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 동향 분석

        박진철(Park Jin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의 분석은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의 관련 연구 쟁점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성을 모색하고 연구 영역에 대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한국어교육에서 멀티미디어 관련 연구가 활발히 수행된 2000년대 이후 발표된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과 주요 학술지 게재 논문 257편을 2019년 1월부터 3개월 간 검색한 후 연구물의 시기별, 유형별(학위논문, 학술지),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우선 연구를 위한 분석 대상 및 절차를 기술하고 기술의 발달과 학습 형식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용어를 정리하였다. 멀티미디어의 활용 연구는 시기별로 2000년대 초반에는 연구물의 수가 많지 않았으나 2010년부터 급격히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모바일 기기의 보급과 무선 인터넷 통신 기술의 발달에 기인한 것으로 기술적 환경이 조성과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의 등장과도 무관하지 않다. 유형별 연구 동향 분석 결과 대부분이 학술지와 석사 학위 논문에 치우쳐 유형별 편중성이 심각했다. 학술지의 경우 한국어교육 관련 대표 학술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기타 학술지의 경우 교육학, 교육공학, 멀티미디어학, 컴퓨터・정보통신공학 등으로 다양했는데 이는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관련 연구가 세부 주제 측면에서 하나 이상의 범주에 속하는 특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기능적 측면에서의 연구 동향은 학습자 중심의 자가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 고 다음은 교사 중심 수업에서 시청각 자료로서의 도구적 활용 방안 연구 순이었다. 한국어교육 측면에서 연구 동향은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적용 및 활용을 다룬 ‘교수법 일반’으로 분류될 수 있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과정 개발 및 분석 연구, 교수 자료 개발 연구 등의 순이었다. 또한 교육 내용에 대한 분류는 언어 기능 교육 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언어 지식 교육 연구가 그뒤를 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rends in multimedia utilization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ublished since 2000. This analysis of research trends will allow us to look at related research issues in multimedi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lore future directions and discuss areas of research. To this end, we examined 257 master s and doctorate papers published in major journals and 257 papers published since 2000 when multimedia-related research was activel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research trends by timing, type (degree paper, academic journal), and subject. First, the analysis objects and procedures for the study were described and the newly emerged terms were put together as the technology developed and the learning style changed.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multimedia did not have much research in the early 2000s, but it has increased sharply since 2010. This is due to the proliferation of mobile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and is also related to the creation of a technical environment and the emergence of new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In the research trends by type, most of the studies subject to analysis were biased towards academic journals and master s thesis, which led to serious bias by type. However, the distribution of academic journals was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one or more categories of multimedia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those related to education, multimedia, computer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engineering. First of all, research trends in functional aspects led to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for learner-oriented self-learning, followed by the research on tooling utilization as audiovisual material in teacher-centered classes.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rends were most frequently classified as professional law general, which deals with the educational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multimedia, followed by research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analysis and research on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In addition,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 was the largest study of multimedia utilization for language functional education, followed by language knowledge education research.

      • 정보화 사회에서 교육체제의 변화에 따른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교육개혁

        이성흠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0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6 No.-

        본 논문은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와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정보화 사회에서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교육개혁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교육은 변화를 지향하는 과정으로, 정보화 사회에서 교육의 수월성 제고와 교수·학습과정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개혁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정보화 사회에 부응하는 교육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능동적이며 자발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교수·학습의 질(質)과 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에 기초한 학습체제 구축과 다양한 교수·학습매체의 교육적 활용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교육개혁이 분절적이 아닌 교육개혁에 관련된 교사, 학생, 학부모 등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이 망라된 총체적 접근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하기 위하여, 학생, 교사, 그리고 매체가 교과과정(curriculum)과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 변화가 교사·학생 중심의 안으로부터의 개혁이 이루어 질 때, 정보화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교육개혁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개혁이 학교현장에서 교사·학생의 역할 변화를 통한 관계 재정립과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협동학습 과정으로 실현될 때, 교육공학 이론에 기초한 다양한 첨단 멀티미디어의 통합적 사용과 교수·학습과정 사이의 상승작용(synergism)을 통한 교육개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information society, multimedia application in education, and education reform with technology. Education is changing, In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education is undergoing widespread reform in many school systems worldwide. Three agendas of education reform movement in the literature have focused on: (a) a push for restructuring schools; (b) a constructivist and cognitive/information processing view of learning and the effect of that view on teaching; and (c) a movement toward well-integrated uses of technologies in the school curriculum. Education systems are moving toward more active learning activities where learners communicate and collaborate inside as well as outside of the classroom, In order to be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reform, the three agendas must form a synergistic relationship. The synergism between technology utilization, restructuring,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will take place when school reform occurs in the areas of teacher/student work space, teacher/student role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in the active collaboration between students in their learning proces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오희정,이정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경기도 소재 3년제 S대학 1학년 학생 63명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활용교육’ 교과목 수강 이후 작성된 반성적 저널과 교수자가 작성한 현장 텍스트를 반복적으로 읽어나가며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이야기들을 시간과 범주, 큰 의미와 작은 의미 단위로 질적 분석하였고 그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최종 도출된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깝고도 멀게 느껴지는 멀티미디어 이해하기, 둘째, 다양한 측면을 인식하고발전시키기, 셋째, 유아교사로서 일과 배움에서 긍정적으로 촉진하기, 넷째, 유아교사로서의 정체성 만들어가기, 다섯째, 더 나은멀티미디어 활용교육으로 한 걸음 나아가기로 총 5개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이해와 교과목의 실질적인 교육내용 구성의 지원 방향, 그리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지침을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multimedia utilization education in reflection journals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pecifically, 63 first-year students at S University, a three-year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were repeatedly read through reflective journals written after taking the ‘Multimedia Utilization Education’ course and field texts written by instructors to find stories that fit the purpose of the study. It was qualitatively analyzed by time, category, and large and small meaning units, and the researcher reorganized it to clearly reveal its meaning.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nal derived topic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multimedia that feels close and distant. Second, recognizing and developing various aspects. Third, positively promoting work and learning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Fourth, building up an identity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fifth, taking a step toward better multimedia utilization educ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provide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multimedia-based education, support directions for the actual educational content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al guidelines.

      • KCI등재

        멀티미디어 활용 쓰기 유형의 연구 동향-한국어교육 중심으로

        이란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에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쓰기의 유형을 살펴보고 발전적인 수업의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2편의 관련 논문을 목적표집하여 해당 연구들에서 활용되고있는 매체 유형과 상호작용 대상, 글쓰기 양식 등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장르 매체와 도구매체를 분류하여 적용하고 해당 연구들을 장르, 도구, 장르와 도구라는 활용매체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민요, 전래동화, 영상자료, 홈페이지 프로필 등의 장르매체 그리고 이메일, 인스타그램, 영상편집기, 스마트폰, Zoom 등의 도구매체들이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호작용역시 컴퓨터의 프로그램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쓰기, CMC를 통한 네트워킹 활용 타 사용자와의 소통적쓰기, 교수자 및 타 학습자와의 면대면 쓰기 등의 쓰기 양식들이 활용되고 있었다. 글쓰기 양식으로는장르매체를 읽기자료로 활용한 후, 문자 쓰기를 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타 장르나 활용 장르매체와동일 장르로 창작활동을 실시하는 경우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제성 있는 각 매체 쓰기에관한 리터러시 교육을 선행시키고 학습자들이 각 장르에 적합한 글쓰기를 하도록 지도하는 장르중심접근법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는 창작중심 미디어교육 관점을 투영한 것으로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가외국어교육인 한국어교육에도 깊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멀티미디어 활용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교육 지식과 안전교육 태도에 미치는 효과

        최정화,남창우,이민효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19 창의정보문화연구 Vol.5 No.3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timedia education on the teaching method of safety education knowledge and safety education attitude of children based on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ages of ADDIE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2 children aged 5 years in A nursery school located in Busan, for about 3 week.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rist, multimedia-based instruction group showed higher safety education knowledge score than instruction group using direct teaching metho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using multimedia and the class using direct teaching method. 본 연구는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안전교육 교수방법이 유아의 안전교육 지식과 안전교육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탐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 소재 A어린이집 만 5세 유아 52명을 대상으로 총 3주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안전교육 집단과 직접 교수법을 활용한 안전교육 집단이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안전교육을 제공받은 A집단 유아들이 직접 교수법을 제공받은 B집단 유아들보다 안전교육 지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안전교육을 제공받은 A집단 유아들과 직접교수법을 제공받은 B집단 유아들의 안전교육 태도에 대해서는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

        학습자 특성과 교수역량, 멀티미디어 활용이 학습몰입과 스피치 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 ARCS동기 이론을 중심으로

        최선희(Sunhee Choi),김성태(Sungta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과 성인들의 스피치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선정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과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관련성에 있어서 학습자의 특성과 교수자의 특성, 멀티미디어 활용으로 구분하여 학습몰입과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학습자 요인은 Keller가 제시한 ARCS학습동기를 바탕으로 주의집중(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으로 구성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5월 21일부터 6월 6일까지 3주간 서울 수도권 지역과 대구 경북 지역 등의 스피치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 362명을 대상으로 스피치 교육의 다양한 속성이 학습몰입과 교육 효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과 AMOS 24.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외생변인으로서 학습자특성, 교수역량, 멀티미디어 활용, 내생변인으로서 학습몰입과 스피치 교육효과를 선정하였다. 결과 가설검증 결과, 학습자 특성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부분 채택되었고 교수역량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역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이어 멀티미디어 활용과 관련된 가설의 경우, 하위 변수별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몰입이 스피치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 되었으며 학습몰입이 향상되면 스피치 교육효과가 높아질 것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스피치 교육효과를 높이는데 학습자의 특성, 멀티미디어의 활용이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다시 한 번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스피치 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ts relevance and structural relationship after selecting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speech education. This research classifies its relevance as learner characteristics, instructor characteristics and multimedia use and identifies its impact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outcomes. Learner factors consist of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presented by Keller in ARCS model of motivation. Methods To this end, for three weeks from May 21st to June 6th, 2020,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62 adult learners who have had an experience of receiving speech educ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Daegu Gyeongbuk area. Data was process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24.0 and AMOS 24.0. In this model, as for the exogenous variable, learner characteristics, instructor characteristics and multimedia use were chosen, and as for the endogenous variable, learning flow and speech education effect were sele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 that learner characteristics would affect learning flow was adopted. Second, hypothesis 2 that instructor characteristics would have influence on learning flow was partially adopted. Third, hypothesis 3 which is related to multimedia use was also partially adopted for each sub-variable. Lastly, hypothesis 4 that learning flow would affect speech education effect was adopted. Moreover,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learning effect will be increased if the learning flow is improv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ositively proved that learner characteristics and multimedia use could improve the education effect.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fact that multimedia utilization is very crucial to increase the effect of speech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 KCI등재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멀티미디어 활용교육 운영방법의 적절성 분석

        양수영(Yang, Su-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7

        본 연구는 첨단과학기술시대에 요구되는 적정교육으로서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이 유아교육에서 적절하게 운영되도록 하기 위해 국내 유아교사들의 교육지침서인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내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의 운영방법이 적절히 제시되었는지를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실시되었다. 지도서에 제시된 멀티미디어 활용교육 운영방법의 적절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관련 선행연구들이 공통적으로 언급한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의 올바른 운영방법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총 33권을 수집해 멀티미디어가 활용된 839개의 활동을 추출하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분석은 연구자와 전문가 2인이 각각 1차 분석하고, 이후 교차 검토하였으며, 향후 상충된 의견을 논의함으로써 합의된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멀티미디어 활용교육의 운영방법이 분석기준으로 볼 때 현장 활용을 위한 지침으로서 부족한 점이 있다고 지적할 수 있었고, 향후 지도서의 수정방향을 논의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ctivate the education using multi-media in the field of ECE as the optimum education required for high-tech era.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activities using multi-media which presented in the teacher guide book for 3~5 Nuri Curriculum. A total of 839 activities were extracted and managing methods written in each activity were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managing methods, the analysis standards were set based on the relevant theoretical basis. And two experts and a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Specifically, individuals had analyzed the divid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ge 3~5 first and then, the each result was cross check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ducation using multi-media presented in the teacher guide book was insufficient as a guide. And a few thing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the teacher guide book.

      • KCI등재

        다문화 관련 멀티미디어 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경실(Jung, Kyung-Sil),이문옥(Lee, Moon-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다문화 관련 멀티미디어 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만 4세반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베트남 다문화 가정 유아 1명과 통제집단에는 중국 다문화 가정 유아 1명이 포함되어 있다. 실험집단은 6주 동안 1주에 2회씩 총 12회에 걸쳐 다문화 관련 멀티미디어 동화를 들은 후 이와 관련된 교육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기존 유치원 교육과정에 맞추어 수업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관련 멀티미디어 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다문화 인식 점수가 높았다. 둘째, 다문화 관련 멀티미디어 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친사회적 행동 점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관련 멀티미디어 동화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ducational activities utilizing multicultural multimedia pictorial fairy tales on children’s multicultural perceptions and prosocial behaviors. Guiding this study were two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effects of educational activities that utilize multicultural multimedia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perception? 2) What effects do such activities have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participants consisted two groups of 20 four-year-olds from two childcare centers in Kyungki-do. One group serv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as the control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listened to multicultural multimedia pictorial fairy tales and performed related educational activities; the control group proceeded with the standard curriculum. Over six weeks, from October 22, 2012 to November 30, 2012, researchers conducted the experiment in twice-a-week sessions for a total of 12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on multicultural perception. This result showed that educational activities utilizing multicultural multimedia fairy tales contributed positively to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perception among 4-year-old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on prosocial behaviors, demonstrating that educational activities utilizing multicultural multimedia fairy tales positive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s among 4-year-olds.

      • KCI등재

        영어 공교육 강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활용 방안 및 사례 연구

        최수영,김선혜,이현진,문영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1

        Multimedia programs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are considered to be very effective in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However,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courseware in public schools does not prevail at the moment in spite of its success in some school classroo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to make a proposal of normalizing school education through using effective multimedia courseware in an ever strong wind of private language institute dependence on English education. This study exemplifies the effectiveness of a multimedia courseware, entitled Reading Assistant, which enables students to achieve reading fluency by raising phonic awareness through guided reading.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different schools: a primary school, a middle school, and a high school. The results from the show positive effects that learners achieved in reading fluency, listening, and speaking.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New Dynamic English with courseware management system to guide the student's learning and appropriate feedback. It is concluded that the blended model of combining conventional classroom teaching with multimedia courseware with courseware management system may be able to maximize the effect in learning English for the public schools, thus eliminating perceived need for expensive private lessons/institutes outside of public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o train how to use the courseware and the courseware management system in preparing English teachers and for inservice training of English teachers.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은 고비용 저효율이다. 이러한 현상은 대학의 입시위주의 영어교육이 문제라는 지적이 있어왔다. 그리하여 정부에서는 대학 수능의 영어 평가를 국가영어 능력 평가시험으로 변화를 꾀하여 미래 지향적으로 전환 하고자 하고 있다. 그리하여 각 시도 교육청은 영어 공교육 강화 방안을 정책으로 추진하고 학교 영어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하여 영어로 영어수업을 하게하고 원어민과 영어 전용 교실의 도입 그리고 영어마을 등 영어교사들의 영어 연수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논고는 ICT를 활용하여 현장의 영어 공교육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증명해 보이기 위해, 초-중-고등학교 그리고 예비 영어교사 대학생들에게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와 코스웨어 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블렌디드 러닝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영어 공교육을 정상화하려고 하는 사례연구를 요약 보고하여 현장 영어 공교육의 정상화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은 멀티미디어 코스웨어를 통하여 원어민의 발음와 충분한 입력을 받고 교실과 일상생활에서 부족한 연습을 할 수 있었고, 교수자는 코스웨어 관리시스템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학습을 관리하여 수준별-개별적인 도움과 안내를 통해 학생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학생들은 원어민의 도움 없이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었고 이러한 코스웨어와 코스웨어 관리 시스템을 잘 활용하면 한국인 영어교사가 원어민 영어교사보다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였다. 그리하여 본 사례연구는 정상적인 학교교육만 받아도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증명해 보이고, 교육청이 하드웨어와 원어민 사업의 투자에만 정책적인 배려를 하지 말고 코스웨어 관리 시스템이 있는 코스웨어를 보급하고 하드웨어와 그러한 코스웨어를 학습에 잘 이용할 수 있는 교사 양성 및 연수를 실시하여 ICT와 코스웨어를 그리고 코스웨어 관리 시스템을 잘 활용할 수 있는 교사를 기르고 연수하도록 제언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