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멜로드라마 속의 사로잡힌 정동(Captive Affects), 탄력적 고통(Elastic Sufferings), 대리적 대상(Vicarious Objects) —어구스틴 잘조사의 멜로드라마 재고

        안민화 대중서사학회 2019 대중서사연구 Vol.25 No.1

        This paper argues how the concept of melodrama can be articulated with the Affect Theory and Posthumanism in relation to animal or environment representation which have emerged as the new topics of the recent era. The argument will be made through the discussion of Agustin Zarzosa’s book, Refiguring Melodrama in Film and Television: Captitve Affects, Elastic Sufferings, Vicarious Objects. Using a genealogical approach, the book revisits the notion of mode, affect, suffering (hysteria), and excess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 the existing studies of melodrama. In chapter one, he broadens the concept of melodrama as a mode into the means of redistribution of suffering across the whole society in the mechanism of the duo of evil and virtue. It is the opposition of Brooks’s argument in which melodrama functions as the means of proving the distinction between evil and virtue. Chapter two focuses on the fact that melodrama is an elastic system of specification rather than a system of signification, with the perspective of Deleuzian metaphysics. Through the analysis of Home from the Hill (Vincente Minnelli, 1959), this chapter pays attention to an ‘affect’ generated by the encounters between the bodies and the Mise-en-Scène as a flow not of a meaning but of an affect. Chapter three argues that melodrama should reveal an unloved (woman’s) suffering, opposing the discussion on the role of melodrama as the recovery of moral order. Safe (Todd Haynes, 1995), dealing with female suffering caused by the industrial and social environment, elaborates on the arguments on melodrama in relation to female hysteria with ecocritical standpoints. The rest of the two chapters discusses the role of melodrama for the limitation and extension of the notion of the human through ‘animal’ and ‘posthuman’ melodrama. It argues that the concept of melodrama as ‘excess’ and ‘sacrifice’ blurs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inhuman. In summary, although the author Zarzosa partly agrees with Peter Brook’s notion of mode, affect and sufferings,he elaborates the concept of melodrama, by articulating philosophical arguments such as Deleuzianism, feminism, and posthumanism (Akira Lippit and Carry Wolf) with the melodrama. Thefore, Zarzosa challenges the concepts of melodrama led by Brooks, which had been canonical in the field. 본고는 어구스틴 잘조사(Agustin Zarosa)의 2013년 저작, <영화와 텔레비전 멜로드라마 재고하기: 사로잡힌 정동, 탄력적 고통, 대리적 대상>(Refiguring Melodrama in Film and Television: Captive Affects, Elastic Sufferings, Vicarious Objects)을 통해, 기존의 멜로드라마의 핵심 개념들로 다루어져 왔던 모드, 정동, 고통(히스테리아), 과잉에 대한 논의들을 계보학적으로 다시 논의하며, 동시대 새로운 화두로 떠오른, 정동이론과 환경, 동물등과 포스트 휴머니즘 담론이 어떻게 멜로드라마 개념에 접목될 수 있는 지 논한다. 1장에서는, 모드를, 선과 악이 한 쌍이 되는 매커니즘 안에서, 사회 전체를 가로지르는 고통의 시각성을 재분배하는 장치로서의 멜로드라마의 개념으로 넓히며, 선과 악의 구별을 증명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고통을 드러내는 멜로드라마의 모드에 대한 브룩스의 논의를 반박한다. 2장은 들뢰즈식 형이상학의 관점으로부터 멜로드라마가 의미의 체계라기보다는 ‘특정화’(sepcification)의 탄력적 시스템임을 논한다. <언덕위의 집>(빈센트 미넬리)의 분석을 통해, 신체들간의 조우를 통해 생성된 정동과 –의미가 아닌-정동이 흐르는 장소로써의 미장센에 주목한다. 3장은 브룩스의 붕괴된 도덕적 질서를 회복시키는 멜로드라마의 역할에 대한 논의에 반대하며, 멜로드라마는 미해결로 남아 있는 (여성) 고통에 대한 인지 혹은 시각화를 위해 존재한다고 강조한다. <세이프>(토드 헤인즈)는 환경으로 인한 여성 고통을 다루면서 기존의 여성 히스테리와 멜로드라마라는 논의에 생태비평주의적 관점을 더한다. 나머지 두 챕터들은 동물과 포스트휴먼 멜로드라마를 논의함으로써, 인간의 명제를 제한하고 확장하는 데 있어서의 멜로드라마의 역할을 연구한다. 희생과 과잉이라는 멜로드라마의 명제가 어떻게 –인간중심적인-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흐리게 하는 지 분석한다. 잘조사는 피터 브룩스의 논의에서 도출된 모드, 정동, 고통의 개념들을 일부분 받아들이면서도, 각각 들뢰즈주의, 페미니즘, 포스트휴머니즘(캐리 울프, 아키라 리핏)의 논의들을 부가하며, 브룩스의 정전화된 멜로드라마의 개념에 도전하고 있다.

      • KCI등재

        포스트IMF 한국 남성멜로드라마의 장르분석

        곽한주(Kwak, Han Ju)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0 씨네포럼 Vol.0 No.37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후반에 이르는 포스트IMF기 한국영화에는 남성 캐릭터가 주도하는 멜로드라마 영화들이 강력하게 부상했다. 〈해피엔드〉(1999)에서부터 〈봄날은 간다〉(2001), 〈너는 내 운명〉 (2005), 〈우아한 세계〉(2007)에 이르기까지 이들 영화는 기존 멜로드라마와는 구별되는 주인공 유형과 서사적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남성멜로드라마’라는 독자적인 하위장르로 묶을 수 있다. 남성멜로 영화는 실직자에서 조폭에 이르는 다양한 직업의 남성들이 등장하지만, 이들 주인공이 모두 위기에 처한 남성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주인공들은 남성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아내나 연인으로부터 외면당한다. 또는 자신을 인정해주고 사랑해줄 여성이 부재하거나 곧 죽음을 앞두고 있다. 이런 곤경에서 남성 주인공은 가족 해체를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거나 로맨스의 파탄에 혼란스러워한다. 심지어 주인공이 위기에 처한 가족을 살리려 조폭세계에 투신했다가 목숨까지 잃는 경우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한 남성 주인공은 끝내 고통과 희생의 보상을 받지 못한다. 피터 브룩스가 멜로드라마의 특징으로 제시한 ‘도덕적 비의’가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이렇듯 남성멜로는 한국영화사에서 전례 없이 가족이나 로맨스와 같은 친밀성 영역에 포커스를 들이대면서 보상받지 못하는 남성들의 고통과 희생을 서사화한다. 이 시기 남성멜로드라마는 남성 역할의 실패가 발생하는 영역, 즉 위기의 영역이 어디인가에 따라 세 부류로 세분할 수 있다. 가족 남성멜로에서는 가장이 가족 해체의 위기를 맞아 고통당하며, 로맨스 남성멜로의 남성 주인공은 행복의 원천인 로맨스가 좌초해 고민한다. 조폭멜로에서는 남성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조폭이 된 주인공이 조폭의 반사회적 일탈성 때문에 위기에 처한다. 남성멜로에서 위기에 처한 남성이 절실하게 노력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향유(화목한 가정, 로맨스)를 결국 얻지 못한다. 이처럼 포스트IMF 남성멜로는 행복과 사랑의 영역일 것으로 기대되는 친밀성 영역이 오히려 남성에게는 고통과 희생을 요구하는 영역이라는 서사를 당대의 현실을 배경으로 그려 보인다. 화목한 가정, 행복한 로맨스는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판타지라고 속삭이는 것이다. 이런 비관적 비전은 근대성의 레짐에서 가부장적 남성권력이 갈수록 약화하고 남성에게도 정서적 친밀감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구조적 변동이 진행돼온 것을 배경으로 한다. 이에 더해 1997년 IMF위기의 내습으로 한국 가장/남성들의 위기감이 획기적으로 증폭한 것이 포스트 IMF기 남성멜로의 부상을 추동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포스트IMF 한국 남성멜로 영화들은 가식 없이 그들의 구체적 현실과 내면을 조명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비록 남성의 관점에 치우쳐 있기는 하지만, 포스트IMF 남성멜로 장르는 우리 사회 남성들의 구체적인 상처와 현실적인 불안을 드러낸 심리사회적 텍스트이다. 또 사회역사적 위기를 젠더화 해서 응축적으로 표출했다는 점에서 젠더 정치학의 흥미로운 텍스트이기도 하다. In the post-IMF Korean cinema from the late 1990s to the late 2000s, melodrama films led by male characters emerged potently. From Happy End (Jung Ji-woo, 1999) to One Fine Spring Day (Hur Jin-ho, 2001), You Are My Sunshine (Park Jin-pyo, 2005), and The Show Must Go On (Han Jae-rim, 2007), these films have in common a unique type of protagonist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that are distinct from traditional melodramas. Can be grouped into a subgenre, male melodrama. Male melodrama films feature men of various occupations, from unemployed to gangsters, but they are common in that these protagonists are all men in crisis. The protagonists are turned away from their wives or lovers for failing to fulfill their male roles ‘adequately.’ Or, there is no woman who will acknowledge and love them, or is about to die. In such a predicament, the male protagonist struggles to prevent the family breakup or is confused by the failure of romance. There are even cases where the protagonist enters gangster world to save his family in crisis and consequently loses his life. Nevertheless, the virtuous male protagonist is not rewarded for his suffering and sacrifice in the end. The “moral occult” proposed by Peter Brooks as a feature of the melodrama does not work. As such, the male melodrama narrates the pain and sacrifice of uncompensated men by focusing on the spaces of intimacy such as family and romance, unprecedented in Korean film history. Male melodramas during this period can be sub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ing on where the male role fails, that is, the area of crisis. In the family male melodrama, the father suffers from the crisis of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and the male protagonist of the romance male melodrama suffers from a breakup of romance. In the gangster melodrama, the protagonist, who has become a gangster in order to play the masculine role, is in crisis because of his gangster identity as the antisocial deviancy. The protagonist in crisis in the male melodrama desperately tries, but nevertheless, he does not get the desired enjoyment (harmonious family, happy romance) in the end. In this way, post-IMF male melodramas unfold the narrative that the realm of intimacy, which is expected to be the locus of happiness and love, is the space that demands suffering and sacrifice for men,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ontemporary reality. A harmonious family and a happy romance are whispered as an impossible fantasy in reality. This pessimistic vis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in the regime of modernity, patriarchal male power has gradually weakened and structural changes have progressed in the direction of demanding emotional intimacy from men. In addition, the overwhelming invasion of the IMF crisis in 1997 drastically amplified the sense of crisis among Korean males, which it can be presumed have promoted the surge of the post-IMF male melodrama. Post-IMF Korean male melodrama films are characterized by illuminating their concrete reality and inner self without pretense. Although it is biased toward the male point of view, the post-IMF male melodrama genre is a psychosocial text that reveals the specific scars and real anxieties of men in our society. It is also an interesting text in gender politics in that it densely expressed the socio-historical crisis through gendered representation.

      • KCI등재

        〈겨울연가〉(2003)를 통해 본 멜로드라마의 장르론

        이인표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아시아문화연구 Vol.62 No.-

        이 논문은 우선 〈겨울연가〉론을 표방한다. 하지만 이 논문은 〈겨울연가〉의 양식적 특성을 멜로드라마론에 기반을 두고 심층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고전 멜로드라마론을 재탐색하고 한국 멜로드라마에 관한 장르론적 감각을 심화할 것이다. “〈겨울연가〉를 통해 본 멜로드라마의 장르론”이라는 논문 제목의 함축적인 의미는 여기에 있다. 〈겨울연가〉는 콘텐츠적 자질로나 텍스트적 자질로나 아시아 전역에 가장 널리 알려진 한국 멜로드라마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콘텐츠 연구나 텍스트 연구의 양면에서 멜로드라마론을 기반으로는 이 드라마가 거의 분석되지 못했다. 이 논문은 무고한 희생자의 파토스, 과잉된 상징구조, 도덕적 비의를 내포하는 멜로드라마의 특성들을 이 한국 멜로드라마에 적용할 것이다. 이를 통해 결국 멜로드라마의 장르론을 갱신하는 차원에서 한국의 멜로드라마론와 고전적인 멜로드라마론이 상보적으로 고양되게 할 것이다. 이 논문이 〈겨울연가〉를 통해 특별히 멜로드라마를 통찰하는 점은 다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무고한 희생자 서사의 플롯이 멜로드라마적인 미덕의 테마를 구현하는 방식을 탐색하는 점이다. 둘째는 이 미덕의 테마가 스토리의 상징구조를 통해 한층 부각되는 방식을 탐색하는 점이다. 셋째는 이런 멜로드라마 테마의 보편적인, 도덕적 비의가 내포하는 멜로드라마적 세계관을 통찰해보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멜로드라마 양식 연구가 양식이 재현하는 세계 자체에 관한 장르론적 사유로 확장될 수 있음을 통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can be regarded as the theory on Winter Sonata. However, this thesis will analyze in depth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Winter Sonata based on the theory of melodrama. Through this, we will re-examine the classical theory on melodrama and deepen the sense of genre theory on Korean melodrama. The implicit meaning of the thesis title “A Genre Theory on the Melodrama of Winter Sonata” lies here. Winter Sonata can be seen as the most widely known Korean melodrama all over Asia. However, this drama was rarely analyzed based on melodrama theory in both aspects of cultural contents research and literary text research. This paper will app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lodramas, which include the pathos of innocent victims, excessive symbolic structure, and moral mysteries, to this Korean melodrama. Through this, Korean melodrama theory and classical melodrama theory will be complementarily elevated especially in terms of renewing the genre theory of melodrama. This thesis will give you the following three insights into melodrama by analyzing Winter Sonata. The first is to explore the way the plot of the narrative of the innocent victim embodies the theme of melodramatic virtue. The second is to explore how this theme of virtue is further highlighted through the symbolic structure of the story. The third is to contemplate the melodramatic world view implied by the universal moral mystery of this melodramatic theme.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gain insight into the fact that the study on melodramatic styles can be extended to the genre theory on the world itself embodied by the style.

      • KCI등재

        멜로드라마의 관습적 장르 규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다운 ( Da Woon L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5

        멜로드라마에서는 장르개념이 작품의 정체성을 명시하지 못하는 분열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다. 대중의 기호를 의식하여 스펙터클한 장면들로 무대를 채우고자 한 멜로드라마는 처음부터 탈장르를 지향한 복합적 형태의 극예술이었다. 다양한 극양식은 물론이며 비극적인 것과 희극적인 것, 일상적인 것과 환상적인 것, 귀족적인 것과 통속적인 것을 의도적으로(혹은 무의식적으로) 결합하면서 출발한 멜로드라마는 독립적인 하나의 장르가 아니라 장르들의 혼합체임을 자처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멜로드라마는 시간이 지날수록 내용과 형식 심지어 명칭까지도 초창기의 그것과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변질되었다. 이는 생득적으로 혼성성을 지향한 멜로드라마가 지속적으로 다른 장르들을 받아들였음은 물론이고 멜로드라마 역시 다양한 영역에서 빈번하게 호명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멜로드라마는 몇 가지 단일한 특성으로는 포획할 수 없는 실로 광활한 개념이 되었으며 고정된 일련의 특성으로 멜로드라마의 의미와 경계를 한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이 포섭할 수 있는 작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역시 불가능해졌다. 혼성의 주체 혹은 객체로 오랜 시간 탈장르화를 지향해 온 멜로드라마로부터 견고하고 한정된 장르규약을 찾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는 그것을 장르로 규정하려는 과욕이 만들어 낸 환상에 불과하다. 뛰어난 적응력과 넘치는 사교성으로 본연의 위치를 지키기보다 다른 장르들과 공존하는 길을 택한 멜로드라마는 구속성을 보유한 하나의 장르가 아니라 서사성을 지닌 어느 곳에나 존재할 수 있는 특정한 요소, 양식, 개념 등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제는 멜로드라마라는 용어를 화석화하지 않으면서도 유연하게 의미를 부여하고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만 한다. Melodrama, which begin with the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combination of various styles of dramas including tragic and comic, common and fantastic, and noble and popular styles, is not an independent genre but profess themselves to be a blend of different genres. Melodrama that have expanded their domain from the stage to films and TV dramas are evolving to styles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early period. It is because melodrama innately pursuing hybridity have accepted other genres continuously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been called frequently in various areas. After all, melodrama became quite a vast concept that cannot be explained with a number of fragmentary characteristics, and it has also become impossible to delimit the scope of works representing the whole genre. Accordingly, the expectation to find definite genre patterns from melodrama, which have long pursued post-genre as the subject or object of hybridity, is merely an illusion out of an attempt to define them as a genre by force. Now we should find a way to give meanings to and inquire into melodrama flexibly without petrifying the term ``melodrama.``

      • KCI등재

        페미니즘 리부트 시대의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비밀은 없다』를 중심으로

        이문우 ( Moonwoo L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비밀은 없다』는 비록 많은 관객을 극장에서 만나지 못한 채 2차 서비스 시장으로 넘어갔지만 동시에 특정 대중과 평론가의 큰 관심을 받으며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본 연구는 『비밀은 없다』에 대한 이와 같은 관심이 2015년 이후에 부각된 페미니즘 리부트라는 시대현상과 맞닿아 있음에 주목하며, 『비밀은 없다』에 나타난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에 주목해 이를 시리얼 퀸 멜로드라마의 변주로서 읽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때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이란 피터 브룩스를 통해 등장한 개념으로, 특정 시대 대중의 감정구조와 윤리적 상상력을 반영하는 양식으로서 멜로드라마를 강조한다. 브룩스를 통해 촉발된 멜로드라마에 대한 재조명은 멜로드라마를 양식으로 바라보는 논의를 촉발했고, 그 중에서도 본고는 영웅적 여성을 그려낸 시리얼 퀸 멜로드라마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비밀은 없다』에 나타난 여성형상과 멜로드라마적 요소에 주목해보았다. 이를 통해 『비밀은 없다』를 구원자인 왕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서로 간의 연대를 통해 새로운 세계를 상상하며 그 세계를 직접 만들어내기 위해 설치고 말하고 행동하는, 페미니즘 리부트 시대의 여성 대중들의 상상력에 조우한 텍스트로 읽을 수 있었다. 이에 이어 페미니즘 리부트 시대의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에 관한 후속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Although The Truth Beneath could not have met many audience at the theater and had started a service at a second service market, the film received attention of the public and critics and was awarded many prizes. This study focuses that the attention to The Truth Beneath is related to phenomenon called Feminism Reboot after 2015 and aims to read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of The Truth Beneath as a variation of Serial Queen Melodrama.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is a concept originated by Peter Brooks which emphasizes melodrama as a mode that reflects the structure of affect and public imagination in specific era. The review on the concept, melodrama by Peter Brooks triggered a series of discussion and this study focuses on the female figure in The Truth Beneath based on the idea of Serial Queen Melodrama which described women heroes. Through this approach, I could explore that The Truth Beneath is based on the imagination on a new world of female public who do not need a prince and act by their own in Feminism Reboot Era. I expect the post-research on Melodramatic Imagination in Feminism Reboot Era.

      • KCI등재

        다큐멘터리와 멜로드라마의 조우(遭遇)-<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를 중심으로-

        계운경 ( Ghe Woon Gyou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 현대영화연구 Vol.12 No.3

        본 논문은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가 멜로드라마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어떻게 다큐멘터리가 낭만성을 기반으로 하는 멜로드라마로 재탄생될 수 있는지, 그 과정을 분석한다. 다큐멘터리와 멜로드라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첫째, `사랑`과 `이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이 영화의 서사전개를 살펴본다. 이 영화는 `행복한 일상시퀀스`, `갈등시퀀스`, `죽음시퀀스`, 이 세 단계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과정에서 `로맨틱 코미디`와 `한국 최루성 멜로드라마`의 특징들이 나타난다. 둘째, 멜로드라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낭만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활용하고 있는 `극미학적 장치`들을 짚어 본다. <님아>는 편집, 인서트, 사운드 등을 이용하여 `사랑`, `자연`, `향수`와 같은 낭만적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셋째, 한국 최루성 멜로드라마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죽음`과 `눈물`의 효과가 이 영화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본다. 특히 자연의 풍경과 소리, 그리고 음악은 이 영화가 죽음과 눈물을 기반으로 한 최루성 멜로드라마로 변모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님아>가 멜로드라마를 따름으로써 대중성을 확보하는 데에 도움을 받지만, 반면 멜로드라마가 가진 `내적인 정치성`까지 계승할 수밖에 없는 한계에 관해서도 짚어낸다. Documentary based on reality is at odds with melodrama on the basis of an illusion-image notionally. However,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as a piece of documentary has narrative and structural elements of melodrama, which can make the documentary a piece of melodrama by dramatic-aesthetic devices. The devices in documentary are mostly directed by director`s intention, being utilized for enriching an artistry possibly excluded from the reproduction of reality and drawing audience`s attention like that of commercial movies.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also tries to achieve the two effects, the enriched artistry and the audience`s attention, by utilizing various dramatic-aesthetic devices such as narrative focused on pure love of parting Gae-Yul Kang from Bung-Man Jo because of his death, sound and landscape of nature, nostalgia with romantic emotion, her and her family`s sorrow with tears on his deathbed and so on. The documentary finally obtain popularity by combining documentary with melodrama which is more likely to be inconsistent with documentary, letting the audience empathize with the characters and assimilate into the drama to contribute to the popularity. This study consists of ambivalence followed by the dramatic-aesthetic devices such as narrative with love, conflict and death, romantic emotion through `love`, `nature`, `nostalgia` and the effect of death and tears, which underlies the documentary, starting from various discourses of melodrama in general. The study is to analyse a process of defining how documentary can be a melodrama based on romanticism with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 KCI등재

        탈놀이와 멜로드라마의 특성 비교연구

        심상교(Sim, Sang-Gyo) 한국민속학회 2014 韓國民俗學 Vol.59 No.-

        본고는 탈놀이와 멜로드라마의 특성에 대해 비교 고찰하였다. 고찰의 관점은 두 장르가 형성된 시대적 배경, 형식적 특징, 구조, 이후의 예술사상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해서 살폈다. 프랑스에서 멜로드라마가 형식을 갖추기 시작한 시기는 프랑스 대혁명(1789)이 발생한 18세기 말엽이다. 일반시민인 부르조아들이 부상하던 시기이고 그들의 권리도 확대되었고 연극의 핵심관객이 되었다. 멜로드라마는 이런 시기의 흐름을 반영한다. 탈놀이의 전국화는 인조반정(1624)이후, 18세기 영?정조 때라고 볼 수 있다. 일반 백성들의 위상이 이전보다 향상되었고 숙종연간에는 평민문화가 확대되었고 예술을 창작하고 향유하는 사람중에 평민이 많아졌고 작품 속 주요 등장인물에도 평민이 많아졌다. 이런 특징은 18세기말엽, 멜로드라마 형성되던 시기의 프랑스 문화현상과 닮은 점이 많다. 이러한 예술관념의 이동은 이후에 리얼리즘적 예술사상을 배태했는데 이런 특징도 두 시기가 닮았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함께 연행장르에 음악적 요소를 도입하는 시도도 닮았다. 인간은 숭고하고 침잠된 내면만을 가진 것이 아니라 배신과 환희가 결과하는 격정도 있고 사소한 일에서도 슬픔을 느끼는 감정도 인간 내면에 있음을 보여 주었다. 무대미술적 측면에서나 연극 내용적 측면에서 감각적 느낌을 전달하려고 노력했던 것이 멜로드라마였고 탈놀이였다. 말보다 제스처나 스펙타클한 장면에 주도권이 나타난 것도 멜로드라마와 탈놀이가 보여준 공통된 특징이다. 탈놀이는 기존의 익숙한 소재들을 조합시켜 만드는 감정소외적 상황을 이용하여 만들어낸 예술이다. 멜로드라마는 이전의 지배적 흐름과 대척되는 상황의 감정소외를 이용하여 형식을 완성시켰다. 이러한 두 장르의 또다른 공통점은 예술작품으로서 감정몰입을 유도한다는 점이다. 예술작품은 몰입을 통해 더 분명히 감상되는 경우가 많은데 두 장르는 감정몰입을 공통적으로 요구했다. 멜로드라마나 탈놀이는 인생이나 인간존재에 대한 심오한 통찰이나 고뇌보다는 극장 현장에서의 즉각적 감정소비가 일어나는 내용으로 구조화된 연극이기 때문에 우연성이 많아지도록 한다. 그리고 탈놀이와 멜로드라마는 현실의 고통을 정화시켜주고 가감없는 내면에 충실하다. 그래서 두 장르는 심리적 리얼리즘드라마라는 평가도 받는다. This thesis is centered on comparison study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alnori and melodrama. Consideration in terms of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wo genres were formed and formal features, structures, and the subsequent impact on ideas about art looked. Melodrama equipped in France when the French Revolution which was began 1789. When they were injured in the bourgeois citizens and their right to the core of the play and the audience was expanded. Since the flow of the soap opera reflects this. Talnori performed nationally since 1624~the 18th century. It is time people can be virtue. The late 18th century, forming the release of melodrama resemble with the French cultural phenomenon. Talnori familiar with the traditional combination of materials to make the situation created by external Sentiment-Alienation art. Melodrama antipodes of the previous situation prevailing flow and the type of emotional alienation completed. Talnori and Melodrama highlight emotional distress. And Talnori and Melodrama purify the pain of the real inner faithful emotion. So the two genres drama evaluate the Psychological-Realism drama.

      • KCI등재

        2010년대 멜로드라마에 나타나는 국가와 개인의 감정구조—<태양의 후예>(2016)와 <미스터션샤인>(2018)을 중심으로

        정혜경 대중서사학회 2019 대중서사연구 Vol.25 No.1

        The popularity of melodrama indicates that melodrama is composed in a historical context.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magination of melodrama within a sociocultural context rather than asking the essentialistic question of “What is melodrama?". <Descendants of The Sun> (2016) and <Mr. Sunshine> (2018) caused sensations while holding unchallenged top positions in terms of viewing rate and popularity. These dramas indicate the popular imagination and desire of Korean society in the 2010s during a period of upheaval. This paper analyzed imagination in melodrama with a focus on nation and emotions of individuals in <Descendants of The Sun> and <Mr. Sunshine>. In preexisting dramas, conflicts are often limited to individuals and families; on the contrary, in <Descendants of The Sun> and <Mr. Sunshine>, a nation appears as a motif that forms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In these intense situations of conflict, people make rational judgments at first; however, they soon dispose of such judgments and reveal value-oriented attitudes through emotions, which drive actions. Both dramas form poésie mainly through poetic rhyming and the mise-en-scène of objects. The dramas also amplify emotions. The main emotions of these dramas are sympathy and sadness. Such emotions are not consumed in itself; instead, they show moral aims through performativity. Consequently, sympathy becomes solidarity, and sadness becomes mourning. Unlike preexisting melodramas whose endings were simply pursuits of love and happiness within the realm of individuals, <Descendants of The Sun> and <Mr. Sunshine> demonstrate a moral imagination that simultaneously reminds us of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through solidarity and mourning. 멜로드라마의 ‘대중성’은 멜로드라마가 역사적으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주의적인 질문보다는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을 당대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련하여 탐색하는 일이 필요한 이유이다. 시청률과 화제성에서 단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TV드라마 <태양의 후예>(2016)와 <미스터션샤인>(2018)은 2010년대 세월호 참사와 촛불혁명을 겪은 격변기 한국 사회의 대중적 상상력과 욕망을 나타낸다. 본고는 <태양의 후예>와 <미스터션샤인>에 나타나는 국가와 개인의 감정을 중심으로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을 분석하였다. 기존 멜로드라마의 갈등이 대개 개인과 가족 범주에 머물렀던 것과 달리, <태양의 후예>와 <미스터션샤인>에서는 국가가 개인 간의 갈등을 형성하는 모티프로 등장한다. 이와 같은 압도적인 갈등 상황에서 인물은 우선적으로 이성적 판단을 실행하지만, 곧 이를 폐기하고 행동을 추동하는 감정을 통해 ‘응답’하는 가치 지향적 태도를 드러낸다. 두 작품은 주로 시적 대구와 사물의 미장센을 통해 드라마의 포에지를 형성하고 감정을 고양한다. 여기에서 주요 감정은 연민과 슬픔인데, 압도적인 갈등을 뚫고 나오는 격렬한 감정들은 그 자체로 소진되지 않고 수행성을 통해 도덕적 지향을 보여 주는 바, 연민은 연대(連帶)를 향하고 슬픔은 애도(哀悼)를 향하고 있다. 기존 멜로드라마들의 엔딩이 지극히 개인의 범주에서 사랑과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었다면, <태양의 후예>와 <미스터션샤인>은 연대와 애도를 통해 개인과 공동체를 동시에 환기하는 도덕적 상상력을 보여 주었다.

      • KCI등재

        멜로드라마, 도덕규범과 감정을 조율하는 근대적 상상력의 역설—발생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이정옥 대중서사학회 2019 대중서사연구 Vol.25 No.1

        Since the birth of melodrama in the early Enlightenment era, it has flowed through various cultures and media. In order to grasp the principle of differentiation of melodrama and the direction of its change, a developmental approach to the formation process of melodrama is necessary.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melodrama and its aesthetic features around the time of the French Revolution. The modern melodrama was formed in the period between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the start of the 19th century. It was born at the intersectional point of the contradictions of the modern imagination and the political paradox of the French Revolution, which demanded an autonomous citizenship but did not recognize a woman as a citizen. The aesthetic of women’s sacrifice and tears reproduced in the modern melodrama is a political aspiration to restore a corrupt society by glamorizing a woman as a moral icon. This was an icon to save a society under divide and crisis and a coordination of emotions to conceal sexist violence in the politics of the exclusion of women. The aesthetic of women’s sacrifice and tears reproduced in modern melodrama has consistently been considered under negative evaluation such as a play of moral hypocrisy and vulgar drama. However, the academic interest in melodrama in the 1970s has been amplified due to the "Sirk-melo" which is a transition to the new aesthetic of women’s sacrifice and tears, encompassing not only women, but also races and classes. In modern society, entering the era of uncertainty, where various social problems, national disasters, and global disasters have become commonplace, ‘the aesthetic of women’s sacrifice and tears’ are shifting from gender differences to various victim narratives. Reviewing new theoretical trends and changes of recent melodrama as well as analyzing specific works are left as follow-up tasks.Since the birth of the melodrama in the early Enlightenment era, it has flowed through various cultures and media. In order to grasp the principle of differentiation of melodrama and the direction of its change, a developmental approach to the formation process of melodrama is basically necessary.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melodrama and its aesthetic features around the time of the French Revolution. 멜로드라마는 근대 초기 계몽주의 시대에 탄생한 이래 현재까지 다양한 문화와 매체를 넘나들며 유동하고 있다. 따라서 멜로드라마의 분화원리와 변화의 방향성을 온전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멜로드라마의 형성과정에 대한 발생론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프랑스혁명을 전후한 시점을 중심으로 근대 멜로드라마의 형성과정과 그 미학적 특질을 고찰했다. 18세기 말 19세기 초에 형성된 근대 멜로드라마는 자율적인 시민성을 요구하면서도 시민으로서의 여성을 인정하지 않았던 근대적 상상력의 역설과 프랑스혁명의 정치적 모순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탄생됐다. 근대 멜로드라마에 재현된 여성의 희생과 눈물의 미학은 분열과 위기에 처한 사회를 구원하기 위해 여성을 도덕적 도상으로 미화함으로써 타락한 사회를 회복하려는 정치적 열망이며, 여성 배제의 정치에 내포된 성차별적 폭력성을 은폐하기 위한 감정의 조율이었다. 근대 멜로드라마에 재현된 여성의 희생과 눈물의 미학은 오랫동안 도덕적 위선의 연극, 저급한 통속극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로 일관돼왔다. 그러나 1970년대 ‘서크멜로’에서 여성과 인종, 계급을 포괄한 ‘약자의 희생과 눈물의 미학’으로 전환함에 따라 멜로드라마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증폭됐다. 각종 사회문제와 국가적 재난, 전지구적 재앙이 일상화되는 불확실성의 시대로 접어든 현대사회에 이르러 ‘여성의 희생과 눈물의 미학’은 성차를 넘어서 다종·다양한 희생자 서사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최근 멜로드라마의 이론적 추이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구체적인 작품 분석에 대한 연구는 후속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KCI등재

        가족멜로드라마를 바라보는좌절과 전복의 이중적 시선 -대중의 감정 구조를 중심으로 <82년생 김지영>과 <담보> 의미 분석-

        조정희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4

        이 연구는 <82년생 김지영>(2019)과 <담보>(2020)를 중심으로 멜로드라마의 위치와 가능성을 확인하면서 2019-2020년 멜로드라마를 소비하는 방식에 대해 대중의 감정 구조와 관련지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멜로드라마는 한국영화가 태동했던 시기부터 전성기였던 1960년대를 넘어 2000년대 초반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를 모색하며 그 명맥을 공고히 지켜왔다. 그러나 2010년 이후 그 명성이 약해지기 시작했다. 영화가 흥행의 산물이자 시대를 대변하는 도상이 된 지금, 드라마의 내러티브가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멜로드라마의 몰락은 시대적 상황과 맞닿아 있는 대중의 감정 구조와 관련성이 있다. 신자유주의 시대 대중들은 정치․경제 논리에 입각하여 불합리를 타파하고 부정한 세력을 응징하고 심판하여 올바른 사회 질서가 구축되기를 요구한다. 그래서 범죄, 스릴러, 정치극과 같은 영화장르가 이러한 대중의 감정 구조와 결합하여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수가 느낀 파생된 장르영화의 피로감 속에서 등장한 <82년생 김지영>과 <담보>는 멜로드라마의 복고적인 감성과 선한 가족 서사의 핍진성을 보여주면서 여성의 삶과 대안 가족의 경계를 확인한다는 점에서 좌절과 전복이라는 이중적 시선을 내포하고 있다. 두 작품은 멜로드라마라는 장르가 소원해진 지금 시대 불평등한 사회 현실에 편중되어 있던 반사회적인 대중의 감정 구조를 아날로그적인 감성의 가족 서사를 통해 다독여 주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타인과의 관계와 상호 작용의 결과가 갈등과 반목의 표출이 아닌 연민, 동감, 공감의 자세를 통한 이해와 사랑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영화장르의 틈새에서 멜로드라마가 어떠한 위치에서 소비될 필요성이 있는지 알려주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중의 감정 구조와 역행하는 멜로드라마가 어떻게 사건을 진행시키는지 확인하고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그것이 생산해낸 심층적인 의미를 타진하여 멜로드라마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에 의미를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