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체 문식성 교육과 쓰기 교육의 통합 방향 모색

        최종윤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2

        목적: 이 연구는 매체 문식성 교육과 쓰기 교육의 통합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매체 문식성 교육과 쓰기 교육의 통합 방향을 교육과정과 교과서 차원에서 살피기 위해 먼저, 매체 문식성 교육과 쓰기 교육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또, 학습자의 인지 처리 과정을 중심으로 매체 문식성 교육과 쓰기 교육의 구조를 파악하였고 텍스트 생성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매체 문식성 교육의 통합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매체 문식성 교육과 쓰기 교육의 통합 방향을 매체 문식성 교육 중심 통합, 쓰기 교육 중심 통합, 병렬 교육 중심 통합으로 제안하였다. 결론: 매체 문식성 교육과 쓰기 교육의 통합을 위해서는 매체와 쓰기 텍스트의 유형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 학습자의 인지 처리 과정 관점에서는 공유와 성찰 학습이 필요하다. 그리고, 구체적인 교육 설계를 위해서는 통합 관련 실증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신문 헤드라인을 활용한 문법과 매체의 통합적 교육 방안 : 어휘의 ‘틀과 은유’를 바탕으로

        김규훈(Kim Kyoo-ho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신문 헤드라인을 활용하여 문법과 매체를 통합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현행 교육과정 및 차기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문법과 매체의 통합을 교육 실천의 층위에서 실현하고자 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교육과정에서 문법과 매체의 실질적 통합 가능성을 점검한다. 2015 교육과정 <언어와 매체> 과목에서 통합 가능한 성취기준을 확인하고 내용 통합의 방향을 명시한다. 다음으로 신문 텍스트에서 헤드라인의 교육적 가치를 파악하고 이를 추동하는 매개 이론으로 틀과 은유의 특징을 정리한다. 특히 신문 헤드라인에서 틀과 은유의 작용 양상에 대한 실제 사례를 분석한다. 일련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신문 헤드라인을 활용한 문법과 매체의 통합적 학습 활동을 구안한다. 이 활동은 학습자가 신문 헤드라인에 사용된 어휘에서 틀과 은유를 분석하는 문법 활동을 토대로 신문 텍스트의 관점과 가치를 해석하는 매체 활동을 통합하여, 신문 텍스트에 투영된 세계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ntegrate grammar and media using newspaper headlin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curriculum for a possible integration between grammar and media. It also investigates achievement standards that can be integrated from <Language and Media> in the 2015 curriculum, and identifies a direction for content integration. Then, this study determines the educational value of headlines in newspaper texts, and organizes the features of frame and metaphor as an intermediary theory to give an impetus for learning with the headlines. In particular, real cases of using frames and metaphors in newspaper headlin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 integrative learning activity for grammar and media, using a newspaper headline, was developed. This activity requires integration of grammar and media activities. Learners can analyze frames and metaphors from vocabularies in the newspaper headline, comprehend the perspective and value of the newspaper text, and critically understand the world in the newspaper text.

      • KCI등재

        매체 언어의 국어과 교육과정 수용 방안 연구

        김영선(Kim Young Seon)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6

        이 연구는 언어와 매체가 2015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가지는 위상에 대해서 살핀다. 이를 바탕으로 ‘매체 언어’와 관련된 내용이 보다 통합적으로 조정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국어과의 궁극적인 목적은 문식성(literacy)의 강화에 있다. 텍스트를 이해하고 비판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은 문식성 교육의 최종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음성 언어, 문자 언어와 더불어 매체 언어 또한 문식성 교육의 기초적인 수단이라는 점에는 이의가 없다. 그러나 매체 언어에 대한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지만 이들에 내재된 규칙성이나 교육 내용, 수업 방안 등 많은 부분이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매체 언어를 대하는 관련자의 입장 또한 교육 외적인 이유로 매체언어의 처리 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매체 언어 교육의 목적이 문식성 확보에 있다는 전제 하에 본고는 매체 언어와 관련된 내용이 2015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통합되어 있는지를 살핀다. 또한 매체 언어와 관련된 내용이 교육과정 속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서 매체 언어가 다른 내용과 충분히 통합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The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Language and Media in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2015. Based on this, they argue that content related to media language needs to be more integrated. The ultimate goal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to strengthen the literacy. Develop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riticize text and to voice oneself is the ultimate goal of a literacy education. In this regard,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 media language, along with the existing voice language and text language, is also a fundamental means of literacy education. However, while the importance of the media language is increasingly emphasized, much of the rules,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inherent in them need to be discussed. The related person s position on media language is also affecting the processing of media language for reasons other than education. On the premise that the purpose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s to secure a literacy, it looks at how contents related to media language are integr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revised in 2015. We will also look at how media language-related content is being developed in the curriculum and argue that the media language can be adequately integrated with other contents.

      • KCI등재

        매체와 문학의 통합 교육을 위한 시론 - 매체 중심 문학사 교육을 중심으로-

        정보미 우리문학회 2024 우리文學硏究 Vol.- No.81

        이 연구는 보다 구체적이고 정교화된 매체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뚜렷한 실체가 있는 문화적 산물과 관련하여 매체의 개념과 영향력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매체와 문학의 통합 교육을 제안하였다. 문학은 ‘언어로 된 예술’이기에 어떤 언어가 어떤 환경에서 어떤 장치를 통해 소통되느냐를 ‘매체’와 관련해 논할 수 있다. 그런데 문학 교육에서는 오늘날 새로운 매체의 출현에는 주목하지만 과거에 있었던 매체의 변화와 그로 인해 변화된 문학의 존재 양상에는 충분히 주목하고 있지 않다. 이는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편견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과거의 실상에 근접한 앎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문학과 매체의 통합적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이전의 매체를 계승하면서도 극복하려는 시도가 문학사에서 어떻게 이어졌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미래의 문학과 매체는 어떠할지를 예측하는 안목이 생성될 수 있다는 점도 문학과 매체의 통합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새로운 매체와 그에 따른 시대정신을 혁신적 기술이나 세대의 개성으로만 바라보고 그치기보다는 그로 인한 득과 실을 문학사 현상과 결부지어 바라봄으로써 ‘창조적 관점’에서의 문학사 교육도 가능해질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implementing an integrated education of media and literature considering how media need to be connected to cultural products with a distinct substance to produce more specific and sophisticated contents for media education. Since literature is considered the “art of language,” the kind of language used for communication,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communicated, and the device through which it is communicated can be discussed in relation to “media.” Although literary education focuses on the emergence of new media today, it does not pay enough attention to changes in media in the past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the features of the literature that followed. Since this aspect is closely related to learners’ prejudice against classical literary works,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media is necessary to secure knowledge that is close to the reality of the past. Another reason for integrating education of literature and media is that this would provide insights to predict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literature and media in the future. Rather than viewing new media solely as a set of innovative technologies or as representative of the uniqueness of each genera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literary history education from a “creative perspective” by examining its pros and cons in conjunction with the phenomenon of literary history.

      • KCI등재

        매체통합 고전문학수업에서 매체풍부성과 매체경험이 매체유용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현영란,정소연,Hyun, Young-Ran,Chung, So-Ye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는 창의인재교육 관점에서 고전문학수업에서 매체통합교육에 있어 매체풍부성과 매체경험이 매체유용성과 학습몰입과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234개 시군구의 향토문화 자료를 집대성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서비스하는 웹매체인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www.grandculture.net)(향토DB)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418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설 설정, 타당도 검증, 인과모형을 도출하여 구조방정식을 분석한 결과, 향토DB의 매체풍부성과 학습자의 매체경험은 학습몰입에 주요한 영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매체풍부성과 학습자의 매체유용성을 매개한 간접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향토DB와 같은 전국의 시군구 자료를 집대성한 웹매체의 적극적 발굴과 고전문학수업에서의 활용이 창의인재교육을 위한 매체통합교육에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a web medium and learning commitment to develop creative talent for higher media integrate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For this we used DBs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a local culture DB)' built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18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a classical literature class which used a local culture DB.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s media usefulness of local culture DBs' positive effect on learning commitment. Specifically, media richness and media experience affects the learning commitment through the medium usefuln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encourage learner's medium experience and increase medium richnes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mediums, such as local culture DBs.

      • KCI등재

        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의 평가와 과제

        김홍균 ( Hongkyun Kim ) 한국환경법학회 2016 環境法 硏究 Vol.38 No.2

        「환경정책기본법」을 필두로 분야별로 분화를 거듭해온 환경법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지나친 분할을 통한 다수법의 양산이 환경법의 복잡성과 중복성을 초래하면서 오히려 효율성을 떨어트리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하여 유럽연합(European Union)을 중심으로 대두된 통합환경관리법제(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IPPC)에 대한 소개는 환경법의 통합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우리에게 주고 있다. 그러나 다수 법의 기계적 통합이 사실상 어렵다는 점에서 다수 법에 산재된 허가 절차(permitting procedure)만이라도 통합해보려는 최근 제정된 「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은 타당성과 현실성을 가지고있는 입법적 시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 동법의 가장 큰 특징은 배출시설의 설치ㆍ운영에 관한 허가를 통합하는데 주된목적을 두고, 오염배출원(source) ‘통합관리’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배출시설의 허가ㆍ관리 방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는 통합환경관리제도는 무엇보다는 매체별(each medium) 허가에 따른 중복된 인허가를 통합ㆍ간소화하며, 획일적배출기준이 아닌 업종 특성 및 최적가용기법(BAT)에 근거한 맞춤형 배출기준을 설정할 수 있으며, 기술 진보 등 사회변화의 반영, 오염의 전이문제를 완화할 수있는 등 장점이 많은 선진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동법은 완전한 형태의 통합환경관리체계를 담고 있지 못한 과도기 형태의입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부 사업장만을 적용 대상으로 하고, 최적가용기법을 전면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관리 측면에 대해서는 미흡한 구석이 있기 때문이다. 통합환경관리체계를 도입한다는 것은 지금껏 환경매체별 관리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환경법체계를 뿌리 채 바꾸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쉽지 않을 수 있다. 통합환경관리법에 대해서는 특히 산업계로부터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는 대체로 과도기적 도입에 따른 부득이한 한계로서 성공적인 제도 구현을 위하여 겪을 수밖에 없는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된다. 특히 동법은 통합환경관리 적용대상 업종 및 사업장의 제한, 규율 체계의 복잡성, 유인수단의 미흡, 최적가용기법의 선정 방식ㆍ절차상의 문제, 단기적ㆍ미시적인접근 등의 한계를 보이고 있는바, 통합환경관리방식이 제대로 정착되고 그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정 노력이 필요하다. 대상사업」장의 범위확대가 대표적인 예이다. 같은 맥락에서 단기적으로는 유인수단의 확대, 효율적인최적가용기법의 선정, 모호한 규정의 명확화 등이 필요하며, 중장기적으로 통합환경관리법과 개별 법의 체계성 유지, 지역오염부하량의 반영, 총량관리제와의 연계, 최적가용기법의 전면적 적용, 정보접근ㆍ공중참여ㆍ사법에의 접근 보장, 통합허가 및 관리 권한의 지방자치단체에 이전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re is need for a fundamental re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law system that has been differentiated over time. The efficiency of the environmental law has become abated due to the ramification of numerous laws. In addition, the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IPPC) that has been mainly suggested by the European Union(EU) has required a new task of a centralized environmental law system. However, due to the practical hardship of a automated integration of decentralized laws, the recently made the Emission Facilities Integrated Management Act that tries at least to integrate the permitting procedure is considered a reasonable and practical legislating effort. The Act’s main feature is integrating the permission of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discharge facilities, and posing a unified management of the source. The IPCC could be considered an advanced system as it minimizes the overlapping procedures of permit. It also provides a customized level of emission in accordance to the industry’s feature and the best available technology(BAT). Moreover, the system provides an advantage as it reflects social needs and mitigates the transfer of pollution. However, the Act is considered a legislation that is in the transition period. It is because the scope of application is limited to partial industry and emission facilities and BAT is not fully implemented. Moreover, management is somewhat vague and unsatisfactory.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IPCC is hard because it tends to fundamentally change the environmental law system that has been conventionally accustomed to the control in accordance to environmental medium. The Act could receive critique mainly from the industry. However, the critique is considered an unavoidable process that is shown in order for the embodiment of a successful system. The Act has some limitations. For example, the applicable type of industry is restricted and the regulatory system is complex. Also, the incentives provided to industry and facility involved are unsatisfactory, the process of selecting BAT and the short-term microscopic approach is problematic. In order for the IPCC to be properly applied with it’s maximized advantage, there has to be continuous amendments. The enlargement of the scope of the concerned industry is a good example. In the same line, among others, an increase of incentives, a proper selection of a efficient BAT and an elucidation of vague regulations has to be considered. Also, in the long-term, maintenance of the Act and other individual laws systematically without overlapping and contradiction, consideration of local environmental capacity, the connection with the control in total quantity, extensive application of BAT, protection of access of information, public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access to justice in environmental matters, and transfer of authority to permit to local government is needed to consider.

      • KCI등재

        통합오염관리의 발전과 환경규제의 적정성 - 유럽의 통합오염관리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최승필 ( Choi Seung Pil ) 한국환경법학회 2016 環境法 硏究 Vol.38 No.3

        일정규모 이상의 사업장인 경우 오염원을 매체별로 관리하는 것보다는 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는 개념에서 통합오염관리가 시작되었다. 통합오염관리가 되면 그간 매체별 관리에 비해 인허가 절차가 간소화되고 인허가 과정에서의 협의 및 참여절차가 확대된다. 통합오염관리의 가장 핵심적인 것이 최적가용기법(BAT)이다. 최적가용기법을 통해 규제대상의 규모와 특성에 맞는 유연성 있는 규제가 가능하게 되었다. 통합오염관리개념은 1991년 OECD의 권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유럽연합은 1996년 높은 수준의 환경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통합오염예방 및 관리(IPPC)에 관한 지침`을 제정하였다. 주요내용은 환경매체의 통합적 검토, 환경상 중대한 위해를 가하지 않을 의무와 사전배려, 최적가용기법의 적용, 허가 등의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 그리고 이를 통한 주민참여이다. 영국은 통합오염관리개념을 최초로 검토한 나라이며, 1990년에 환경보호법(EPA)을 통해 이를 법제화하였다. 독일은 연방임밋시온법(BlmSchG)를 통해서 이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우리의 통합오염관리에 대해서는 통합오염시설 허가의 법적 성질이 문제된다. 순수한 허가인지 아니면 특허로 볼 것인지이다. 시설에 대한 허가의 내용이 기속적이 아니라 재량판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특허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정보공개제도는 유럽 통합오염관리제도의 핵심적 요소 중의 하나인데 반해, 우리의 경우는 제한적이다. 정보공개가 이루어져야 주민의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정보공개의 범위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만 기업의 경영상의 정보와의 조화도 필요하다. 허가권이 중앙정부에 집중됨으로써 오염시설이 위치한 지방자치단체의 참여가 제한적이다. 지자체의 의견청취 및 권한의 위임 그리고 협력을 통한 횡적 협조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서는 일정한 권한의 분점이 필요하다. 통합오염관리제도의 핵심인 최적가용기법의 적용에 있어서는 재량판단이 작용할 수 있어 판단에 따라 환경보다는 산업적 고려가 우선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객관성의 확보가 중요하다. 제도의 운영을 통해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IPPC) came into use due to the realization that it is more efficient for businesses of a certain size or above to conduct an integrated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rather than managing pollutant by factor. When conducting the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the licensing procedure become simpler than the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by factor is implemented. As well as this, the procedure of negotiation and participation is expanded in the course of licensing. The crux of the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is Best Available Techniques Economically Achievable (BAT), through which it became possible to conduct more flexible control system, suitable for the sca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OECD Council Recommendation in 1991 also specifies the concept of the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The European Union (EU) formulated the guidelines of the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aiming at the high level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1996. The main contents include integrated investigation in environmental factors, prior consideration & obligation not to harm the environment severely, the free access to the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 approval of best available techniques economically achievable, and community involvement through the system (IPPC). The United Kingdom is the first nation that reviewed “IPPC”, and legalized this through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in 1990. And Germany has been operating IPPC system by applying it through BlmSchG. When it comes to the application of IPPC system in Korea, its legal characteristics are vague to obtain the approval of establishing facilities for the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This is, whether it needs a simple approval or a special approval by public law. This may be regarded as a charter or a special approval because the contents of the approval on the facilities are not bound strictly by law but recognizes the discretionary decision. While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s one of primary elements for EU`s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this is limited in the case of Korea`s. To promote the active community involvement, it is essential to expand the range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Yet, The harmonization with management information of enterprises is also necessary. As the authority focuses on the central government, the participation of the local governments, where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are located in, is limited. This calls for the horizontal collaboration through delegation of power and hearing of local governments` opinions. The discretionary decision can be also accepted by applying BAT, the crux of the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this may prioritize consideration of the industries rather than the environment. Thus, it is important to acquire objectivity, and to pay continuous attention as well as efforts to improve the problems with operating the system.

      • KCI등재후보

        디지털 광고매체 가치에 대한 광고주 인식 조사연구: 인터넷, 모바일, DMB, 쌍방향TV 서비스를 중심으로

        이미영 ( Mi Young Lee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2

        디지털 컨버전스 현상으로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면서 광고시장은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앞으로 디지털 광고매체가 주요한 광고매체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각 매체에 대한 경쟁적 위치파악과 장단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포지셔닝 전략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광고주를 대상으로 현재 부각되고 있는 4개 디지털 매체의 광고매체가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쌍방향TV는 커뮤니케이션효과와 마케팅기법의 활용. 상호작용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매체가치가 가장 높았다. 인터넷은 별다른 차별적 특징을 갖지 못하고 대부분 측면에서 매체가치가 낮게 평가됐다. 이는 앞으로 인터넷이 새로운 차별적 혜택을 구축하지 못한다면 다른 디지털 광고매체에 의해 추월당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모바일과 DMB는 ``이동성``와 ``타겟 선별성``에서 매체가치가 높게 평가됐으며, 두 매체 모두 커뮤니케이션 효과 측면 보다는 마케팅기법의 활용 가치가 높게 평가됐다. 그러나 광고주 인식 속에 두 매체는 유사한 광고매체로 인식되고 있어, 앞으로 이들 매체의 차별적인 포지셔닝 전략이 중요한 관건이 될 수 있음이 본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As the various kinds of new media emerge under the digital convergence trends, harsh competition is expected to among them. It needs to adopt an effective positioning strategy for the digital media to grow to be a major advertising ones. This study surveyed 60 advertisers regarding how they perceived interactive TV, mobile, internet and DMB service as the digital advertising media about its competitive status and media value respectively. First of all, Interactive TV service was estimated the highest in its various aspects, such as communication effect, marketing effect and interactivity effect. Internet was appraised for the lowest in most parts without having the distinct differentiation. This meant that if the advantageous strengths of the internet were not properly recognized, it would be surpassed by the other digital media. Mobile phone and DMB Service was evaluated favorable for its mobility and target selectivity, and marketing effect rather than communication effect. But this survey proved that each medium should adopt a positioning strategy which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competing media, because Mobile phone and DMB Service were recognised as the similar for the advertisers` perception.

      • 매체 문식력(Media Literacy)을 통한 한국어 쓰기 교수·학습 연구

        이미향 시학과언어학회 2012 시학과 언어학 Vol.0 No.23

        이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의 능동적 쓰기 활동을 위해 매체문식력을 적용한 한국어 쓰기 교수·학습을 논하는 것이다. 복합언어양식으로 의사소통하는 다매체 시대에는 매체 문식력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게다가 한국어 학습자는 문화 간 의사소통으로 한국어를 이해하므로, 의사소통 훈련에 문화 간 의사소통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매체 문식력을 통한 문화 간 의사소통을 한국어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한다면, 한국어 학습자는 이해한 바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의사소통에서의 매체 문식력,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이해와 표현이 연계된 쓰기 활동 이 세 가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보이기 위해, 먼저 다매체 시대의 언어 행위, 매체언어, 그리고 매체언어의 교육적 효용을 논함으로써 다매체 시대 매체 문식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교육에서 매체언어를 접목하고 있는 현실을 확인하고, 매체 문식력을 적용한 한국어 쓰기교수·학습의 절차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학습자는 수용 1단계에서 복합양식을 매체 문식력으로 해독하고, 수용 2단계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으로써 메시지를 이해한다. 다음으로 적용 단계에서 언어생활 자료에서 매체 문식력을 경험하고 그 경험을 교수자 및 학습 동료와 나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표현 활동은 소극적 생산을 포함한 적극적 생산에 더욱 용이하게 도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미 다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육이 교실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교수 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적합한 교수·학습의 틀은 수업의 실제에서 다양한 교육 자료와 교육 설계를 산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육에서의 교수매체의 역사와 활용에 대한 논의

        유윤영(Yoo, Yoon-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매체 적용의 문제와 교수매체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하고자 유아교육에서의 교수매체의 역사와 활용을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육은 교수매체의 활용이 활발한 분야로, 매체의 제작에서 매체의 활용으로 교수매체의 양상은 유아교육의 교육사적인 흐름과 더불어 변화하고 있으며, 둘째, 다원화 시대를 맞이하여 교수매체 분야에도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이러한 견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수매체나 교수-학습방법 측면을 넘어 교육철학적인 차원에서 이해 되어야 하며, 셋째, 교수매체가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 매체는 교육과정 속에서 유의미하게 통합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컴퓨터를 활용할 경우 경험을 공유한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현장에서 교수매체 활용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교수매체 활용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discusses on the history and use of instrumental medium for solve problems of medium application and efficient practical use of instrumental medi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n active field use of instructional medium and use of instrumental medium was influenced by change of education history. Second, various opinions about using of instrumental medium should be understood from philosophical viewpoint which teaching-learning viewpoint is not. Third, use of instrumental medium should be made meaningful integration of technology in curriculum. Fourth, after children"s use computer it should be able to share offering an opportunity that do interaction with p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