개척에 능동적이지 못하다. 그러므로 문헌고찰, 선행연구 등에 의해 작성된 본 연구를 통해 전통의료관광산업을 활성화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는 요소들, 즉 의료관련법의 개정, 그리고 민 ․ 관의 협력체계 구축 등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traditional medicine tourism has a huge effect of economies of scale. The other countries including China, Singapore, Thailand have actively nurtured the traditional medicine tourism into a new growth engine for economic development by creating basic conditions where the each nation's traditional medicine can be marketed with the wave of globalization. The traditional medicine through the efforts of nations attempting to create new market to attract overseas patients has been rapidly changed as a part of prospective fields of trade. However, we have difficulties in entering the global market because of the lack of the public and private concerns on health tourism. So,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system must be reformed to attract health tourists from abroad.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es to provide the alternatives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rough basic understanding of health tourism.

      • KCI등재

        일제강점기 사범학교제도의 식민지적 성격

        안홍선(Ahn, Hongseon) 교육사학회 2017 교육사학연구 Vol.27 No.1

        한국의 교육사 이해에서 식민지시기 사범학교제도는 우수한 학생 선발, 목적형 교육과정 운영, 안정적인 교원 공급 등의 측면에서 목적형 양성체제의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평가가 역사적 사실에 기초한 것인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범학교제도가 성공적으로 기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식민지적 상황이라는 매우 특수한 조건에 있었다. 먼저, 우수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었던 것은 중등교육 기회 제약 및 고학력 지위의 일본인 독점에 따른 반사적 효과였다. 그리고 목적형 교육과정 운영에서도 당시 사범학교는 중등교육 단계에 있었기 때문에 전면적인 시행이 어려웠다. 더구나 양성기간이 길었던 사범학교제도는 안정적인 교원 공급에 매우 불리한 제도였다. 급증하는 교원 수요에 대처하지 못하였고, 부족한 교원은 단기 양성과정이나 일본으로부터의 유입에 의존해야 했다. 이처럼 취약한 사범학교제도가 식민지시기에 목적형 양성체제로서 운영되었던 이유는 다른 데 있었다. 일본에서보다 강화된 폐쇄형 제도를 통해 일반 보통교육을 통해서는 채울 수 없는 교사의 품성 계발을 목적에 둔 것이었다. 교원이 되려는 자를 어린 나이에 조기 선발하여, 장기간의 ‘훈육’을 통해, 국가주의적 교육관을 체득하고 천황주의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식민지적 교원양성제도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assess the prevailing thought that the Normal School System in Korea under Japanese Imperialism (1910-1945) was a model of closed teacher training system. It is often said that the Normal Schools succeeded in recruiting excellent students, producing qualified teachers and developing teaching profession through long-term educational curriculum. However, the success of the Normal Schools was due to the oppressed colonial circumstances, not the closed teacher training system itself. So, when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came to an end, the strong point of the Normal Schools was supposed to be weak. As of now, we can witness that normal school system as a closed teacher training system in Korea was transformed into obstacle to producing creative teachers.

      • KCI등재

        NFC 기반 사용자 중심의 모듈형 심박측정 의류 시스템 개발

        조하경,조상우,조광연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odular smart clothing system for heart rate monitoring that reduces the inconvenience caused by battery charging and the large size of measurement devices. The heart rate monitoring system was modularized into a temporary device and a continuous device to enable heart rate monitoring depending on the requirement. The temporary device with near-field communication (NFC) and heart rate sensors was developed as a clothing attachment type that enables heart rate monitoring via smart phone tagging when required. The continuous device is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and batteries and was developed to enable continuous heart rate measurement via a direct connection to the temporary device. Furthermore, the temporary device was configured to connect with a textile electrode made of a silver-based knitted fabric designed to be located below the pectoralis major muscle for heart rate measurement. Considering the user-experience factors, key functions, and the ease of use, we developed an application to automatically log through smart phone tagging to improve usability.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heart rate measurement, we recorded the heart rate of 10 healthy male subjects with a modular smart clothing system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heart rate values measured by the Polar RS800. Consequently, the average heart rate value measured by the temporary system was 85.37, while that measured by the reference device was 87.03, corresponding to an accuracy of 96.73%.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device (T value = -1.892, p = .091). Similarly, the average heart rate measured by the continuous system was 86.00, while that measured by the reference device was 86.97, corresponding to an accuracy of 97.16%.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the heart rate value between the two signals (T value = 1.089, p = .304).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modular clothing system that can measure heart rat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user. The developed modular smart clothing system for heart rate monitoring enables dual product planning by reducing the price increase due to unnecessary func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심박 측정용 기기 및 의류에 있어 배터리 충전 및 기기의 부피감으로 인한 불편함을 개선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목적에 따른 심박 측정을 가능케 하는 심박 측정용 스마트 의류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심박 측정 기기는 2가지 타입으로 모듈화되어 개발되었으며, 탈부착을 통해 목적형 및 지속적 심박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목적형 심박측정 기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심박 센서를 내장하고 필요시에 스마트 폰 태깅을 통해 심박 측정이 가능하게 하는 의류에 부착된 타입으로 개발되었으며, 지속형 심박 측정 기기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및 배터리를 내장하여 목적형 기기와 결합을 통해 통신 및 전원을 지원, 지속적으로 심박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심박 측정을 위한 섬유 전극은 은사 기반의 편물 전극으로, 심박 측정에 용이하도록 대흉근 아래에 위치하도록 디자인되었으며, 목적형 심박측정 기기가 전극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었다. 연동 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경험요소, 주요기능 및 사용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며, 사용성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 폰 태깅을 통해 자동 동기화가 되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심박측정 스마트 의류 시스템의 심박측정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10명의 20대 남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2단계의 실험을 설계하고 진행하였으며, POLAR RS800을 통해 측정되는 신호를 기준 심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적형 스마트 의류 시스템의 평균 심박수는 85.37, 기준 기기 심박수는 87.03으로 96.73%의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T 값 –1.892 (p=.091)로 두 신호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속형 스마트 의류 시스템의 평균 심박수는 86.00, 기준 기기 심박수 는 86.97로 97.16%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T 값 –1.089(p=0.304)로 두 시스템 간의 측정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심박측정이 가능한 모듈형 스마트 의류 시스템을 개발하고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모듈화 된 심박측정 의류 시스템 개발로 불필요한 기능으로 인한 가격 상승을 줄임으로써 이원화된 상품 기획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공공서비스 목적형 R&D 기획과 성과확산을 위한 지원정책의 방향

        서지영,고명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STEPI Insight Vol.- No.129

        국민의 생애전주기적 보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건강, 안전, 환경 등에 관한 공공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형평성과 효율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재정지속성과 사회적 지속성 확보 방안 모색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보고서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이 국민의 복지향상과 경제적 성과창출로 확대되는 가운데, 과학기술정책의 이슈가 상당 부분 공공서비스 정책의 이슈와 공통된 지향점을 가지지만 과학기술연구개발 성과의 실용화는 부진한 상황이며, 연구개발사업이 문제의 실질적 해결보다는 경제적 또는 학문적 성과도출(기술/논문/특허)에 집중하고 있어 공공서비스의 수요와 특성을 고려한 연구개발 기획과 성과확산 방식의 모색이 요구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공공서비스 목적형 R&D 정책은 철처히 실질적 서비스 효과의 증진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기획단계에서 사용자의 참여를 고려한 기획 체계 수립이 필요하고, 연구개발단계에서는 수요의 관점에서 연구개발 성과 평가 및 검증이 필요하다. 더불어 성과확산의 단계에서는 단순한 기술이전이 아니라, 공공서비스 현장에서의 사용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술평가 및 기업의 혁신능력향상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본 보고서는 공공서비스 목적형 R&D 기획 및 성과확산 지원정책이 공공서비스의 복지적 가치-과학기술적 가치-산업적 가치가 공유되는 정책 인터페이스 창출, 서비스의 효과 검증 및 새로운 건강 위험 요인에 대응하는 연구개발투자 강화, 공공서비스 분야 산업육성을 통한 공공서비스와 과학기술 연계가 가능한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고 밝히며, 다음과 같은 7가지의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과제 1] 공공서비스 기술의 성과확산을 위한 TLO 육성[과제 2] 공공서비스 수요-공공서비스 공급을 연계하는 전문연구센터 설립[과제 3] 공공조달시스템 개선을 통한 시장확대[과제 4] 대학생 및 젊은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는 공공서비스 기술/제품 개발 지원[과제 5] 공공서비스 기술개발의 사회적 가치 평가를 위한 기반연구 강화[과제 6] 국민의견 조사결과를 R&D 기획에 연결시켜줄 수 있는 의제발굴프로세스 수립[과제 7] 과학기술의 사회적 수용도 제고를 위한 인문사회-자연공학 융합연구 지원

      • KCI등재

        멀티-메가 건설프로젝트의 목적형 건설관리모델 제안

        이종국(JongKook Lee),김효은(HyoEun Kim),이수은(SuEun Lee),유용수(YongSoo Yu)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시설공사 프로젝트와 같이 국가적이고 대규모적인 멀티-메가 건설사업이 성공을 위하여 여러 분산된 장소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될 때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건설사업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먼저 올림픽에 대하여 고찰하고, 올림픽 유산의 중요성과 그 활용의 성공 및 실패사례를 고찰한다. 특히, 올림픽 유산 중에서도 경기장 및 부속시설의 건립은 막대한 국가재정과 지자체의 자원이 투입되며, 올림픽 사후에 그 운영이 항상 문제가 되어 왔으므로 이에 대한 사례를 발판으로 삼아 이를 건설사업 사전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도록 한다. 이를 바탕으로 건설관리기술인 PM, FM, SM기술의 융합 모델을 제시한다. 즉, 각각의 관리기술을 금고의 다이얼적으로 조합하고 이를 각 건설사업에 적용하여 핵심적인 이슈인 주제를 선정 후 집중관리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이는 통하여 복잡한 관리의 대상과 항목 들을 효율화시키고 단순화하여 멀티-메가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운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목적형 건설사업관리 모델이라 명명하며, 평창 동계올림픽의 사례로 그 활용가능성을 제시한다. In this study, we suggest a kind of new paradigm and model in construction management technology about the national multi-mega projects which was constructed in nationwide and simultaneously such as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venue construction projects. We have reviewed on the Olympic games and system on the point of view of the importance of Olympic legacy in maintenance after that. And there has been tremendous exhaustion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resources onto the Olympic venue construction projects. Therefore we should preconsider about the post-maintenance strategy on those projects. That is, we converge the three main management technology, project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and subject-oriented management into the orienting construction management (OCM) model just as a safe dialing. Then, we adopted the case of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venue construction project on the OCM model which is shaped like circulating safe dial to check the adaptability of the newly suggesting model in this study. It is some kind of blended technology in construction management, which could be a kind of efficient and simplifying method on the multi-mega project management area to give a chance of the successful construction project.

      • 데이터 중심 사회를 위한 목적형 데이터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활용 전략

        이정훈(Jeonghoon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현대 사회 발전의 기본 원동력인 과학기술은 데이터의 증가와 처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과학기술 연구의 패러다임이 데이터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환은 사회, 경제 및 과학 분야에서 새로운 발전의 가능성과 함께 사회 인프라로서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정책적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특히 과학자들 사이의 연구결과나 실험과정의 공유를 바탕으로 새로운 과학발전을 모색하는 과학기술계의 협력 프로젝트로 시작한 오픈사이언스는 글로벌 문제 해결 및 지속적인 사회 경제 발전을 위한 혁신의 도구로 인식되어 국가 정책으로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현재 오픈데이터를 중심으로 오픈사이언스 정책의 1차 결과가 주요국가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European Open Science Cloud와 African Open Science Platform과 같이 국제적인 정책으로도 추진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된 데이터 활용 전략이 국제협력기구(CODATA, RDA 등)를 통해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기존의 국내외 오픈데이터 정책에 대한 분석한다. 국내의 데이터 개방 정책은 공공데이터와 연구데이터로 나뉘어 있다. 연구산출물 관점에서 연구정보의 확장개념으로 추진되는 연구데이터 개방 정책과 이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데이터의 생산과 활용에 참여하는 여러 주체들의 다양한 이해관계와 상황이 발생하는 데이터 중심 사회를 위해, 기존의 개방 중심의 데이터 정책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 목적 중심의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활용 전략을 제시한다. 또한, 데이터의 수집, 관리 그리고 공개 중심의 정책을 개선한 신 FAIR 전략과 현재 CODATA 국제 데이터 정책 위원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활용 전략을 통해 데이터 활용 생태계 구축 방향을 제안한다. Digital revolu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has brought fundamental changes in economic and social behavior. The data-intensive exploration in every aspect of modern society indicates the potential for new opportunities and raises new issues for related policies. It is openness that the progress of modern science has been based on. It has permitted the logic connecting evidence and the claims derived from it to be scrutinized, and the replic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observations or experiments to be tested supporting or invalidating those claims. This self-correction principal with the peer review of results is the foundation of scientific development. Open data is a vital priority if the integrity and credibility of science are to be maintained. This paper is related to open data in Korea started in the early 2010s as many countries that have been carrying forward activities of open science, and it began with public administration data to draw up the policies and acts for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share them. Then, OECD Daejeon Declaration, which invited to the improvement and implementation of policies for open science, triggered to take an action in a national level and to consider research data (Daejeon 2015). We explored the different approaches to open between the public administration data and the research data. Though the barrier between them may not be clear, separate laws and policies are applied on and the supervising bureaus of the government have presented distinct objects respectively in 2019. In spite of many virtues of openness, however, it is not easy to make policy makers convinced to take an action practically. There are also some issues raised that the data sharing might not be indispensable value of openness even in publicly funded research. Many actors of local and national innovation systems in private and public sectors are involved in data ecosystem. So main purpose of policies is to cultivate it across the board effectively.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issues, practical strategies and approaches for it.

      • KCI등재

        마르틴 부버의 "만남"의 철학에 기반한 장애이해교육의 재구성

        신현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2

        To mak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effective not only in schools but also in the whole society in Korea, we need to reorganize it based on fundamental understandings of human being itself that persons with/without disabilities can share with rather than hitherto conducted attempts to make the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understoo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Traditional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s have relied on the rather sensitive methodology letting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experience specific inconveniences. This kind of education used to induce just ``giving help``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or ``being a friend of them`` and can be depicted as rather artificial and one-sided. Sometimes, these attempts can bring some temporary positive outcomes, but in many times, give salience to a disability itself and result in negative effects such as bullying, school violence, exploiting, etc. between students with/ without disabilities. In this research, the author tried to present reorganization strategies based on Martin Buber``s `Encounter`` philosophy that emphasiz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tself beyond ``disabilities`` or ``abilities. ``Because Martin Buber``s `Encounter`` philosophy stresses genuine dialogue for recovery of relationship among people, th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can be explained as Buber`s’I-It``, so called relationship as a method, and as an alternative, We can present alternativ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s emphasizing ``I-Thou``, so called relationship as an objective which can be expressed as ``we``re people first.`` The author, therefore, gave some relevant literature and explained them for suggesting the need for reorganiz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우리나라의 장애이해교육이 학교현장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실효성 있는 방법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지금처럼 비장애인들에게 장애인의 특정한 장애특성을 이해시키려는 시도보다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공유할 수 있는 사람 자체에 대한 근본적이며 공감적인 이해교육으로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종래의 장애이해교육 방법론은 비장애인들에게는 이질적인 장애인의 장애특성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해보도록 하는 다소 감성기반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저들의 불편함에 대한 이해를 통한 도움주기나 친구 되기 등과 같은 다소 인위적이고 일방적인 성격이 컸다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도는 일시적인 장애이해교육의 효과를 가져 올 수는 있을지라도 종국에는 저들의 이질적인 장애특성을 부각시킴으로써 오히려 학교 및 사회에서 빈발하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간의 이질감 증폭, 왕따, 학교폭력, 일방적 심부름꾼 역할의 강요와 같은 현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이해교육의 근간은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인간에 관한 근본적인 이해에 터하여야 한다는 가정 아래 마르틴 부버의 ``만남(encounter)``의 철학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장애이해교육의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버의 만남의 철학은 곧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회복은 진정한 대화(genuine dialogue)에 있음을 강조하기에 장애이해교육에서의 차별성 부각을 통한 연민적 장애 이해교육을 부버의 수단형 관계(``I-It``)로 설명할 수 있었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람 중심(we``re people first)의 목적형 관계(``I-Thou``)로의 장애이해교육이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었기에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관련 문헌의 사례를 연관 지어 설명함으로써 통하여 장애이해교육의 재구성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일본의 교원양성 개혁 정책 분석

        안홍선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일본의 교원양성제도에 관한 역사적 논쟁에서 형성된 교원양성의 이념 및 원칙 을 재검토하며, 2000년대 들어서 추진되고 있는 개혁 정책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학에서의 교원양성’과 ‘개방제의 교원양성’이라는 교원양성제도의 대 원칙이 형성되는 역사적 과정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최근 일본의 교원양성 개혁이 추진되 는 배경으로서, 국립대학 법인화와 대학 구조개혁이라는 조건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본 교원양성 개혁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교직대학원제도 및 교원면허갱신제도 도 입이 갖는 의미에 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일본의 교원양성 제도 개혁이 갖는 특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일본에서는 교원양성 개혁을 지지 하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 모두 정당성의 근거를 ‘개방제의 교원양성’을 핵심으로 하는 ‘대 학에서의 교원양성’ 원칙에서 찾고 있는 점에서 공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원양성제도 의 원칙은 보다 근본적인 이념으로서 ‘국가로부터의 자유’가 전제되어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달리하고 있었다. 최근 일본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원양성 개혁은 학문의 자유 및 대학 자치의 가치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가운데 진행되는 대학 구조조정으로서의 성 격이 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formation of teacher education in Japan since the 2000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history of teacher eduction in the post World War II, and explores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teacher education reform in recent years. To summarize the results, in Japanese society, there is a broad consensus on the principles of ‘teacher training at university’ and ‘teacher training under open system’ which were formed through historical debates in the post World War II. Secondly, when analyzing the policies of teacher education, the conditions of the reformation was strongly affected by university restructuring which was promoted by the government from the logic of Neoliberal prospects. Thirdly, the proposed reform is to introduce a qualifying system that periodically renews teaching licenses that have been permanently guaranteed and establish a graduate school system for teaching which is a new training institute aiming to nurture new teachers to have practical leadership and abilities required in the 21st century school environment. In Japan, it is very interesting that as for the oversupply of the teachers, the side approving the reform understands that the quality of the teacher is lowered, and the side opposed to the reform understands higher quality of the teacher. In fac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licies of reform are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oversupply of teachers, which is normal and is inevitably result of principle of ‘teacher training under open system’. Also, both the claims to support teacher education reform and those that oppose it are common in that they pretend to be based on the principles of ‘teacher training at university’ and ‘teacher training under open system’. However, it is relatively less interested in the fact that these two principles presuppose ‘freedom from the state’ as a more fundamental education philosophy. In other words, the recent reformation of teacher education in Japan has been characterized by the government-led structural restructuring of universities, seriously undermining academic freedom and the value of university autonomy.

      • KCI등재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의 플레이 메카닉 유형 연구

        정재은,남양희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6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은 컴퓨터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사람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해결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게임이다.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에 관한 기존 연구는 주로 문제 해결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 혹은 개별 사례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게임이라는 매체는 사 용자들의 플레이로 완성되므로 많은 사람들이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을 자발적으로 플레이하도록 하 는 게임으로서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1개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 의 목적, 태스크, 게임 메카닉을 분석했다. 그리고 어떻게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을 보다 재미있는 게임으로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해 게임 메카닉에 초점을 두고 제안했다. A Human Computation Game(HCG) is designed to solve difficult problems that cannot be dealt with computers with a large number of individuals' voluntary participations. Most existing relative studies focus on building more efficient system for problem solving, or the individual cases on the development of certain HCGs. However, a game is fully completed by the players who play it.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annalize the ludic elements of HCGs, which induce people to play them voluntarily. We studied the purposes, tasks, and the game mechanics of 31 HCGs, then suggested how to design more enjoyable HCGs.

      • KCI등재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의 플레이 메카닉 유형 연구

        정재은,남양희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6

        A Human Computation Game(HCG) is designed to solve difficult problems that cannot be dealt with computers with a large number of individuals' voluntary participations. Most existing relative studies focus on building more efficient system for problem solving, or the individual cases on the development of certain HCGs. However, a game is fully completed by the players who play it.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annalize the ludic elements of HCGs, which induce people to play them voluntarily. We studied the purposes, tasks, and the game mechanics of 31 HCGs, then suggested how to design more enjoyable HCGs. )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은 컴퓨터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사람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게임이다.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에 관한 기존 연구는 주로 문제 해결을 위한보다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 혹은 개별 사례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게임이라는 매체는 사용자들의 플레이로 완성되므로 많은 사람들이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을 자발적으로 플레이하도록 하는 게임으로서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1개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의 목적, 태스크, 게임 메카닉을 분석했다. 그리고 어떻게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을 보다 재미있는게임으로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해 게임 메카닉에 초점을 두고 제안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