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920~30년대 만주지역 한인사회주의운동과 종교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최봉룡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how the communist members in Manchuria had realized religions in the 1920~30s. I confirmed the reasons between socialism and religion, analyzing the causes of anti-religious movements of the early Korean socialists. And I clarified that anti-religious movements was just a temporary measure to have public support and to improve public culture. For the most part, Korean socialist in Manchuria criticized and attacked sharply religion from 1920s to early 1930s(Manchuria provincial committee). As a result, believers formed anti-communism and refuted theory of anti-religious movements logically. Anti-communistic logics of new religions was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nationalism, and religious faith. But, they turned coat and became pro-Japanese for anti-communism. Of course, worshipping the same religious gods, they do not share all of the same anti-communism. Manchuria provincial committee viewed religion in different dimension in the middle of 1930s. The center of the fatherland restoration association(Joguk Kwangbok association), established in orders of the East of Manchuria special committee, admitted advantages of religion as a national coalition party under Japanese rule, June 1936. But from the late 1930s, times of crisis in Manchukuo, most religions adapted themselves to Japanese rule. they turned coat and became pro-Japanese, even though some had an irreverent, iconoclastic attitude toward Japanese rule. 본 논문은 1920~30년대 만주지역 한인사회주의운동의 역사적 흐름에 따라 사회주의자들의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를 살펴보았다. 필자는 재만 한인들의 초기 사회주의운동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반종교운동’의 원인과 이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회ㆍ공산주의라는 정치적 이념과 종교라는 정신적 신앙의 대립과 충돌이 불가피하였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러한 반종교운동은 초기 한인사회주의운동에 있어서 대중들을 획득하는 수단과 방법으로 이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대중들의 지식수준과 문화의식을 제고시키는 신문화운동의 한 구성부분이기도 했음을 밝혔다. 대체적으로 1920년대로부터 1930년대 중공 만주성위의 초기 단계에 이르기까지 재만 한인사회주의운동에서 종교에 대한 비판과 공격은 계속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주의자들의 반종교운동에 대한 종교주의자들의 반응은 곧 ‘방공 담론’으로 이어졌고 또한 점차 논리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나타내기도 했음을 지적했다. 본문에서는 주로 비교적 전형적인 신종교의 반공주의 논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러한 신종교 단체들은 정교분리원칙에 따라, 혹은 민족주의적 논리에 따라, 혹은 순수한 종교주의 차원에서 보편적으로 반공주의적 태도를 드러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반공을 위한 친일적인 행각을 남기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같은 종단 내에서도 종교인들의 사회주의운동에 대한 서로 다른 태도를 엿볼 수 있었다. 1930년대 중반에 이르러 중공 만주성위의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는 1936년 6월 동만특위의 ‘지령’에 따라 창립된 조국광복회의 「선언」ㆍ「강령」ㆍ「규약」 등에서 확인해볼 수 있었다. 즉 조국광복회의 종교에 대한 입장과 태도는 곧 재만 한인사회주의운동의 지도적 위치에 있던 중공 만주성위의 종교에 대한 인식변화를 말해준다. 중공 만주성위의 종교에 대한 이러한 인식변화는 항일민족통일전선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과 전술의 변화 형태를 의미하기도 했다. 그러나 1930년대 말부터 만주국 속에서의 반공 이데올로기의 팽창, 일만 당국의 ‘3년치안숙정계획’에 따른 동북항일연군에 대한 대토벌작전, 그리고 ‘황민화운동’과 함께 군국주의적 전시종교정책으로 말미암아 일부 신종교-반공ㆍ반일의 민족주의적 성격을 지니고 있던 신종교-를 제외한 대부분 종교단체가 일제의 식민지 지배체제에 순응하고 복종하면서 반공ㆍ친일적인 태도로 일관했음을 제시했다.

      • KCI등재

        안중근 의거에 대한 중국인의 반향

        최봉룡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0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9

        This paper discussed the responses of Chinese people on An Jung-guen’s patriotic deed through researching the reports of Chinese medias. Chinese people’s responses on Ito Hirobumi’s “travels in China” contain of expectations, alert, and criticism. Most newspapers in China criticized Ito Hirobumi’s “travels in China” for being as “general supervisor of China” at that time. Previous studies took little attention on the position of the Qing government. The Qing government had mourned the death of Ito Hirobumi because they worried about t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uen. They feared that Japan would pass the buck to the Qing due to the incident had been took place in China. This paper examined various opinions from revolutionaries, constitutionalists and reactionaries about the political significance, assassination methods and strategic effects of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uen according to the political tendency of Chinese medias. The revolutionaries and constitutionalists identified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uen as a “political event” that a political assassin assassinated a politician. The opinion became a leap for the Chinese people in understanding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uen. However, revolutionaries, constitutionalists and reactionaries hold divergent views about the assassination methods. This paper reviewed Chinese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f the times and historical evaluation from An Jung-guen, two books with the same title which written by Park Eun-sik and Zheng Yuan. Park Eun-sik’s An Jung-guen had included several articles about “An Jung-guen, the Korean patriot” by famous Chinese intellectuals. Besides, Zheng Yuan’s An Jung-guen spoke highly of An Jung-guen, famous Chinese intellectuals rated An Jung-guen as a swordman. Not only that, the book also emphasized that to get rid of the hidden traitor is more important than remove outside forces if the country does not want to be destroyed. And, it argued that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uen had accelerated the death of the nation. The book also highlighted that China and Korea had been tied together. The opinion became the second leap for the Chinese people in understanding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uen. Chinese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times and historical evaluation reflected the change of the time. Therefore, I think An Jung-guen’s image had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Chinese nationalism, especially based on the emotional change such as exclusion of Japan, against Japan, and anti Japan. 본고에서 필자는 안중근 의거에 대한 중국의 반향을 주요하게 중국의 신문보도를 통해 이토의 ‘만주 여행’에 대한 중국인들의 반응은 기대와 경계 및 비판의 목소리가 다양하게 표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즉 일본인들이 발행하는 『순천시보(順天時報)』와 『성경시보(盛京時報)』는 이토의 ‘만주 여행’이 중국의 유신개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시신문들은 이토의 ‘만주 여행’은 곧 공무 시찰이고 만주를 분할하고 청나라 재정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파악하면서 그가 ‘만주 통감’ 내지 ‘중국 통감’의 꿈을 품고 있었다고 비판하였다. 안중근 의거에 대한 중국인의 반향에서 기존 연구는 청나라 정부의 태도에 기본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안중근 의거는 한·중·일·러 등 4국간의 외교 문제와 직결되는 동아시아 국제적 정치사건이므로 청나라 정부의 태도를 고찰할 필요성이 있다. 청나라 정부는 고도로 긴장한 분위기 속에서 이토 죽음에 국가적 예의를 표시하였는데 청나라 군기처는 이토의 죽음에 선통 황제의 이름으로 애도의 뜻을 조전으로 표시하였고 또한 일본 주재 청나라 흠사(欽事)에게 일본 정부의 동향을 살펴서 보고하도록 하였다. 중국 땅에서 발생한 안중근 의거는 일본이 중국에 그 책임을 전가시킬 우려기 있었기 때문이었다. 청나라 정부의 이러한 외교적 의례에서 이토는 ‘영웅’으로, 한인 자객은 ‘원흉’으로 각인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역사적 현상은 시비가 전도된 것이고 또한 동아시 역사에서 전대미문의 역사적 기억의 혼돈이었다. 또한 한인 자객의 이름에 대한 오보를 통해 이 사건 진상이 중국인들에게 어떻게 알려지고 있었는가를 검토하였다. 본고에서는 안중근 의거에 대한 중국인들의 반향을 당시 중국 신문들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혁명파의 『민우일보(民旴日報)와 『신주일보(新州日報)』, 입헌파의 『대공보(大公報)』·『시보(時報)』·『신보(申報)』 및 보수파의 『공성회순보(孔聖會旬報)』를 통해 그들이 안중근 의거의 정치적 성격, 암살 수단 및 전략적 효과를 둘러싼 다양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혁명파와 입헌파는 안중근 의거의 성격에 대하여 대체로 ‘정치자객’이 정치가를 암살한 ‘정치사건’으로 규정함과 동시에 그 원인은 일본이 조선에 대한 침탈과 조선인에 대한 탄압에서 초래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암살 수단에 대하여 혁명파와 입헌파 및 보수파는 서로 다른 시각 차이를 드러냈다. 즉 혁명파는 암살 수단이 혁명운동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그 정당성을 찬성하였지만, 입헌파는 한 개인에 대한 암살은 실질적인 효과를 얻지 못한다는 이유에서 암살주의 풍조가 성행되는 것을 우려하고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더욱이 보수파(신해혁명 이후 보황당으로 전락한 입헌파)는 안중근 의거에 대하여 부정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그의 열렬한 애국심과 충성심 및 고매한 인격을 인정하면서도 암살 수단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드러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박은식과 정원이 각각 지은 『안중근』이란 동명이서에 수록된 중국 지성인들의 그 시대적 인식과 역사적 평가를 재조명하였다. 안중근 의거 후, 중국 신문에는 이토를 추모하는 글들이 많았지만 안중근 순국 직후 그를 추모하는 글을 기본상에서 찾아 볼 수 없었다. 박은식의 『영웅루』 와 『안중근』은 상하이 ...

      • 기억과 해석의 의미: '만주국'과 조선족

        최봉룡 만주학회 2005 만주연구 Vol.- No.2

        본 논문에서 필자는 근대 한민족의 디아스포라(離散) 형태로 나타난 재만 조선인(조선족)의 이주와 만주 관계에서 역사적 맥락을 더듬어 그들의 고토관념을 살펴보았다. 비록 재만 조선인들의 초기 이주는 경제적 원인에서 기인되었지만 그들의 민족적인 심성 속에서 만주에 대한 애착은 타민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달리 깊었음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제식민지 시대에 정립되기 시작한 민족사학의 선구자들의 '만주 담론'은 일반적으로 '민족고토론'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재만 조선인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일제는 '以韓制夷'의 목적에서 또한 회유정책의 일환으로 재만 조선인들에게 '고토의식'을 주입시켰던 점을 지적했다. 만주에 대한 역사와 기억에서 '만주국'은 동아시아 여러 민족들에게 특수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만주국의 건립과 그 '신국가'의 체제 속에서 활동한 재만 조선인들의 사회적 법적인 위치-'제2의 국민'-를 밝힘으로써 일제가 새로운 형태의 식민지국가-'만주국'에 대한 지배에서 재만 조선인을 통제·이용하는 이중적인 정책을 고찰했다. 특히 만주국에 대한 재만 조선인들의 기억은 분노와 반항-'抗日像'뿐만 아니라, 유혹과 향수-'親日像'으로 그려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만주국은 재만 조선인들에게 두개 같지 않은 거울에 비추어지는 대상으로 인식되었는데, 즉 '抗日像'은 만주국을 '타도'와 '반동'의 대상으로 간주하였다면, '親日像'은 만주국을 '충성'과 '효성'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만주국은 14년 단명으로 역사에 종지부를 찍고 무너졌지만 그 역사는 동아시아 여러 민족들에게 서로 다른 의미로서 기억되고 있다. 물론 오늘날 중국 내에 거주하는 공민권을 취득하고 한개 소수민족으로 정착하고 있는 조선족의 역사를 서술함에 있어서, 특히 만주국시기 항일투쟁사-'抗日像'의 조각에만 부심하고 있을 뿐, '親日像'은 소외시키고 있다. 그 원인은 그런 기억들은 민족 단결에 불리하다는 정치적 판단이 앞서고 있는 이유 이외도 그들-'친일파'가 이미 '역사적 청산'을 받았다는 이유가 깔려있기 때문이다. 만주국은 조선인들에게 있어서 반항과 분노의 대상-'抗日像'으로 씌어진 역사로 기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유혹과 향수의 젖은 추억-'親日像'으로 얼룩진 오욕의 역사로 기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개의 서로 다른 모습은 결코 오늘날 중국에 살고 있는 '조선족'들의 역사로만 볼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만주국과 조선인의 정체성을 조명하는데 일조가 되리라고 믿는다.

      • KCI등재

        조정산 도주 일가의 만주행록에 관한 재고찰

        최봉룡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6 대순사상논총 Vol.26 No.-

        In 2007, according to the records, I made an on-the-spot survey of the place where Doju Cho Jeongsan and his family might have lived in exile in Manchuria and released a paper in which I decided that the site could be the Shuidongchun (village) of Luotongshanzhen in Liuhexian, Jilin Province. Thereafter, sponsored by the Doju Cho Jeongsan’s Memorial Project from 2008 to 2013, many times, I carried out the field investigations and researches on Liuhexian, including the visits of the institutions which have the historical documents, in order to find the data related to the participation of him and his family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I was, hence, able to reconfirm that the village had been the place of their exile, based on my collected data and the oral reports which the local historians and ethnic Korean elders had provided. In this study, using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maps and the oral materials, I made an attempt to prove the historical truth thoroughly once again. First, the existing sources of Doju Cho and his family’s settling in Manchuria from March 1909 to 1917, were carefully analyzed which were described in The Jin-gyeong. In doing so, the misspelling of the names and the spatio-temporal errors of the people’s activities were corrected. Next, I researched on another town, Shuitungou of Liuhexian in Fengtian Province (in West Gando of Manchuria), which it is known that Doju and his family stayed in, and the Laogushan (mountain), which it is believed that Doju cultivated himself in. Finally, through the attempt,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Doju and his family had settled at Shuidongchun (once called Shuidonggou or Shuitongchun) of Luotongshanzhen (once called Datonggou) in Liuhexian, Jilin Province. In the Liuhexian-related documents and maps published in the eras of Republican China and Manchuria, the place name called Shuitungou was not found. However, I discovered a map in the era of Republican China on which Shuitongchun was recorded as Shuidonggou. In addition, considering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Republic China, tun(屯) and gou(溝) could not be used together in the place names. Accordingly, Shuitungou was more likely misspelled as Korean people in those days mispronounced Shuidonggou. Furthermore, people in China has habitually called the Dagushan(大孤山), located in the north of Gushanzizhen of Liuhexian, as the Laogushan(老孤山). This means that the Korean people who lived in the area then perhaps recorded the mountain as the Nogosan(老姑山), the mountain of the old goddess, according to Korean enunciation, because they had the custom of worshipping the mountain goddess. I tried my best to find the historical documents regarding Doju and his family’s anti-Japanese activities to prove the location of exile in which they settled in northeastern China (Manchuria). However, I was not able to reach the initial goal completely due to the shortage of objective evidences, only to leave tasks to be solved. I hope that this study can give a little help to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is matter.

      • KCI등재후보

        만주보민회의 활동과 그 성격 -만주에서의 제우교를 중심으로-

        최봉룡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43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diffusion of Jeu-kyo(濟愚敎) as well as the process of organization and disorganization, including its activities, of Manchuria Bomin Association(MBA) in Manchuria. We can't confirm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Jeu-kyo up to now. There is only 'Jeu-kyo's prospectus' which we can confirm. So, I analyzed it's contents to understand the whole of Jeu-kyo. Especially, after the dispatch of troops to Kando, anti-national activities of Jeu-kyo which was constructed of the remnants of Iljinhoe(一進會) in Manchuria were watched by this article. Manchuria Bomin Association was the pro-Japanese group set in Jeu-kyo. Japan which was the political backing of MBA manipulated activities of MBA through Japan consulate. But, there was no other way but to liquidate it because of the offense of an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the anti-Japanese movements of the local official in China, the internal troubles of MBA, and so on. Jeu-kyo and MBA was dissolved in the 1920's. Through above analyses, I elucidated how Jeu-kyo and MBA established, proliferated, and dissolved in connection with imperialism of Japan. And I explicated the peculiar character of two.

      • KCI등재

        만주국의 국적법을 둘러싼 딜레마: 조선인의 ‘이중국적’문제

        최봉룡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9

        본 논문은 만주국의 국적법을 제정하기 위한 논의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기본 원칙과 목적 및 내재적인 모순논리를 살펴봄으로써 만주국 속에서 이른바 조선인의 ‘이중국적’문제를 고찰하였다. 근대국가의 상징적인 부속물로서 출현된 국적법은 흔히 한 국가의 국민으로서의 신분 또는 국민(혹은 공민)이 되는 자격 취득과 상실 및 회복에 관한 법률을 말한다. 또한 국적법은 대체로 출생주의와 혈통주의 및 출생과 혈통이 결합된 원칙, 그리고 각 국가의 역사 전통과 구체 상황에 따라서 법률적인 수단을 통해 그 국가에 귀속되는 국민들의 국적을 확정한다. 때문에 국적법은 각 국가에 따라 다양하게 표출된다. 1932년 3월 1일 ‘독립국가’를 표방하면서 성립된 만주국은 국적법을 ‘국가 존립요소’로서 주목하면서 이른바 ‘만주국 국민’ 혹은 ‘만주인’의 정체성을 창출하려고 했다. 그리하여 만철경제조사위원회, 관동군 특무부, 만주국 총무청 및 일본법계 학자들이 만주국 국적법에 관한 ‘초안’과 ‘문건’ 및 논문을 통하여 그 기본 원칙, 국적(국민)의 범위 및 ‘이중국적’과 ‘단일국적’ 및 ‘무국적’ 등 문제를 둘러싼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만주국이 국적법을 제정하기 위한 그 기본 목적이 만주국의 ‘독립성’과 ‘합법성’ 및 ‘정체성’을 현시하기 위한데서 부터 출발했음을 지적했다. 즉 첫째는 만주국의 국적법을 ‘국가 존립의 요소’로 주목하면서 ‘독립국가’의 틀을 만들려는데 있었고, 둘째는 만주국의 국적법을 통해 ‘만주국인’ 혹은 ‘만주국민’이란 새로운 정체성을 창출하려는데 있었으며, 셋째는 만주국의 국적법을 통해 만주국 내 중국인과 ‘중화민국인’의 연원관계를 차단하고 일본인의 지배적 위상을 확보하려는데 있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만주국의 기본 구성분자-‘오족’과 기타 외국인으로 구성된 복합민족(다민족)에 대하여 국적을 확정함에 있어서 자체적 논리모순을 밝혔다. 즉 첫째로 근대 국적법의 보편적인 원칙으로서 ‘혈통주의’와 ‘출생주의’는 만주국 국적법에 적용될 수 없었다. 둘째로 민족차별주의 논리에서 출발한 국적법 제정원칙- ‘강제주의’와 ‘비강제주의’는 만주국이 건국이념으로 표방되었던 ‘오족협화’, ‘평등대우’에도 배리되었다. 셋째로 민족월등주의에 입각하여 조선인을 포함하는 일본인의 ‘이중국적’과 기타 외국인의 ‘단일국적’은 동일한 ‘만주국인’의 정체성을 표상할 수 없었다. 특히 만주국에서 일제가 창출했던 이른바 ‘五族協和’, ‘內鮮一體’ 및 ‘鮮滿一如’ 등 식민지 지배논리가 담고 있던 이율배반적인 딜레마에 빠져들었다. 만주국 총무청의 주도로 ‘국적법제정주비위원회’를 구성하고 협의를 거쳐 만주국 국적법을 입안하려고까지 했지만, 결국은 최종적으로 만주국의 종말과 함께 수포로 돌아갔다. 또한 필자는 만주국의 조선인에 대한 지배정책을 통해 일제의 그 지배논리는 이율배반적으로 표출되었음을 지적했다. 즉 만주국 내에서 조선인은 ‘황국신민’ 혹은 ‘2등 국민’으로 취급되었지만, 실질적으로 일제의 민족분리 책략에 따라 鮮系에 대한 日系의 지배원리에서 작동되었음을 밝혔다. 또한 국적법의 시각에서 본다면 만주국 내 조선인들은 ‘일본신민’이자 또한 ‘만주국 국민’이라는 ‘이중국적’문제는 근 ...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dual nationality of Korean in Manchuria through various basic principles, purpose and inner dialectic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for enacting the Manchukuo Nationality Law. In modern countries, the symbolic appendage is the appearance of nationality law. Nationality law is about take, lose and reinstatement of qualifying as a nation. It was also confirmed by some principles of jus soli, jus sanguinis, combine of jus soli and jus sanguinis. Also people’s nation is confirmed by a nation’s history, traditions and some other situations. March 1st in 1932, Manchukuo formed as ‘independent country’. Nationality law had received wide attention as ‘component of national existence’ in Manchukuo, so that tried to create identity of ‘nation of Manchukuo’ or ‘Manchuria’. So The Mantie滿鐵 Economic Board of Inquiry, Spy Department of Kwantung Army, Manchukuo Ministry of Public Management and Japan law scholars considered the problems about basic principles, range of nationality(nation) and ‘dual nationality’, ‘single nationality’ and ‘statelessness’ by ‘draft’, ‘document’ and thesis about nationality law. In my treatise the basic purpose of enacting nationality law for revelation ‘independence’, ‘legitimacy’ and ‘identity’. In other words, first, nationality law of Manchukuo is considered ‘component of national existence’ for creating a frame of ‘independent country’. Second, create identity of ‘nation of Manchukuo’ or ‘Manchuria’ by enacting nationality law. Last, shut off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in Manchuria and ‘Nationals of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n secure the Japanese own high stature by enacting the nationality law. In this paper, I have clarified contradictions about dividing ‘five ethnic’-the basic elements of Manchukuo and ‘composite nation’ including other foreigners. First, As a general rule of modern nationality law, ‘jus sanguinis’ or ‘jus soli’ cannot be applied to nationality law of Manchukuo. Second, ‘five ethnic harmony’ and ‘being treated equally’ which Manchukuo formed as founding principles do not come up with the rule of enacting nationality law from racist. Third, Korean and Japanese could take dual nationality from ethnic superiority. But other foreigners could take ‘single nationality’. Therefore it means the identity of ‘Manchuria’ is not united. Especially slogans such as ‘five ethnic harmony’,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and ‘Unity in Chosun and Manchuria’ etc. faced with the dilemma of antinomy. While ‘arrangement of enacting nationality law committee’ formed by Manchukuo Ministry of Public Management in order to draft nationality law of Manchukuo went down the drain when Manchukuo went away. The study also attempts to clarify Japanese logic of rule is antinomy by rule policy for Korean in Manchukuo. Korean in Manchukuo were treated as ‘imperial subject’ or ‘No.2 nation’. And it just was slaving principle of national separatism in practice. Korean in Manchuria had dual nationality, not only ‘Japanese subjects’ but also ‘nation of Manchukuo’. So the problem of dual nationality did not even exist. In fact, Korean in Manchuria were stateles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