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형분석모형과 강우레이더를 이용한 돌발홍수 모형 개발 : Ⅱ. 태풍 루사에 의한 양양 남대천 유역의 돌발홍수 모니터링

        김병식(Kim Byung Sik),홍준범(Hong Jun Bum),김형수(Kim Hung Soo),김양수(Kim Yang Soo)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7 No.2B

        지난 2002년 8월 말경 태풍 루사가 한반도를 통과하면서 전국에 걸쳐 강풍과 폭우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고, 영동지방에는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집중되었다. 특히 강릉지역에 내린 l일 강수량은 870.5 ㎜로 기록되었다. 강릉지역의 연 평균 강수량 1401.9 ㎜의 62%가 하루에 내렸으며 태풍 루사에 의한 홍수피해는 강릉시, 양양군, 고성군, 정성군 지역의 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기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본 연구논제(2006)에서 개발한 돌발홍수 모니터링 및 예측 모형인 F2MAP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난 2002년 8월, 태풍 루사에 의해 피해를 입은 강원도 지역에 적용하였으며, 실제 피해 내용과 모형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충분한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typhoon Rusa passed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south-western part to the north-eastern part in the summer season of 2002 and caused severe flood disaster in Korea. The Rusa brought the 870.5 ㎜/day of rainfall in the city of Kang-neung, Kangwon-do, Korea and this amounts 62% of the annual mean rainfall in this area. The flash flood due to the Rusa was occurred over the whole Korean peninsula and especially the damage was centered in Kangneung, Yangyang, Koseong, and Jeongseon areas of Kangwon-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a F2MAP model that we developed in the previous part of this issue (2006). Therefore, we applied the F2MAP model to Narndae-cheon basin, Yangyang, Kang-won-do which was one of the biggest damaged areas by the flash flood from the Rusa.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F2MAP model illustrates that the model is suitable for the monitoring and the prediction of a flash flood.

      • KCI등재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강릉지역 산사태 연구(I)-산사태 발생 위치와 영향 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

        이명진(Moung-Jin Lee),이사로 Saro Lee),원중선(Joong-Sun W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 자원환경지질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해 강릉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와 관련 요인들 간의 공간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산사태 위치는 위성영상 및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탐지하였다. 지형도, 토양도, 임상도, 지질도, 토지피복도 등을 GIS를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경사, 경사방향, 곡률, 수계, 지형 종류, 토질, 토앙모재, 토앙배수, 유효토심, 임상종류, 임상경급, 임상영급, 임상밀도, 암상, 토지피복도, 선구조도 등이 산사태 발생요인으로 이용되었다. 빈도비 모델을 이용하여 산사태와 발생 요인 간의 공간적 관계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인 공간적 상관관계는 2002년 루사로 인한 산사테의 특성을 설명하고, 산사태 취약성도를 작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slides occurred by typhoon, Rusa in 2002 and geospatial dataset. Landslide locations were detected using satellite image and field survey. Topogra-phy, soil, forest, geology and land use data sets were constructed as a spatial database in GIS. From the database, slope, aspect, curvature, water system, type of topography, texture, material, drainage, effective thickness of soil, type, age, diameter, density of wood, lithology, lineament of geology, land use and lineament were used as the land-slide occurrence factors. Using a frequence ratio model, the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landslides and the factors were extracted. The spatial relationships is helpful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and to make landslide susceptibility map.

      • KCI등재

        수분유입방향을 고려한 강릉지역 태풍 루사의 수분최대화비 산정

        김문현,정일원,임은순,권원태 한국수자원학회 200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0 No.9

        본 연구에서는 2002년 강릉지역에 큰 피해를 일으킨 태풍 루사(Rusa) 호우 사례에 대하여 PMP(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의 산정 및 전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PMP산정을 위해서는 2가지 이슬점온도 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대표 12시간 지속 이슬점온도를 지상일기도, 지표 풍향, 850 hPa 수분속, 유선장 뿐만 아니라 강릉 지역의 지형적 특성까지 고려하여 수분 유입 지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PMP(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and its transition in case of the typhoon Rusa which happened the biggest damage of all typhoons in the Korea. Specially, we analysed the moisture maximizing rate under the consideration

      • KCI등재

        자연재난 보도의 특성 분석: 태풍 루사의 사례 연구

        김만재,Kim,Man-Jae 한국방재학회 200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5 No.3

        매스 미디어는 재난 발생시 이재민 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기 때문에 매스 미디어의 역할은 재난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재난보도에 관한 현황 분석조차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카인즈를 이용하여 2002년 8월 29일 부터 10월 1일까지 태풍 루사에 관하여 신문과 텔레비전 뉴스에서 보도된 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재난 보도에서는 일기예보를 활용한 사전 경보 기능이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재난 피해자들의 무기력한 모습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의존이미지라는 재난신화를 만드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재민들에 대한 이와 같은 묘사는 성금을 모집하는 데에는 지대한 공헌을 하였을지 모르지만, 사실을 왜곡함으로써 효율적인 방재계획을 수립하는 데에는 역기능적 역할을 수행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미디어를 활용한 효율적인 경보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재난경보가 복잡한 사회 과정임을 인식하여, 신뢰할만한 공식적인 기관이, 명확하고 구체적인 메시지를 매스 미디어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매스 미디어의 성금 모금은 필요 경비의 조달과 공동체 의식의 공고라는 순기능적 측면이 있지만 이재민의 의존적인 태도를 영속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매스 미디어를 통하여 정부가 수행해야 할 업무와 자산 소유주가 담당해야 할 책임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The primary source of disaster information for victims as well as ordinary people is mass media. In spite of their importance, the media often inaccurately portrays reality, which has stimulated academic debates. In Korea, however, media reporting patters of disaster have been hardly addressed. Therefore, the paper analyzes how newspaper and television news have reported typhoon Rusa between August 29 and October 1 in 2002 by using KINDS(Korean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elevision news tend to present more soft news stories emphasizing human interest stories than newspaper articles, relying on victims as primary interviewees.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Korean media do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oviding disaster information to public regarding how to lessen the effects of impact through preparation. Disaster mythology representing wrong beliefs about human behavior in disaster is found in Korean media reporting, too. Unlike their western counterparts, however, Korean media seem to use the dependency image of helpless victims in order to stimulate donations. Analyses of disaster reporting patterns suggest that, in make disaster warning messages associated with behavioral responses, credible and official sources should provide clear and precise warning messages to the media, and the media also need to stress individual responsibilities in protecting his or her own properties not to make victims heavily dependent on public supports, while inducing donations.

      • KCI등재

        Differences in Social Context of Disaster Reconstruction between Korea and China - A Comparative Study of Typhoon Rusa and Sichuan Earthquake -

        Hee Cheon Choi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7 Crisisonomy Vol.13 No.11

        재난 재건 과정의 다양한 이슈들은 재난의 종류와는 관계없이 사회의 맥락적 특성을 반영한다. 본고는 쓰촨 지진과 태풍 루사 사례의 4개 이슈영역-물적 항구복구, 사회 자생력 회복, 사고 재발 방지, 그리고 지역발전-들을 비교연구함으로써, 양국의 맥락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중국은 복구 기간 단축이라는 효율적 복구의 이슈가 강하였고, 전국적 차원의 경제발전과 재난 복구 이슈가 강하게 연계되었다. 당과 국가중심의 리더십은 전체적인 시각에서의 효율성을 달성하는 조건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관료주의적 형식주의의 특성으로 인한 비효율성과 사회 시스템에 대한 낮은 신뢰수준도 발견되었다. 한국은 민간 투입기능이 상대적으로 강하였고, 이슈를 둘러싼 갈등수준도 높았다. 주민, NGO, 기업, 이익단체, 정치권 등이 모두 중요한 주체로 참여하는 다원화된 모습을 보였다. 민간의 참여는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조직화된 모습을 보였으며, 지역 기득권과 연계되어 지역의 목소리가 상적으로 강하였다. In disaster reconstruction process, various issues reflect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of society regardles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isasters. This study compared the post-disaster issues of the 2008 Sichuan earthquake in China and the 2002 Typhoon Rusa in Korea. The issu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such as physical reconstruction, social resilience, recurrence preven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In China’s case, as the central government initiated the issues as a major player, the issues of efficient reconstruction were found noticeable and strongly connected to the issue of nationwide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bureaucratic inefficiency and low trust level were also found in China. In Korea, public input was relatively strong and pluralized including NGOs, private firms, interest groups and the public. Civil participations in Korea were well organized and local voices were relatively strong in connection with their interests.

      • KCI등재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2002년 강릉지역 태풍 루사로 인한 산사태 연구(II)-확률기법을 이용한 강릉지역 산사태 취약성도 작성 및 교차 검증

        이사로,이명진,원중선,Lee Saro,Lee Moung-Jin,Won Joong-S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 자원환경지질 Vol.3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강릉지역에 대해 산사태 취약성을 GIS와 원격탄사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사태 위치는 위성영상 해석 및 현지 조사를 통해 확인되었고,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하여 지형도, 토양도, 지질도, 선구조도, 토지피복도 등이 수집되고, 처리된 후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다. 확률 기법인 빈도비 모델을 이용하여 산사태와 경사, 경사방향, 곡률, 수계, 지형종류, 토질, 토양모재, 토양배수, 유효토심, 임상종류, 임상경급, 임상영급, 임상밀도, 암상, 토지피복도, 선구조도 등 산사태 발생 요인들과의 관계를 계산하여 빈도비를 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빈도비를 모두 더하여 산사태 취약성 지수를 계산하였으며, 이러한 취약서 지수를 모두 더하여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는 실제 산사태 위치자료를 이용하여 검증 및 교차 검증되었고, 그 검증 결과는 산사태 취약성도와 산사태 위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sceptibility of landslides at Kangneung area, Korea,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remote sensing. Landslide locations were identified from interpretation of satellite image and field surveys. The topographic, soil, forest, geologic, lineament and land cover data were collected, processed and constructed into a spatial database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data. Using frequency ratio model which is one of the probability model,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slides and related factors such as slope, aspect, curvature and type of topography, texture, material, drainage and effective thickness of soil, type, age, diameter and density of wood, lithology, distance from lineament and land cover were calculated as frequency ratios. Then, the frequency ratio were summed to calculate a landslide susceptibility indexes and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maps were generated using the index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verified and cross-validated using actual landslide location data. The verification results showed satisfactory agreement between the susceptibility map and the existing data on landslide locations.

      • KCI우수등재
      • 김천시 태풍 '루사' 피해 분석을 통한 도시방재 문제점에 관한 연구

        이호영,전규엽,홍원화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

        Every year, a lot of natural disasters has occurred and resulted to not only humans death but also property loss in Korea as well as other countries. Among the natural disasters, floods or tidal waves have made us perplexed economically and socially. Recently many cities are gathering in certain reigns, globalizing and more enlarging, their damages from flood are getting bigger than any other injury and influencing to people and nations themselves as well. Nevertheless, these unfortunate happenings have annually occurred, but no governments have effective ways to prevent many damages referred above. Natural disasters are difficult to predict their occurrences, which are beyond humans ability to control. The effective and systemic countermeasure, however, will make these damages small. Therefore, this thesis has an aim suggesting. The problems of City Prevention of natural disasters by studying the case, City. Kimchun, which had big damages from flood resulted from typhoon, Lusa.

      • KCI등재

        DEM기반의 홍수범람모형과 MD-FDA를 이용한 홍수 피해액 산정에 관한 연구

        이기하,박경원,유완식,정관수,장창래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5

        본 연구에서는 DEM 기반 2차원 홍수범람모형을 이용하여 2002년 태풍 ‘루사’에 의한 강원도 장현, 동막저수지 동시붕괴에따른 홍수범람 양상을 모의하고, 범람모의결과를 다차원 홍수피해액 산정법 MD-FDA에 적용하여 댐 붕괴로 인한 대상유역의홍수피해액을 산정하였다. 범람해석모형의 적용 결과 저수지의 홍수위를 넘어선 모의시간 0.5시간부터 9시간까지 침수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하류부의 대부분이 침수되었으며, 장현저수지의 경우 최대 침수심은 4.73 m까지 상승하였고, 동막저수지는최대 침수심은 4.3 m로 모의되었다. 또한 현장조사된 실제 침수흔적도 비교한 결과 범람양상이 매우 유사하게 모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의된 침수심도 정보를 MD-FDA 방법과 연계하여 홍수피해액을 산정한 결과, 저수지 붕괴에 따른 실제 집계된 총 피해액, 약 450억원에 비해 73억원이 과다산정되었으나 실제적으로 홍수 예·경보에 의한 사전대피에 의해 사상자와부상자를 많이 줄일 수 있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제외한 경우 피해액은 약 464억원으로서 보고된 실제 피해액과 매우 근접하게 산정되었다. This study aims to simulate a flood inundation propagation due to Janghyeon and Dongmak dam breaches by the typhoon ‘Rusa’, 2002 in the Kangwon-do using the 2-D flood inundation model and also estimate flood damages of the study site using the MD-FDA method. Flood inundated areas increased gradually from simulation time of 0.5 h to 9 h since the reservoir water surface elevation exceeded the design flood elevation. The maximum inundation depths of downstream area were simulated at 4.73 m of the Janghyen and 4.3 m of Dongmak, respectively. The simulated inundated area showed a very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surveyed inundated area. The estimated results using the MD-FDA with spatially-distributed inundation depth information showed that the damages of the MD-FDA were overestimated at 7.3 billion won than the reported damages of 45 billion won. However,the flood damage estimation result using the MD-FDA was recalculated at 46.4 billion won under no considerations to the dead and wounded because of early evacuation and it was then accep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