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ANK 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에 따른 최적화 프로그램 개발

        맹승진 ( Seungjin Maeng ),김다예 ( Daye Kim ),윤현철 ( Hyeoncheol Yoon ),황주하 ( Juha Hwang ),김원범 ( Wonbeom K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농업용 저수지의 모의된 유입량을 TANK 모형에 의해 산정하고 관측된 유입량과 비교하였다. 관측유입량과 모의유입량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우선적으로 TANK 모형 매개변수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민감도 분석을 위해 토지이용도, 유역면적, 유효저수량 등을 이용하여 대표 저수지를 선정하였다. 대표 저수지의 특정년을 대상으로 고수시와 저수시로 구분하여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결과 유입량이 고수시에는 A2, HA2, A1, A0 순으로, 저수시에는 HA2, A2, B1, B0 순으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즉 고수시에는 1단 TANK 중심의 계수로 민감하였으며 저수시에는 1단 TANK 중심의 계수로 민감하게 나타났다. 고수시와 저수시를 모두 고려하면 매개변수가 A2, HA2, B1, B0순으로 민감하게 나타났다. 또한,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190개의 저수지에 대한 매개변수 최적화를 실시하였다. 190개 저수지의 매개변수 초기값은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1)에서 결정된 중권역별로 제시된 값으로 적용하였다. 즉 해당저수지가 1001중권역에 포함되어 있으며 수자원장기종합계획 1001 중권역에 해당하는 매개변수를 초기값으로 하였다. 저수지별로 TANK 모형의 매개변수 초기값을 기준으로 매개변수의 민감도 순(B1, B0, A0, HA1, A1, C1, C0, D1 순)으로 초기값을 기준하여 최소 -50%, 최대 50%로 하고 5% 간격으로 매개변수를 변화해 가면서 목적함수인 NSE(Nash-Sutcliffe Efficiency)와 체적비(Ratio Of Volume, ROV))가 1에 가깝게 산정되는 매개변수 군을 최종 매개변수로 결정하였다. TANK 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을 통한 매개변수 최적화 프로그램은 미계측 저수지를 대상으로 저수지 유역 특성이 유사한 저수지의 유입량 산정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내 인사·조직 분야의 성과변수 연구동향 및 향후 연구방향

        김기태(Ki tae Kim),최병권(Byoung Kwon Choi)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1 No.4

        국내의 인사·조직 분야의 연구들은 개인, 그룹, 조직 수준의 성과변수에 대해 관심을 갖고 각 수준별 성과의 선행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 등을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처럼 성과변수를 다룬 연구는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리뷰 함으로써 과연 어떠한 성과변수들이 활용되고 있는지, 어떠한 방식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성과변수와 관련하여 어떠한 변수들이 실증연구에서 다루어져 왔는가를 되돌아보는 노력은 부족하였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 그룹, 조직 수준에서 성과변수를 다룬 국내 인사·조직 분야의 선행연구의 리뷰를 통해 현재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정리하고, 향후 성과변수를 다루는 연구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연구를 수행해 나갈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인사조직연구, 경영학연구 등 3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창간호부터 2015년까지 출간된 156편의 논문이다. 분석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전반적 연구현황 부분으로서 연도별 성과연구 현황, 연구종류(경험연구, 개념연구, 메타연구), 분석수준(개인, 그룹, 조직) 등의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둘째, 분석수준별 연구현황 분석 부분으로서 개인·그룹·조직 수준별로 성과유형, 성과측정(측정방식, 자료수집원천, 성과측정주체), 연구설계(종단적, 횡단적), 연구표본, 연구형태, 실증연구의 변수(선행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 결과변수 등)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그 간의 성과변수를 다룬 연구들의 공헌점 및 한계점을 요약·정리하였으며, 성과변수와 관련한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Lots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management in Korea have put their attention on performances at the level of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 and have tried to identify how performances can be enhanced and what variables are related to performances. Likewise, the number of studies considering performance variables in field of management of Kore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re has been few efforts of qualitative review on what types of performance variables have been addressed, how those performance variables have been researched, and what kinds of variables have been examined as predictors, mediators, and moder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156 studies including performance variab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the three academic journals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field of management of Korea.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is study comprises two parts. First, in the general overview section, we summarized a number of trends in the aspect of publication year, research type (conceptual, empirical, meta study), level of analysis (individual, group, organizational), research area. Second, in the trends at the level of analysis section, we analyzed and summarized the key features of existing research, according to types of performance variables, way of measurement, source of performance data, research design, sample, research model, and various types of variables examined in the empirical studies. Then, based on the analyses, we discussed the contributions as well as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es on performance variables, and suggested som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regarding performance variables at the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 respectively. Finally, we delineated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유역특성인자를 활용한 Sacramento 장기유출모형의 매개변수 지역화 기법 연구

        김태정,정가인,김기영,권현한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10

        미계측유역의 유출량 모의는 수문학 분야에서 필수적인 사항이다.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유출량을 모의하기 위한 핵심사항은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불충분한 수문자료로 인해 매개변수 추정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불확실성 반영을 위한 Bayesian 통계기법 기반의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를 지역화 하는 것이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Sacramento 강우-유출 모형에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기법을 연계한 Bayesian Sacramento 강우-유출 모형을 사용하여 계측유역을 대상으로 13개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고 각 매개변수의 사후분포를 도출하였다. 둘째, 매개변수와 유역특성인자 사이에 회귀특성을 얻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유역특성을 고려한 지역화 매개변수를 결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산정된 지역화 매개변수를 계측유역에 전이하여 유출량을 모의 후 통계적 효율기준인 N-S계수, 일치계수 및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지역화 매개변수 검증을 수행하였다. The simulation of natural streamflow at ungauged basins is one of the fundamental challenges in hydrology community. The key to runoff simulation in ungauged basins is generally involved with a reliable parameter estimation in a rainfall-runoff model. However, the parameter estimation of the rainfall-runoff model is a complex issue due to an insufficient hydrologic data. This study aims to regionalize the parameters of a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in conjunction with a Bayesian statistical technique to consider uncertainty more precisely associated with the parameters. First, this study employed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scheme for the estimation of the Sacramento rainfall-runoff model. The Sacramento model is calibrated against observed daily runoff data, and finally, the posterior density function of the parameters is derived. Second, we applie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o the set of the parameters with watershed characteristics, to obtain a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pairs of variables. The proposed model was also validated with gauged watersheds in accordance with the efficiency criteria such as the Nash-Sutcliffe efficiency, index of agreement an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 KCI등재

        완전매개 결과의 타당성과 통제변수의 활용 : 국내 교육학 분야를 중심으로

        김용남(Yongnam Kim),양혜원(Hye-Won Y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4

        완전매개는 주어진 매개변수를 거치지 않고서는 원인변수가 결과변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없는 특수한 구조적 상황을 가리킨다. 본 연구에서 지난 이십년 간 국내 교육학 분야 학술지에 출판된 연구물을 검토한 결과, 전체 901건의 매개분석 적용 논문 중 약 20%에서 완전매개를 보고하고 있었다. 원인-결과 간의 작동기제를 완벽하게 설명했다는 완전매개의 실질적 의미를 감안할 때, 이러한 비율의 타당성에 관한 합리적인 의문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매개분석 적용 연구에서 확인되는 통제변수의 소극적 활용이 거짓 완전매개 보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론적 설명을 시도한다. 특히 본 연구는 인과그래프 혹은 인과구조모형 접근을 적용하여, 매개분석에서 교란효과의 통제실패가 초래하는 문제점에 대해 보다 직관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교란효과로 인한 편향의 증폭과 상쇄 현상이 소개된다. 이러한 주장에 대한 시뮬레이션 증거를 제공하고, 통제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완전매개 결과의 타당성에 대해 논의한다. Full or complete mediation is a phenomenon embedded in a specific causal structure where a putative cause directly affects a putative outcome. Investigating research papers using mediation analysis in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s published in the last twenty years, this article found that about 20% of them reported the full mediation results. Considering the substantive interpretation of full mediation and our current research practice, this high rate of the full mediation report is somewhat questionabl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failure of controlling for confounding in mediation analysis can result in a false full mediation result. A more intuitive explanation of the reason is provided using the causal graphical models approach. In particular, two phenomena of bias-amplification and bias-offsetting are theoretically explained and corresponding simulation evidence is provided.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validity of the full mediation reports when the no confounding assumption is violated in mediation analysis.

      • HEC-HMS의 매개변수 선정에 따른 PMF 특성 분석

        황주하 ( Juha Hwang ),시강 ( Shi Qiang ),김형산 ( Hyungsan Kim ),맹승진 ( Seungjin Maeng ),이순혁 ( Soonhyuk Lee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최근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인해 이상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상홍수로 인해 수해 규모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지성 호우로 인한 피해규모도 증가하고 있어 홍수량과 설계홍수량에 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연최대 홍수량의 발생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하는 PMF 추정에 관해 분석하였다. PMF의 신뢰성 있는 산정을 위해서는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위도를 우리나라 유출특성을 고려하여 검토하고 매개변수 중 저류상수(K), 집중시간(Tc) 및 기저유량(감수상수, 초기기저유량, 및 Threshold 유량) 등을 산정하기 위해 수문곡선상에서 독치하여 추정시 변곡점 선정 및 검증방안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유역인 남강댐의 14개 호우사상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매개변수 결정의 중요성을 판단하기 위해 신뢰성이 있는 HEC-HMS 유출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표 단위도 선정을 위해서 관측치를 활용한 최대 단위도 개념을 적용하여 HEC-HMS에 의해 추정되는 PMF는 초기 매개변수 값의 결정에 의해 값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매개변수간 민감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매개변수의 초기값 선정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최적화를 통해 최대개념의 매개변수를 선정하여 HEC-HMS 모형에 의해 PMF를 추정한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선된 최대매개변수 방법의 적용성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 KCI등재

        유역특성인자를 활용한 Sacramento 장기유출모형의 매개변수 지역화 기법 연구

        김태정,정가인,김기영,권현한,Kim, Tae-Jeong,Jeong, Ga-In,Kim, Ki-Young,Kwon, Hyun-Han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10

        미계측유역의 유출량 모의는 수문학 분야에서 필수적인 사항이다.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유출량을 모의하기 위한 핵심사항은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불충분한 수문자료로 인해 매개변수 추정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불확실성 반영을 위한 Bayesian 통계기법 기반의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를 지역화 하는 것이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Sacramento 강우-유출 모형에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기법을 연계한 Bayesian Sacramento 강우-유출 모형을 사용하여 계측유역을 대상으로 13개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고 각 매개변수의 사후분포를 도출하였다. 둘째, 매개변수와 유역특성인자 사이에 회귀특성을 얻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유역특성을 고려한 지역화 매개변수를 결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산정된 지역화 매개변수를 계측유역에 전이하여 유출량을 모의 후 통계적 효율기준인 N-S계수, 일치계수 및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지역화 매개변수 검증을 수행하였다. The simulation of natural streamflow at ungauged basins is one of the fundamental challenges in hydrology community. The key to runoff simulation in ungauged basins is generally involved with a reliable parameter estimation in a rainfall-runoff model. However, the parameter estimation of the rainfall-runoff model is a complex issue due to an insufficient hydrologic data. This study aims to regionalize the parameters of a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in conjunction with a Bayesian statistical technique to consider uncertainty more precisely associated with the parameters. First, this study employed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scheme for the estimation of the Sacramento rainfall-runoff model. The Sacramento model is calibrated against observed daily runoff data, and finally, the posterior density function of the parameters is derived. Second, we applie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o the set of the parameters with watershed characteristics, to obtain a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pairs of variables. The proposed model was also validated with gauged watersheds in accordance with the efficiency criteria such as the Nash-Sutcliffe efficiency, index of agreement an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 KCI등재

        홍수기 신흥천 유역의 단위유량도 선정

        김형산,맹승진,심지훈,김태우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모델인 HEC-HMS를 사용하여 홍수기 강우-유출의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신흥천 유역에 적합한 단위유량도를 선정하였다. 각 단위유량도의 초기 매개변수는 국내 적용사례가 많은 경험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고 유출곡선번호는 선행함수조건 AMC-Ⅲ에 따라 81로 추정하였다. 2011년 호우사상을 대상으로 단위도별 매개변수를 보정하여 최적의 매개변수를 산정하고, 2012년 호우사상을 사용하여 매개변수 검정을 실시하였다. 보정과 검정을 통해 모의한 유출량은 통계적 변량인 상대평균제곱오차와 상대절대오차를 이용하여 각 단위유량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Snyder 단위유량도의 오차가 타 단위유량도에 비해 대체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또한 각 단위유량도의 유의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원분산분석의 결과 유의수준 5%에서 각 단위유량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양질의 실측 유량자료와 선정된 최적매개변수 및 단위유량도를 사용한다면 보다 신뢰도 높은 유출량을 모의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분포형 모형에서의 유출 매개변수 추정에 관한 연구

        이재준,이성호,곽창재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some runoff parameters for using COBRA model which is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COBRA model has been developed to estimate the runoff of composite urban basin in 2012. Some runoff parameter which are total porosity, residual water contents, and pore-size distributions are analyzed for the validity about the their estimates. The Guryang watershed of Yongdam test bed is selected as experimental region. Runoff hydrograph between observed one and simulated one which is used mean value of runoff parameters are compared for 8 historic rainfall-runoff events. It is shown that simulated one is underestimated in comparison with the observed one in terms of peak discharge in this case. Therefore an additional sensitivity analysis is fulfilled to seize the sensitivity of some runoff parameters. The range of runoff parameters is covered from 75% to -75% of their mean values. The COBRA model is considered to be drawn properly as following results that are Total porosity and pore-size distributions were shown in inverse relation to the peak discharge, and otherwise residual water contents was shown in proportional relation. By applying the sensitivity analysis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arameters sets in terms of 6 kinds of soil drainage classes in Guryang watershed, a default value of some runoff parameters is proposed for using COBRA model. The fitness of runoff hydrograph between observed one and newly simulated one was examined to be higher than that of before correction in accuracy. 본 연구에서는 산지와 도시가 혼재된 복합유역의 유출분석을 위해 2012년 개발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COBRA 모형을 사용하여 유출 매개변수 추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용담 시험유역의 구량천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공극률, 잔류함수비, 공극분포와 같은 유출 매개변수 추정에 대한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출 매개변수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8개 강우사상에 대한 관측 유출수의 첨두유량이 약간 작게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극률, 잔류함수비와 공극분포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민감도 분석을 위한 유출 매개변수의 범위는 평균값의 75%에서 -75%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공극률과 공극분포는 첨두유량과 반비례관계이고 잔류함수비는 첨두유량과 비례관계인 것으로 분석되어 COBRA 모형의 결과가 정상적으로 도출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민감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량천 유역의 6가지 배수등급에 따라 매개변수의 값을 분류하였고 COBRA 모형에 유출 매개변수의 제안된 값을 적용하였으며, 관측 유출수문곡선과 매개변수 설정 후 유출수문곡선의 적합도 분석결과 매개변수 설정 전에 비해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검토되었다.

      • KCI등재

        합천댐 저수지에서의 시공간적 수온모의를 위한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김보람,강부식 한국수자원학회 201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6 No.12

        다목적댐 저수지는 여름철에 발생하는 성층현상이 발생하고 가을철에는 성층화된 저수지의 밀도 차로 인한 전도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저수지의 시공간적 수온분포의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며, 이를 정확히 모의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수온에 작용하는 관련 매개변수의 작용특성을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합천댐 저수지를 대상으로 횡방향 평균 2차원 저수지 수리 수질 해석모형인 CE-QUAL-W2를 적용하여 저수지내 발생하는 수온성층, 탁수의 거동 및 수질을 예측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수온모의를 통해 합천댐 저수지에 적합한 수온 매개변수 산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모델에서 합천댐 수온모의와 관련된 매개변수 중 바람차폐계수(WSC), 복사열계수(BETA), 빛소멸계수(EXH2O), 바닥 열교환계수(CBHE)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민감도가 높은 기간을 확인한 결과 WSC, BETA, EXH2O는 공통적으로 4∼9월, CBHE는 8∼11월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매개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수심대를 확인한 결과 BETA는 0∼9 m, EXH2O는 8∼14 m 구간으로, 수표면과 가까운 표층과 수온약층, CBHE는 바닥에서부터 12 m 구간으로 심층구간에서 영향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단위 혹은 각월에서의 최적매개변수를 적용한 결과 WSC와 CBHE 매개변수는 모의온도의 편차가 그다지 크지 않았으나, BETA와 EXH2O의 경우 연단위와 월단위 최적매개변수 적용 시 모의수온편차가 각각 월평균 0.20℃와 0.51℃로 다소 큰 값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수온이 최대로 상승하는 5∼8월 중에는 0.4℃와 1.09℃의 편차를 보여 월단위 매개변수사용의 필요성이 뚜렷이 확인되었다. 이는 현재 저수지수질모형의 검보정에서 입력요구조건에 따라 혹은 관행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단위 매개변수의 사용에 있어서 월단위로의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have implemented finding the optimal water temperature parameter set for Hapcheon dam reservoir using CE-QUAL-W2 model. In particular the sensitivity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four water temperature parameters of wind sheltering coefficient (WSC), radiation heat coefficient (BETA),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EXH2O), heat exchange coefficient at the channel bed (CBHE). Firstly, WSC, BETA, EXH2O shows relatively high sensitivity in common during April to September, and CBHE does during August to November. Secondly, as a result of identifying depth range of parameter influence, BETA and EXH2O show 0∼9 m and 8∼14 m which is thermocline layer close to water surface, CBHE is deep layer 12 m away from bottom. Finally, applying annual or monthly optimal parameter sets indicates that the bias between two sets does not show much differences for WSC and CBHE parameters, but BETA and EXH2O parameters show 0.20℃ and 0.51℃ of monthly average biases for two parameter sets. In particular the bias reveals to be 0.4℃ and 1.09℃ during May and August that confirms the necessity of use of monthly parameters during that season. It is claimed that the current operational custom use of annual parameters in calibration of reservoir water quality model requires the improvement of using monthly parameters.

      • KCI등재

        추계학적 강우모형의 매개변수 변동을 통한 서울지역 여름철 강우 변동특성 분석

        조현곤,김광섭,이재응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8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변동특성 분석에 있어 기존의 접근법인 지속기간별 강우량의 변화 분석을 통하여 얻는 데 한계가 있는 강우의 구조적 변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계학적 강우모형을 이용하였다. Neyman-Scott 구형펄스 모형(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 NSRPM)은 점 과정을 이용한 추계학적 강우생성 모형으로 시간단위 강우를 생성함으로써 수문학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강우특성과 관련한 5개의 매개변수로 구성되어있다. 각 매개변수는 물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서울지점의 1973~2011년 여름철 시강우자료를 이용하여 NSRPM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추정된 매개변수의 변화를 분석하여 강우의 구조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기존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In this study a stochastic rainfall generation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variability of rainfall events since it has limitations in the traditional approach of measuring rainfall variability according to different durations. The NSRPM(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 is a stochastic rainfall generation model using a point process with 5 model parameters which is widely used in hydrologic fields. The five model parameters have physical meaning associated with rainfall events. The model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hourly rainfall data from 1973 to 2011 at Seoul stations. The variability of model parameter estimates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results of tradition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