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남북한 의류산업의 노동생산 효율성 비교를 통한 산업구조 조정에 대한 제언

        구명진,김윤주,김성훈,신은경,이춘영,홍영은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1998 생활과학 Vol.- No.31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아래와 같다. 1. 남북한 의류산업의 현황을 비교해 보면 북한의 생산규모는 남한의 1/10수준이며, 설비규모는 남한의 1/6이다. 기술수준은 남한의 50%수준이며 인력현황은 남한은 인력난을 겪고 있지만 북한의 경우 고급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남북한 노동생산성을 비교해본 결과 기술력과 시설이 떨어지는 북한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 기술력을 고려한 경우 의류분야는 높게 나타나 분업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3. 설비투자가 추가될 경우 북한의 노동생산성이 더 높아질 것으로 사려되므로 남북경협시 1차적으로는 낮은 임금을 활용한 단순 노동 생산 품목의 임가공이 경제적이다. 또한 이는 분업구조의 확대를 위한 북한의 상업 활성화와 남한의 부족한 인력, 높은 임금, 생산기반약화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수평적 경제구조 형성을 위하여 직접투자를 통한 2차적 분업구조 모델이 요구된다. 기술 및 설비의 직접투자가 시행될 경우 북한의 노동 생산성은 크게 향상될 것이며 수평적 경제구조의 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2차모델은 남한의 자본, 기술과 북한의 노동력을 활용 합작 공장을 건설하는 형식으로 주 분야는 기술력 고려시 1달러당 노동생산성이 가장 많이 향상 될 것으로 판단되는 의류부문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 것이다. 통일원 및 북한에 대한 상세한 자료를 갖추고 있어야 될 기관에서조차 실시된 최근의 구체적인 자료가 부족하여 북한에 대한 모든 연구의 대부분이 추정된 자료에 의하여 진행되고 있다. 보다 정확한 연구를 위해서는 먼저 최근의 구체적 자료를 수집공개해야한다. 구체적인 통일국가의 미래상과 과정이 드러나지 않은 상황에서 그 형태마다 다른 내용의 연구가 요구되므로 가장 현실 가능한 통일모형과 통일과정에 따른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측정과 분석

        구명진,여정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3

        광고리터러시는 일찍이 광고에 대한 인지능력들을 아우르는 개념으로서 연구되었으나, 모바일 광고의 급격한 성장과 변화에 따라 해당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리터러시를 새로이 파악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정보차 원, 효용․비용차원, 기술차원의 광고리터러시 세 차원으로 구성한 새로운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척도를 통 해 성인소비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차원과 세부요소별로 그 수준을 검토하고, 더 나아가 소비자 특성 별로 나타나는 리터러시 차이를 분석하였다. 소비자가 대중매체 광고를 접하면서 얻을 수 있었던 정보차원의 광고리터러시조차 모바일 광고환경에서는 저하 되었고, 효용․비용차원의 광고리터러시에서는 비용인지능력이 불균형적으로 낮고 요인 간 격차가 큰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기술차원의 광고리터러시에서는 소비자간 격차 발생과, 비용회피를 위한 기술적 조작능력 면에서 인 지측면과 함께 이중의 어려움을 경험함을 도출하였다. 소비자 특성별로는 인구통계학적 기준에 따른 취약계층이 여전히 낮은 리터러시를 보임과 동시에, 기존에는 취약소비자로 인식되지 않던 젊은층과 고학력층 소비자들도 모 바일 광고환경에서는 취약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스마트폰 사용능숙도는 기술차원의 광고리터 러시 외에는 무관하여, 스마트폰 대중화와는 별개로 모바일 광고라는 특정 영역의 리터러시 향상이 필요함을 보 였다.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에 대한 주관적 인식별로는 효용을 높게, 비용을 낮게 평가한 소비자의 효용․비용차 원의 광고리터러시가 상대적으로 낮아, 리터러시가 낮은 소비자들이 최적수준보다 광고를 더 수용하는 의사결정 을 할 위험성을 발견하였다. 소비자들이 모바일 광고에 대해 상당한 취약점을 보임에 따라, 내용과 대상의 양 면에서 연구 결과에 근거한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과 동시에, 광고업계의 자발적 협력 중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가 소비자 리터러시 향상과 복지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With rapid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market, it is more necessary than ever to make a diagnosis on consumer advertising literacy on mobile.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each dimensions and sub-factors of literacy with a newly developed scale, consisting of informational dimension, cost-benefit dimension, and technical dimension.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y consumer groups were also analyzed. The informational dimension of advertising literacy, which was comparatively learnable from mass-media ads, also deteriorated in the mobile advertising environment. In the cost-benefit dimension, the level of knowledge on cost was disproportionately low and within that the gap between cost-elements was great. There were consumer gaps within the technical dimension and the level of technical skills to avoid cost was low compared to the skills to utilize benefit, so that consumers experienced the double difficulties in coping with the cost of mobile advertising. In term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vulnerable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standards showed low literacy as expected, while young and highly educated consumers, who were not recognized as vulnerable consumers in the past, could also be vulnerable to mobile advertising environments. In addition, consumers' proficiency in smartphone use was independent of the literacy level except the one of the technical dimension, which means that a smartphone popularization doesn’t guarantee the high level of consumer advertising literacy on mobile so that separate education is needed. In terms of consumer's subjective perception on mobile ads, consumers who overestimated the benefit and underestimated the cost had relatively low advertising literacy, which means that consumers with low literacy have a risk of making As consumers have considerable weaknesses in mobile advertising, it is urgent to develop a consum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terms of both contents and targets, and voluntary cooperation of the advertising industry is also requir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ully utilized to improve consumer literacy so that contribute to consumer welfare realization.

      • KCI등재

        소비자 정보탐색단계별 탐색어려움과 구매결정 - 상품 유형성을 중심으로 -

        구명진,여정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2

        소비자의 기존 지식과 경험이 빠르게 노후화되는 현대 소비사회에서 새로운 정보의 탐색은 합리적 구매의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정보탐색과정에서의 경험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소비자의 정보탐색과정을 5단계(탐색과업 설정, 정보원 탐색, 정보이해, 정보여과, 정보종합)로 세분화하고, 각 단계별 소비자가 경험한 탐색적 어려움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품의 유형성에 따라 분류한 유형상품(PC․노트북, 의류)과 무형상품(여행상품, 공연상품)별로 각 탐색단계의 어려움이 어떻게 나타나며, 탐색어려움과 구매결정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먼저 소비자의 정보탐색단계별 어려움은 PC․노트북을 제외한 세 가지 상품 모두 3단계인 정보이해 단계에서 가장 낮았다. 이는 대부분의 상품정보를 탐색할 때, 소비자들이 초반에 어떤 정보를 어디에서 찾아야하는지와, 후반의 정보 여과와 종합에 어려움을 더 많이 경험함을 보여준다. 상품지식수준별 집단 간 비교 결과에서도 어려움의 높낮이 차이는 나타났지만, 탐색단계별 어려움의 패턴은 유사하였다. 둘째, 유․무형 상품별 비교 시, 정보탐색 각 단계에서 소비자의 어려움은 정보탐색 초반 단계인 탐색과업 설정 단계와 정보원 탐색 단계에서 모두 무형상품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유형상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의 정보탐색어려움과 탐색 후 구매결정의 관계는 유형상품의 경우 탐색어려움이 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용 후 복원이 어려운 무형상품은 정보탐색어려움을 느낀 소비자가 정보탐색 후 구매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정보탐색과정에서 소비자의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보탐색 초반단계의 탐색 가이드라인 제공 및 획득한 정보의 필터링과 종합 도구의 제공이 중요하다. 둘째, 물리적 실체가 없는 무형상품은 유형상품에 비해 정보탐색 초반의 길잡이가 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이용 후 환불 및 교환이 어려워 소비자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무형상품의 경우, 명확하고 믿을만한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는 소비자 정보탐색과정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단계를 세분화하고 각 단계별 소비자의 어려움을 직접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더욱 실질적으로 소비자의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상품 유형성에 따른 단계별 정보탐색어려움의 차이를 파악하고, 정보탐색어려움과 구매결정간의 관계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제시함으로써, 상품이 가진 공통적 속성에 따른 결과를 제시하여 보다 일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became more important for reasonable purchasing decision in current consumption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s’ difficulties in their pre-purchase information search process. For more detailed and in-depth study on consumers’ real experience, information search process was divided into 5 stages, which are 1) information searching task definition 2) information channel search 3) information understanding 4) information filtering 5) information synthesizing. Especially, the differences of information searching difficulties between tangible goods(PC·laptop computer, apparel) and intangible goods(tour package, perform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earching difficulties and purchasing decision was also measured in the study. First of all, consumers experienced less difficulty in the 3rd stage rather than other 4 stages when searching information on all goods except PC·laptop computer. Same result was shown in both 2 groups which was divided by the level of knowledge on each product. This result shows that most consumers’ difficulties in information search are caused from the ignorance of what and where to search, and the hardship of filtering and synthesizing information they already got. Secondly, Consumers felt more difficult at the 1st and 2nd stages when they searched information on intangible goods than when they did on tangible goods. Third, in tangible goods, consumers’ information searching difficulties raised the probability of not purchasing the product. Considering the opposite result of tangible goods, which had no difference of information searching difficulties between purchaser group and non-purchaser group, consumer who couldn’t find enough information may hesitate more to buy intangible goods with restoration problem after purchase compared with tangible good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implication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searching guidelines for the early phase and the easy-to-use tool for filtering and synthesizing gained information are needed for the improvemet of consumers’ information searching experiences. Second, providing enough information for early stages of information search process is relatively more important for intangible goods than tangible goods. Third, for intangible goods, product providers need to make more effort to help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compared with tangible goods. This study provides useful solu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onsumers’ real experiences in information search by focusing on the detailed stages of information search process. It also has strength to generalizing the result about the effect of tangibility of products either on information searching difficulties themselv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ing difficulties and purchasing decis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개념화와 척도개발 - 질적·양적 방법론을 통한 검증 -

        구명진 ( Koo Myoungjin ),여정성 ( Yeo Jung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2

        모바일 광고의 급격한 성장으로 광고와 소비자 간의 관계 또한 크게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가 모바일 광고에 대해 갖추고 있는 광고리터러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광고리터러시 개념을 재검토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개념을 새로이 도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실제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에 대한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광고리터러시 개념은 광고의 수동적인 처리를 전제하여 발전해왔으며, 이론적 검토를 통해 소비자 측면과 모바일 광고 측면에서 개념을 확장할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소비자·전문가 면접조사를 병행한 질적연구를 통해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개념을 정보차원의 광고리터러시, 효용 비용차원의 광고리터러시, 기술차원의 광고리터러시의 세 차원으로 새로이 구성하였으며, 각 하위차원별 세부요소 또한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정보차원의 광고리터러시는 광고와 컨텐츠의 구분능력, 광고내용 이해능력, 광고기만성 판별능력, 광고관련 정보탐색능력, 광고관련 소비자문제 대처지식, 광고발신·관리주체 인지능력으로 구성하였다. 효용·비용차원의 광고리터러시에는 효용인지능력과 비용인지능력을, 기술차원의 광고리터러시에는 광고노출가능성에 대한 사전인지능력, 기술적 조작능력(혜택활용), 기술적 조작능력(비용회피), 신기술 광고사기유형 인지능력을 포함하였다. 이와 같이 도출한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개념에 근거하여, 소비자의 실제 리터러시 수준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측정문항들은 소비자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척도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모바일 광고를 접할 때 갖추어야 할 기본적 리터러시들을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새로운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더 나아가 실제 소비자의 현황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에 대한 학문적 지식의 총체를 발전시킴과 동시에, 광고관련 소비자 복지 향상을 위한 정확한 진단과 구체적 개선안 마련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market have changed the role of consumers, who formerly acquired information from the Ads they encounter or just ignored them. The abilities needed for consumers in the process were centered on the cognitive abilities to recognize the context of the Ads and, if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of Ads critically. This kind of ability was named as ‘Advertising Literacy’ in the current literatures.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new concept and measuring tool of advertising literacy for mobile advertising due to the changed role of consumers in the current mobile advertising marke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for the conceptualization and scale development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of data from interviews with consumers and experts of Ad-related fields, this study established and verified the concept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which consists of three sub-dimensions (Informational dimension, Cost-benefit dimension, Technical dimension) of Advertising Literacy. This study also constructed the elements of three dimensions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based on the result of the interviews as follows. Information aspect (ability to recognize ads, ability to understand the ad contents, ability to recognize ad deception, supplementary information search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for mobile ads, ability to recognize mobile ad platform), Cost-benefit aspect (knowledge on cost of mobile ad, knowledge on benefit of mobile ad), Technical aspect (preliminary knowledge on ad exposure possibility, technical skills to avoid mobile ad cost, technical skills to utilize mobile ad benefit, knowledge on the types of technical ad fraud). Based on the sub-dimensions and elements derived, the scale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was developed. The scale was designed to include the items requiring consumers to answer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al materials selected according to the clear criteria, so that the activated literacy can be measured effectivel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was statistically verified using two sets of consumer survey data. The concept derived from this study reflects both the diverse role of consumers and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mobile advertising, so that encompass the essential capabilities for consumers with mobile ads in a single frame. In addition, the measuring tool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can provide a comprehensive diagnosis of important issues consumers experience with mobile advertising.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lan more specific improvemen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onsumer-oriented educational programs for mobile advertising. Hopefully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 and scale of consumer literacy on mobile advertising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academic knowledge and is utilized as a practical tool to diagnose the mobile advertising environment and the consumer's literacy to contribute to improving consumer sovereignty.

      • KCI등재

        소비가치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연구

        구명진 ( Myoung-jin Koo ),김난도 ( Ran-do Kim ),김소연 ( So-yun Kim ),나종연 ( Jong- Youn Rha ),여정성 ( Jung-sung Yeo ),최현자 ( Hyun-cha Choe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6

        소비자가 소비생활에 있어서 어떠한 선택을 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는 현대 소비사회와 소비자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본 연구는 소비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고 소비생활 전반을 포괄할 수 있는 소비가치 척도를 개발하고, 하위 소비가치들의 소비자 인식 상 위치를 시각화한 지각도를 도출하여 소비가치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 고자 하였다. 기존의 소비가치 척도가 주로 초점을 맞추었던 상품에 근거한 소비가치 외에도, 소비생태계의 중요한 요소인 소비자와 소비공동체에 근거한 소비가치들을 고려 여 소비가치 척도의 하위차원과 측정문항을 구성하였고, 소비자설문과 통계적 검증을 통하여 효용지향, 안전지향, 저가지향, 쾌락지향, 심미지향, 혁신지향, 타인지향, 공동체 향, 자율지향, 자기표현지향 등 10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된 소비가치의 척도를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소비가치의 지각도(perception map)는 소비자설문 결과를 활용 서 소비자들이 인식한 소비 가치의 상대적 거리를 반영한 것을 시각화하여서 도출하였고, 소비자의 지각도 상에서 소비가치들은 소비자들이 해당 가치를 추구할 때 판단의 기 이 무엇인가에 따라 판단의 기준이 소비자 자신인 소비가치들과 기준이 타인인 소비가치들로 분류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대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소비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포함해야 할 중요한 소비가치 하위차원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소비가치들의 구조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지각도를 실증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소비가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귀중한 실증 자료를 축적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Consumption value is a critical keyword to understand and predict contemporary consumer society.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 consumption value scale with sub-dimensions including important consumption values which are related with consumption life in general.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draw a perception map of consumption values based on empricial data from consumers. From the consumer-ecological perspective, the consumption value scale was theoretically proposed, which embraced not only product-related values but the values derived from consumers and consumption-community. Through the preliminary and the main test, the scale was improved and finally fixed with 10 sub-dimensions including utility oriented value, security oriented value, low-price oriented value, hedonism oriented value, aesthetics oriented value, innovation oriented value, others oriented value, community oriented value, autonomy oriented value and self-expression oriented value. The perception map of consumption values was deducted from the empirical data by MDS methodology, which visualized consumers’ perception on the individual consumption values. According to the loacation of each values on the derived map, the 10 value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The value group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map were the values to be judged by the consumer’s own criteria, while the values on the right side were rather other-directed.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was named ‘the judgement criteria’.The present study developed the consumption value scale with sub-dimensions for measuring essential consumption values comprehensively. Futhermore, it also provided the empricial clue on the structural framework of consumption values in consumers`` percep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help understanding consumption values and provide a useful tool to accumulate valuable empirical data.

      • KCI등재

        A Comparison of Active Surveillance Programs Including a Spontaneous Reporting Model for Phamacovigilance of Adverse Drug Events in a Hospital

        윤일선,구명진,박은혜,김성은,이재현,박중원,홍천수 대한내과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27 No.4

        Background/Aims: Spontaneous reporting systems have several weak points, such as low reporting rates and insufficient clinical information. Active surveillance programs, such as ward rounds and a clinical data repository (CDR), may supplement the weak points of such systems. We developed active surveillance programs and compared them with existing spontaneous reporting. Methods: We collected adverse drug event (ADE) cases, which comprised 1,055 cases of spontaneous reporting, 309 reported by ward rounds, and 229 found using a CDR. The clinical features and causative drugs were evaluated. Results: Active surveillance programs detected additional serious ADEs compared to those of spontaneous reporting programs. The ADEs identified by CDR (22.9%)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as “serious” than those reported spontaneously (5.2%) or identified during ward rounds (10.3%). Causative drugs also differed. Opioids, antibiotics, and contrast media were the most common drugs causing ADEs in the spontaneous reporting system, whereas the active surveillance programs identified antibiotics as the most common causative drug. Clinical features also differed. ADEs with gastrointestinal manifestations were reported most frequently by spontaneous reporting programs. ADEs reported from active surveillance more reliably identified events associated with changes in laboratory values, such as hepatobiliary toxicity, hematologic manifestations, and nephrologic manifestations, compared with spontaneous reporting programs.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active surveillance programs can supplement spontaneous reporting systems in hospitals. ADEs related to laboratory abnormalities were monitored more closely by active surveillance programs and may be useful for identification of serious ADEs.

      • KCI등재

        고령자 친화형 스마트워치의 노인 소비자 수용과 사회복지사, 자녀의 평가 연구 - 통합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

        전상민,구명진,유연주,심유조 한국소비자학회 2023 소비자학연구 Vol.34 No.6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raise older adult consumers’ acceptance rates of senior-friendly smartwatches an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ir support. This study explored older adults’ acceptance of senior-friendly smartwatches with various healthcare functions and senior user interface (UI) and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cceptance us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model. It also surveyed social workers and adult children, the main supporters of the older adult generation, regarding their evaluations of senior-friendly smartwatches and related welfare policies.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300 consumers aged 60 years and older, 30 social workers, and 200 children with their parents. The results showed that older adult consumer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necessity of the individual functions of senior-friendly smartwatch and their intention to use them were strong. Particularly, functions such as emergency rescue calls and heart rate, blood oxygen, and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received relatively higher scor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older adult consumers in terms of sociodemographic/household characteristics, healthcare conditions, and digital device proficiency. Among the four antecedent factors from the UTAUT model, performance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to use the smartwatch, and the intention to use the device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to purchase it. The impact of performance expectancy on intention to use was greater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than for those living with other family members, and the impact of social 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latter. For older adults with high digital device proficiency, the intention to use the device significantly increases their purchase intention. Finally, both social workers and children favored all healthcare functions of the senior-friendly smartwatch, and their preferences among the functions showed similar pattern to older adults, who preferred emergency calls and physical monitoring func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acceptance level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ir parents’ age, health care conditions and especially digital device proficiency level. Family members and professional older adult care personnel were chosen as the preferred support sources for older adults by both social workers and children. Social workers prioritized supporting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excluded from healthcare access. They also selected those who were enthusiastic about their health and had high digital proficiency for prior support. Social workers and children have proposed Senior-friendly UI and functions such as voice alarms, automatic sensor, and AI to improve older adults’ smartwatch usability, as well as repetitive face-to-face education and prompt network connectivity between the device and medical/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 consumers and the specific senior- friendly functions designed for the prototype device to create research model,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creasing older adults’ acceptance of the device. Furthermore, data from not only older adults but also their children and social workers were analyzed to improve the results’ reliability and draw multifaceted implications for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