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주국의 국적법을 둘러싼 딜레마: 조선인의 ‘이중국적’문제

        최봉룡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9

        본 논문은 만주국의 국적법을 제정하기 위한 논의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기본 원칙과 목적 및 내재적인 모순논리를 살펴봄으로써 만주국 속에서 이른바 조선인의 ‘이중국적’문제를 고찰하였다. 근대국가의 상징적인 부속물로서 출현된 국적법은 흔히 한 국가의 국민으로서의 신분 또는 국민(혹은 공민)이 되는 자격 취득과 상실 및 회복에 관한 법률을 말한다. 또한 국적법은 대체로 출생주의와 혈통주의 및 출생과 혈통이 결합된 원칙, 그리고 각 국가의 역사 전통과 구체 상황에 따라서 법률적인 수단을 통해 그 국가에 귀속되는 국민들의 국적을 확정한다. 때문에 국적법은 각 국가에 따라 다양하게 표출된다. 1932년 3월 1일 ‘독립국가’를 표방하면서 성립된 만주국은 국적법을 ‘국가 존립요소’로서 주목하면서 이른바 ‘만주국 국민’ 혹은 ‘만주인’의 정체성을 창출하려고 했다. 그리하여 만철경제조사위원회, 관동군 특무부, 만주국 총무청 및 일본법계 학자들이 만주국 국적법에 관한 ‘초안’과 ‘문건’ 및 논문을 통하여 그 기본 원칙, 국적(국민)의 범위 및 ‘이중국적’과 ‘단일국적’ 및 ‘무국적’ 등 문제를 둘러싼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만주국이 국적법을 제정하기 위한 그 기본 목적이 만주국의 ‘독립성’과 ‘합법성’ 및 ‘정체성’을 현시하기 위한데서 부터 출발했음을 지적했다. 즉 첫째는 만주국의 국적법을 ‘국가 존립의 요소’로 주목하면서 ‘독립국가’의 틀을 만들려는데 있었고, 둘째는 만주국의 국적법을 통해 ‘만주국인’ 혹은 ‘만주국민’이란 새로운 정체성을 창출하려는데 있었으며, 셋째는 만주국의 국적법을 통해 만주국 내 중국인과 ‘중화민국인’의 연원관계를 차단하고 일본인의 지배적 위상을 확보하려는데 있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만주국의 기본 구성분자-‘오족’과 기타 외국인으로 구성된 복합민족(다민족)에 대하여 국적을 확정함에 있어서 자체적 논리모순을 밝혔다. 즉 첫째로 근대 국적법의 보편적인 원칙으로서 ‘혈통주의’와 ‘출생주의’는 만주국 국적법에 적용될 수 없었다. 둘째로 민족차별주의 논리에서 출발한 국적법 제정원칙- ‘강제주의’와 ‘비강제주의’는 만주국이 건국이념으로 표방되었던 ‘오족협화’, ‘평등대우’에도 배리되었다. 셋째로 민족월등주의에 입각하여 조선인을 포함하는 일본인의 ‘이중국적’과 기타 외국인의 ‘단일국적’은 동일한 ‘만주국인’의 정체성을 표상할 수 없었다. 특히 만주국에서 일제가 창출했던 이른바 ‘五族協和’, ‘內鮮一體’ 및 ‘鮮滿一如’ 등 식민지 지배논리가 담고 있던 이율배반적인 딜레마에 빠져들었다. 만주국 총무청의 주도로 ‘국적법제정주비위원회’를 구성하고 협의를 거쳐 만주국 국적법을 입안하려고까지 했지만, 결국은 최종적으로 만주국의 종말과 함께 수포로 돌아갔다. 또한 필자는 만주국의 조선인에 대한 지배정책을 통해 일제의 그 지배논리는 이율배반적으로 표출되었음을 지적했다. 즉 만주국 내에서 조선인은 ‘황국신민’ 혹은 ‘2등 국민’으로 취급되었지만, 실질적으로 일제의 민족분리 책략에 따라 鮮系에 대한 日系의 지배원리에서 작동되었음을 밝혔다. 또한 국적법의 시각에서 본다면 만주국 내 조선인들은 ‘일본신민’이자 또한 ‘만주국 국민’이라는 ‘이중국적’문제는 근 ...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dual nationality of Korean in Manchuria through various basic principles, purpose and inner dialectic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for enacting the Manchukuo Nationality Law. In modern countries, the symbolic appendage is the appearance of nationality law. Nationality law is about take, lose and reinstatement of qualifying as a nation. It was also confirmed by some principles of jus soli, jus sanguinis, combine of jus soli and jus sanguinis. Also people’s nation is confirmed by a nation’s history, traditions and some other situations. March 1st in 1932, Manchukuo formed as ‘independent country’. Nationality law had received wide attention as ‘component of national existence’ in Manchukuo, so that tried to create identity of ‘nation of Manchukuo’ or ‘Manchuria’. So The Mantie滿鐵 Economic Board of Inquiry, Spy Department of Kwantung Army, Manchukuo Ministry of Public Management and Japan law scholars considered the problems about basic principles, range of nationality(nation) and ‘dual nationality’, ‘single nationality’ and ‘statelessness’ by ‘draft’, ‘document’ and thesis about nationality law. In my treatise the basic purpose of enacting nationality law for revelation ‘independence’, ‘legitimacy’ and ‘identity’. In other words, first, nationality law of Manchukuo is considered ‘component of national existence’ for creating a frame of ‘independent country’. Second, create identity of ‘nation of Manchukuo’ or ‘Manchuria’ by enacting nationality law. Last, shut off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in Manchuria and ‘Nationals of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n secure the Japanese own high stature by enacting the nationality law. In this paper, I have clarified contradictions about dividing ‘five ethnic’-the basic elements of Manchukuo and ‘composite nation’ including other foreigners. First, As a general rule of modern nationality law, ‘jus sanguinis’ or ‘jus soli’ cannot be applied to nationality law of Manchukuo. Second, ‘five ethnic harmony’ and ‘being treated equally’ which Manchukuo formed as founding principles do not come up with the rule of enacting nationality law from racist. Third, Korean and Japanese could take dual nationality from ethnic superiority. But other foreigners could take ‘single nationality’. Therefore it means the identity of ‘Manchuria’ is not united. Especially slogans such as ‘five ethnic harmony’,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and ‘Unity in Chosun and Manchuria’ etc. faced with the dilemma of antinomy. While ‘arrangement of enacting nationality law committee’ formed by Manchukuo Ministry of Public Management in order to draft nationality law of Manchukuo went down the drain when Manchukuo went away. The study also attempts to clarify Japanese logic of rule is antinomy by rule policy for Korean in Manchukuo. Korean in Manchukuo were treated as ‘imperial subject’ or ‘No.2 nation’. And it just was slaving principle of national separatism in practice. Korean in Manchuria had dual nationality, not only ‘Japanese subjects’ but also ‘nation of Manchukuo’. So the problem of dual nationality did not even exist. In fact, Korean in Manchuria were statelessness.

      • KCI등재

        ‘해식문학’, 류샤오리의 만주국 문학 비평에 대한 비판적 독해

        노정은 ( Roh Jung-eun ) 중국학연구회 2023 중국학연구 Vol.- No.104

        본 논문은 만주국 문학에 대한 류샤오리의 주요 개념과 비평적 시각을 살펴보았다. 류샤오리는 ‘(위)만주국 문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면서 친일문학을 포함한 만주국 작가와 작품을 전면적으로 정리, 분류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류샤오리는 만주국 문학을 유형화하는 개념을 제시하는데, 이러한 개념들은 ‘협력’과 ‘저항’이라는 만주국 문학에 대한 기존 문학사의 담론 구도를 비판하면서 만주국 문학을 중국 현대문학사 내부에서 재구성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류샤오리는 자신의 문학 개념으로 그동안 연구대상에서 배제된 작품과 자료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부여하고, 그들의 문학을 ‘해식문학’이라는 개념으로 재해석한다. 그러나 만주국 문학의 유형화 개념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류샤오리는 만주국 문학이 지닌 저항적 의미를 과도하게 부여하면서 그 개념의 논리적 한계를 드러낸다. 만주국 문학의 저항적 의미가 우선적으로 고려될 때, ‘해식문학’은 식민지 현실의 양가성을 읽어내는 방법론이 아니라 다시 편협한 민족주의 시각에 종속되는 성격으로 제한될 수 있다. 나아가 류샤오리는 두아라의 만주국 문학 논의가 지나치게 관념적이고 낭만적이라고 지적하면서, 두아라가 서구의 탈식민 이론을 토대로 만주국문학의 식민성을 해석하면서 식민지 경험의 구체성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예를 들어 산딩의 『녹색의 골짜기』 분석에서 두아라가 ‘녹림의 순수성’을 근거로 만주국 향토를 해석하는 시각은 그 공간을 균질적인 이상화된 상상의 공동체로 설정하게 된다고 비판한다. 류샤오리는 이 작품의 향토성 논의에서 토지를 매개로 하는 다양한 주체 사이에 길항관계를 강조한다. 류샤오리의 향토성 분석은 제국과 식민, 전근대와 근대, 국가와 지방, 도시와 산림의 가치가 충돌하고 경합하는 경계성을 지닌 만주국의 로컬리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해식문학’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민족을 고정된 단위로 하는 민족문학의 시각이 아니라,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민족적 차원의 억압을 받으면서도 그 내부에 다양한 정도의 예속을 내포하는 주체들의 경계성을 포착할 때, 류샤오리의 ‘해식문학’은 만주국 문학에 대한 다층적인 해석의 가능성을 갖게 될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Liu Xiaoli’s analysis of Manchukuo literature, categorizing works and authors as “Literature of Puppet Manchukuo” and introducing the ideas of “collaboration” and “resistance.” Liu Xiaoli aims to reconstruct Manchukuo literature within the context of Chinese modern literary history by assigning literary significance to previously excluded works as “Lyo-Colonial Literature.” However, his excessive emphasis on resistance as the primary meaning of Manchukuo literature can limit his concepts to narrow nationalism rather than revealing the ambivalence of colonial reality. On the other hand, Liu Xiaoli critiques the overly conceptual nature of Duara’s discussion of Manchukuo literature and highlights the problem with approaching it through the framework of Western decolonial theory. For instance, Liu Xiaoli points out that Duara’s interpretation of Manchukuo’s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uthenticity of the forest” in Shanding’s “Green Valley” analysis results in an idealized, homogeneous imagining of the space. In contrast, Liu Xiaoli emphasizes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agents mediated by land ownership in the discuss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is work. Such analysis highlights the potential of “Lyo-Colonial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presenting the locality of Manchukuo, where imperial and colonial forces collided and competed, as opposed to viewing it through a Chinese-centric national literature framework that fixes the nation or ethnicity as a rigid unit. Therefore, to study Manchukuo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t from a regional perspective that reflects its unique historic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a Chinese-centric perspective that fixates on the nation or ethnicity as a static unit.

      • KCI등재

        만주국의 패망 전후 일제 식민당국의 동태와 사회 분위기

        윤휘탁 중국사학회 2023 中國史硏究 Vol.- No.144

        This article is intended to vividly shed light on the movements of Japanese and Manchukuo authorities and the atmosphere of Manchukuo society around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collapse of Manchukuo through the war memories of the officials and local experienced people in Manchukuo. On August 9, 1945, with the vacuum of the Soviet army, the ruling system of the Manchukuo government was rapidly disintegrated. Government facilities and munitions depots were looted and anarchy ensued. The leadership of the Kwantung Army and the government of Manchukuo retreated to the Tonghua(通化) area in dismay. On August 17, the abdication ceremony of the emperor of Manchukuo was held in Linjiang(臨江) County, Tonghwa Province. By the end of August, the Kwantung Army, the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Manchukuo and northern Korea had all been disarmed. About 600,000 people, including Emperor Puyi(溥儀) of Manchukuo, government officials, soldiers of the Kwantung Army, and executives of Japanese companies, were taken to Siberia. They were forced to work or were held captive, and 60,000 people died in the process. During the colonial rule, Japan propagated Manchukuo as ‘the independent state of ‘WangdaoLetian’(王道樂土). However, when the Japanese emperor surrendered unconditionally and the Kwantung Army in Manchukuo was destroyed by the Soviet Army, Manchukuo immediately collapsed. This shows that Manchukuo, as a member of the Japanese Empire, was a puppet state that responded to Japan's imperialist aggression. At the same time, it suggests that the collapse of Manchukuo acted as a catalyst in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modern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이글은 만주국 관계자와 현지 경험자의 전쟁기억을 통해 만주국 붕괴 전후 시기 일본 및 만주국 당국의 움직임과 만주사회 분위기를 생생하게 조명하려는 것이다. 1945년 8월 9일 소련군의 진공으로 만주국 정부의 통치체제는 급격하게 와해되었다. 정부 시설물이나 군수창고는 약탈당했고 무정부 상태가 도래했다. 관동군과 만주국 정부의 수뇌부는 혼비백산해서 통화지역으로 퇴각했다. 8월 17일 通化省 臨江縣에서는 만주국 황제의 퇴위식이 열렸다. 8월 말까지 관동군, 만주국과 조선북부에 주둔한 일본군은 모두 무장을 해제당했다. 만주국의 황제 푸이(溥儀)와 관료, 관동군 장병, 일본기업 간부 등 약 60만 명이 시베리아로 연행되었다. 그들은 강제노동에 종사하거나 억류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6만 명이 사망했다. 일본은 식민통치 시기 만주국을 ‘王道樂土의 독립국’이라고 선전했다. 그렇지만 일본천황이 무조건 항복하고 만주국의 관동군이 소련군에게 궤멸되자, 만주국은 곧바로 붕괴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만주국이 일본제국의 일원으로서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에 부응한 괴뢰국가였음을 보여준 것이다. 동시에 만주국의 붕괴는 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 변동과정에서 촉매제로 작용했음을 짐작하게 해주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만주국의 선전전과 라디오 방송

        강희주 만주학회 2010 만주연구 Vol.- No.10

        본 논문은 만주국의 국민국가 형성과 제국 질서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만주국 라디오 방송의 전개 과정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 시도이다. 20세기전반은 국가의 통제 아래 라디오가 국민의 창출에 적극적으로 이바지했던시기였다. 만주국에서도 제국 일본의 하위 구성원이자 독립적인 국민국가만주국 선전 · 선무의 역사는 남만주철도공사 시기 철도 및 부속 지역의안정적인 지배를 위한 정보수집 및 선전 활동에서 시작되었다. 1932년 독립국가로 건립된 만주국은 괴뢰국의 이미지를 불식하고 국민국가로서의 정당성을 재확인하기 위해 대내외적으로 선전활동에 주력하였다. 특히 중일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총력전 체제를 뒷받침할 국민의 창출이 더욱 시급해졌다. 여기서 만주국은 지리적 · 계층적 경계를 뛰어넘는 월경성과 전파의동시성이라는 라디오의 특징에 주목하였다. 만주의 라디오 방송은 관동주에서 시작되어, 만주국이 건립된 이후에는수도 신징으로 방송의 중심이 옮겨 갔다. 1933년 국책회사인 만주전신전화주식회사가 설립되자 본격적인 방송사업이 전개되었다. 1934년에는 만주국과 관동주 전체를 하나의 방송권으로 묶을 수 있는 100kW 대출력 방송국이 신징에 건설되어, 중국어를 비롯한 기타 언어와 일본어의 이중방송이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기술적 토대와 만주국 정부의 지도 아래 만주전전은 프로그램의 제작 및 송신과 수신기 보급 사업을 전개하였다. 선전도구로서 라디오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달성되어야 할 조건은 수신기의 보급이었다. 만주전전은 염가의 전전형(電電型) 수신기를 개발하고 이를 직접 판매하는 사업까지 담당하여 적극적으로 수신기 보급 활동을 벌였으며, 청취 계약의 증가에 힘을 기울였다. 이와 같은만주전전의 라디오 보급사업은 전파를 통해 국가의 경계를 명시하고 내부의 구성원들을 하나로 묶는 ‘국가 만들기’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라디오 보급 사업의 중심 대상은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계(滿系)주민이었다. 중국계 주민들은 가장 많은 (잠재적) 청취자인 동시에, 만주국이 창출하고자 하였던 ‘만주문화’의 주역이라는 점에서도 방송이 반드시 포섭해야 할 집단이었다. ‘만주문화’는 만주국이 독립국으로서의 자기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로 했던 독자적인 대중문화로, 만주국을 구성하는 다양한 민족들을 아우르면서도 일본이나 중국과는 다른 문화여야 했다. 만주전전은 ‘만주문화’를 방송전파 위에서 실현하기 위해 중국어 프로그램의 제작에 힘을 기울이고, 각 지역별로 러시아어, 조선어 등을 중심으로 하는 다언어 방송정책을 펼쳤다. 이와 더불어 전통음악기록사업 등을 통해 ‘만주문화’의 내용을 채울 ‘만주적인 것’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복합민족국가 만주국에서 일본인의 지위를 위협하지 않으면서 그들의 문화와 구별되는 것을만들어내기는 쉽지 않았다. 오히려 ‘만주문화’의 모색 과정은 제국 질서 안에 존재하는 독립국가 만주국의 딜레마를 뚜렷이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방송보급사업이 대내적인 ‘국가 만들기’사업이었다면, 조선 · 대만 등의식민지와 화북지역 괴뢰정권과의 연계 사업은 제국의 판도를 청각을 통해나타낸다는 점에서 대외적인 ‘제국 만들기’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만주전라는 상반된 정체성을 동시에 가진 ‘만주국 국민’을 만들어내기 위한 도구로 라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development and meaning of radio broadcasting in terms of Manchukuo‘s formation of nation-state and enforcement of imperial regime. In 20th century, radio has contributed in creating nationhood under state's control. Radio was popular also in Manchukuo as a way to create 'Manchurian' who had contradictory identities as a submember of Japan empire and citizen of independent country. Therefore, radio industry in Manchukuo is an important example of state and empire's logic penetrating into people's daily lives and artificially constructing national identity. History of propaganda in Manchukuo starts with information gathering and publicizing with the purpose of stabilizing domination over railway and surrounding areas in times of South Manchuria Railway Corporation. Manchukuo,an independent state established in 1932, focused on international and domestic propaganda activities in order to eliminate impression of puppet state and to reconfirm legitimacy as authentic nation-state. Especially in the Sino-Japanese War period, producing nationhood to support total war became urgent. Manchukuo then took notice of radio in terms of its signal's synchronicity and crossability of border which overcomes regional and class boundaries. Radio broadcasting in Manchuria began in the Kwantung Leased Territory(關東州), and after Manchukuo was established, the system moved to the capital Xinjing(新京). In 1933, the state-run company, Manchuria Telegram and Telephone Corporation, or MTT, was established and broadcasting industry got into its stride. 100kW output broadcasting station was constructed in Xinjing that could link whole Manchukuo and Kwantung Leased Territory which enabled dual language broadcasting in Chinese, etc. and Japanese. Based on these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Manchukuo government's guidance, MTT began creating and transmitting programs while supplying receivers. Receiver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for the radios to operate as instrument of propaganda. MTT enthusiastically supplied receivers, developing MTT-Type Receiver and selling it by themselves at a reasonable price, hoping to increase listening population. MTT's radio supplying project was a kind of 'nation-building‘project that indicated state's boundary and enhanced unity among state members. The main target of radio supplying project was Chinese citizens which made up most of the population. The broadcasters showed deep interest in Chinese citizens because they had the most (potential) listeners and were supposed to be the leading force of 'Manchurian Culture'. 'Manchurian Culture' was an unique mass culture that Manchukuo needed for its identity as an independent state. It should straddle various races that make up Manchukuo but should also be different from Japanese or Chinese culture. MTT focused on producing Chinese programs and devised a multi-lingual broadcasting policy to use Russian, Korean etc. in each region in order to realize 'Manchurian Culture' through radio wave. MTT also tried to seek 'something Manchurian' that constitute 'Manchurian Culture' through traditional music recording project. However it was difficult to create independent culture without threatening Japanese culture, the culture of leading group, in Manchukuo which is the multi-racial country. Rather, seeking 'Manchurian Culture' became a good example of independent country Manchukuo's dilemma that exists within imperial regime. While radio supplying project was inwardly a 'nation-building' project, bilateral project between colonies such as Korea, Taiwan, and puppet governments in North China was outwardly a 'empire-building' project since it tries to express dynamics of the imperialism through hearing. MTTs broadcasting exchange industry had two issues; to sensually make listeners aware of empire Japan's territory,and to reconfirm Japan(ese) as leading race of Imperial Japan. Before 1941, there were active exchange of broadcast among ...

      • KCI등재

        만주국 여성작가 양쉬(楊絮)의 삶과 문학에 대한 小論 : 작품집 《나의 일기(我的日記)》를 중심으로

        鄭겨울(Jung, Keo-Yul)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1 No.-

        일본의 식민지이자 괴뢰국이었던 만주국의 문학은 각 민족의 다양한 문학적 상상(想像)과 신세대 작가들의 등장을 바탕으로 형성,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만주국 문단에 등장한 여성작가들은 만주국 문학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작품 속에서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고 관찰한 만주국 사회의 모습과 민중들의 삶을 반영하였다. 이 시기 만주국 문화·예술계에 등장한 양쉬(楊絮)는 가수와 배우, 기자, 작가, 편집자 등 다양한 직업을 경험했던 인물로 만주국 문화계와 문단에 있어서도 상당히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특별히 양쉬의 문학은 자신의 경험에 대한 솔직하고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작가의 개성과 주관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만주국의 스타와 평범한 여성의 삶 속에서 끊임없이 교차하고 고뇌하는 개인적 사색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양쉬를 비롯한 만주국 여성작가에 대한 논의는 만주국 문학을 친일문학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편견과 그 속에 드러나는 식민지의 그림자로 인해 해방 이후 오랜 시간 동안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식민지 공간과 문화라는 독특한 배경 하에 성장한 만주국의 여성 작가 양쉬의 삶과 문학을 되돌아보고 그녀의 문학 창작이 지니는 특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나아가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당시 만주국 사회에 등장한 신여성들과 이들이 만주국에서 지니는 사회적 의미 및 중층적 상징성에 대해 고찰한다. The literature of Manchukuo formed and developed due to the diverse literary imaginations of each nation and due to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of writers. During this process, women writers who appeared in the Manchukuo literary circles enriched further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in Manchukuo, reflecting in their works Manchukuo’s society and women’s lives. Yang Xu, who appeared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circles of Manchukuo during this period, worked as a singer, actor, journalist, writer and editor. Yang Xu’s literature reflects the reality of the Manchurian society and of most women. Her works contain authentic and realistic descriptions of her own experiences, personal thoughts and agonies of a life of a star and an ordinary woman living in Manchukuo. Despite this significance, the discussion of women writers of Manchukuo, including Yang Xu,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due to colonial tyranny and social prejudice in the Manchurian literature.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is problem, this paper looks back on the life and literature of Yang Xu, a female celebrity and writer of Manchukuo, who grew up under a unique background of colonial space and culture, and attemp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er literature. Furthermore, based on these contents, it examines the social meaning and symbolism of a new type of women who have appeared in Manchurian society during this period.

      • KCI등재

        만주국 ‘鮮계’ 문학 건설과 안수길

        이해영(李海英),임몽(林夢)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0

        이 글은 안수길의 ‘만주국’시기 창작활동을 만주국 ‘鮮계’ 문학 건설과의 관계속에서 살펴보았다. 만주국 ‘선계’ 문학 건설이란 만주국의 한 구성원으로서 일계, 만계와 함께 만주국 문학장에 편입됨을 의미하며 이는 만주국의 ‘오족협화’이념에 기반한 것이다. 조선에서 날로 강화되는 일제의 ‘내선일체’의 강요에서 벗어나기 위해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 작가들은 같은 일제의 지배논리이기는 하지만 ‘내선일체’ 보다는 ‘오족협화’를 좀 더 나은 것으로 파악했으며 만주국의 지배이념인 ‘오족협화’를 적극 이용하여 만주국에서 조선인 문학을 적극 발전시키려고 하였다. 또한 만주국의 성립과 함께 간도의 조선인 민회 등 단체들은 간도 조선인의 자치를 더욱 강력하게 요구하였으며 만주국 정부 직속의 간도자치론으로 그 방향이 점차 확정되어갔다. 그러나 만주 조선인의 대표적인 작가였던 안수길에게 만주는 선택이 아닌 삶 그 자체였고 그에게서는 여타의 작가들이 보여준 ‘내선일체’와 ‘오족협화’ 사이의 긴장이 없었다. 안수길은 만주국 건국 이전에 조선계 농민들이 만주의 개척과 수전개간에 대한 기여를 통해 조선인의 ‘만주국 국민’의 자격을 확인하였으며 ‘만주국’이 적극 장려하는 유축농업을 발전시키고 농민도를 확립하는 것이야말로 ‘만주국 국민’이 되기 위한 길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농업 만주’의 건설과 ‘수전 개간’에 대한 조선인만이 가능한 특수한 기여를 통해 ‘만주국 국민’이 되어야 한다고 했던 염상섭의 사상과 동일한 맥락에 놓여있다. 안수길은 이러한 ‘만주국 국민’되기의 끝, 즉 최종목표는 만주국의 ‘오족협화’게 기반한 조선인의 ‘자치’라고 보았다. Mainly starting from the interrelationships in the establishment of the Manchu-Korean literature in the Manchu empire, this paper does study on Soogill An’s creative activities during the Manchu empire period. Based on the concept of “the Harmony of Five Nationalities”, the establishment of the Manchu-Korean literature meant that the Manchu-Korean literature as a part of the Manchu empire’s literature, composed the the Manchu empire’s literary field with Japanese and Manchurian literature. With the constantly reinforced “Japan-Korea Integration” policy by Japan, Korean writers who immigrated to the Puppet Manchu empire in order to get rid of high-pressured bondage preferred “the Harmony of Five Nationalities” than “Japan-Korea Integration” and took use of the colonial concept of “the Harmony of Five Nationalities” to develop the Manchu-Korean literature in the Manchu empire. Besides thi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anchu empire, some groups which are like Korean Civic Union in Gando more strongly required the Korean autonomy in Gando and gradually confirmed the direction of building the autonomy in Gando under the the Manchu empire’s government. However, for Soogill An who was the one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writers in the Manchu empire, Manchu is not an option but the whole of his life, so different from other writers he didn’t hesitate between “Japan-Korea Integration” and “Republic of Five Nationalities”. With the fact that before the Manchu empire’s establishment Korean farmers had joined the development of Manchu and contributed to its agriculture, for example, “Paddy Cultivation”, An Soogill believed that those Korean people had the right to become the Manchurian people and to become the Manchurian people, Korean people must develop the “Animal Agriculture” which was encouraged by the Manchu empire and forster farmer’s spirit. This is in the same context with Yoem Sangsub’s idea that Korean people should do special contribution in building “Agricultural Manchu” and “Paddy Cultivation” to get the qualification to become Manchurian people. The final intention of becoming Manchurian people which An Soogill suggested was to realize Korean people’s autonomy on “the Harmony of Five Nationalities”.

      • KCI등재

        滿洲音樂硏究1 : 만주국의 음악정책 전개

        魯棟銀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7 한국문학연구 Vol.0 No.3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m music of Manchuria - a state existed in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for a period from 1932 to 1948. Especially examined were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 of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published by Manchurian Government in 1941, and the development of Manchurian music policy, centering on the organization of a music ban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and the commemorative musical program of the 10th anniversary of national foundation of Manchuria. In the 2 part, the development of anti-Japanese music was examined centering on Korean musicians' activities in Manchuria who were resting on the basis of Manchurian music policy. This study was to establish national identity of Korea. It is because Korean musicians, who took part in musical activities in Manchuria based on Japanese polic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had consistent influence upon domestic music bands. They had influence upon Japanese foundation of Manchurian Government and emigration policy, and industrial sites of South China, Central China, and North China, through their exchange activities with others in Manchuria. However, most importantly, they had influence upon the policy-making of Japanese national music through their consolatory performances for the Guangdong Army and created anti-Japanese music in that region. As to preceding studies on this theme, there is none in Korea, but there are some in Japan and China, such as Iwano Yuichi’s The Symphony Orchestra of the Royal Paradise: The Unknown History of Music in Mmchuria(滿洲-知られざる音楽史, 王道楽士の交響楽) published recently, However, they are all insufficient. A representative pre-War study on the modem Manchurian music is Tanabe Hisao’s The Greater East Asia Music, which is based on the cultural establishment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nd is carried out as a part of the Greater East Asia Music studies. In addition to that, there is also Tsunashiro Eizō’s Music in Manchuria. This study consists of two chapters by and large.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the background, content, and characteristic of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 a base of Manchurian music policy.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Manchurian modem music and the organization of Manchurian music bands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e second chapter consists of the HsinKing(Traditional Chinese 長春) Music Society and its HsinKing Orchestra, the organization of Manchurian Composer Association and its members' compositional activities, the composition of commemorative song for the 10th anniversary of Manchurian national foundation and the institution of the Manchurian national anthem, and the publication of commemorative songs for the 10th anniversary of Manchurian national foundation. In the appendix, there is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in Japanese and Korean. Based on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published in March 1941, Manchurian Government organized a music band and carried out a practical cultural and artistic policy to establish 'the Five Race-Cooperative Royal Heaven' as the symbol of national foundation. This Principle was enacted by the Public Relation Office of the Ministry of Manchurian Government Administration-a governmental agency similar to Japanese Intelligence Bureau-with the support of the Manchurian State Council, the Manchurian Cooperative Association, and the Gwandong Army, and made the Japanese establishment of the Japan-Manchuria-oriented Greater East Asia Co- Prosperity Sphere possible. Based on the Principle, 'Manchurian Troupe Association' was organized in July 1941, and it was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Manchurian Literary Men’s Association', 'Manchurian Artists Association', and 'Manchurian Cultural and Artistic League' - a liaison entity of other cultural and artistic entities. The 'Manchurian Cultural and Artistic League' could develop the music of the new Manchurian state that aiming to construct an intensive military state in Manchuria. And with the arrangement of musical terminology, starting of 'the Musician Training School' of 'the HsinKing(新京) Music Institute', enactment of Manchurian national anthem, and the commemorative events of the 10th anniversary of Manchurian national foundation, Japanese and Korean musicians constructed Japanese Orientalism-based New Asian System, centering on 'the Manchurian Composer Association' of 'the Manchurian Music Band Association'. It was the realization of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oncord of Five Nnations' musicians, especially Korean musicians, such as Kim Dong-jin(金東振), were carried out their musical activities in Manchuria. Their purpose was to realize both the Manchurian cultural and artistic policy and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policy, by means of reshuffling the music of five races - Korea, Japan, China, Mongolia Russia - centering on Japanese music. It was an attempt to construct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Manchurian national music on the basis of completing the Manchurian Royal Heaven music. 이 글은 1932∼1945년간 존재한 중국 동북지역의 만주국(滿洲國)의 음악정책을 연구한 만주음악연구이다. 특히, 만주국이 1941년에 발표한 '예문지도요강'(藝文指導要鋼) 내용과 성격, 그리고 그 요강에 따른 악단조직과 만주국 건국10주년 경축음악 전개 등의 만주국 음악정책을 중심으로 전개양상을 다룬다. 이 글 1에 이어서 2에서는 만주국 음악정책에 따라 조선출신 음악가들의 활동을 비롯하여 독립운동현장의 항일(抗日)음악전개상황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들은 조선출신 음악인들이 시기 일본의 소위 대동아공영권(大東亞 共榮圈) 수립에 따른 만주국의 음악정책에 따라 활동하며 국내 악단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왔고, 또 만주국과 교류하며 일제의 만주국 건설과 그 개발에 따른 이민정책은 물론 남ㆍ중ㆍ북지(南ㆍ中ㆍ北支)의 생산현장과 관동군 위문공연을 비롯한 일본국민음악을 수립하려는 정책에 이바지할 뿐만 아니라, 더욱이 이 지역은 조선인들의 항일음악을 창출한 지역이어서 앞으로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만주음악을 연구하려고 한다. 지금까지 본 주제로 접근한 국내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일본의 경우 최근에 발표된 이와노 유우이찌(岩野裕一)의 『만주-알려지지 않은 음악사, 왕도락토의 교향악』(滿洲-知られざる音楽史, 王道楽士の交響楽) 등을 비롯하여 중국측 연구가 있어도 모두 본격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전전(戰前)의 대표적인 근대만주음악연구는 전전(戰前)의 대표적인 음악논저는 타나베 히사오(田邊尙雄)가 대동아공영권의 문화건설에 입각한 대동아음악연구의 일환으로 연구한 『대동아 음악』(大東亞の音楽)이 있다. 그리고, 쯔나시로 에이조오(網代栄三)가 만주국 당시 만주음악과 관련한 논저로서 『만주에 있어서 음악』(滿洲ニ於ケル音楽)이 있다. 본 논문은 크게 두 개의 장으로 접근하였다. 하나의 장은 만주국 음악정책의 근간인 '예문지도요강'의 발표배경과 내용 및 성격이다. 또 하나의 장은 그 요강에 따라 만주국이 악단을 조직하고 전개하는 양상을 다룬다. 두 번째의 장에서는 신경음악협회와 그 산하의 신경교향악단, 그리고 만주작곡가협회의 조직구성으로서 소속회원들의 작품발표와 만주국이 10주년을 기념하는 경축가 제정 및 국가제정 끝으로 만주국이 10주년을 경축하는 작품발표회 등으로 이루어졌다. 부록으로 '예문지도요강' 일어 전문과 번역문을 게재하였다. 만주국은 1941년 3월에 발표한 '예문지도요강'(藝文指導要綱)에 따라 악단을 정비하고 새로운 체제로서 '5족협화의 왕도낙토'를 건국상징으로 삼으려는 실제적인 문화예술정책을 전개한다. 이 요강은 일본의 정보국과 같은 만주국 총무청(總務廳) 홍보소가 만주국의 행정기구로서 국무원과 만주협화회 그리고 관동군의 지원하에 이루어져서 일만(日滿)의 '대동아 문화공영권'을 구축할 수 있었던 요강이었다. 이 요강에 따라, 1941년 7월부터 '만주극단협회' 결성을 필두로 '만주문예가협회', '만주악단협회’, '만주미술가협회' 그리고 이러한 예문단체의 연락 사무기관으로서 통합적인 '만주예문연맹'(滿洲藝文聯盟)이 차례대로 결성되었으며, 만주예문연맹이 만주국과 함께 고도국방국가 구축이라는 신체제 음악을 전개할 수 있었다. 또, 음악용어통일과 신경음악원(新京音樂院)의 '악원양성소'(樂員養成所) 발족, 만주국가 재정, 만주국 건국10주년 기념행사 주관 등이 이루어지면서 만주악단협회 소속의 '만주작곡가협회'가 중심이 되어 일본과 조선의 음악인들이 만주내외에서 일본적 오리엔탈리즘에 의한 아시아 신체제를 통일적으로 구축하고 있었으니 모두 '예문지도요강'의 실현이었다. 이 실현에 따라 5족협화의 음악인들, 특히 김동진을 비롯한 조선음악인들이 활동하였다. 그 실현은 목적하는 바는 다름아닌 조선ㆍ일본ㆍ중국ㆍ몽골ㆍ러시아 등 5족의 체제를 두고 일본음악중심으로 개편함으로써 일본국민음악을 수립하려는 만주국의 문화예술정책의 실현이자 일본의 대동아공영권의 실현장이었다. 모두가 만주국의 왕도국가음악의 완성하여 궁극적으로 일만 국민음악(日滿 國民音樂) 수립함으로서 대동아음악공영권을 구축하려했다.

      • KCI등재후보

        滿洲國(1932~1945)의 時憲書발행과 그 정치적 의미

        정성희 동북아역사재단 200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2

        전통시대 改曆은 역대로 국가 및 황제의 지위와 권위를 강조하는데 더할 나위 없는 명분을 제공해 왔다. 특히 황제의 권위와 지배 명분이 약할수록 개력은 황제권의 상징이자 국가의 통합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예컨대 대한제국의 성립과 함께 고종은 황제권의 강화를 위해 양력 사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였다. 또한 양력에 맞추어 국민통합을 꾀하고 황실의 권위를 나타내고자 오늘날과 같은 국경일도 제정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선발주자인 일본도 후발주자인 만주국도 마찬가지였다. 특히‘만주국’은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단시일에 가장 강력한 방법으로 ‘신제국주의적’ 통치이념을 국민들에게 선전한 국가였다. 만주국에서 보듯이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동북아시아의 근대국가 건설은 국민들에게 제국을 인식시키고 전체주의적 사고를 고취시키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었던 셈이다. 만주국의 전체주의적이고도 국가홍보를 위한 국가의례일의 제정은 일본 의례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이었다. 일본에서도 국가 행사에 학생들이 동원되기 시작한 것은 1880년 후반부터였고, 메이지시대 후기에는 거의 모든 대중적인 국가의례에서 황실과 국가를 줄곧 찬양했다. 19세기 말 한국과 일본은 양력으로의 개력이야 말로 근대국가로 가는 길이라 선전하였다. 동시에 제국주의의 권위를 내세우기 위해 황실전통을 내세우는‘전통의 창조’도 전개되었다. 1930년대 후발주자인 만주국 또한 근대국가 건설을 위한 국가만들기가 적극적으로 전개되었다. 이와 동시에 만주국은 전통력인 시헌서를 발행하였고, 왕도사상과 함께 공자의 문묘를 만드는 등 과거로의 복귀 또한 제국주의적 형태로 진행되었다. 양력을 사용하고 있었던 만주국에서 청조의 마지막 달력이었던 시헌력이 부활한 것은 만주국이 지니고 있던 이중성이기도 하다. 이처럼 만주국은 일본의 최신 의례 및 행사들이 도입되면서 한편으로는 청조에 이미 있었던 역서나 전통적 의례들을 부활시켰다. 만주국이 만주제국으로 격상되고 집정 부의가 황제 부의가 된 것은 허약하고도 불분명한 정체성을 가진 만주국에 정통성을 덧씌우는 과정이었고, 그 일련의 과정에서 과거의 전통이 새롭게 재창조되었다. 만주국의 전통만들기 작업 속에서 청조의 시헌서가 부활되고 국가기념일들이 제정되었으며, 시헌서는 국가의 선전 도구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만주국의 국가정체성을 구명하는 연구로 지금까지 연구에서 전혀 시도되지 않았던 만주국의 曆書를 중심으로 만주국의 국가기념일을 살펴보고 시헌력의 발행이 의미하는 정치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만주국의 국가정체성을 확인해보는 일임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만주지역의 역사적 변화와 함께 형성된 재만 조선인들의 정체성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한 것이었다. 19세기 중엽에 조선에서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들은 만주국이 들어선 이후 반도인으로 분류되어 사실상 일본인과는 다른 차별을 받았다. 재만 조선인의 민족정체성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다중성과 복합성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본 주제가 비록 현재 동북 3성에 거류하는 조선인의 민족정체성을 직접적으로 구명하는 작업은 아니지만, 1930년대 만주국의 근대국가 건설과 국가정체성을 밝히는 작업은 향후 만주지역에 대한 역사적· 정치적 의미와 함께 재중 조선인의 ... Traditionally before the modernization to change and establish the calendar system often contributed to the strength and justification of the legitimacy of Kings or emperors in East Asia. In particular the weaker their legitimacy to rule the country, the better the strategy of the establishment of new calendar system which equated the symbol of the power of the ruler became for the unification of the consensus. For example, with the declaration of the Great Empire (大韓帝國: 1897-1910) the King Kojong (高宗:1852-1919) positively promoted the use of new solar calendar introduced by the West for the sake of his ruling legitimacy as a emperor. In addition he also declared the national holidays in accord with the calendar in order to promote the authority of the emperor and to pursue the unification among people. This kind of political process occurred in Japan and in Manchukuo (滿 洲國:1931-1945) in which the imperialistic ruling ideology was built most rapidly among other nations in Asia. As seen from the case of Manchukuo to build modern nation through 19th and 20th century in East Asia was about to encourage people to have a clear notion of the empire and authoritarian way of thinking.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holidays for the purpose of PR in Manchukuo was that which strongly influenced by the national ceremonial tradition of the imperial Japan at the time. It was from the late of 1880s in Japan when students started to be sent for the national ceremony as main players and then in the late part of the Meiji Era the imperial nation and the court was openly praised in all of the national events. The government of Korea in the late of 19th century propagated in public that the establishment of solar calendar system was the necessary path to the modern nation as the imperial Japan did. So both governments also developed a series of political reformation in the name of the ‘creation of tradition’in order to solidify the authenticity of the empire and the court. Manchukuo which was comparatively late built in the 1930 also keen to build itself as modern nation. Ironically Manchukuo decided on the revival of the traditional calendar system from the precious Ching dynasty and the ideology of the Confucianism which stressed the‘ way of King’. With a slogan of building modern nation and introduction of imperial national events which was already practiced by the imperial Japan Manchukuo pursued a plan to build a modern nation but at the same time it was eager to revive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Ching dynasty. Declaring itself as the empire and calling the consul of the Ching dynasty emperor were part of the process to strength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in which the plan to revive the tradition of the Ching was practiced because its legitimacy was not powerful enough to persuade people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In this process the precious calendar system was rebuilt, national holidays were introduced and the issue of new calendar became a tool for the PR of the nation. This paper focused on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declaration of new calendar system in the perspective of a way to define their national identification in East Asia. This approach was initia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existence of the Koreans who resided in the Manchu area and started to raise a question of their identification: some Koreans who moved to the area in the mid of the 19th century became an objective of ethnic discrimination with the nation building of Manchukuo, which didn’t happen to the Japanese in the area. The identification of the Chinese-Koreans in the Manchu area is very complicated and complex so that this issue needs another detailed research further. So the study of the process and identification of the nation building of Manchukuo in the 1930s can be useful to look into the formation of their identification and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area as well. This study is a fir...

      • KCI등재

        만주국과 천주교회

        신의식(Euisik, Shin) 한국교회사연구소 2016 敎會史硏究 Vol.0 No.49

        만주국은 건국 이전부터 많은 문제를 안고 탄생하게 되었는데, 천주교와는 과연 어떠한 관계가 있는 것일까? 이를 위해 본고는 만주국 성립배경, 교황청의 만주국 승인 여부, 만주국 및 주변국(일본, 중국, 한국)과 천주교회와의 관계 그리고 만주국 내 천주교 전교 상황을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만주국은 태생이 독립 자주적인 국가로 발전하기란 애시 당초 가능하지 않았다. 둘째, 관동군과 일제는 만주국의 황제와 대신들과는 동상이몽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만주국은 교황의 권위와 교황청의 국제적 지위를 이용하여 국제적인 공인을 얻고자 하였다. 만주국의 천주교 인식은 국가에 봉사하는 일환으로만 종교를 인정한 것이었다. 이러한 것은 비단 만주국에서 뿐만 아니라 일본 본국 및 일본이 통치하고 있던 조선에서도 이러한 부분을 강요하였다. 넷째, 일본과 만주국은 천주교를 일본의 국가신도 내지는 신사신도(神社神道)의 하위종교로 인정하고 있었던 것이다. 다섯째, 괴뢰정부인 만주국과 교황청의 관계 형성을 이유로 중국에서는 교황청으로부터 분리 독립된 교회를 지속시키고 있다. 일제의 패망과 더불어 만주국은 멸망하게 되었으나, 만주국으로 인한 중국과 교황청과의 관계는 아직도 소원한 관계에 있다. 여러 이유로 중국 대륙에서는 공산정권이 들어선 이후로 천주교 선교사에 대한 추방 및 탄압 그리고 교황청으로부터의 독립과 자립을 뜻하는 애국교회의 삼자운동 실시 등으로 교황청으로부터 분리된 독립교회를 지속시키고 있다. 이에 대해 성경의 한 부분으로 그 마무리를 지어 본다. “너희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어떤 사람에게 양 백마리가 있는데 그 가운데 한 마리가 길을 잃으면, 아흔아홉 마리를 산에 남겨 둔 채 길 잃은 양을 찾아 나서지 않느냐? 그가 양을 찾게 되면,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하는데, 길을 잃지 않은 아흔아홉 마리보다 그 한 마리를 두고 더 기뻐한다. 이와 같이 이 작은 이들 가운데 하나라도 잃어버리는 것은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뜻이 아니다.”(마태 18, 12~14). The Manchukuo had had many problems since it was found. What is the Roman Catholic Church has to do with it? So, in order that reach conclusions, this manuscript has studied about foundation background of Manchukuo, approval of The Vatican, relationship among Manchukuo and neighboring countries (Japan, China, Korea) and situation of caring of Catholic in Manchukuo. First, Manchukuo was contradiction that Manchukuo would have developed for the “independent”, “self-governing” state. Second, the Manchukuo and the Japanese empire had had different purposes since they were together. Third, they wanted to be authorized as an independent country through authorities of Pope and statue of The Vatican. Also in Manchukuo, if you look at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the cognizance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in Manchukuo was a kind of services to its country. Following the text, you can realize those circumstances had been emphasized gradually not only in Manchukuo but in Japan and Korea. Fourth, Japan was considered the Roman Catholic Church was subordinate religion to Shinto shrine and Shintoism. Fifth,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h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he Vatican due to the approval of Manchukuo’s. Japan’s defeat has been elimin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Vatican still have estranged. As the China enters the communist regime, a Roman Catholic missionary in the continent for deportation and persecution of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patriotism from the Vatican and the Church’s third-party movement to conduct People’s Republic of China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 independent Church from Vatican, which called Chinese Catholic Patriotic Association.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agitating for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church from the Vatican, which means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and for persecution of Catholic missionaries. I’d like to say a biblical verse for a word in closing, “What do you think a man does who has one hundred sheep and one of them gets lost? He will leave the other ninety-nine grazing on the hillside and go and look for the lost sheep. When he finds it, I tell you, he feels far happier over this one sheep than over the ninety-nine that did not get lost.”(Matthew 18, 12~14).

      • KCI등재

        만주국 치안관계 법령과 조선독립운동

        최준파(추이쥔보)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4

        이 연구의 목적은 크게 네 가지다. 첫째 만주국 치안관계 법률인 ‘잠행징치반도법’의 제정과 운용 실태, 이 법과 조선독립운동의 관계를 밝혔다. 둘째 만주국이 재만조선인 재판권을 취득한 과정을 규명하였다. 셋째 만주국의 조선독립운동가들이 만주국에서 언제부터, 어떠한 만주국 법률로 처벌을 받았는지를 확인하고 만주국 ‘치안유지법’과 조선독립운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만주국 건국 이후 일본 정부는 만주국의 치안 안정을 우선 과제로 여겼다. 일본은 중화민국의 사법체계를 바탕으로 ‘잠행원용종전법령’을 통하여 만주국에서 사법운용을 시작하였다. 치안과 밀접한 법률은 1932년 3월에 반포된 잠행징치반도법과 ‘잠행징치도비법’이다. 1941년 12월에 만주국은 일본의 치안유지법을 참조하고 앞의 두 법률을 통합하여 만주국 치안유지법을 반포하였다. 일본은 1942년부터 사법체계에서 만주국을 통해 만주국의 치안을 통제하였다. 잠행징치반도법과 잠행징치도비법은 외국인도 처벌할 수 있었지만 1937년 12월까지는 치외법권 때문에 독립운동을 한 재만조선인을 처벌할 수 없었다. 일본은 귀화 여부에 관계없이 재만조선인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주장했다. 치외법권이 철폐되었는데도 독립운동과 관련된 재만조선인을 잠행징치반도법으로 여전히 처벌할 수 없었다. 조선독립운동은 잠행징치반도법의 ‘만주국 국헌’이 아니라 일본 치안유지법의 ‘일본 국체’를 부정한 행위였기 때문이다. 당시의 잠행징치반도법으로는 재만일본인의 일본 국체를 문란과 재만조선인의 독립운동을 처벌할 수 없는 약점이 있었다. 1941년 12월의 만주국 치안유지법 제1조의 국체변혁은 만일일덕일심과 만일불가분의 기초 위에 만주국 황제의 통제권을 문란시켜 만주국 주권을 변경시키는 행위였다. 조선독립운동은 일본 국체를 부정하기 때문에 만일일덕일심과 만일불가분의 기초도 문란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독립운동은 만주국 국체도 변혁시킬 수 있다. 일본은 1942~1943년의 만주국에 있는 종교단체들을 대대적으로 탄압하였고 그 중의 ‘임오교변’으로 불리는 대종교 탄압사건은 만주국 치안유지법이 적용된 조선독립운동 사건 중의 하나였다. 이로써 일본은 만주국의 사법체계를 통해 만주국에서 조선독립운동을 탄압하고 재판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study has three main objectives. First, we examined the enactment and operation of the Manchukuo‘s law on public order, ‘Suspension of the Law on Punishment of Traitors’(暫行懲治叛徒法), and its relationship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econd, it examined the process by which Manchukuo acquired the right to try Koreans in Japan. Thirdly, it identified when and under what Manchurian laws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were punished in Manchukuo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chukuo ‘Public Peace Maintenance Law’(治安維持法)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founding of Manchukuo, the Japanese government prioritized security and stability in Manchukuo. Based on the judicial system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apan began to operate the judiciary in Manchukuo through the ‘Provisional application of former Acts’(暫行援用從前法令). Laws closely related to law enforcement were Suspension of the Law on Punishment of Traitors and ‘Temporary Law on the Punishment of Banditry’(暫行懲治盜匪法), both promulgated in March 1932. In December 1941, Manchukuo promulgated the Manchukuo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which referenced Japan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and incorporated the previous two laws. Japan used the Manchukuo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in its judicial system to control security in Manchukuo starting in 1942. While Suspension of the Law on Punishment of Traitors and Temporary Law on the Punishment of Banditry could punish foreigners, until December 1937, they could not punish Korean citizens who fought for independence because of their extralegal status. Japan claimed the nationality of the Koreans as Japanese,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naturalized or not. Even though the extraterritoriality was abolished, the Japanese still could not punish Koreans involv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under Suspension of the Law on Punishment of Traitors. This is because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as an act of denying the ‘Japanese state’ under the Japan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not the ‘national constitution of the Manchurian state’ under Suspension of the Law on Punishment of Traitors. At the time, the Peninsular Warfare Act had the weakness of not being able to punish the Japanese nationality of the Korean people for disorder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rticle 1 of the Manchukuo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of December 1941 was an act to change the sovereignty of Manchukuo by disrupting the control of the Emperor of Manchukuo based on the foundation of ‘Manchukuo- Japan were of one mind’(滿日一德一心) and ‘Manchukuo-Japan were inseparable’(滿日不可分). Since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enied the Japanese nation-state, it was also able to disrupt the foundations of Manchukuo-Japan were of one mind and Manchukuo-Japan were inseparable. As such,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ould also transform the Manchu state. Japan’s massive suppress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in Manchukuo between 1942 and 1943, known as the ‘Imo Gyobyeon’(壬午敎變) was one of the event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at was subject to the Manchukuo Public Peace Maintenance Law. This allowed Japan to suppress and try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kuo through the Manchukuo judici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