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의보감(東醫寶鑑)> 완영(完營)책판의 현황과 문화재적 가치 제고(提高)

        김화선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5 No.2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woodblock of Donguibogam by Jeolla Gamyeong (Wanyoung Woodblock). It was registered as a 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Jeollabuk-do in 200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and value of the Donguibogam Wanyoung Woodblock. Jeonju Hyanggyo’s Wanyoung Woodblock was used to print books in Gamyeong, Jeolla Province. Currently, ten kinds of woodblocks are preserved. In 1987, a wooden bookshelf was installed and preserved in “Jangpangak” of Jeonju Hyanggyo. It is now preserved and managed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Among the ten woodblocks, the Wanyoung woodblock of Donguibogam is presumed to be a woodblock of a book printed by Jeolla Gamyeong in 1814. The value of Donguibogam has long been recogniz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Donguibogam, compiled in 1610, was first published in 1613 in the wood type of Gaeju Gapinja. Following its publication, its value was recognized not only in Joseon but also in China and Japan. In 2009,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Accordingly, Donguibogam has been recognized for various aspects,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woodblocks that printed Donguibogam.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Wanyoung woodblock of Donguibogam, aiming to enhance its meaning and value. King Seonjo presented the ideals of public health care and preventive medicine when compiling Donguibogam, which was distributed according to his instructions. For this reason,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It can be said that the production of Donguibogam woodblocks was an important tool in realizing Joseon’s ideals through national dissemination. Furthermore, the woodblock of Donguibogam represents the spirit of thinking about the people, going beyond the purpose of printing, and it was meaningful in the spread of medical knowledge among the people.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the overall contents of the Wanyoung woodblock of Donguibogam to enhance its meaning and value. The results show that the Wanyoung woodblock of Donguibogam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lmost the only one produced and stored by Gamyeong. Moreover, Wanyoung woodblocks are meaningful in that perfect editions could be preserved and disseminated for a long time, unlike other wood-type prints. 본 논문은 2005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전주향교 소장 완영책판 중 <동의보감> 책판의 현황과 그것의 문화재적 가치를 제고(提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주향교 소장 완영책판은 전라감영에서 서적을 인출할 때 사용하였던 것이었고, 현재 10여 종의 책판이 전하고 있다. 1987년 전주향교의 장판각에 목재 서가를 설치하여 보존하였고 현재는 전북대학교박물관 수장고에 보존 관리되고 있다. 그 중 <동의보감> 책판은 1814년에 전라감영에서 인출한 『동의보감』 판본의 판목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동의보감』의 가치는 이미 오래전부터 국내외에서 인정을 받았다. 1610년 편찬된 『동의보감』은 1613년 개주 갑인자 목활자로 처음 간행되었고, 간행된 이후 조선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간행될 정도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고, 2009년에는 『동의보감』 초간본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이처럼 『동의보감』의 판본은 인정을 받아 온 반면 판본을 찍었던 책판에 대해서는 그 의미와 가치에 대해 조명한 사례가 극히 드물다. 이에 본 논문은 <동의보감> 완영책판의 현황을 분석해보고 그것이 가진 의미와 가치를 제고시키고자 한다. 『동의보감』초간본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과정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동의보감』은 공공의료와 예방의학의 이상을 선포한 조선의 혁신적 지시에 따라 편찬되고 보급된 의학서이다. 그 과정에서 책판은 바로 전국적인 보급을 위한 조선의 의지를 실현시킬 수 있었던 중요한 도구였다고 볼 수 있다. <동의보감> 책판은 목판 쇄의 목적을 넘어 위정자의 애민정신이 깃든 것이며, 백성을 위한 의학 지식의 보급에 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동의보감』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점검해보면서 전북대학교박물관 수장고에 보관 중인 완영책판 <동의보감>의 현황과 함께 그것의 의미와 가치를 제고해 보고자한다. 완영책판 『동의보감』은 감영에서 제작한 것으로는 거의 유일하게 전하는 목판이라는 점과 책판은 목활자본과는 달리 완정한 판본을 오래 보존하고 널리 유포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는 점에서 완영책판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생명관에 대한 생태철학적 고찰

        김미림(Kim, Mi-L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7 철학과 문화 Vol.14 No.-

        전지구적 생태위기를 느끼고 있는 오늘날의 현대인들에게 ‘환경’과 ‘생명’의 문제는 초미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동의보감』을 통해서 ‘생명’과 ‘양생’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또한『동의보감』의 양생관을 오늘날의 환경윤리 관점에서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심신일여(心身一如)의 생명관을 가지고 있는『동의보감』은 오늘날의 예방의학 차원에서 우리에게 올바른 양생관을 제시해줄 수 있는 고전이다. 아울러 지구의 환경이 날로 악화되는 현실 속에서 환경보존을 잘 하는 것이 인간에게 있어서의 올바른 양생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동의보감』 을 통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만약 현재의 상황과 같이 자연 자체의 복원능력에 비해 환경이 더 심하게 파괴되는 현상이 지속된다면 자연의 생명 에너지 흐름이 단절되는 생태학적 위기3)가고조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동의보감』의 생명관을 기철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이러한『동의보감』의 생명관에 바탕을 둔 양생관 ― 궁극적으로 도와 하나가된 진인의 모습을 최고경지로 제시하고 있는 ― 을 오늘날 서구에서의 환경윤리인 심층생태론과 비교할 것이다. 요약하자면『동의보감』의 양생관을 오늘날의 생태철학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도와 기의 환경윤리’로써 재해석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며 이러한『동의보감』의 양생관이 오늘날 현대인들의 양생에 유의미(有意味)함을 드러내고자 한다. Nowadays we live at the time of ecological crisis. The very fact of the breakdown of the environment points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orms of life and man's environment. So the ecological crisis leads us to found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causes us to pay attention to health-care. It was not until recently that modern medical and health - care researchers became aware of the limitations of atomistic approach. As part of nature, man has to cultivate the internal link in him between himself and nature(the Tao) for his own growth and well-being. In this point of view, we can get the answer through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book, Donguibogam『東醫寶鑑』. This paper suggest that how to live at this ecological critical time through Donguibogam『東醫寶鑑』 for our well-being. As man is part of the Tao, it is only when he losses the sense of the Tao and respect for the Tao in his life that he becomes alienated from the Tao and his activities become a means of self- alienation that will inevitably result in loss of the true identify by way of self-distruction. In this case Donguibogam『東醫寶鑑』 explains to us that it causes diseases and the best way for our growth and well-being is the integratted life of human beings with nature(the Tao). In this point of view it needs for us to have another consideration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of the Tao as the ch'i . That is to say whereas the Tao focuses on reality as a passage of dynamic processes, the ch'i focuses on reality as a presence of material stuff that leads to an actualization of things and the concretization of events. It is only on this basis of understanding that we are capable of formulating an ethics of environment. The goal of an ethics of environment is to understand how human beings should realte to environment by means of a tru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In Donguibogam『東醫寶鑑』 life is explicated as Jeong(精)․ Ch'i(氣)․ Sin(神) theory. Also I will compare the view of life in Donguibogam『東醫寶鑑』with the environmental theory-'deep Ecology'. Conclusively speaking, the view of well-being in Donguibogam『東醫寶鑑』can be retranslated as environmental ethics of Tao and the Ch'i

      • KCI우수등재

        『동의보감』과 天台醫學의 상관성 연구 : 『동의보감』 內景編과 『마하지관』의 病患境을 중심으로

        이기운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27 No.-

        『동의보감』은 조선 중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속에서 중생의 치 병 구제 담당했고, 이후에는 대표적인 조선 의학서가 되었다.『 동의 보감』의 사상적 배경에 대해서는 유 불 도 삼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 로 전해지고 있다. 여기서는 불교사상, 특히 천태의학에서 병인과 치병사상을『 東醫寶鑑』의 그것과 비교하여 그 상관관계의 일단을 고찰하였다. 텍스트는 허준의『 동의보감』 內景篇과 천태의『 마하지 관』 病患境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동의보감』에서는 신체구조를 내경과 외형으로 나누고, 내경의 오장육부와 외형의 筋骨부터 피부에 이르는 요소들이 精 氣 神과 연 계되어 있어 병의 원인이나 치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 다. 이러한 정 기 신은 불교의 사대와 다르지 않다고 한다. 불교의 사 대는 일체를 구성하는 근본요소로 여러 경론에 설해져 있고, 인체 구 성의 중요한 요소로 그 상호작용으로 인간의 病苦가 나타나는 心身의 病因이 되는 주요 문제로 보기도 한다. 天台大師(538∼597)도 인 간의 心身을 구성하는 사대는 오장육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서 심신의 변화에 따라 병이 발생하고 병을 다스리기도 한다. 『동의보감』 내경편에는 인체의 病因과 病相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이중에 胎息法이나 氣 呼吸 五臟의 병인과 병상 등의 부문에서 천태의 지관법문인『 마하지관』 병환경의 내용이 보이고 있다. 이로 써『 동의보감』이 조선후기 중기 천태의 최고 수행법인『 마하지관』 의 수행법의 영향을 입고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동의보감』과『 마하지관』에서 심신에 생기는 病에 관해서는 두 저서가 주로『 황제내경』을 전거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동의보감』에 서는 心身養生을 위한 심신의 병을 치료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고 한다면, 천태는 불교 수행상에 나타나는 병환의 하나로 보아 수행을 통해 대치하여 불도를 이루는 데 나아가고 있다. The Donguibogam(東醫寶鑑) played a central role in curing people during two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and became the most representative medical book. It is said that the background ideas of the Donguibogam were influenced b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Buddhism, (especially Tien‐tai medicine and the Donguibogam) and compares the causes of illness and the ideas of curing illness. The study mainly examines “the part of Naekyung(內景篇)” of the Donguibogam written by Heo Jun(許浚), and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病患境: one of ten objects of meditation)” of the Mohe‐Zhiguan(摩何止觀) based on Tien‐tai thought. The Donguibogam classifies the human body into the interior and outside body and describes that the internal organs are of the interior body and the bones, tendons, and skin are of the outside body are connected to the essence, energy, and mind; consequently, they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 The essence, energy and mind are to the Four Elements of Buddhism. Many Buddhist books explain that the four elements of Buddhism are the fundamental elements that compose all things in the world and significant elements in the creation of the human body, so the interaction of the elements is a reason for the mental and physical illnesses that pain. According to Master Tien‐tai(537-597), the Four Elements that organize the human mind and body have a close relation with internal organs; as a result, changes of mind and body result in disease outbreaks and have an effect on the treatment of illness. Regard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uses and conditions of diseases, “the part of Naekyung(內景篇)” of the Donguibogam explains Taesikbup(胎息法: a breathing method like a fetus in a womb), “Energy Breathing(氣呼吸)” and the causes and conditions of Diseases of the Five Internal Organs, citing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病患境)” of the Mohe‐Zhiguan, a book about samatha‐vipasyana of Tien‐tai. In terms of mental and physical illness, both the Donguibogam and the Mohe‐Zhiguan refer to particular contents of 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黄帝内经), a book of Chinese medicine. Tien‐tai considers mental and physical illness as one of illness incurred during the practice of Buddhism and cures them through practice; meanwhile, the Donguibogam aims to cure mental and physical illness through health care.

      • KCI등재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타난 몸-마음의 영성과 명상수련의 치유

        정혜정 ( Hye Jung Jung ) 한국교육사학회 2014 한국교육사학 Vol.36 No.1

        『동의보감』에 의하면 인간 심신(心身)은 정(精)ㆍ기(氣)ㆍ신(神)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은 생명의 원천적 토대이고 기는 활동하고 변화시키는 에너지인 동시에 지각하는 능력, 혹은 감정의 의미를 지닌다. 신은 판단, 정신활동과 영성에 해당하며 몸을 주관한다. 동의보감 첫 장에 그려진 신형장부도(身形臟腑圖)는 동의보감의 근간을 드러내준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죽은 몸의 해부도가 아니라 생명이 활동하는 심신의 영성 상태를 표현하고 있고, 몸과 우주의 순환을 드러내고 있다. 동의보감은 사람이 16세가 되면 정기가 점차 소모된다고 말한다. 정욕의 과도한 해소, 보고 듣는 것, 말하고 행동하는 것들이 모두 정기를 소모케 하고, 흩어지게 하는 원인이 된다. 동의보감은 불가(佛家)의 면벽(面壁)과 선가(仙家)의 좌관(坐觀), 이 모두가 기의 소모를 방지하고 마음의 작용을 멈추는 수련법이라고 말하면서 ``이도치병(以道治病)``, ``허심합도(虛心合道)``, ``정기신의 단련``을 통한 영성 도야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동의보감에서 말하는 영성이란 노자의 ``곡신불사(谷神不死)``와 ``현빈(玄牝)``의 개념에서 이해될 수 있는데 여기서 영성이란 도와 합치된 마음의 차원뿐만 아니라 몸의 진신(眞身) 상태로서 정기신의 우주적 순환을 일컫는다. 몸-마음의 영성, 치유, 자기도야는 분리될 수 없는 관계이다. 현대의 인간형성 교육은 심신을 통합적으로 기르고 마음과 몸을 종합하여 교육을 이해하는 관점이 미흡한데 동의보감의 몸-마음의 영성적 지향은 기존교육론에 새로운 지평을 넓혀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1610 Donguibogam written by Jun Heo(許浚), has been regarded as a unprecedented tex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text had been cited for more than 230 documents were selected. Since the compilation of the text was published five times from the government office of Chungcheong, Gyeongsang, Jeolla in the Joseon Dynasty. Donguibogam was widely known in China. When Chinese ambassadors came to Korea they want to gain just one of the things that was a Donguibogam. Donguibogam accepted Taoistic books in two ways. In a way in view of preventive medicine it, based on the books of nursing life, factually made use of life-nursing technique like the thought of Naedan(內丹). And in the other way in theoretical view, it applied Taoism to the basic theories like Cosmology, human Embriology, Physiology and Pathology. The Taoistic theory of Three Precious(三要), Three Guan(Samguan:三關), Three Danjeon(Samdanjeon:三丹田), and the theory of cultivating body-mind are very significant and to be the core of Donguibogam. Jun Heo centered Three Precious(三要: Essence, Vital Energy and Sprit) and human, life, and cosmology were integrated. According to Donguibogam inherent human movement and changes of cosmic energy, and spirituality as the rise of the mental are associated with Three Precious(三要), Three Guan(Sam-gwan:三關), and Three Danjeon(Sam-danjeon: 三丹田). There are Sam-gwan in the spine. The back of the head is Okchim-gwan(玉枕關). Okchim-gwan is connected to the mental activity of the brain. Both sides of the spine are Nokno-gwan(록로關). And the bottom of the spine is the Miryu-gwan(尾閭關). Also there are 3 parts in Sam-danjeon. The brain called Yihwangung(泥丸宮) is upper Danjeon(上丹田), the pit of the stomach called Ganggung(絳宮) middle Danjeon(中丹田), lower Danjeon(下丹田) 3 inches down the navel. Regarding their functions, lower Danjeon stores Essence(精), middle Danjeon stores Sprit(神), upper Danjeon stores Vital Energy(氣). Through them it explains the unity of the body and soul, matter and spirit, and their power of circulation is associated with maturity of the human that are described in relation to spirituality. The mind is the body arises from matter. If life is not comfortable and mind is not stable through meditation, the disease occurs in scattered Vital Energy(氣). To eat right foods properly, to breathe properly, creating a good environment and a personal relationship, to do the natural act our way without consuming the Essence-Energy(精氣) and Essence-Spirit(精神), to stopping the movement of mind, this all will bring up meditative healing and self training. Modern education of human formation is insufficient to cultivate the mind and body by integrative views and to understand the education with holistic attempts. But the Donguibogam leans towards spirituality of body-mind and it can open the new horizons to modern schooling.

      • KCI등재

        韓中日 三國의 東醫寶鑑 관련 序文, 集例, 跋文에 대한 연구

        김남일,국수호 한국의사학회 2023 한국의사학회지 Vol.36 No.2

        동의보감의 최초의 서문은 李廷龜의 東醫寶鑑序이다. 여기에는 동의보감 출판의 과정과 참여인물, 의의 등을 서술하고 있어서 동의보감 연구에 소중한 자료이다. 許浚의 集例는 『東醫寶鑑』의 구성과 용량, 역사적 의의 등을 다루고 있는데, 특히 ‘東醫’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하게 된 경위를 자주적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다. 중국인 凌魚의 東醫寶鑑序는 중국인의 입장에서 바라본 이 책의 세계사적 의의와 넓은 활용성 등 우수성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日本醫官 源元通의 訂正東醫寶鑑跋은 이 책의 우수성과 치료의 표준화방안의 제시 등의 의의를 서술하고 있다. 日本人 藤原朝臣의 訂正東醫寶鑑序는 치료의 표준을 제시한 의학서적으로서의 의의와 미래의 의학의 길을 열어줄 책임을 밝히고 있다. 중국인 閔萃祥의 東醫寶鑑序에서는 일부 비판이 있으나 그 독창성에 대해서는 동감하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이러한 서문과 집례, 발문 등은 동의보감이 동아시아 전통의학계로 퍼져나가 세계 의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Yi Junggoo’s introductory remarks are the first preface to be written since the book was completed, and boast outstanding sentences as they describe the process of publishing, the people involv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book. Hur Jun’s Chiprae deals with the composition, capacit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text. Chinese scholars’ introductory remarks deal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book’s world history and its wide uti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people. Japanese scholars describe the book’s excellence and the significance of suggesting standardization of treatment.

      • KCI등재

        『東醫寶鑑』 宇宙本體論에 관한 硏究

        曺英淑(조영숙) 한국도교문화학회 2010 道敎文化硏究 Vol.33 No.-

        본 논고에서는 『東醫寶鑑』에 인용되어 있는 자료와 그 내용을 통하여 『동의보감』이 수용하여 종합하고 있는 우주본체론에 대하여 살펴본다. 『동의보감』을 통하여 우주본체론을 살펴본 것은 최근 분석심리학이나 인지과학등의 분야에서 서양 사상의 단자론적인 이원론을 비판하고 동양 사상이 가지고 있는 유기적이고 합일적인 우주론으로 보고자 하는 요구가 있는 것과 관계가 있다. 서양은 고대에서 근대로 넘어 오면서 사람의 몸과 우주에 관한 관점이 바뀌었지만 동양은 고대에서 근대로 넘어오는 과정에서도 그 기본이 되는 天人相通論에는 변함이 없지만 우주본체에 대한 관점은 종교적 철학적 영향으로 시대에 따라 전환되어 간다. 『동의보감』에는 동양사상의 천인상통론을 기본적인 논리로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시대에 따라 전환되어 가는 관점을 모두 수용하여 유기적으로 종합하고 있다. 『동의보감』이 수용하고 있는 우주본체론은 그 인용서를 통하여 해석할 수 있다. 그 인용서 가운데 각 시대의 우주본체론를 내함하고 있는 대표적 서적으로는 漢代의 『黃帝內經』과 『易緯 ㆍ乾鑿度』, 위진남북조 시기의 『黃庭經』, 宋代陳顯微의 『周易參同契解』와 兪琰의 『易外別傳』, 明代에 정리된 『金丹正理大全』등을 들 수 있다. 논자는 인용서들을 통하여 살펴본 우주본체론의 변화를 두 가지 체계로 해석해 본다. 그 하나는 易의 논리체계이고 다른 하나는 氣의 논리체계이다. 우선 易의 논리체계로 해석하면 『건착도』의 太易說을 인용하여 자연의 기본적인 운행법칙을 괘기설로 설명한다. 괘획은 陰陽二氣의 변화로 그려지고 괘효의 변화는 절기의 변화를 체현하기 위하여 표현된다. 또 ‘一闔一闢의 變’의 논리로 易이 변화의 근원이 됨을 말하고 『주역참동계』를 인용하여 괘효의 논리로써 內丹을 말한다. 다음 氣의 논리체계로 보면 각 시대의 우주본체론은 漢代의 『黃帝內經』을 통한 氣論, 위진남북조 시기의 『黃庭經』을 통한 神論, 宋元代의 心論 등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이론들이 동의보감을 통하여 유기적으로 종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의보감』이 동양의 우주본체론을 유기적이고 종합적으로 내포되어 있는 것을 탐색하는 것은 현대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서양의 이분법적 사고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해본다.

      • KCI등재

        日本武道와 東醫寶鑑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김용훈 한국도교문화학회 2022 道敎文化硏究 Vol.56 No.-

        본 논문은 일본 무도와 東醫寶鑑의 연관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일본 무도의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도교의 몸의 생명을 토대로 논의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일본 무도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수양의 목표와 철학적 의미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도교의 內丹사상은 일본 무도의 성립에도 깊은 영향은 끼쳤는데,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東醫寶鑑이 일본에 수입되면서 많은 선승과 무사계층의 지식인들에게 읽혀졌다. 兵法未知志留邊의 저자이자 天眞一刀流의 시라이 토오루(白井亨)는 검술에 연단술을 접목하여 천진전병법이라는 유파를 만들었다. 이러한 수련은 하쿠인 선사(白隱)가 쓴 夜船閑話의 신선환단법에 영향을 받은 것인데, 하쿠인은 東醫寶鑑의 기저에 깔려있는 도교 내단에 영향을 받았다. 시라이가 도교 내단에서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 부분은 ‘凝神’이다. 내단이 호흡을 통해 의식을 하단전에 집중하는 것은 무사들에게 양생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상대에게 마음을 빼앗기지 않고 마음을 둘 수 있는 依支處를 제공하였다. 일본무도는 기술과 심리 양 측면을 모두 중요시 하는데, 특히 심리방면에 중점을 둔다. 이것은 검술의 최고 경지는 마음과 검이 하나가 되는 것(心劍合一)을 말한다. 결국 일본무도가 東醫寶鑑 내단의 철학적 기반을 통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虛心合道’이다. 무도는 東醫寶鑑 속에 내재해 있는 몸과 마음의 공부를 통해 좀 더 성숙한 인생관과 가치관을 확립시킬 수 있으며 삶의 조화를 획득할 수 있다. 무도란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고 바른 마음과 바른 자세로 병법의 참뜻을 몸에 익히는 것이다.

      • KCI등재

        황제내경(黃帝內經)과 동의보감(東醫寶鑑) 정기신(精氣神)론의 명리학적 적용 고찰

        김만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한국학 Vol.43 No.2

        The jeonggisin (精氣神) theory of Huangdi neijing (黃帝內經) was continued and completed by Dongui bogam (東醫寶鑑), which consistently viewed the jeonggisin structure as what fundamentally constituted the human body. In this system, jeong (精), the source of life, gi (氣), the driving force that maintained life, and sin (神), the manifestation of life, are seen as close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Given the relationship among jeong, gi, and sin—i.e., gi comes from jeong, sin comes from gi, and sin again becomes the premise of jeong, while at the same time they organically interact (相應) with one another—the relationship among the jeonggisin of the human life (body) is similar in concept and structure with that among the Six Gods (六神) of abisikjaegwanin (我比食財官印), the elements of divination in Myeongli science.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jeonggisin system of Huangdi neijing and Dongui bogam together with the Six Gods system of Myeongli Science and considers the application of the former theory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latter. The findings suggest that this new method of referring to the jeonggisin theory of oriental medicine in the interpretation of abisikjaegwanin in Myeongli Science may prove to be a more correct, systematic, and reasonable way of inferring the various elements influencing human destiny, such as social status and honor, human relationships, knowledge and technology, food, clothing, shelter, and property, rights and duties, life and health, as well as familial and blood relations including parents, siblings, spouses, and children. 황제내경의 정기신(精氣神) 관점을 계승한 동의보감은 사람 몸을 이루는 근본을 일관되게 ‘ 정기신’ 구조로 파악하고 이를 완성하였다. 정(精)은 사람 생명의 근원이고, 기(氣)는 생명을 유지하는 원동력이며, 신(神)은 생명이 발현되는 작용으로 서로 긴밀하게 연관된다. 정에서 기가 나오고 기에서 신이 나오고 신은 다시 정의 전제가 되며 유기적으로 상응(相應)한다는 점에서 사람 생명[몸]의 ‘ 정기신’ 관계는 명리학에서 사람 운명 길흉의 해석 요소인 ‘ 아비식재관인(我比食財官印)’의 육신(六神) 관계와 매우 유사한 개념과 구조를 갖고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황제내경과 동의보감의 정기신과 명리학에서 육신 계통과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 정기신론을 명리학의 육신 해석에 적용하는 문제에 관해 고찰해보았다. 명리학의 ‘ 아비식재관인’ 육신을 동양의학의 ‘ 정기신’ 관점과 연관해서 해석할 경우 부모・형제・배우자・자식과 같은 가족・혈연관계를 비롯하여 사회적 지위・명예, 인간관계, 지식・기술, 의식주・재산, 권리・의무, 수명・건강 등사람 운명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소들을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이며 올바 르게 추론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한의서에 기재된 광물(鑛物) 약재 및 아토피피부염 활용 외용성 광물(鑛物) 약재

        박지원,김동희,Bak, Jiwon,Kim, Donghe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5 자원환경지질 Vol.48 No.3

        본 조사에서 사용된 중국 본초도감(本草圖鑑)에서는 총 93종의 광물성 약재가 보고되었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총 77종이 수재되었는데, 토부(토부) 18종, 옥부(玉部) 4종, 석부(석부) 55종으로 나누어 기술되었으며, 현재 전국한의과대학 교재인 본초학(本草學)에서는 23종이 수재되었다. 이 중 아토피피부염 외용제로 활용 가능한 약물은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주사(朱砂), 반석(礬石), 녹반(綠礬, 靑礬), 웅황(雄黃), 자황(雌黃), 석류황(石硫黃, 崑崙黃), 석회(石灰, 惡灰) 등 7종이 선별되었고, 本草圖鑑에서 15종으로 東醫寶鑑에서 선별된 광물약재 7종과 활석(滑石), 경분(輕粉), 연단(鉛丹), 노감석(爐甘石), 석(錫), 수은(水銀), 밀타승(密陀僧), 은주(銀朱) 등이 선별되었다. 本草學에서는 석고(石膏), 망초(芒硝), 활석(滑石), 주사(朱砂), 유황(硫黃), 비석(砒石), 웅황(雄黃), 경분(輕粉), 연단(鉛丹), 노감석(爐甘石), 붕사(硼砂), 금박(金箔), 한수석(寒水石) 등 14종이 선별되었다. 전반적으로 한의학적 이론인 이독치독(以毒治毒)에 의해 독성이 있는 약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매우 정교한 독성제거 방식 즉 수치 방식을 통한 독성제거를 실시한 후 사용되었다. 따라서 약물로 사용하는 경우 비독성 약물을 제외한 독성 약물은 현대적 방식에 의해 독성제거를 어떻게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밖의 주요성분 또는 많은 함량을 가진 화합물 위주로 분류한 광물약재 역시 유의적인 결과 도출이 있을 수 있어 다양한 실험 및 분석기법을 통하여 효능 평가가 이루어질 경우 아토피피부염뿐만 아니라 염증성 질환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total of 93 mineral medicines are mentioned in the Chinese Bonchodogam(本草圖鑑). In Donguibogam(東醫寶鑑), 77 mineral medicines are listed, where 18 are from soil origin, 4 from gem origin, and 55 mineral medicines were originated from stone. In the Herblogy(本草學), which is the textbook used in most oriental medicine colleges in Korea, a total of 23 mineral medicines are listed. Of those, Cinnabaris, Alumen, Melanteritum, Realgar, Orpimentum, Sulfur, Lime from Donguibogam, additional eight which are Talcum, Calomelas, Minium, Calamina, Stannum, Hydrargyrum, Lithargyrum, Hydrargyrum Chloratum from Bonchodogam and Gypsum, Natrii Sulfas, Talcum, Cinnabaris, Sulfur, Arsenicum Sublimatum, Realgar, Calomelas, Minium, Calamina, Borax, Aurum, Glauberitum from Herblogy were selected as the mineral medicine applicable as external atopic dermatitis treatment. Most of the mineral medicines were generally regarded as toxic materials, and therefore, they were elaborately processed to remove toxicity before use. In accordance,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effectively remove toxicity from toxic mineral medicines. In addition, detoxification can be applied to those mineral medicines classified based on the index material or high content compounds, and if efficacy can be evaluated through various analytical methods, this can be applied to diverse inflammatory diseases as well as atopic dermatitis.

      • KCI등재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타난 의사소통장애의 현대적 해석

        김락형(Lakhyung Kim),박현철(Hyuncheol Park),유경(Gyung You),정은희(Eunhee Je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한의학의 대표서적인 동의보감(허준, 1613)에 기술된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내용을 현대적 해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동의보감에 기술된 의사소통장애 관련 내용을 현대적 언어기관의 해부생리 지식(고도흥, 2004)과 의사소통장애의 일반적 분류법(이승환 외, 2001)에 따라 구분하여 고찰한 겨로가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 언어기관은 폐, 흉(흉곽), 격(횡격막), 후롱(기관), 회엄(후두개 또는 성대), 구순(임술), 아치(치아), 설(혀), 현옹수(구개수), 향상(후비강), 횡골(설골) 등으로 나누어 설명되어 있고 처각기관은 이(귀)로 설명하고 있다. 오장 및 경락과의 관계를 중시하고 언어와 청각기능을 기(氣)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둘째, 언어장애는 [내경편 언어]로, 음성장애는 [내경편 성음]으로 나누어 언어와 음성 장애를 구분하여 중요하게 다루고 있으며, 청각장애는 [외형편 이]에서 다루고 있다. 또한 중풍불어(中風不語)로 중풍에서 말 언어장애를 분류하고 [잡병편 풍]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아동의 언어발달장애는 [잡병편 소이]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데, 어지(語遲), 구연(口軟), 구경(口硬)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구개파열은 순결(脣缺), 말더듬을 흘(吃) 등으로 언급하였으며, [외형편 이]에서 여러 가지 원인의 난청을 이롱(耳聾)으로 설명하였고, 농이(膿耳,중이염), 정이(聤耳, 외이도염 또는 이구전색)에 의한 난청을 언급하였다.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