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듀이 교육사상에 대한 비판과 변론: 종교교육과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김상현 교육사학회 2020 교육사학연구 Vol.30 No.1

        For more than a century, Dewey's philosophy of education has been criticized by many conservative people, including scholars, as the main culprit for ruining the moral character of students. In particular, conservatives in the U.S. argue that Dewey's philosophy has brought about a serious crisis in character education because it has destroyed religious values, which were primarily responsible for character education in American society and schools. This study aims to see if Dewey has brought about the crisis of character education experienced by American society and schools today by destroying religious values, as Dewey critics claim.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first looked at criticism from Dewey critics who said that the role of religion in school education has weakened, causing a serious crisis in character education. Next, the study looked at whether criticism of Dewey can be justified or not by attempting to answer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1) Was Dewey hostile to religion? 2) Did Dewey try to remove religious education from public education? 3) Did Dewey's philosophy of education ruin the moral character of students? 학자들을 포함한 많은 보수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한 세기가 넘도록 지속적으로 듀이의 교육철학은 학생들의 인성을 망친 주범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미국의 보수주의자들 사이에서는 듀이의 철학이 그전까지 미국사회와 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주로 담당하였던 종교적 가치를 무너뜨림으로 인해 인성교육에 심각한 위기를 가져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연구는 듀이 비판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과연 듀이가 종교적 가치를 무너뜨려 오늘날 미국 사회와 학교가 경험하는 인성교육의 위기를 가져왔는지를 살펴보고자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자는 듀이가 종교에 적대적일 뿐만 아니라 학교교육에서 종교의 역할을 약화시켜 인성교육에 심각한 위기를 가져왔다는 듀이 비판자들의 비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다음의 세 가지 질문 즉 1) 듀이는 과연 종교에 적대적이었는가 2) 듀이는 공교육에서 종교교육을 제거하려 하였는가 3) 듀이의 교육철학은 학생들의 정신을 망쳤는가에 답함으로써 듀이가 종교와 종교적 가치를 무시하지 않았음을 보이고 듀이의 교육이 진정으로 지향한 것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듀이에 대한 비판이 정당한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듀이와 헤겔의 정치철학: 듀이의 「중국 강연」(1919-20년)을 중심으로

        서정혁(Jeong-Hyok Se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1 현상과 인식 Vol.45 No.4

        후기로 갈수록 표면적으로 듀이가 헤겔에 대해 강한 비판을 제기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헤겔이 듀이에게 미친 철학적 영향을 과소평가하는 것은 단견이다. 이점을 입증하는 중요한 전거 중 하나가 바로 듀이의 「중국 강연」이다. 본 연구는 듀이의 「중국 강연」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우선, 듀이는 ‘개인주의적 자유주의’을 비판하는 맥락에서 헤겔의 정치철학이 긍정적으로 기여한 바가 있다고 주장한다. 「중국 강연」에서 듀이는 ‘고전적 자유주의’가 존 로크의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로크의 ‘개인주의적 자유주의’를 강하게 비판하며, 그 대안으로 헤겔의 정치철학을 적극적으로 고려한다. 또한, 「중국 강연」에서 개인의 참정권과 연대하는 삶을 강조하는 듀이의 논의는 헤겔의 정치철학의 기본 정신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여러 권리들 중 특히 참정권의 중요성을 권리 실행의 관점에서 강조하는 듀이의 입장은, 현실에서 구체적 자유를 강조하는 헤겔의 정치철학적 관점과 밀접한 연관이 있고, 이는 초기에 듀이가 헤겔을 ‘위대한 실행주의자’로 간주한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중기 이후 듀이와 헤겔 철학의 관계를 정치철학의 관점에서 좀더 적극적으로 해석해 줄 여지가 마련된다. 듀이는 표면적으로는 개인을 국가에 일방적으로 종속시키는 관점을 비판하면서 헤겔의 정치철학에도 이렇게 해석될 내용이 없지 않다고 우려하지만, 동시에 듀이는 개인을 공동체와 분리시키는 자유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이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헤겔의 정치철학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기 이후 듀이 자신의 철학 속에 ‘헤겔의 유산’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듀이 자신의 언급도 이해되어야 한다. Even though Dewey seems to be raising a strong critique of Hegel in the later stages, it is a short-sighted view to underestimate the philosophical influence of Hegel on Dewey. One of the important sources to prove this fact is Dewey’s “Lectures in China”.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contents, focusing on “Lectures in China”. First, Dewey argues that Hegel’s political philosophy has made a positive contribution in the context of criticizing ‘individualistic liberalism’. In “Lectures in China”, Dewey strongly criticizes Locke’s liberalism, seeing that ‘classical liberalism’ is closely related to John Locke’s thought, and is actively considering Hegel’s political philosophy as an alternative. In addition, Dewey’s discussion of emphasizing individual suffrage and a life in solidarity in “Lectures in China” has the potential to establish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basic spirit of Hegel’s political philosophy. Dewey’s positi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uffrage among other rights, in terms of the exercise of rights, is closely related to Hegel’s political philosophical viewpoint, which emphasizes concrete freedoms in reality, and this is why Dewey describes Hegel as a great actualist. Based on the above, there is room for more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wey’s and Hegel’s philosophy from the point of view of political philosophy after the middle period. On the surface, Dewey seems to criticize the viewpoint of unilaterally subordinating the individual to the state and worries that Hegel’s political philosophy could have such an interpretation. At the same time, Dewey points out the problem of liberalism that tries to separate the individual from the community, and considers Hegel’s political philosophy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is problem. Therefore, Dewey’s own statement that Hegel’s legacy remains in Dewey’s own philosophy after the middle ages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 오늘의 시대에 비춰본 존 듀이(John Dewey)의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의 이해

        홍승식(Hong, Seungsik)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0 이성과 신앙 Vol.44 No.-

        John Dewey(1859~1952) is the American philosopher, educator, and social critic. Pragmatism is an indispensable concept in the life and the philosophy of J. Dewey. He describes pragmatism in the process of Experience and Nature, Democracy and Education. Consequently, the speculation of Dewey on Pragmatism is logically related to that of his elucidation of the human-being, so to speak, 'the human organism'. And the human organism is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experience, nature, democracy, education, art, ethics, and so on. As a natural consequence, our study attempts to find the problems of human being or human organism and his environments in Dewey's deep metaphysical thought. Experience and Nature - The key concept in Dewey's philosophy is experience. Although there is a development from an idealistic to a naturalistic analysis of experience and different emphases in his many discussions of the concept, a nevertheless coherent view of experience does emerge. Nature, according to Dewey, consists of a variety of transactions that can be grouped into three evolutionary plateaus, or levels…. Experience is all-inclusive in the sense that man is involved in continuous transactions with the whole of nature, and through systematic inquiry he can come to understan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nature. Some of the more specific areas of Dewey's philosophy can be investigated against this panoramic view of experience and nature. Democracy and Education - Dewey is probable best known for his philosophy of education and democracy. This is not a special branch of his philosophy, however, for he claimed that all philosophy can be conceived of as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it is certainly true that all the concepts we have discussed inform his thinking about education. Education is, or ought to be, a continuous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in which there is a development of immature experience toward experience funded with the skills and habits of intelligence. Dewey perceived acutely the threat posed by unplanned technological,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 to the future of democracy. The natural direction of these forces is to increase human alienation and to undermine the shared experience that is so vital for the democratic community. For this reason, Dewey placed so much importance on the function of the school in the democratic community. The school is the most important medium for strengthening and developing a genuine democratic community, and the task of democracy is forever the creation of a freer and more humane experience in which all share and participate. In those aspects, Dewey's Pragmatism is closely related with the experience of human being and the nature as his environments. And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essential of Pragmatism is a 'utility', and it had an important effect upon the world and korean society. 경험주의의 큰 영역 안에서 고찰할 때 미국 실용주의의 발전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상가로서 ‘대표적 3인’을 떠올림은 당연한 일이다. 또한 그 3인의 사상은 바로 미국 현대사에 있어 주도적인 사상적 조류를 나타냄과 동시에 미국 프래그머티즘의 발달사의 상징이기도 하다. 이들 세 사람은 실용주의의 창시자로 알려진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와 이런 실용주의 사상을 더욱 대중화시키며 발전시킨 제임스(William James), 그리고 그 실용주의를 보다 심층적으로 개념과 분석의 방법론에 입각하여 실험적 철학을 현실에 응용한 사상으로 완성시킨 듀이 등이 그들이다.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이란 어떤 관점에서 미국적 특성을 지닌 유럽의 전통적 사상의 변용과 발전이라고 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국의 실용주의는 유럽의 전통철학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는 의미이다. 곧, 유럽의 사상적 흐름과 역사적 전통들이 역사와 문화, 그리고 인간적 문명의 흔적이 전혀 존재치도 않았던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오면서 그 가치나 의미가 시간의 흐름과 함께 자연스럽게 미국적 성격에 알맞게 토착화 되었다고 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어떤 관점에서 본다면 듀이의 사상은 이러한 시대적 풍랑을 겪어가며 생성된 결과적 부산물이기도 하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시대적 조류를 직시하며 등장하게 된 역사적 진보이론이자 좀 더 구체적으로는 미국 내의 아메리카적 사상의 소산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아메리카적 소산의 특징은 ‘실용적’이라 일컬어진다. 결과적으로 듀이의 철학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현실적이며 실용적인 사유형식의 표현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간략히 존 듀이의 생애에 대한 이해와 학문적 배경의 고찰이다. 이는 듀이의 사상이 배태된 과정과 학문의 성립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제2장에서는 실용주의의 창시로부터 실용주의의 완성에 이르기까지, 듀이를 포함하여 3대 실용주의의 사상가라 일컬어지는 퍼스와 제임스와의 관련을 언급하고 있다. 이들은 서로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는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또 이러한 고찰은 실용주의의 포괄적이며 전체적 관점을 이해케 해 줄 것이다. 제3장은 듀이의 실용주의의 핵심 주제들의 고찰이다. 경험과 자연의 문제, 실용주의로부터 비롯된 민주주의와 교육의 개념, 그리고 주제들 속에 용해되어 있는 그의 프래그머티즘 사상이 고찰된다. 결론부에 있어서는 현대에서 바라보는 실용주의의 상황과 오늘날의 시대적 요청에 따른 관점 안에서 파악한 듀이의 실용주의의 의의와 영향을 제시하고 있다. 듀이의 사상 안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선적으로 인간이 삶을 발전시키고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가는 것이고, 이를 성취키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뒤따르게 되는 사고방식, 판단, 개념의 형성, 그리고 지식의 축적 등의 실천적 이론체계의 정립이 삶의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현실과 연관된 철학적 원리와 방법론은 실제적 삶을 효율적이고 실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실용주의적 사고가 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듀이의 이러한 경험적 방법론은 현실 속의 교육, 민주주의의 개념, 심리철학, 종교철학, 그리고 윤리학과 예술철학 등의 영역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듀이의 철학의 의의를 짚어본다면, 첫째, 새로운 사조로서 발전한 실용주의 내지는 도구주의의 의미를 갖는다. 둘째, 정신과 물질을 다같이 심신의 어느 관점이 아닌 ‘기능적 성격’으로 파악한다. 셋째, 한 사물은 그의 상황 안에서 다른 여타의 사물들과 여러 다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다섯째, 우주 전체를 자연의 변화․발전의 과정으로 파악한다. 곧 우주를 독특한 사건들의 총체로 보았다. 그런 까닭으로 모든 사고체계와 주장들은 자연주의 안에서 해석될 수 있다고 보았다. 당연히 만물의 궁극적 원리로서의 원천일 수 있는 보편적 초자연적 실체를 부정하였다. 그러므로 듀이에게 있어 자연주의라 함은 유기체인 인간존재가 경험을 통해 환경과 지속적으로 상호작용과 교섭을 이루어가며 순응·적응·적용해 가는 과정으로 이해된다. 듀이에게 있어 경험이란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고 성장을 지향해 나가는 것이며 지속적으로 탐구해나가는 ‘그 어떤 것’으로 표현된다. 그러기에 ‘그 어떤 것’은 세상 속의 모든 일을 수행해나감에 있어 도움을 주는 ‘도구’ 내지는 ‘수단’으로 해석된다. 이런 사고방식은 미국 내의 여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과학을 발전시킴에 있어 매우 소중한 기여를 하였다. 그런 부문 중에서도 단연 최고의 영향을 끼친 것은 교육사상 이었으며, 또 이와 필연적 관계를 맺고 있는 민주주의의 개념이었다. 다시 말해 이와 같은 복합적인 사상적 체계들은 실제적으로 관행적 교육제도의 개선과 변화, 민주주의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기타 학문세계와 구체적 생활양식과 정신자세에 있어서까지 실로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어떤 관점에서 본다면 자의든 타의든 우리의 삶은 20세기 후반 몇십년을 듀이와 함께한, 또는 듀이의 영향을 받은 시대에 살았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러한 듀이의 실용주의적 사고방식은 조선시대 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에 있어, 그리고 해방 이후와 육이오(6월25일) 한국전쟁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의 교육상황과 경제 발전계획, 그리고 또 민주주의의 성립과 발전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큰 공헌을 하였다. 어떻게 보면 오늘날의 한국의 교육제도나 민주주의의 체계, 그리고 우리의 일상의 삶 하나하나에 있어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실로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요즘 시대의 흐름에 비추어볼 때 물질주의와 기계문명, 그리고 과학화 일변도로 치우치는 시대적 조류 안에서 철학이 지니고 있는 본연의 목적과 그 근원을 다시금 새롭게 되살려 보고자 하는데 있다. 나아가 실용주의의 본질과 그 필요성, 그리고 여기에서 파생되는 여러 문제점들을 또한 새롭게 조명해 봄으로서 인간의 참모습을 반성(反省)하고자 하는 데 있다. 말하자면 실용주의의 장점은 최대한 수용하되 부정적 측면은 정확히 직시하여 그 속에서 인간 본연의 고유한 모습을 최대한 되살릴 수 있는 정신적 힘으로서의 철학적 사유와 삶의 방식을 올바로 정립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듀이를 새롭게 되살려 오늘날의 문제로 상정시킴은 그 자체로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하며, 나아가 이런 의의와 함께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과학적, 철학적 사고를 다시금 통찰할 수 있게 되었음도 또 다른 큰 의의가 되리라 믿는다.

      • KCI등재

        John Dewey 민주주의론의 현대적 의의: 듀이 윤리이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상혁 철학연구회 2019 哲學硏究 Vol.0 No.124

        According to Dewey’s theory of democracy, democracy is not just a political institution, but a mode of assorted living. To realize democracy as a mode of assorted living, citizens need to be not only moral but also civically virtuous But Dewey’s ethics is commonly understood as scientistic ethics or a kind of utilitarianism. If this common understanding is correct, then the foundation of Dewey’stheory of democracy is shaky because there is no tight relationship between scientism and democracy, or between utilitarianism and democracy. Against this common understanding of Dewey’s ethics, firstly, I argue that Dewey’s ethics is not scientistic, but it only urgesus to use our intelligence reflectively, critically and creatively when we try to resolve our moral problems as we do so to solve scientific problems. Secondly, according to Dewey, morality consists of three independents factors: the good, the right, the virtuous. The proper theory of the good is a teleological theory, the proper theory of theright is a deontological theory, and the proper theory of the virtuous is a utilitarian theory which can be called valoric utilitarianism. And these three kinds of theories constitute Dewey’s theory of morality. So understood, Dewey’s ethics provides morality and civic virtues for citizens which are required to realize democracy as a way of life. Now Dewey’s theory of democracy is on firm foundation so that we can productively discuss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Dewey’s democracy. 듀이의 민주주의론에 의하면, 민주주의는 단순히 정치적 제도만이 아니라, 사람들이 함께 사는 “삶의 방식”인데, 이런 듀이의 민주주의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시민의 도덕심뿐만 아니라 시민적 미덕이 요구된다. 그렇지만 듀이 윤리학은 통상적으로 과학주의적 윤리학이거나 일종의 공리주의로 이해되고 있다. 그런데 만일 듀이의 윤리학에 대한 이런 통상적인 이해가 맞다면 듀이 민주주의론의 기반은 취약할 것인데 민주주의와 과학주의, 그리고 민주주의와 공리주의의 관계는 그렇게 긴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듀이의 윤리학에 대한 이런 통상적인 이해가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하며 다음과 같이 논한다. 우선 메타윤리학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듀이의 윤리학에 있어서 탐구란 사실 인간이성의 비판적 사용을 의미하는 것이지 과학주의적인 윤리학이 아니다. 규범윤리학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듀이에 의하면 도덕은 좋음, 옳음, 유덕함이라는 세 가지 독립적인 요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듀이는 좋음에 관해서는 목적론이, 옳음에 대해서는 의무론, 유덕함에 관해서는 ‘德공리주의’라고 불릴 수 있는 이론이 적절한 이론이라고 보며, 따라서 듀이의 전체적인 윤리이론은 이들 세 이론이 통합된 이론이다. 듀이의 윤리이론이 이렇게 이해될 때, 듀이의 윤리이론은 삶의 방식으로서의 민주주의에서 시민들의 도덕성과 덕성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에 듀이 민주주의론은 굳건한 기초 위에 설 수 있으며, 이런 기초 위에서 그의 민주주의론의 현대적 의의를 평가하는 생산적인 본격적인 논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비판과 반박을 통해 본 듀이 형이상학의 특징

        임건태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연구 Vol.0 No.61

        우선, 듀이에 대한 첫 번째 유형의 비판이 듀이가 결합하고자 노력했던 양 측면을 다시 분리시키고 있기 때문에 비생산적임을보일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연속성의 원리이다. 다음으로 듀이가 말하는 독특한 성질 개념에 주목하는 동시에 그러한 성질 개념의 애매성을 부각시킴으로써 연속성의 원리에도 불구하고듀이 형이상학에 여전히 내재하는 이중성, 즉 현상학적 측면과 형이상학적 측면을 지적하는 두 번째 유형의 비판을 살펴볼 것이다. 하지만이 비판은 듀이 형이상학의 이중성을 드러내기만 할 뿐 그의 형이상학자체에 대한 비판이나 평가에는 이르지 못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세 번째로 검토할 로티는 듀이 형이상학의 이중성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듀이의 형이상학적 기획 자체에 대한 비판을 시도하고 있으며, 듀이의 형이상학과 문화비판을 분리시켜 후자만을 수용하고 있다. 결국 로티의이러한 비판이 겨냥하고 있는 형이상학과 듀이의 형이상학이 과연 같은 것인지 여부를 따져봄으로써 사건과 사회적인 것을 중심으로 구성된 듀이 형이상학의 본래적 특징을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 로티의형이상학과 듀이의 형이상학은 서로 상이하며, 로티가 듀이의 형이상학과 문화 비판을 분리해 후자만을 수용하기도 어렵다는 점이 드러날 것이다. First of all, I will show that the first type of criticism of Dewey is unproductive for it again divides two aspects which Dewey tries to combine. Here the principle of continuity plays an important role. Next, second type of criticism of Dewey indicates that Dewey’s position has an ambiguity between the phenomenal perspective and metaphysical perspective irrespective of the principle of continuity. Because Dewey’s distinct concept of quality is very ambiguous. Nevertheless this criticism only discloses the double aspect of Dewey’s metaphysics but can’t reach the estimation of Dewey’s metaphysics itself. By the way Rorty endeavors to criticise the project of Dewey’s metaphysics and accepts the criticism of culture by divorcing Dewey’s metaphysics and criticism of culture. After all, I will ask whether Dewey’s metaphysics and metaphysics which Rorty criticizes is identical. And I will demonstrate that Rorty’s metaphysics and Dewey’s metaphysics is very different and it is difficult to divide Dewey’s metaphysics and criticism of culture and to accept the latter only by suggesting that Dewey’s metaphysics consis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y concept, i.e the event and the social.

      • KCI등재

        듀이의 헤르바르트 흥미 개념 비판의 정당성

        마은종(Ma Eun Jong),박주희(Park Joo 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敎育問題硏究 Vol.27 No.4

        본 논문에서는 헤르바르트와 듀이의 교육사상에 유사점과 차이점을 단순 비교, 나열하는 서술에서 벗어나 헤르바르트와 듀이의 교육사상의 연관성에 주목한다. 특히, 헤르바르트와 듀이의 '흥미'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다. 헤르바르트는 『일반교육학』에서 처음 선보인 교육적 수업이론에서 흥미를 핵심개념으로 제시하고 있다. 듀이 역시 학습자의 흥미가 교육에 우선시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그래서 구체적으로 헤르바르트의 다면적 흥미와 듀이의 교육적 흥미를 서술한다. 헤르바르트는 수업의 일차적인 목표를 다면적 흥미의 양성으로 설정한다. 수업의 성패는 다면적 흥미의 양성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헤르바르트의 흥미개념은 그의 교육적 수업이론의 핵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듀이는 훈련과 의지를 연관하여 흥미의 개념을 밝힌다. 특히, 듀이의 초기 논문인 의지의 훈련의 연관성에서 흥미(Interest in Relation to Training of the Will) 에서 헤르바르트와 헤르바르트주의자들의 흥미에 대한 논의를 비판하고 있다. 여기서 헤르바르트와 듀이의 흥미를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한다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다. 의지의 훈련에 연관성에서 흥미(Interest in Relation to Training of the Will) 에서 논의하고 있는 듀이의 헤르바르트 비판의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비판이 어느정도 정당한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In this thesis simi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al ideas of Herbart and Dewey are not simply shown but the relationship of Herbart and Dewey's educational ideas is focused here. Particularly, the discussion by Herbart and Dewey on 'Interest' will become a main point. In 'The Science of Education(Allgemeine Pädagogik)' Herbart suggested 'Interest' as a focal concept in the educational class theory that was first introduced by him. Dewey stressed that learners' interest should come first in education. Therefore, Herbart's many-sided interest and Dewey's educational interest will be mentioned in detail. Herbart set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class as generation of many-sided interest.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lass depends on whether many-sided interest is generated or not. In this sen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Herbart's concept of interest is also the main point of his educational class theory. Dewey explained the concept of interest in connection with training and will. Especially, in Dewey's early thesis, 'Interest in Relation to Training of the Will', he critized what Herbart and followers of Herbatianism had discussed on interest. It show that Dewey was influenced by Herbart's theory of interest and thus, it will be quite meaningful to focus on the interest in relation of Herbart and Dewey and compare them. What Dewey criticized about Herbart's in 'Interest in Relations to Training of the Will' and how appropriate his criticism was will be discussed here.

      • KCI우수등재

        로티의 듀이 해석의 정당성과 유용성

        조경민(Kyoung-Min Cho) 한국철학회 2011 철학 Vol.0 No.109

        이 논문은 로티가 듀이를 오독했다는 비판이 정당한 것인지를 논구한 것이다. 로티는 듀이가 철학 전통을 극복했으며, 탈철학적인 문화의 전망을 제시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로티는 듀이가 선구자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종종 형이상학적 체계를 설립하고자 원했으며, 여전히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철학자로 남길 원했다고 본다. 이러한 로티의 듀이 해석은 많은 듀이 연구자들의 반발을 불러왔다. 비판가들은 로티가 듀이를 오해하고 있다고 간주한다. 또한 그들은 이러한 로티의 오해가 그의 상대주의적이고 반지성주의적인 철학적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프래그머티즘의 입장에 동의한다면 로티의 듀이 해석에 대한 평가는 그것의 정확성이 아니라 유용성에 기초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로티의 듀이 해석은 메타 철학적 태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태도를 가지고 로티는 전통적인 철학적 논증들이 무의미하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하며 철학이 이러한 무의미한 논쟁을 넘어 삶에 의미를 풍부히 해 주는 교화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견해에 동감할 수 있다면, 로티의 듀이 해석 역시 가치가 있다고 인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justify Rorty’s interpretation of Dewey. Rorty insists that Dewey overcame classic tradition of philosophy and suggested new cultural vision of post-philosophy. Rorty, however, claims that although his pioneering works, Dewey often wanted to establish metaphysical system and remain ‘philosopher’ in a sense of classic philosophy. This interpretation of Dewey has given rise to many oppositions from students of Dewey. Critics argue Rorty misinterprets Dewey"s philosophy. According to critics, Rorty misuses Dewey in order to underpin his philosophical position, so Rorty’s misunderstanding of Dewey is caused by his relativistic and irrationalistic attitude toward philosophy. However, Even if Rorty"s interpretation of Dewey is selective, it can still be justified. On the base of pragmatism, the validity of Rorty"s interpretation should be evaluated by its utility. In accordance with pragmatic perspective of truth, the problem what is right or wrong depends on whether it provides us with some meaning, usefulness. Thus, the point of discussion should be moved from accuracy of Rorty"s interpretation to utility of it. In addition, Rorty presents meta-philosophy. It tries to show meaningless of traditional and philosophical arguments and philosophy should play an edifying role in enriching the meaning of life. If one approve of this idea, he or she can acknowledge the value of Rorty"s interpretation of Dewey.

      • KCI등재

        존 듀이의 경험의 성격

        허정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1 No.-

        이 연구는 존 듀이의 <경험과 자연>에 담긴 일차경험 개념의 성격을 검토한 것이다. 그는 경험을 인간 유기체(자연으로서의 정신)가 대상인 자연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이로써 듀이의 경험은 자연(인간 유기체)과 자연의 상호 작용이며 경험과 자연은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맺게 되었다. 즉 듀이의 경험 관점에서 세계의 모든 것은 경험 과정이거나 경험된 존재로 환원된 것이다. 이것이 듀이의 자연주의적 경험론이다. 이 이론은 거시적인 차원에서 볼 때 인간의 경험은 자연과 상호작용하는 유기체의 신경 작용(정신)이라고 지적한 것이다. 듀이는 경험 개념의 바탕에 있는 논리적 근거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널리 알려져 있듯이 듀이의 경험 개념은 제임스의 두 저서 <심리학의 원리>(1890)와<근본적 경험론>(1912)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따라서 듀이의 경험 개념의 성립 원리는제임스의 두 저서에 나타난 핵심 개념인 ‘순수경험(pure experience)’과 ‘사고 흐름(The Stream of Thought)’에서 찾을 수 있다. 순수경험은 인간 유기체가 얻은 순수한 사물 정보로서 사고(thought)와 사물(thing)이 미분화된 정보이다. 그것은 인간 유기체가 기억한 특정 관념과 결합되지 않은 정보이다. 듀이와 제임스는 그것을 사물인 동시에 사고라고 하였다. 하지만 순수경험은 듀이의 경험을 구성할 수 없었다. 감성 단계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감성적 순수경험은 의식의 사고 흐름을 통하여 기억된 각종 관념과 연합하여 다양한 개념의 연상으로 변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기를 중심으로 사물과 사고도 개념적으로 분리되었다. 듀이의 일차 경험이 생성된 것이다. 요컨대 듀이의 경험은순수경험이 사고 흐름과 직접 작용하여 생성된 것이다. 듀이의 일차 경험은 순수경험과결별하여 순수 관념 상태로 사고 흐름에 작용할 때 이차 경험으로 변화하였다.

      • KCI등재

        문화로서의 자연: 듀이의 자연 개념에 대한 목적론적 분석

        최훈 ( Choi Hoo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3

        『경험과 자연』의 3장 「자연, 목적 그리고 역사」에서 듀이는 과정으로서의 자연이 ‘직접적 지각을 통한 질 성의 소유(having qualities through direct perception)’, 즉 ‘직접적 향유(direct enjoyment)’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험과 자연』의 3장에서 전개된 듀이의 논의에 기초하여 자연 개념의 목적론적 구조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제시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2절에서는 듀이의 경험 이론을 특징짓는 질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시도된다. 질성의 기능에 관한 논의를 통 해 밝혀진 ‘경험의 연속적 순환’과 ‘사건들 사이의 외연 관계(denotative relation)’는 경험에 대한 듀이의 이해를 분명하게 드러낸다. 듀이에게 있어서 경험은 하나의 직접적 지각에서 다른 하나의 직접적 지각으로의 이행이며, 경험의 질성적 차원과 도구적 차원은 경험의 역동성을 강조하기 위해 고안된 기능적 관점들이다. 3절에서는 듀이에 의해 삶의 목적으로 파악된 직접적 향유가 자연에 대한 목적론적 규정의 계기로 다루어진다. 듀이에 따르면 직접적 향유는 경험의 내용, 즉 경험되는 것(what is experience)을 가리킨다. 경험이 내용과 방법을 모두 포함하고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서 듀이는 경험 개념을 문화(culture) 개념으로 대체한다. 경험을 ‘의미의 생산 및 향유 (meaning production and enjoyment)’, 즉 문화로 대체하고자 하는 듀이의 의도에 대한 고려 속에서, 경험과 연속적 관계에 있는 자연을 문화적 환경(cultural environment)과 문화적 향유(cultural enjoyment)로 규정하는 작업 이 시도된다. ‘의미의 생산 및 향유’의 관점, 즉 문화의 관점에서 시도된 자연의 개념화는 질성이 자연으로부터 자신의 존재적 이유(raison d’etre)를 부여받는다는 사실과 질성의 존재적 이유는 경험 과정과 그것을 기초로 구성되는 자연에 목적론적 개방성과 다원성을 부여한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마지막 4절에서는 철학과 사회구조 사이의 연관에 관한 듀이의 논의에 기초하여 자연 개념의 실천적 의미가 밝혀진다. 전체로서의 자연을 직접적으로 포착하는 직접적 향유들 사이에는 위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직접적 향유 발생의 구체적 맥락을 형성하는 일상생활의 형식의 다양한 재현들(re-enactments) 사이에서도 위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재현들 사이의 비위계성 은 개방성과 다양성을 갖춘 사회구조를 이루기 위한 토대로 제시된다. John Dewey argues that nature is a process characterized by direct enjoyment, i.e., by having qualities through direct perception.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teleological structure of the concept of nature based on Dewey’s arguments made in chapter 3 of Experience and Nature. To meet its objective, this paper adopts the following contents and methodologies. First, Section 2 attempts to systematically analyze qualities characteristic of Dewey’s theory of experience. ‘Continuous cycle of experience’ and ‘denotative relation between events’ as identified by an analytical discussion on functions of qualities manifest Dewey’s understanding of expereince. For Dewey, experience is the transition from one direct perception to another direct perception and the qualitative and instrumental dimensions of experience are aspects functionally designed to highlight the dynamism of experience. Section 3 establishes direct enjoyment which Dewey proposes as purpose of life as the logical starting point for a teleological definition of nature. According to Dewey, direct enjoyment refers to the subject-matter of experience, that is, what is experienced. In order to highlight that experience encompasses both what and how, Dewey replaces the concept of experience with that of culture. Keeping in mind Dewey’s intention of replacing experience with culture, that is, ‘meaning production and enjoyment’, it is attempted to define nature as ‘cul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enjoyment’. This conceptualization of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e proves the fact that qualities are invested of their raison d’etre by nature and that the raison d’etre of qualities invest all the processes of experience and the whole (nature) formed on the basis thereof with their teleological openness and plurality. Lastly, Section 4 attempts to elucidate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nature based on Dewey’s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social organization. Hierarchy does not exist in direct enjoyment that directly holds on nature as a whole, nor does it exist in various re-enactments of the form of workaday life that form a concrete context for occurrences of direct enjoyment. Non-hierarchy among re-enactments forms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open and plural social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

      • KCI등재

        듀이의 미학적 관점에서 본 중국 회화

        홍일희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4

        Dewey criticizes philosophy and art at the same time and reveals the meaning of the fusion of the two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In this process, Dewey pays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ainting. But the references are so intermittent and fragmentary that Dewey's statements alone are hard to fully understand his intentio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Chinese painting that Dewey mentioned from the aesthetic point of view.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Chinese painting by comparing and examining Dewey's brief reference to Chinese painting in detail from his aesthetic point of view. In this respect, this paper considers Dewey's aesthetic point of view limited to aesthetic experience, nature, intera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form, and medi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effectively. When the scope of the discussion is set up in this way and the contents are examined in detail,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similar aspect between Dewey's aesthetic point of view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ainting, but there are also detailed differences. In other words, the two areas have a similar understanding of the organic life view of nature, the aesthetic interaction of human beings and nature, the aesthetic form, and the role of mediators, but their specific contents differ in the influence of science, human aggressiveness, action of perception, and types of mediators. Therefore, the discussion of this article will be able to confirm Dewey's references to Chinese paintings more fully and at the same time, another point of view that can look at Chinese painting can be confirmed through Dewey. 듀이는 철학과 예술을 동시에 비판하고 이 두 가지가 융합된 의미를 미적 경험을 통해 밝힌다. 이러한 과정에서 듀이는 중국 회화의 특징에 주목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 언급이 너무 간헐적이고 단편적이어서 듀이의 진술 자체만으로는 그의 의도를 충분히 짐작하기가 어렵다. 이 글의 목적은 듀이의 미학적 관점에서 그가 언급한 중국 회화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 글의 목적은 중국 회화에 대한 듀이의 간단한 언급을 그의 미학적 관점 내에서 자세히 비교·검토하여 중국 회화의 의미를 밝혀보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글은 목적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 듀이의 미학적 관점을 미적 경험, 자연, 주체와 대상의 상호작용, 형식, 매개체에 한정해서 고찰한다. 논의 범위를 이렇게 설정하고 그 내용을 자세히 검토하다 보면 듀이의 미학적 관점과 중국 회화의 특징 사이에는 듀이가 단편적으로 이해한 것과 유사한 측면도 있지만 세부적인 차이점 또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두 영역은 자연에 대한 유기적 생명관, 인간과 자연의 미적인 상호작용, 미적 형식, 매개체의 역할 등에 대해 기본적인 이해를 비슷하게 하면서도 그 구체적 내용에서는 과학의 영향, 인간의 적극성, 지각의 작용, 매개체의 종류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이 글의 논의는 중국 회화에 관한 듀이의 언급을 보다 더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중국 회화를 바라볼 수 있는 또 다른 관점을 듀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