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바울신학의 전망에서 바라본 <레 미제라블>

        정승우(Chung, Seungwoo)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학문 Vol.31 No.-

        이 글은 영화 <레 미제라블>을 바울의 칭의론과 율법관을 통해 살펴본다. 장발장과 자베르의 대조적인 삶을 복음과 율법이라는 주요한 신학적 테마에 기반하여 <레 미제라블>이 지니고 있는 바울 신학적 징후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바울신학을 <레 미제라블>에 강제하기보다는 <레 미제라블>의 전망에서 바울의 칭의론과 율법관이 지닌 현재적 의미를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타자에 대한 환대의 윤리에서 살펴본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성서의 서사와 메시지가 할리우드 영화 속에서 여전히 근원적 서사(proto-narrative)로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레미제라블>은 바울의 율법관과 칭의론을 현대인들이 이해하는데 훌륭한 렌즈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고통받는 ‘레 미제라블’을 향한 연민과 연대만이 하나님의 은총에 다다를 수 있다는 바울의 깨달음이 어떻게 장발장의 삶을 통해 구현되는 가를 보여준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movie <Les Miserables> through Paul’s idea of justification and the law. The contrasting life of Jangbaljang and Jaber is examined based on the main theological theme of Paul’s theology about the gospel and the Law. To this end, rather than forcing Paul’s theology into <Les Miserables>, I investigate its modern meaning implicated in Paul’s theory of justification and the law, based on Levinas and Derrida s ethics of hospitality. Through these attempts, it is discovered that the biblical narrative and message are still working as proto-narratives in Hollywood movies. <Les Miserables> can provide an excellent lens for modern people to understand Paul s view of law and justification. This paper shows how the recognition that compassion and solidarity toward suffering in “Les Miserables” can reach the grace of God which is realized through the life of Jangbaljang.

      • KCI등재

        연민을 이끌어내는 문학과 도덕적 상상력-영화 <레 미제라블>과 소설 『레 미제라블』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정희 ( Ko J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6 No.-

        이 글은 타인의 고통을 어떤 식으로 재현하거나 묘사할 때 관객이나 독자의 연민이 더 잘 유발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뮤지컬 영화 <레 미제라블>과 빅토르 위고의 원작 소설 『레 미제라블』에서 타인의 고통을 어떻게 재현하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타인의 고통을 시각적으로 재현한 매체들은 관객을 윤리적 곤경에 빠뜨린다. 관객은 잔인한 구경거리를 즐기는 관음증 환자가 되거나, 아름다운 이미지를 즐기는 도덕적으로 둔감한 관람자가 되기 쉽다. 영화 <레 미제라블>을 통해 볼 때, `타인의 고통을 흉내 내는` 배우를 통해 윤리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배우들은 관객이 지닌 상상력을 제한 하기도 한다. 문학은 영화에 비해 독자로 하여금 작품 속에 그려져 있는 타인의 고통을 떠올려볼 수 있는 `시간`과 `상상력`의 자유를 허용함으로써, 타인의 고통에 연민을 느낄 수 있는 풍부한 여지를 남긴다. 이러한 장르적 특성에 더하여, 소설 『레 미제라블』은 어떤 인물이 겪고 있는 고통을 동시에 여러 시각으로 서술함으로써 연민을 이끌어내는 특징이 있다. 예컨대 `죽은 어머니` 팡틴의 시선으로 코제트를 바라보는 독자는 코제트에 대한 연민의 감정을 금할 수 없는데, 아픈 자식을 바라보는 어머니의 고통은 누구나 상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대한 문학은 타인이 고통을 당하는 그 장면에 현존하지는 않지만 그 고통으로 인해 더 큰 고통을 느낄 법한 인물들까지 상상하게 만든다. 문학의 이러한 속성은 문학이 왜 `도덕적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데 효과적인지를 말해 준다. `도덕적 상상력`은 자신을 고통당하는 타자의 입장에 놓고, 그 상황에서 타자가 느낄 감정을 상상하고, 그를 위해서 자신이 할 수 있는 행동이 무엇인지를 상상하는 능력을 일컫는다. 세계를 총체적으로 묘사하는 문학은 개인의 모든 행위가 우발적이지 않고 서로 연대되어 있는 다른 개인들의 영향 관계 안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이러한 문학을 읽을 때 독자는 고통당하는 타자가 자기와 무관한 존재가 아니라고 느끼면서 도덕적 상상력을 갖게 되거나 확충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ich mode of representation or depiction of others` agony better draws pity from the audience and the readers. For this, ways of representing agony of others in musical drama film Les Miserables are compared with the Victor Hugo`s original novel Les Miserables. The following is the brief outline of the results. Media which visually depicts others` agony puts the audience in ethical predicaments. Audience can easily become a Peeping Tom who enjoys cruel spectacles or an ethically insensitive observer who enjoys beautiful images. From the movie Les Miserables, delivering ethical messages through actors who `mimic agony of others` is not that effective and furthermore, actors limit imagination of the audience. Unlike the movie, literature allows freedom of `time` and `imagination` of the readers to picture the sufferings of others in the literary work, and therefore provides plenty of room to feel the pity.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the novel Les Miserables can draw pity from the readers by narrating the agony of a character simultaneously from various viewpoints. For example, readers looking at Cosette with her dead mother Fantine`s eyes cannot help but feel the pity on her because it is possible for anyone to imagine a mother`s distress in having a sick child. Great literature makes it possible to imagine characters who do not exist at the scene of one`s suffering, but may be able to feel even greater agony through such suffering. Such properties of literature show why literature is effective in raising `moral imagination`. `Moral imagination`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put oneself in the shoes of the one who is in suffering, imagine what he must have felt in such situation and think of what one can do for him. Literature which depicts the world as a whole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the fact that the actions of individuals do not happen by chance but in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other individuals. In reading such literary works, it seems that the reader will not only feel connected with the one in agony but also gain moral imagination or raise the possibility for expansion of his moral imagination.

      • KCI등재

        소설 「레 미제라블(Les Mis?rables)」 에 나타난 의상 연구

        한지은,김현주,황나원,조량,김양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1 No.2

        고전 역사물 공연의상의 경우 재현에 충실해야하므로 작품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복식사적 배경은 물론 고증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소설 「레 미제라블」 은 대중들의 관심이 큰 작품이며 흥미 있는 연구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연구는 미비한 편이므로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이미 공연된 뮤지컬 및 영화 등의 무대의상을 자료로 하는 기존의 분석방법을 따르지 않고, 시대 및 복식배경의 사적 고찰을 바탕으로 원작 분석에 중점을 두었으며, 「레 미제라블」 에 표현된 등장인물의 특성과 의상표현을 분석하므로 고증자료는 물론 공연의상에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자료를 개발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레 미제라블」 전 6권의 180부분에서 발췌된 글 자료를 기초자료로 분석하였고 삽화 150여 점을 참고하였다. 첫째, 시대 및 복식배경에 대한 사적 고찰로 소설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둘째, 자료 발굴 및 분석 단계에서는 소설의 전반적인 구성 및 줄거리를 파악한 후, 주요 등장인물의 연령, 성별 및 각 인물의 신분이나 직업 등의 사회 · 문화적인 배경과 소설 속에 직접적으로 나타난 성격 표현을 발췌하여 주요 등장인물의 특징을 분석한다. 또 주요 등장인물의 상황별 의상표현 분석에 의한 전체적인 의상형태 및 분위기 특징을 파악한다. 셋째, 분석 및 종합 단계에서는 등장인물의 특징, 의상표현 분석으로부터 주요 등장인물의 의상 이미지 컨셉을 도출하고, 상황별로 등장하는 의상의 아이템, 색채, 소재, 액세서리 등을 분석하고 종합한다. 발췌문 180부분의 분석을 통해 주요 등장인물 6인의 연령, 성별 및 사회 · 문화적인 배경, 성격 특징과 각 인물의 상황별 의상표현이 파악되었다. 등장인물의 이미지 컨셉 및 의상 분석 및 종합 결과, 소설의 세밀한 의상표현을 통해 시대 기본 유형을 따르고 있지만 상황에 따른 성별, 연령별, 계층별로 다양한 복식의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자크 랑시에르의 관점에서 다시 읽는 『레 미제라블』 - 아르케의 치안과 데모스의 정치 -

        김성택(Sungtaek KIM)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0 동서인문 Vol.0 No.13

        작품의 배경과 재해석될 가능성을 살펴보면서 빅톨 위고의 레 미제라블 이 왜 오늘날에도 고전으로 다시 읽히고 다른 장르의 예술로 각색되는지 그 이유를 밝혀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소설의 제목인 ‘비참한 사람들’은 가난과 무지로 인해 생겨난 사회의 어둠을 의미한다. 자크 랑시에르의 ‘데모스’ 개념에 따르면, 이 ‘비참한 사람들’은 ‘몫이 없는 자들les sans-part’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르케arkhé’의 ‘치안’과 ‘데모스démos’의 정치라는 개념을 적용하면서, 랑시에르의 관점에서 레 미제라블 을 다시 읽도록 하겠다. 위고가 관심을 갖고 수집한 여러 비참한 사람들과 그들을 대표하는 주인공 장 발장(Jean Valjean)에 관한 이야기는 ‘아르케’의 사회에 속하는 ‘몫이 없는 자들’의 이야기다. 또한 소설 속의 주요 사건인 1832년 6월 5일의 바리케이드 항쟁은 불평등에 대한 민중의 저항으로서 “몫이 없는 자들”의 몫을 찾기 위한 ‘데모스’의 정치무대로 읽힐 수 있다. 랑시에르의 정치에 대한 정의는 원래부터 고정된 사회를 유지하려는 ‘아르케’의 ‘치안’과 이러한 고착된 불평등 사회를 넘어서려는 ‘데모스’의 정치로 요약되고, 이러한 정치적 개념들은 『레 미제라블』에 등장하는 자베르나 장발장 같은 인물들이 대표될 수 있었다. 물론 데모스의 해방을 실천하는 평등의 과정으로 정의되는 진정한 정치는 ‘데모스의 정치’다. This paper seeks to explain why Victor Hugo"s Les Misérables is even today constantly re-read as a classic and adapted to other genres by exploring the background of the work and examining its reinterpretative productivity. The title of the novel, that is, the ‘miserable people’, refers to a society gloomed with poverty and ignorance. According to Jacques Rancière"s concept of ‘démos’, these ‘miserable people’ are the ‘sans-part’, those without a share. This paper offers a new reading of Les Misérables in the light of Rancière’s concepts of ‘police’ of ‘arkhé’ and politics of ‘démos.’ In Les Misérables, Hugo narrates the stories of several miserable people and the protagonist Jean Valjean, who represents them, that is, the story of the ‘sans-part’ who belong to the society of ‘arkhé.’ Moreover, the climax of the novel, namely the Barricade Rebellion of June 5, 1832, can be read as the political stage of ‘démos’ where the ‘sans-part’ came to find a share to fight against inequality. Rancière"s definition of politics can be summarized by the ‘police’ of ‘arkhé’ that maintains a society fixed from the outset and the politics of ‘démos’ that seeks to overcome such an inflexible and unequal society. These political concepts could be seen as embodied by the characters of Javert and Jean Valjean in Les Misérables. Of course, real politics, as defined as the equalization process for the liberation of the démos, can be said to be the ‘politics of démos.’

      • KCI등재

        뮤지컬 「레미제라블」의 극적, 음악적 구성 방식

        조만수 ( Cho Man-so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4 No.-

        극 장르에 속하면서 동시에 음악 장르인 뮤지컬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는 뮤지컬에서는 음악이 극에 봉사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즉 극전개를 위한 서술적인 에피소드들의 연속이 존재하고, 음악은 각 에피소드에 부합하는 분위기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음악은 극에 종속되는 부차적인 요소가 된다. 뮤지컬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음악적 구성이 극의 전개와 긴밀히 결합되어 있으며, 보다 정확히 말한다면 음악적 전개에 의해 극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입장을 뮤지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이었던 작품 중 하나인 「레미제라블」을 통해서 입증해보고자 한다. 소설 『레미제라블』의 뮤지컬로의 각색은 단지 소설을 에피소드의 연속으로 축약하는 것이 아니다. 소설을 극화는 뮤지컬 창작자들이 원작 속에서 무엇을 극적 행위로 추출하는가를 관찰하게 한다. 그리고 우리는 뮤지컬 창작자들의 해석이 그들의 음악적 구성 속에 어떻게 반영되는가에 관심을 기울인다. 본 논문은 뮤지컬 「레미제라블」을 이루는 40편의 노래들의 음악적 구성을 분석하여 도표로 제시하였다. 이 도표는 작품에 사용된 음악적 모티브들의 반복을 시각화함으로써 음악적 구성과 극적 전개의 관계를 설명한다. 『레미제라블』을 관통하는 주제는 장 발장이라는 인물의 변모이다. 그의 변모는 도둑으로부터 예수로 변모하는 과정이며, 죄인임을 부정하는 단계에서 죄인임을 고백하는 단계로의 변모이다. 비참, 사랑, 이름이라는 테마를 중심으로 장 발장의 변모라는 극적 행위가 음악적으로 구축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극의 갈등을 구성하는 대립항으로서 장 발장과 자베르의 관계, 장 발장과 테나르디에의 관계가 음악적으로 구성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뮤지컬 「레미제라블」의 성공은 원작에 대한 심도있는 해석을 성공적으로 음악적 구성으로 구현했기 때문이다. There exists a general misunderstanding of the Musical as being both a dramatic genre and a musical genre. This misunderstanding lies in the fact that music fills the role of the drama. In other words, there exist a series of narrative episodes that help the development of the drama and music generates the ambience that corresponds to each episode. In this case, music is subordinated to the drama and thus becomes secondary. However, this paper seeks to show that in the Musical, musical composition is so strongly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the drama that it is through the musical development that the drama unfolds.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is view through one of the most successful musicals of our time, Les Miserables. A musical adapted from a novel is not the retrenchment of a series of episodes from the original novel. The process of dramatizing the novel compels the musical creators to observe what to draw out as a dramatic action. The interesting points of a musical consist of how the musical creator has reflected his understanding of the fiction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music. This is why this paper has created a table analyzing the forty musical compositions in Les Miserables. This table is meant to visualize the musical motifs employed in this play in order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 composi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drama. The theme of Les Miserables lies in the transformation of Jean Valjean. His change include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a thief to finding Jesus and his denial of being a sinner to his confessions of sinning. This paper explores the transformation of the dramatic action of Jean Valjean, which is symbolized by such themes as Misery, Love and Name established in musical form. The dramatic conflict between Jean Valjean and Javert as well as between Jean Valjean and Thenardier is also explor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music. The success of Les Miserables lies in its successful constitution of music that embodies the in depth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play.

      • KCI등재

        빅토르 위고의 <레미제라블> 읽기 - <민주법학>의 시선

        이계수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23 민주법학 Vol.- No.81

        I read Victor Hugo’s Les Misérables carefully. Then I interpreted this novel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Legal Studies. In this article, I read the times that penetrated into the novel, while also reviewing whether the novel can be used for human rights education. I recommend Les Misérables as a useful text that stimulates empathy and imagination for those seeking literary justice, but I am wary of the romanticism that this novel takes. The translator evaluates Les Misérables as “a dangerous double-edged sword with two sides, mercy and justice.” I have reviewed these assessments critically. “Les Misérables and Law” would remind us of a case study of Jean Valjean’s crime and punishment, but I don’t think law and literature should be reduced to a simple case-solving, bound by the formalism of law. Law and literature must pursue literary justice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legal interpretation that empathizes the vulnerability of all life. Howeve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mpathy in interpreting the law does not mean that revenge and ressentiment can be the basic spirit of the law. Therefore, researchers should always consider the conflict between ressentiment and justice. 이 글은 필자가 빅토르 위고의 <레미제라블>을 꼼꼼히 읽고 <민주법학>의 관점에서 다시 풀어 쓴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소설 속으로 침투한 시대상을 읽어내는 한편, 소설을 인권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아울러 검토했다. 나는 문학적 정의를 모색하는 이들에게 <레미제라블>이 공감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유용한 텍스트가 될 수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이 소설이 취하는 낭만주의적 태도는 경계한다. <레미제라블>을 “자비와 정의라는 두 측면을 가지고 있는 위험한 양날의 검”이라고 생각하는 번역자 이형식의 견해에 대해서도 필자 나름의 비평을 달았다. 한편, ‘<레미제라블>과 법’이라고 하면 장발장의 죄책과 형량을 따지는 사례연구를 떠올리기 십상이지만, 나는 법과 문학 연구가 법률학의 형식주의에 포박된, 소설을 이용한 단순 케이스 풀이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법과 문학은 문학적 정의를 추구해야 하며, 뭇 생명의 삶과 고통에 공감하는 법해석의 가능성을 탐색해야 한다. 다만, 정념을 강조한다고 해서 “복수와 원한(怨恨) 감정”이라는 르상티망(Ressentiment)이 법의 기본정신이 되도록 방치할 수는 없으므로, 연구자는 르상티망과 정의 사이의 갈등과 충돌 사이에 놓인 법의 딜레마를 항상 고민해야 한다.

      • KCI등재

        하디의 작품에서 문학영향론으로서의 위고 : 『캐스트브리지의 시장』과 『레미제라블』을 중심으로

        정평심 ( Pyung Shim Jeong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1 No.-

        이 논문은 『캐스트브리지의 시장』과 『레미제라블』에서 유사한 점들이 상당히 포착되어, 두 작품의 시작부분과 마지막부분의 유사성, 그리고 문학 지형학적인 관점에서 두 작품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연구한 것이다. 『캐스트브리지의 시장』 과 『레미제라블』의 중심인물인 마이클 헨차드와 장발장은 작품이 시작하는 도입부분에서 충격적인 사건에 접하게 된다. 헨차드는 젊은 나이에 결혼하여 가족의 생계에 부담을 느껴서, ``농담``(joke)을 이용하여 아내와 딸을 5기니에 팔게 되고, 장발장은 그를 보살펴준 누이와 그녀의 일곱이나 되는 아이들의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서 빵을 훔치게 된다. 이러한 일들은 그들의 미래의 삶에 무거운 짐으로 다가온다. 두 작품의 마지막 부분은 하디의 비평가 피니언(Pinion)이 지적한 것처럼 유사한 것들이 많이 발견됨을 볼 수 있고, 또한 논자가 지적한 것처럼, 예를 들면, 헨차드와 장발장의 마지막 유언(last will)은 상당히 많은 점에서 유사하며, 또한 마지막 부분은 영문학의 할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의 「상인의 이야기」에서 모티브를 따 왔다고 본다. 게다가 하디는 위고의 시나 소설 뿐 만 아니라 위고의 작품을 거의 읽었으며, 위고의 장례식에 화환을 보내기도 했다. 하디는 특히 『캐스트브리지의 시장』에서, 위고의 걸작인 『레미제라블』의 마지막 부분들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이다. 지형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하디가 창조해낸 상상의 장소 캐스터브리지는 실제로는 도체스트로 고대 로마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장소이며, 파리의 하수도 역시 로마의 유구한 역사가 남아있는 유서 깊은 곳으로, 세계적으로 위대한 작가 위고의 글쓰기 전략에 의해서 파리 시궁창의 역사를 『레미제라블』속에 뿜어내고 있다. 오랜 문학적 영향에서 볼 때, 하디는 위고를 흠모했으며, 그의 작품에서 많은 영향을 받아서 『캐스트브리지의 시장』을 창조하게 된 것이라고 본다.

      • KCI등재

        원작 소설 『레 미제라블』이 뮤지컬로 매체 전환되는 특성 연구

        정계은(Gey-Eun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는 소설『레 미제라블』이 매체 전환을 통해 뮤지컬 〈레 미제라블〉의 과정을 거칠 때 일어나는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뮤지컬 〈레 미제라블〉 작품이 가지는 매체 전환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삭제, 축소, 변형, 추가라는 각색의 과정을 거치면서 대본 작업이 이뤄진다. 둘째, 텍스트의 넘버 작업을 통해 청각적인 매체로 전환이 이뤄진다. 셋째, 소설 텍스트를 기반하고 있는 가사에 충실한 넘버를 통해 대사 전달이 일어난다. 넷째,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특징은 넘버 안에서 음악적 기법 등을 활용하여 인물의 내면 심리를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텍스트 형식의 소설은 무대위에 시청각의 확대를 가져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만 연구 결과에서 보여지는 요소들이 모든 매체 전환 작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는 없기에 향후 재창조 되어진 작품들의 연구를 통해 매체 전환 작품들의 공통점에 대한 고찰을 이어나가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that occur when the novel 『Les Misérables』 goes through the process of the musical 〈Les Misérables〉 through media conver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conversion of the musical 〈Les Miserables〉 were found to be scripted and numbered, a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e script is made by deleting, reducing, transforming, and adding the contents covered in the novel. Second, the text is transformed into a visual medium through the musical script. Third, the dialogue takes place through a number that is faithful to the lyrics based on the text of the novel.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novel are expressed through the use of musical techniques within the numbers to express the inner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However, although the above-mentioned contents cannot be said to b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works that occur in media conversion, we intend to continue the consideration of media conversion through research on recreated work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레 미제라블』, 문자 서사의 영상 재매개 연구-소설 1, 2부를 중심으로

        조주은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75

        소설 『레 미제라블』은 발표 당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읽히는 작품일뿐더러 영화와 뮤지컬로 만들어져 많은 관객을 불러 모으기도 했다. 특히소설 작품이 각색되어 영화로 재해석된 작품은 1910년대부터 최근까지 꾸준히 있었다. 예술 장르 간의 변형에 대한 연구도 다각도로 발전했는데, 본 연구는 그 중, 매체 간의 재매개 이론과 서사의 방법 변화라는 관점에서 각색 이론을 통해 소설 『레 미제라블』이 영상 예술로 변형된 양상을 분석한다. 재매개 이론에서 말하는 투명성의 비매개와 하이퍼매개 중 소설의 영상화는일반적으로 비매개의 성격을 띤다. 문자 서사로만 이루어진 소설 작품을 재매개하는 과정에서 새로 창작된 영화의 시각적 매력이 탁월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투명성의 비매개가 관람자에게 현전감을 강화한다면, 하이퍼매개는 옮겨진표상 자체가 창이 되어 바라보게 한다. 즉, 후행 작품을 감상하며 후행 미디어의 개입을 잊고 즉각적으로 작품에 반응하도록 작동할 때 이를 비매개로 간주할 수 있고, 소설을 영상화하는 경우 대개는 하이퍼매개 되기보다 비매개 된다. 문자 서사를 영상화할 때 그 첫 단계의 과정이 각색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세 가지의 각색 이론, 즉, 충실한 각색, 다원적 각색, 변형적 각색의틀을 통해 『레 미제라블』소설과 영화를 비교했다. 소설은 총 5부로 구성되어있는데, 이 중 제 1부와 2부의 중요 이야기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장 발장이 미리엘 신부를 만나 주교관에서 은식기를 훔치고 용서를 받는 장면. 둘째, 코제트에게 돈을 부치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팔아야 하는 팡틴의 모습. 그리고 마지막으로 장 발장과 코제트의 만남 부분이다. 연구를 통해 알게된 사실은, 각색의 작업이 어느 한 가지 유형으로 일관되게 진행되기보다는, 오히려 위 세 가지 유형의 각색이 서로 교차하며 나타난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