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IS 기본도 및 DB의 세계측지계 좌표변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조재관(Cho Jae Kwan),최윤수(Choi Yun Soo),권재현(Kwon Jay Hyoun),이보미(Lee Bo Mi)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세계측지계 기준에 따라 지리정보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좌표변환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기존 1/1,000 수치지형도와 GIS 응용시스템 DB의 구축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좌표변환 파라미터 산출과 변환 성과의 정확도 평가 등을 수행하여 실용적인 좌표변환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좌표변환계수에 의한 좌표변환 정확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지역의 국가기준점 및 도시기준점을 이용하여 지역좌표변환계수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항공삼각측량 성과를 이용한 1/1,000 수치지형도를 도시기준점을 이용한 측량성과와 비교 하여 수치지형도 제작 당시 국가기준점의 편의량을 분석하고, 도시기준점을 이용하여 추정한 좌표변환계수를 사용하여 세계측지계로 좌표변환한 성과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1/1,000 수치지형도의 좌표변환 방법을 적용하여 지하시설물 DB를 대상으로 좌표변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자체 단위의 좌표변환을 수행하는 데 있어 도시기준점을 이용한 Molodensky-Badekas 방법에 의한 좌표변환계수 적용과 2차원 Affine 변환도 국지적인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치지형도를 기반으로 지거측량 방법으로 구축된 GIS 응용 DB의 경우에도 좌표변환 및 편의보정을 통해 약 10㎝ 이내의 변환 정확도로 좌표변환이 가능하여 세계측지계 전환에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a practical coordinate transformation method for the exist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 After analyzing the status and problems of existing 1/1,000 digital base map and GIS application database, the transformation parameters are estimated and the accuracy of the trans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transformed coordinates. We analyzed the accuracy of a transformation using the published national transformation coefficients as well as the estimated local transformation coefficients using national and urban control points in a study area. In addition, the 1/1,000 digital base map from aerial triangulation is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coordinates of urban control points. Based on the comparison, the biases on the national control points which were used at the time of digital map generation was analyzed. Then, the accuracy of transformed coordinates based on the world geodetic system using local transformation coefficients estimated from urban control points are determined. We also analyzed the transformation accuracy of underground infrastructure database using the same transformation method as the case of 1/1,000 digital base map.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stimation of transformation coefficients by Molodensky-Badekas using urban control points was suitable for a local government. Furthermore, it was obvious that the accuracy of a 2-dimensional affine transformation was comparable to that of 7 parameter transformation for a local area. Applying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and bias correction, we could transform GIS application database which was built by an offset surveying based on digital base map within the transformation accuracy of 10 cm.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re will not be a big problem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GIS DB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 KCI등재

        지적좌표 세계측지계 변환성과의 지적공부 적용 및 활용 방안

        홍성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2

        In this stud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we tried to find and present a plan to apply the results of transformation of cadastral coordinates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in stages for cadastral records of graphical and digital cadastral area. There was a case where the difference in area before and after the transformation occurred irregularly in the transformation result of the cadastral coordinate system currently being promot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ransformation errors in cadastral non-coincidence areas occurred accumulatively, and the period for acquiring world geodetic results for cadastral reference points was insuffici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tudy proposed a plan to provide spatial information and related fields through advancement of continuous cadastral maps, etc. for maps that have been primarily transformed by the end of 2020. In addition, the maps used for cadastral surveying purposes were presented in the direction of applying them to cadastral records in numerical form in the long term to conform to the characteristics of graphical and digital cadastral area. It is expected that more stable cadastral record will be reflected by applying the world coordinate transformation performance by dividing the graphical and digital cadastral area.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 관점에서 지적좌표 세계측지계 변환성과를 도해 및 수치지역의 지적공부에 단계적으로 적용․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지적좌표의 세계측지계 변환성과는 변환 전후 면적의 차이가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례가 있었다. 또한 지적불부합 지역의 변환 오차의 누적 및 지적기준점에 대한 세계측지계 성과취득 기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2020년말까지 1차적으로 세계측지계 변환이 완료된 도면에 대해서는 연속지적도 등의 고도화를 통해 공간정보 및 관련 분야에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적측량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면은 도해지역과 수치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장기적으로 수치 형태로 지적공부에 적용하는 방향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세계측지계 변환성과를 도해 및 수치지역을 구분해 적용 및 활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적공부의 반영이 기대된다.

      • KCI등재

        이산 웨이블릿 변환과 명암도 동시발생 행렬을 이용한 컬러 레이저프린터 판별 알고리즘

        이해연,백지연,이흥수,공승규,최정호,양연모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7 No.3

        High-quality and low-price digital printing devices are nowadays abused to print or forge official documents and bills. Identifying color laser printers will be a step for media forensics.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to identify color laser printers with printed color images. Since different printer companies use different manufactural systems, printed documents from different printers have little difference in visual. Analyzing this artifact, we can identify the color laser printers. First, high-frequency components of images are extracted from original images with discrete wavelet transform. After calculating the gray-level co-occurrence matrix of the components, we extract some statistical features. Then, these features are applied to train and classify the support vector machine for identifying the color laser printer. In the experiment, total 2,597 images of 7 printers (HP, Canon, Xerox DCC400, Xerox DCC450, Xerox DCC5560, Xerox DCC6540, Konica), are tested to classify the color laser printer. The results prove that the presented identification method performs well with 96.9% accuracy. 고성능 저가의 디지털 인쇄기기의 출현으로 불법적인 위변조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디지털 포렌식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디지털 인쇄기기를 판별하기 위한 디지털 포렌식 기술을 제안한다. 컬러 디지털 인쇄기기는 제조사마다 인쇄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출력물에 작은 차이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차이점을 활용하면, 임의의 주어진 출력물에 대해 어떠한 인쇄기기로 출력되었는지 구별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차이점을 구별하기 위하여 출력물을 스캔한 디지털 이미지에 대해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수행하여 계산한 고주파 영역을 추출한다. 이에 대해 명암도 동시발생 행렬을 계산한 후에 행렬 데이터의 표준편차, 첨도, 왜도, 공분산, 상관계수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특징을 서포트 벡터 머신 분류기에 적용하여 디지털 인쇄기기를 판별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총 2,597장 이미지와 7대 프린터(HP, Canon, Xerox DCC400, Xerox DCC450, Xerox DCC5560, Xerox DCC6540, Konica)를 가지고, 기존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제안한 알고리즘은 컬러 디지털 인쇄기기를 판별하는데 있어서 평균 96.9% 정확률을 보였다.

      • KCI등재

        Digital Transformation of Education Brought by COVID-19 Pandemic

        Hye-jin Kim(김혜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6

        본 논문에서 저자는 교실 및 실험실 등에서 진행되던 전통적인 교육 방식이 온라인으로 바뀌게 됨으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찾아 분석하였다. 주요한 문제점으로 분석된 것들을 살펴보면, 첫째, 모든 환경과 시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지 못하였음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술적 문제가 있었다. 둘째, 갑작스럽게 온라인으로 전환되어 시행되는 가상 수업의 효과도 의심받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환경에 직면하여, 새로운 교육 방법론에 빠른 속도로 적응해야 한다는 교사들의 스트레스가 문제였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 전환을 제안하였다. 저자는 디지털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교육 변화, 학습 양식 및 다양한 기술 도구, 그리고 다양한 과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저자는 온라인으로 바뀌게 되는 교실 환경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저자는 학생들의 수업을 내실있고 효율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요소 및 문제점들을 분석하였으며, 해결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온라인 강의가 진행되면서 학습의 책임이 교사로부터 학생에게 과도하게 전가된다는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후 저자는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the author found and analyzed the problems caused by the change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o online in classrooms and laboratories. Looking at the analysis of major problems, first, there were various technical problems, including not all environments and facilities being connected to the Internet. Second,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classes, which were suddenly switched online, could also be questioned. Finally, in the face of a new environment, the stress of teachers to adapt rapidly to the new teaching methodology was a problem. The author proposed digital transformation as a way to address these problems. The author analyzed educational changes, learning modalities and various technical tools, and various tasks to enable digital transformation. First, the author investigated, analyzed, and presented the factors necessary to efficiently operate the classroom environment that will change to online. Next, the author analyzed the factors and problems needed to make the students’ classes reliable and efficient, and proposed solutions. Finally, the author pointed out the problem that during online lectures, the responsibility of learning is excessively transferred from teachers to students, and proposed a solution to this problem. Subsequently, the author proposed future studies.

      • KCI등재

        InsurTech 등 FinTech 활용 시대의 도래와 보험업계의 법적 과제

        강영기(Kang, Young-Ki)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과기업연구 Vol.11 No.1

        핀테크를 비롯한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의 영향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고 개발도상국에서도 첨단 디지털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다. 또한 선진국에서도 디지털 네이티브의 대두에 의해 소비 행동의 디지털화가 확실하게 진행될 것으로 본다. 보험회사를 포함한 금융회사들도 고객의 일상생활에서 디지털화가 진행됨에 따라 사내 업무의 효율화뿐만 아니라 외부를 향한 고객과의 접점의 양면에서 디지털화의 진행에 대응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본고에서는 금융 분야 중 보험 분야를 염두에 두고 먼저 핀테크의 개요를 살펴본 다음, 보험회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주요 핀테크 관련 기술들을 생각해본다. 그리고 실제로 보험회사들의 핀테크 기술의 활용현황을 간단히 살펴본다. 또한 InsurTech의 개념, 보험관련 법률 및 규제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살펴본 다음에 향후 보험업계가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지에 대하여 생각해본다. 보험업계도 InsurTech라고 불리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등장 및 구조의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는 보험업계를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한편, 새로운 사업기회가 될 수도 있다. 본고에서는 인슈어테크로 불리는 핀테크 기술을 활용한 보험 비즈니스의 전개에 있어서 점검이 필요한 요소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한 것으로서 우려보다는 기대에 방점을 둔 시각으로 살펴보고 있다. 지금까지 보험회사들은 고객과 계약한 후에는 수동적인 태도를 보이고 능동적인 리스크관리도 거의 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혁신적 환경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속에서 변함없이 업계에서 존속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핀테크 기술의 도입과 관련된 다양한 리스크를 파악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고 혁신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는 자세를 갖추어야만 할 것이다. The impact of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including FinTech, is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and developing countries are also interested in advanced digital technologi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igitalization of consumption behavior will certainly proceed with the advent of digital natives in developed countries. Financial companies, including insurance companies, are also inevitable to respond to the progress of digitalization from both sides of the point of contact with customers facing the outside as well as improving the efficiency of in-house work as digitalization progresses in the daily life of customers. In this paper, with the insurance sector in mind, first of all, we look at the overview of FinTech, and then we think about the major FinTech-related technologies that can be expected to be used in current insurance companies. It also briefly examines how large foreign insurance companies are promoting the use of FinTech technology, and how emerging insurance companies are aware of FinTech and are trying to utilize it. In addition, after reviewing the concept of InsurTech and its relevance to insurance-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e consider how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insurance industry to respond in the future. In the insurance industry, a business model and structure change is required, such as the emergence of businesses using cutting-edge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InsurTech. Such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can be a threat to the insurance industry and can also be a new business opportunity. Until now, it is true that insurance companies have been passive and have hardly been able to actively manage risk after signing contracts with customers. However, in order to survive and develop in the insurance industry in the midst of innovative environmental change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spond to the changed business environmen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various risks such as legal issu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FinTech technology, prepar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and be prepared to actively respond to innovative changes.

      • CRMS 도입을 맞아 생각해보는 디지털 시대의 기록관리

        임진희 한국기록관리학회 2019 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춘계

        최근 중앙행정기관은 업무관리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의 온나라 문서2.0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맞춰 국가기록원은 클라우드 기반의 기록관리시스템을 보급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포함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록의 보존과 활용 방안도 이에 조응하면서 효과적․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끊임없이 재설계해 나가야 한다. 전자기록 관리의 프로세스와 방법이 종이기록 관리의 단순 전자화에서 탈피하여 디지털 기술에 따른 변환(Transformation)의 관점에서 변화하길 바란다. 논리적 이관, 디지털객체의 생애주기별 저장과 중복성 제거, 공문서 서식의 기계가독형 설계, 빅데이터 분석이 용이한 포맷, 공문서 서식과 포맷의 문제, UUID와 해쉬값 기반의 진본성 인증체계 등의 도입을 제안한다. Recently, the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s have changed their Business Management System to the cloud-based On-nara Document 2.0. According to thi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s spreading a cloud-based records management system.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cluding cloud computing,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records must be redesigned continuously to be effective and efficient. It is needed that the process and method of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will change from simple digitization of paper-based recording to digital technology. This article offers opinions related to the logical transfer, storage and redundancy elimination of digital objects, machine-readable format, big-data analysis, templates of official documents, and authenticity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s (UUID) and hash value.

      • KCI등재

        고속 푸리에 변환을 기반으로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의 분석 속도 향상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홍경민,박락규,최인영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0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4 No.2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DIC)은 reference image와 reference image가 변화된 후의 이미지에 대한 상관관 계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 기반의 계측 방법이다. 그러나 변화된 후의 지점을 추적하기 위해 관심 영역에서 변형된 시편의 모든 지점을 추적하려면 광범위한 반복 계산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을 적용했지만 큰 변형에 대한 추적은 쉽지 않다. DIC의 계산 속도를 향상시키고 상관 계수가 감소하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변위 피드백을 갖춘 새로운 FFT 기반의 상관 분석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새로운 FFT 기반의 방법을 기존 DIC를 이용한 계산 속도와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의 계산 속도가 기존의 방법보다 약 3배 빠르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피드백 업데이트 없이 FFT-DIC에서는 10% 이상의 변형율을 추적을 못하지만, 새로운 알고리즘은 추적하는데 실패하지 않는다. Digital Image Correlation (DIC) is a measurement method based on image analysis that calcul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riginal reference image and the deformed one. However, an extensive iterated calculation process is required to trace every point on the deformed specimen in the area of interest. The Fast Fourier Transform (FFT) has been adopted to reduce the calculation time, but the FFT method easily loses tracking for large deformation. A new FFT-based correlation analysis algorithm with displacement feedback is proposed to improve the calculation speed of the DIC system and to preve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rom declining. The calculation rate using the conventional DIC method was compared with that using our new feedback FFT-based approach.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calculation speed of the proposed method was about three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 In addition, no tracking failure comes out by our new algorithm even though only FFT-DIC without feedback updating lost tracking over 10% strain.

      • KCI등재

        전자책 저작권 관리를 위한 크기 변환에 강인한 워터마킹 시스템

        배종욱(Jong-Wook Bae),정성환(Sung-Hwan Jung)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9 No.6

        본 논문에서 전자책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디지털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전자책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일반적인 영상 왜곡의 형태에는 크기 변환과 JPEG 압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왜곡에 강인한 워터마킹 방법으로서 웨이브릿 변환과 특정 크기로의 정규화, 그리고 CCS(Coefficients Comparative Sum) 계산을 통한 반복 삽입 방법을 적용하여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표준 디지털 영상에 헤더와 CRC를 포함한 시퀀스 형태로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워터마크 삽입 후, 평균 약 42.97 dB의 PSNR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안한 방법은 60%로 영상을 축소하거나 JPEG 50%로 압축하여도 워터마크를 정상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gital watermarking method for E-book copyright management system. The types of common image distortion caused by E-book contents manufacturing process are scale transform, JPEG compression, etc. In this research, as a robust watermarking method to the distortion, we implement a watermarking algorithm by applying wavelet transform, scale normalization, and iteration embedding using CCS (Coefficients Comparative Sum). We can embed watermark information into standard digital images as the sequence form including the header and CRC. And after the insertion of a watermark, it showed average about 42.97 dB in PSNR. The proposed scheme could also extract the watermark in case of 60% scaling image and 50% JPEG compression.

      • KCI등재

        정수웨이블릿변환(IWT)을 이용한 지형 자료의 압축 및 정밀 지형 효과 계산을 위한 활용 방법 고찰

        정호준,이희순,오석훈,박계순,임형래 한국지구과학회 201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4 No.1

        Terrain data is one of important basic data in various areas of Earth science. Recently, finer DEM data is available, which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that deals with such huge data efficientl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lossless compression of DEM data and efficient partial reconstruction of terrain information from compressed data. In this study, we compressed the wavelet coefficients of DEM, obtained from integer wavelet transform (IWT) by entropy encoding. CDF (Cohen-Daubechies- Feauveau) 3.5 wavelet showed the best compression ratio of about 45.4% and the optimum decomposition level was 3. Results also showed that a small region of terrain could be restored from the inverse wavelet transform with a part of the wavelet coefficients that are related to such region instead of whole reconstruction. We discussed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the terrain data compression for precise gravity terrain correction. 지형 자료는 지구과학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기초 자료 중 하나이다. 최근 들어, 상세한 분해능을 가지는 DEM 자료가 활용가능하며 따라서 방대한 양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다루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DEM 자료의 무손실 압축 및 효율적인 복원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정수웨이블릿 변환과, 엔트로피 부호화의 개념을 이용하여, 웨이블릿 계수의 부호화 및 일부 영역의 지형복원 방법을 고안하였다. 또한, 정밀 중력 지형보정 과정에서 이러한 연구 결과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DEM의 압축률이 가장 좋은 웨이블릿은 CDF3.5이며, CDF3.1 또는 CDF3.5웨이블릿을 사용하여 3단계 정도로 분해를 하는 것이 최적의 선택이다 (약 45.4%의 압축률). 또한 웨이블릿변환의 다중단계분석 특성을 활용하여 웨이블릿계수의 일부만을 추출하여 지형의 일부만을 복원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