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전환, 디지털 리터러시 그리고 멀티리터러시」

        김종규 ( Kim Jong-gyu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3

        본 논문은 디지털 전환의 관점에서 멀티리터러시를 현실과 디지털 현실의 구축과 이해의 능력이라는 통합적 역량으로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리터러시들(multiliteracies)은 디지털 전환 이후 다양한 소통 환경이 촉발됨으로써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다양한 리터러시들이 때로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y)와 혼동됨으로써, 다양한 리터러시들 및 멀티리터러시 개념의 등장이 갖고 있는 근본적 의미가 왜곡되고 있다. 이는 리터러시에 대한 기존 이해와도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우리는 그간 리터러시를 문자의 해석과 활용이라고 규정해왔다. 이로 인하여 리터러시를 현실과 세계에 대한 인간 활동이 아닌 그 활동의 수단으로만 이해하였다. 주어진 상황에 대응하는 도구로서, 다양한 소통 환경의 조성에 따른 도구의 다양화로서 이해된 것이 바로 멀티리터러시와 혼동되었던 다양한 리터러시들이다. 그러나 이 혼돈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리터러시들 역시 ‘리터러시’라는 점에서 본 논문은 다양한 리터러시들과 멀티리터러시를 구분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사용되는 리터러시의 방식을 넘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근본적 의미를 문자 전환과 디지털 전환과 연관하여 추적하여, 리터러시가 인간의 세계와 현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멀티리터러시가 우리의 다양한 현실, 즉 현실과 디지털 현실을 구축하고 그 세계를 이해하는 통합적 능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tries to define multiliteracy as the competence of constructing and understanding reality and digital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transformation. Multiliteracies sprang out of divergent environments of communication after digital transformation. But both the meaning of multiliteracies and multiliteracy have been distorted, for multiliteracies have been confounded with multiliteracy. This is also related to the established understanding of literacy. We have defined literacy as an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letters. Thus, we have understood it as a tool of human action, not as the human action to the reality and world. Multiliteracies confounded with multiliteracy is the result of understanding them as tools corresponding to given situations, i.e. as the diversification of tools. However, we have to distinguish multiliteracy from multiliteracies to straighten out the confounding problem. Through these means, the writer tried to trace the fundamental meaning of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in light of the words transform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Based on this tracing, we became aware that literacy is closely related to the human world. And we discovered that the fundamental meaning of multiliteracy is the integrated competence to construct and understand reality and digital reality.

      • KCI등재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개념 및 범주, 이론적 기반, 그리고 교육의 방향

        박휴용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transitions of the forms and natures of literacy, in the context of sheer ICT (Information-Computer-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This study ventures to discuss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to support the rationale and the validity of the new term, posthuman literacy: First, what are the trajectories of the concepts of literacy an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posthuman literacy?; Second, what areas of study and practice fall into the category of posthuman literacy?; Third, what is the theoretical basis of posthuman literacy?; Fourth, what are the major fields of interest in posthuman literacy research and the directions of posthuman literacy education? The main points of argument can be epitomized as follows: first, posthuman literacy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flat ontology and equal relationship among all creatures in the universe; second, posthuman literacy accepts and enjoys multimodal, critical, virtual/hybrid styles of literacy; third, posthuman literacy firmly stands on the four theoretical positions of new materialism, actor-network theory, non-representative theory, and post-phenomenology; and fourth, posthuman literacy aims to investigate the issues of affection, materiality, and virtuality of literacy practices. 본고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나타난 리터러시의 성격과 형 태의 변화를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란 용어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본고 의 논의는 네 가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리터러시의 발달 과정과 포스트휴먼 리터러시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범주는 어디까지인가? 셋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이론적 기반은 무엇인가?, 그리 고 넷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대안적 연구 주제와 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본고 에서 논의한 주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일원 론적 철학과 탈인본주의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세상 속 모든 존재들 간의 평등한 관계 성을 기반으로 한 소통과 상호작용에 목표를 두고 있다. 둘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는 양식성(디지털 리터러시), 핵심적 관점(탈인본주의 리터러시), 방향성(비판적 리터러시), 그리고 성격(혼성적 리터러시)에 따라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논의되고 있다. 셋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핵심원리들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네 가지 주요 이론인 신물질 주의, 행위자-망이론, 비대표성이론, 그리고 포스트현상학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넷 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기존의 리터러시 이론에서 등한시되었던 정서의 재발견, 담론의 물질성, 그것을 가상적 정체성의 문제에 더 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아울 러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교육이 학교 교육의 범주와 포스트휴먼적 존재성을 확장하 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급 속히 발달하는 정보통신기술 환경 속에서 리터러시 연구와 실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주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 시대의 정보리터러시에 관한 소고 - 재정의,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

        오의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7 No.3

        This study redefines information literacy (IL) and recommends its contents and media (platforms). Redefinition of IL was based on concepts such as ‘Information Literacy 2.0’, ‘Social Context’, ‘Metaliteracy’, ‘Transliteracy’, ‘Social Media Literacy’ and related researches. ‘Social Relationship’, ‘Media Convergence’, ‘Critical and Evaluative Insight on Information’ was extracted by major contents of new IL. To determine program methods, mass media’s ‘ubiquity’ was applied to the study. Some social statistics reports proved that ubiquity of social media is quite high. Finally, proposed empirical study of IL using social media by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정보리터러시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리터러시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재정의를 위하여, 오늘날의 정보환경을 표현하는 정보리터러시 2.0, 사회적 맥락, 메타리터러시, 트랜스리터러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조사, 분석하였다. 정보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사회적 관계’, ‘미디어 융합과 다양성 인식’, ‘정보에 대한 평가적 안목’ 등을 추출하였다. 교육의 방법(미디어)을 결정하기 위하여, 소셜미디어의 편재성을 조사하였고, 조사결과 소셜미디어는 편재성이 높은 미디어로서, 정보리터러시 교육에 활용되는 것이 적절함을 밝혔다. 후속연구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정보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측정과 분석

        구명진,여정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3

        광고리터러시는 일찍이 광고에 대한 인지능력들을 아우르는 개념으로서 연구되었으나, 모바일 광고의 급격한 성장과 변화에 따라 해당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리터러시를 새로이 파악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정보차 원, 효용․비용차원, 기술차원의 광고리터러시 세 차원으로 구성한 새로운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척도를 통 해 성인소비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차원과 세부요소별로 그 수준을 검토하고, 더 나아가 소비자 특성 별로 나타나는 리터러시 차이를 분석하였다. 소비자가 대중매체 광고를 접하면서 얻을 수 있었던 정보차원의 광고리터러시조차 모바일 광고환경에서는 저하 되었고, 효용․비용차원의 광고리터러시에서는 비용인지능력이 불균형적으로 낮고 요인 간 격차가 큰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기술차원의 광고리터러시에서는 소비자간 격차 발생과, 비용회피를 위한 기술적 조작능력 면에서 인 지측면과 함께 이중의 어려움을 경험함을 도출하였다. 소비자 특성별로는 인구통계학적 기준에 따른 취약계층이 여전히 낮은 리터러시를 보임과 동시에, 기존에는 취약소비자로 인식되지 않던 젊은층과 고학력층 소비자들도 모 바일 광고환경에서는 취약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스마트폰 사용능숙도는 기술차원의 광고리터 러시 외에는 무관하여, 스마트폰 대중화와는 별개로 모바일 광고라는 특정 영역의 리터러시 향상이 필요함을 보 였다.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에 대한 주관적 인식별로는 효용을 높게, 비용을 낮게 평가한 소비자의 효용․비용차 원의 광고리터러시가 상대적으로 낮아, 리터러시가 낮은 소비자들이 최적수준보다 광고를 더 수용하는 의사결정 을 할 위험성을 발견하였다. 소비자들이 모바일 광고에 대해 상당한 취약점을 보임에 따라, 내용과 대상의 양 면에서 연구 결과에 근거한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과 동시에, 광고업계의 자발적 협력 중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가 소비자 리터러시 향상과 복지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With rapid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market, it is more necessary than ever to make a diagnosis on consumer advertising literacy on mobile.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each dimensions and sub-factors of literacy with a newly developed scale, consisting of informational dimension, cost-benefit dimension, and technical dimension.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y consumer groups were also analyzed. The informational dimension of advertising literacy, which was comparatively learnable from mass-media ads, also deteriorated in the mobile advertising environment. In the cost-benefit dimension, the level of knowledge on cost was disproportionately low and within that the gap between cost-elements was great. There were consumer gaps within the technical dimension and the level of technical skills to avoid cost was low compared to the skills to utilize benefit, so that consumers experienced the double difficulties in coping with the cost of mobile advertising. In term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vulnerable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standards showed low literacy as expected, while young and highly educated consumers, who were not recognized as vulnerable consumers in the past, could also be vulnerable to mobile advertising environments. In addition, consumers' proficiency in smartphone use was independent of the literacy level except the one of the technical dimension, which means that a smartphone popularization doesn’t guarantee the high level of consumer advertising literacy on mobile so that separate education is needed. In terms of consumer's subjective perception on mobile ads, consumers who overestimated the benefit and underestimated the cost had relatively low advertising literacy, which means that consumers with low literacy have a risk of making As consumers have considerable weaknesses in mobile advertising, it is urgent to develop a consum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terms of both contents and targets, and voluntary cooperation of the advertising industry is also requir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ully utilized to improve consumer literacy so that contribute to consumer welfare realization.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노들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할 때 교사들이 인식한 변화와 어려움을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탐색해보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설정한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난 변화는 무엇인가?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코로나 19 이후 초등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서울시에 근무 중인 초등교사 8명을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이 증가하였으며(교수·학습 활동의 변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협력 학습이 증가하였고(교수·학습 형태의 변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평가가 증가하였다(교수· 학습 평가의 변화). 둘째, 학습자 간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와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영역 내 격차, 교사의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모든 교사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으나, 그 시기와방법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필요성,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의 필요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학교의 물리적 환경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생성형 AI 시대 리터러시 교육의 새로운 전환

        오민정 ( Oh Min Jung ),김종규 ( Kim Jong Kyu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 No.89

        본 논문은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따른 리터러시 교육의 변화가 갖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더 나은 미래 교육을 향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새로운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삼고 있다. 급격한 디지털 전환의 시대 속에서 교육 환경 및 교육의 조건이 변경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리터러시교육,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은 더욱 커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본질적인 개념은 충분히 정립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역시 올바른 방향에서 수행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기능적 문맹은 이 혼란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리터러시 문제이다. 그간 리터러시는 일종의 도구 활용 능력으로 이해되었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특히, 컴퓨팅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위한 기초 교육으로 이해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도구의 사용에 국한하더라도, 그 올바른 사용은 도구의 본질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해야 하며, 그 도구를 통해 관계 맺는 세계에 대한 이해 역시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 전환은 이와 같은 이해의 필요성을 우리에게 강하게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 및 관련 교육의 전환도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리터러시의 본질적 의미를 인간의 실존 조건인 현실의 구축과 이해 능력으로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세계와 현실을 폭넓고 다양하게 이해하는 교육으로 우리의 리터러시 교육이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독일의 사례를 우리의 교육과 비교하여 참조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educational change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presents a new direction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a better future in education. In the era of rapid digital transforma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onditions of education, as well as literacy education are in the process of chang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is more emphasized than ever. However, we still do not fully understand the essential concept of digital literacy.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not being conducted in the proper direction. In turn, the problem of ‘functional illiterate’ has arisen. This paper briefly compares the perspective of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shown in, with our case, Germany, and seeks to find the essential meaning of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construct and understand reality: a condition for human existence.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future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the foundation for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reality and building a better life. Literacy education can also be understood as a part of skill education, within the context of use. As technical education, literacy education is likely to trigger a literacy crisis within it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another transition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Generative AI that is heading toward the era of new technology. We need a perspective of and a direction for this new transition. Human life is not dependent on and defined by technology.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possibility that human life can unfold widely in mutual relationships. Ultimately, future literacy education should move towards education that broadly and diversely understands the world based on the original meaning of literacy.

      • KCI우수등재

        메타리터러시 연구동향 분석 - 정보 리터러시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

        홍소람,장우권 한국문헌정보학회 202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7 No.2

        Metaliteracy is a new framework that reframes information literacy. Metaliteracy is distinguished from information literacy through the intruduction of postmodernism, social constructivism and metacognition. However it has been not examined whether metaliteracy studies reflect the conceptual differen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bserve research trends of metaliteracy on the difference from information literacy. In the study,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knowledge network analysis(co-occurrence and bibliographic coupling) were conducted for 80 metaliteracy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occurrence analysis, metacognition(frequency 1st) and skills(degree centrality 1st, closeness centrality 1st, betweenness centrality 1st) appeared. Since metaliteracy criticizes skill-based information literacy,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concept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metaliteracy are mixed.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studies with high bibliographic coupling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and metaliteracy through metacognition. 메타리터러시는 정보 리터러시의 재구조화된 결과물이다. 메타리러러시는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적 구성주의, 메타인지의 도입을 통해 정보 리터러시와 구분되었다. 그러나 메타리터러시 연구들이 이 개념적 차이를 반영하고 있는지는 검토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리터러시 이론을 연구한 학술논문들에서 이 개념적 차이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연구동향을 관찰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메타리터러시 연구 80편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및 지식 네트워크 분석(동시출현․서지결합)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시출현분석 결과, 메타인지(빈도 1위)와 더불어 스킬(연결중심성 1위, 근접중심성 1위, 매개중심성 1위)로 나타났다. 메타리터러시는 스킬 기반의 정보 리터러시를 비판하기 때문에 이 결과는 정보 리터러시와 메타리터러시 개념이 혼재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서지결합분석 결과, 서지결합도가 높은 논문은 정보 리터러시와 메타리터러시의 차이를 메타인지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 KCI등재

        데이터피케이션(datafication) 환경에서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 데이터 리터러시 논의의 대안적 검토를 중심으로

        김연지,서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5

        이 연구는 리터러시 교육이 데이터피케이션 현상으로 인한 문식 환경의 변화를 포섭할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다.논의의 개진을 위해,데이터피케이션 현상의 쟁점을 문식 주체가 경험하게 될 문식 실천의 변화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데이터피케이션 소통 환경 속에서 주도성 상실,데이터 인식론의 지배,통제와 같은문제에 처한 학습자들을 위해 리터러시 교육의 국면에서 중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어서 새로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해,데이터 리터러시 논의가전개되어온 양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데이터 리터러시는 빅 데이터 기술의 편재와 함께 그 응답으로서 주목을 받아온 개념이다.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리터러시의 학제적 성격과 핵심적인 의미역을 검토하고,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리터러시 담론의 지형을 확인하였다.또한 데이터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는데이터 리터러시의 대안적 논의와 그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결론에서는 데이터 리터러시의 종합적 검토를 바탕으로 비판적 리터러시에 터한데이터 시대의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이 연구는 데이터피케이션 소통 환경에서 새로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논의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있다.

      • KCI등재

        통합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가능성 탐색

        조혜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4 사고와표현 Vol.17 No.1

        본 논문은 리터러시 교육에 있어서 원래의 리터러시 개념에서 분화되어 나온 다양한 리터러시(multi literacies)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통합하여 통합 리터러 시 교육을 구현할 수 있을지를 탐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리터러시 통합 의 필요성은 리터러시 교육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제한된 자원(시간, 교 수 여건 등)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기존에 분절적으로 이뤄졌던 리터 러시 교육의 한계를 보완하는 데에 있다. 이는 단순히 매체의 다양성을 확보하 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제 간 교육을 지향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필자는 기존의 다양한 리터러시 개념들을 고찰하여 시사점 을 탐색하였다. 이후 다양한 리터러시들을 개별적으로(분절적으로) 접근하여 교 육하기보다는 다양한 리터러시의 근간이 되는 기존의 리터러시 교육에 새로운 리터러시들을 통합하여 설계할 필요성을 제시하되, 매체의 다양성 확보와 더불 어 학제 간 교육을 통해 통합을 지향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이는 리터러 시 교육의 의미를 재음미하고 한정된 교육 자원 내에서 통합적인 교육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필자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하는 멀티 리터러시(multi literacy) 교육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탐색하면서 그것의 한계로서 어느 하나의 리터러시가 주도권을 잡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며 통합 리터러시(Integrated literacy) 교육의 실현 방안으로서 기존의 통합 교과목의 사례를 참조하여 통합리터러시 교과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제한점은 제안한 통합 리터러시 교과목이 리터러시 통합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을지, 그리고 그 효과성은 어떠한 기준으로 어떻게 검증할 수 있는지 제시하지 못한 데 있다. 이는 향 후 교과목의 실질적인 운영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integrated literacy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by integrating various literacies (multi literacies) that have emerged from the original concept of literacy in literacy education. The need for literacy integration aim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fragmented literacy education b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utilizing limited resources (time, teaching conditions, etc.) without damaging the essence of literacy education. The ultimate goal is not simply to secure diversity in media, but to pursu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o this end, first, the author examined various existing literacy concepts and explored their implications. Afterwards, rather than approaching and educating various literacies individually (segmentally), we suggested the need to integrate new literacies into existing literacy education, which is the basis of various literacies, and design them through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s well as securing the diversity of media. He emphasized the need to pursue integration. This is to reexamine th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and build an integrated education system within limited educational resources. Second, the author critically explores the meaning of multi-literacy education proposed in existing research, raises the issue of any one literacy taking the lead as a limitation, and proposes ways to realize integrated literacy education. An integrated literacy subject (draft) was proposed by referring to examples of existing integrated subject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hat it fails to suggest to what extent the proposed integrated literacy course can achieve the purpose of integrating literacy, and by what standards and how its effectiveness can be verified. This will be verified through actual operation of future subjects.

      • KCI등재

        미래 사회 역량으로서의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

        유리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6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concept and elements of multicultural literacy among the competencies of future society in an era in which the need for competency and inclusive education is expanding, and to examine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multicultural literacy related to future education policy directions. To this end, future social competencies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social competencies and multicultural literacy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knowledge elements of multicultural literacy in relation to future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self-culture and other cultures, international issues, and cultural power. Functional elements included the ability to use foreign languages, form relationships for positive communication contexts, modify behaviors according to cultural contexts, and act as global citizens. Finally, regarding attitude elements, each content was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human-oriented attitude, interest in multicultural situations, attitude of empathy and inclusion, interdependence in global situations, and content of creating a new culture. Setting up multicultural literacy elements as competencies in future society is meaningful in that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literacy, which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can be embodied and treated as elements of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and its direction can be proposed. 본 연구는 미래 사회의 역량 중 역량 교육과 포용적 교육에 대한 필요가 확대되는시대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다문화 리터러시와 관련된 내용에 주목하여 다문화리터러시의 요소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다문화 리터러시의 교육 방안을 살피는 것을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 사회에 요청되는 역량을 다양한 관점으로 나누어분석하고, 이 역량과 다문화 리터러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역량과 관련하여 다문화 리터러시의 요소를 지식, 기능, 태도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지식 요소로는 문화적 소통 맥락에 대한이해, 자문화와 타문화에 대한 이해, 국제 문제 이해, 문화 권력에 대한 이해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기능 요소로는 외국어 활용 능력, 긍정적 소통 맥락을 위한 관계 형성능력, 문화 맥락에 따른 행동 수정 능력, 글로벌 시민 행동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태도 요소로는 인본지향의 태도, 다문화 상황에 대한 관심, 공감과 포용의 태도, 글로벌 상황에서의 상호의존, 새로운 문화 창조를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요소와 관련된 미래 역량을 함양하기 위하여 융합교육과 미래 교육의 방향을 기반에 두고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미래 사회 역량으로서의 다문화 리터러시 요소를 설정하는 것은 지금까지 확장적으로 논의되어 온 다문화 리터러시의 개념을 구체화하는 동시에 이를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의 요소로 다루어 발전된 다문화 리터러시교육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